KR100781999B1 -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 Google Patents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999B1
KR100781999B1 KR1020060093856A KR20060093856A KR100781999B1 KR 100781999 B1 KR100781999 B1 KR 100781999B1 KR 1020060093856 A KR1020060093856 A KR 1020060093856A KR 20060093856 A KR20060093856 A KR 20060093856A KR 100781999 B1 KR100781999 B1 KR 10078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leeve
shaft
links
movabl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시형
이재민
이희완
최경보
권준오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9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9/0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An auxiliary apparatus of front wheels of a stroller is provided to prevent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from being accidentally folded or unfolded by an external impact. An auxiliary apparatus of a front wheel of a stroller includes a shaft(30), a fixed sleeve(31), a movable sleeve(33), a plurality of support links(50),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73). The front wheels of the stroller are coupled to the shaft. The right and left positions of the fixed sleeve are fixed to the shaft inside the front wheels. The movable sleeve is coupled to the shaft inside the fixed sleeve. An auxiliary wheel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link.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link is hinge-coupled to the movable sleeve. 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link is hinge-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link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link is hinge-coupled to the fixed sleeve. The support link can be selectively folded or unfolded.

Description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ward,

도 4 및 도 5는 상기 이동슬리브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leeve is moved to the outside,

도 6은 유모차가 계단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by carriage travels on stair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유모차, 13; 앞바퀴,10; Baby carriage, 13; Front Wheel,

15; 손잡이부, 15a; 레버,15; Handle portion, 15a; lever,

17; 좌석부, 30; 축,17; Seating section 30; shaft,

31; 고정슬리브, 33; 이동슬리브,31; Fixed sleeve, 33; Moving Sleeve,

35; 보조슬리브, 35a; 걸림홈,35; Auxiliary sleeve, 35a; Groove,

37, 93a; 스프링, 39; 걸림편,37, 93a; Spring, 39; Hanging,

39a; 토션스프링, 50; 복수의 지지링크,39a; Torsion springs, 50; Multiple support links,

53; 보조바퀴, 70; 복수의 보조링크,53; Auxiliary wheel, 70; Multiple auxiliary links,

73; 복수의 제 1보조링크, 75; 복수의 제 2보조링크,73;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5; A plurality of secondary links,

90; 고정부재, 93; 관체,90; Fixing member 93; Boiling,

95; 횡축, 95a; 걸림턱,95; The abscissa, 95a; Jaw,

97; 와이어부재.97; Wire member.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는 복수의 지지링크로 인해 통상의 유모차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that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make it possible for a normal stroller to travel more easily on stairs, curved jaws, etc., as well as a simp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a front wheel of a baby carriage which can be reduced and further expands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more conveniently, and can preven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from being accidentally folded or unfolded by an external force.

일반적으로, 유모차란 사용자가 유아를 태워서 밀고 다니는 자그마한 수레를 의미하며, 요즘은 유아와 함께 외출해야 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 baby carriage means a small wagon in which a user rides a child and carries it, and nowadays, a baby carriage is used by users who have to go out with infants.

한편, 현대 도시의 모든 건물 내부에는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모차가 보호자에 의해 건물 내부에서 주행하다 상기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오르려 할 경우 상기 유모차의 이동수단이 통상적으로 지면과 선접촉되는 바퀴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에서는 상기 유모차의 주행이 여의치않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통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ll buildings in the modern city are formed with stairs and curved jaws. That is, when the baby carriage is traveling inside the building by a guardian and tries to climb the stairs and the curved jaw, the moving means of the baby carriage is typically composed of a wheel member which is in lin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stairs and the bending are In the jaw, etc., the running of the baby carriage is not easy, and the user has to pass through the stairs and the curved jaw while the user lifts the baby carriag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1999-0074399호(계단이동이 가능하게 한 유모차)등과 같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technology such a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74399 (a stroller which enables a step movement) has been proposed.

구체적으로, 상기 국내 특허공버 제 10-1999-0074399호(계단이동이 가능하게 한 유모차)는 통상적인 상기 유모차에 지면과 면접촉되는 무한궤도를 구비하여 계단과 같이 턱이진 곳에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짐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74399 (stroller that can move the staircase) is provided with an endless track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in the conventional stroller is configured to move even in the jaw, such as stairs However,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productivity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는 복수의 지지링크로 인해 통상의 유모차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ue to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that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a general stroller can more easily travel stairs, curved jaws, etc., as well as its structure. It is simpl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as well as to unfold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more conveniently, as well as to preven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from accidentally folded or unfolded by external for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for the front wheel of a baby carriag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에 유모차의 앞바퀴가 각각 회전결합되는 축과; 상기 앞바퀴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결합되는 고정슬리브와; 상기 고정슬리브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이동슬리브와; 일단부에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슬리브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제 1보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는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front wheel of the stroller on both ends of the shaft coupled; A fixed sleeve rotatably coupled to a left and right position on the shaft inside the front wheel; A movable sleev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shaft inside the fixed sleeve;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having an auxiliary wheel mounted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the other end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nd the other end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hinged to the fixed sleeve,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s the front wheel of the st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device.

여기서, 상기 이동슬리브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보조슬리브와; 상기 이동슬리브와 상기 보조슬리브상에 게재되는 스프링과;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슬리브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제 2보조링크와; 상기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uxiliary sleev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axis inside the movable sleeve; A spring disposed on the movable sleeve and the auxiliary sleeve;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auxiliary sleeve; Preferably, the movable slee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selectiv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when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auxiliary sleeve is moved inward.

또한, 상기 축상에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locking piece is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so that the movable sleeve moved outward on the shaft is not moved inwar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축(30), 복수의 지지링크(50), 복수의 보조링크(70) 및 고정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30,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 plurality of auxiliary links 70, and a fixing member 90.

여기서, 상기 축(30)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와 힌지결합되는 고정슬리브(31), 이동슬리브(33) 및 보조슬리브(35)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의 양단에는 통상의 유모차(10)를 구성하는 앞바퀴(13)가 각각 회전결합된다.Here, the shaft 30 is for installing the fixed sleeve 31,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hing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links 70. As shown in FIG. 1, the front wheels 13 constituting the normal baby carriage 10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ft 30, respectively.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슬리브(31)는 상기 앞바퀴(13) 내측의 상기 축(30)상에 좌우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sleeve 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n the shaft 30 inside the front wheel 13.

그리고, 상기 이동슬리브(33)는 상기 고정슬리브(31) 내측의 상기 축(30)상 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sleeve 3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on the shaft 30 inside the fixed sleeve 31.

또한, 상기 보조슬리브(35)는 상기 이동슬리브(33) 내측의 상기 축(30)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걸림홈(35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sleeve 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shaft 30 inside the movable sleeve 33, the engaging groove 35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아울러,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 사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37)이 게재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하기에서 상세히 상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pring 37 is shown between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as shown in Figur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고정슬리브(31), 상기 이동슬리브(33) 및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30)상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와 각각 힌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가 상기 축(30)상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The fixed sleeve 31,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coupled to the shaft 3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links 70. Since the plurality of hinge links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links 70 can be installed on the shaft (30).

한편, 상기 고정슬리브(31), 상기 이동슬리브(33) 및 상기 보조슬리브(35)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축(30)상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와 각각 힌지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xed sleeve 31,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is not limited to Figure 1, is coupled to the shaft 30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 50)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links 70 may be formed of a shape and structure that can be hinged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축(30)의 형상 및 구조 또한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슬리브(31), 상기 이동슬리브(33) 및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설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In additi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shaft 30 is also not limited to FIG. 1, and if the fixed sleeve 31,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are formed, It is enough.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여 상기 유모차(10)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보조바퀴(53)가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된다. Nex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re rotated on the shaft 30 so that the baby carriage 10 can easily run a staircase, a curved jaw, or the like. As shown, the auxiliary wheel 53 is mount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33.

여기서, 상기 이동슬리브(33)는 상기 축(30)상에 좌우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Here, since the movable sleeve 33 is rotated to be slid left and right on the shaft 30,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hinged to the other end on the movable sleeve 33 is the shaft 30 It can be rotated on).

더불어, 상기 유모차(10)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회전운동으로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주행할 때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단부에 상기 보조바퀴(53)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10)는 보다 수월하게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aby carriage 10 runs on a staircase or a curved jaw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he auxiliary wheel 5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Since the stroller 10 is mounted, the stroller 10 can travel more easily on stairs and curved jaws.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 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FIG. 1,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movable sleeve 33 to rotate on the shaft 30. It is enough if it is structured.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31)와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축(30)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로 구성된다. One end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links 70 is hing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fixed sleeve 31 and the auxiliary sleeve 35. In order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hat rotate in rotation on the shaft 30 and to allow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o b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on the shaft 30, FIG. As shown in FIG. 1,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3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31)에 힌지결합된다. Her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3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fixed sleeve 31.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 크(5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된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hinged to the auxiliary sleeve 35.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31)와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links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FIG. 1, and one end is hing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sleeve 31. ) And a shape and a structure that can be hinged to the auxiliary sleeve 35 is sufficient.

한편,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일단부가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와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할 때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 및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 또한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게 된다.Meanwhil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3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is hing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hat rotate in rotation on the shaft 30.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rotate on the shaft 30,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3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also rotate on the shaft 30. .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슬리브(33)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sleeve 3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ward, and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sleeve 33 is moved outward.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타단부가 각각 상기 축(30)상에 좌우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결합되는 상기 고정슬리브(31)와 상기 축(30)상에 좌우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상기 보조슬리브(35)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게 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 73 and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 75 and the fixed sleeve 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n the shaft 3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can b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on the shaft 30 because they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sleeve 35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shaft 30.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슬리브(35) 또한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movable sleeve 33 moves inside the shaft 30 by the user, the auxiliary sleeve 35 also moves inside the shaft 30.

여기서,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의 간격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에서 상술한 상기 스프링(37)이 압축된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is reduced, as shown in Figure 2, thereby compressing the spring 37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일단부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슬리브(31)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의 일단부 또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hinged to the auxiliary sleeve 35 is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2 and the plurality of hinged coupling to the fixed sleeve 31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link 73 is also moved downward.

이때,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이 점차 작아지게 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접혀질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an angle θ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3 and the shaft 30 and an ang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and the shaft 30 are formed. (θ) gradually decreases so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can be folded on the shaft 30.

한편,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상에 구비된 걸림편(39)을 통과해야 하는데, 상기 걸림편(39)은 상기 축(3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내측으로 이동할 때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when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move inwardly of the shaft,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must pass through the locking piece 39 provided on the shaft 30, as shown in FIG. 39 is protru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30 and is installed to be selectively moved inwardly of the shaft 30, so that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are inward. It does not interfere when moving to.

즉, 사용자가 상기 걸림편(39)을 상기 축(30)의 외주연에서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 user moves the locking piece 39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haft 30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30 so that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can be moved inward. To ensure that

여기서, 상기 걸림편(39)의 하부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39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걸림편(39)은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통과한 뒤 다시 상기 축(30)의 외주연으로 이동된다. Here, since the torsion spring 39a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piece 39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ocking piece 39 moved by the user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haft 30. Is mov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30 after the moving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passes.

한편,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상기 고정부재(90)가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fixing member 90 selectively fixes the auxiliary sleeve 35 moved inwardly of the shaft 30.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상기 축(30)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축(30)의 중심부에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9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fix the auxiliary sleeve 35 moved inwardly of the shaft 30 to prevent the movable sleeve 33 from moving outside the shaft 30. As a result, i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haft 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9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93a)이 구비된 채 상기 축(30)의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관체(93)와; 상기 관체(93)의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부에 걸림턱(95a)이 형성되는 횡축(95)과; 상기 횡축(95)과 연결되고 상기 횡축(95)을 상기 관체(93)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부재(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member 90 includes a tubular body 93 installed longitudinally at the center of the shaft 30 with a spring 93a provided therein as shown in FIGS. 2 and 3; A horizontal axis 95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tube body 93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having locking jaws 95a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wire member 97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xis 95 and selectively moving the horizontal axis 95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from the tube body 93.

단, 상기 고정부재(90)의 구성이 도 2 및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member 90 is not limited to FIG. 2 and FIG. 3, and the fixing member 9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fix the auxiliary sleeve 35.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축(30)의 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축(30)의 중심부에 다다를 경우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상기 고정부재(90)의 상기 걸림턱(95a)이 걸림고정된다. 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sleeve 35 is fixed to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when the auxiliary sleeve 35 moves to the inner side of the shaft 30 by the user and reaches the center of the shaft 30. The locking step 95a of the member 90 is locked.

여기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과 상기 고정부재(90)의 상기 걸림턱(95a)의 단면형상을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90)의 상기 걸림턱(95a)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보다 쉽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and the locking jaw 95a of the fixing member 90 is formed in a triangle as shown in FIGS. 2 and 3 so that the fixing member ( The locking jaw 95a of the 90 may be more easily fixed to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과 접하게 되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의 형상을 따라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sleeve 35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haft 30 so that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is the locking jaw of the horizontal shaft 95 as shown in FIG.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95a, the locking step 95a of the horizontal axis 95 is moved upward along th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이때, 상기 관체(93)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93a)이 압축된다.At this time, the spring 93a provided in the tubular body 93 is compressed.

그리고,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의 형상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다시 이동되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걸림고정되는데, 여기서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상기 관체(93)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93a)이 순식간에 팽창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jaw 95a of the horizontal shaft 95 moved upward along th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is moved again downward as shown in FIG.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is locked, wherein the spring provided in the tubular body 93 when the locking jaw 95a of the horizontal shaft 95 tries to move downward. 93a is expanded in an instant.

즉,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의 형상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상기 관체(93)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93a)의 복원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걸림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spring having the locking jaw 95a of the horizontal shaft 95 moved upward along the shape of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is provided inside the tubular body 93 (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93a), it is automatically moved downward an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이로써, 상기 고정부재(90)는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보다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ixing member 90 can selectively fix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35 moved inward more easily.

이와 같이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될 우려가 방지된다.As such,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35 moved to the inside of the shaft 30 is selectively fixed, whereby the movable sleeve 33 moved to the inside of the shaft 30 is accidentally moved by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The risk of being moved out of 30 is prevented.

다시 말해서, 상기 축(30)상에 접혀진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축(30)상에서 우발적으로 펼쳐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folded on the shaft 30 are not accidentally unfolded on the shaft 30 by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재(97)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부재(9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축(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상기 축(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member 90 is released using the wire member 97, the movable sleeve 33 moves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shaft 30.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shaft 30 to the outsid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부재(97)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횡축(95)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모차(10)의 손잡이부(15)에 설치되는 레버(15a)와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wire member 97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haft 95,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15a installed at the handle 15 of the baby carriage 10. ).

여기서, 상기 레버(15a)가 사용자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재(97)는 상기 레버(15a) 방향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부재(97)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횡축(95)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Here, when the lever 15a is directed downward by the user,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wire member 97 is pulled toward the lever 15a and at the same time as the wire member 97. The connected transverse shaft 95 is moved upward.

이때, 상기 횡축(95)의 걸림턱(95a)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서 이탈되어 상기 고정부재(9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jaw (95a) of the horizontal axis (95)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auxiliary sleeve 35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fixing member (90).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9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 사이에 게재되어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37)이 순간적으로 팽창되는데, 이로써 상기 이동슬리브(33)는 상기 축(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member 90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 the spring 37 that is placed and compressed between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is momentarily expanded. Thus, the movable sleeve 33 is able to automatically move from the inside of the shaft 30 to the outside.

다시 말해서,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으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보조슬리브(35)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movable sleeve 33 is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7, wherein the auxiliary sleeve 35 is also in the inner side of the shaft 30 as shown in FIG. It will move to the outside automatically.

그리고,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으로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의 간격이 넓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일단부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hinged to the auxiliary sleeve 35 at the same time as the interval between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is wide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7. One end of is moved upward as shown in FIG.

더불어, 상기 고정슬리브(31)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의 일단부 또한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3 hinged to the fixing sleeve 31 is also moved upward.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이 점차 커지게 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일정각도로 펼쳐지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an angle θ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73 and the shaft 30 and an ang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75 and the shaft 30 are formed. (θ) i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re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shaft (30).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nfold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한편,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축(30)상에서 펼쳐질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펼쳐지도록 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상기 축(30)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상기 유모차(10)를 구성하는 좌석부(17)와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hinged on the movable sleeve 33 are unfolded on the shaft 30 as described above, they are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re un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haft 30,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is in contact with the seat 17 constituting the stroller 10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upports. This is because the rotation of the link 50 may not be smooth.

그리고,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때 상기 축(30)상에 구비된 상기 걸림편(39)을 통과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걸림편(39)의 일측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방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편(39)은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상기 축(30)의 외주연에서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외측 이동을 상기 걸림편(39)이 방해하지는 않는다.And, when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35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30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7 (the locking piece provided on the shaft 30 ( 39. Here, since one side of the locking piece 39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 an oblique direc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ocking piece 39 is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When the auxiliary sleeve 35 moves outwardly of the shaft 30, the movable sleeve 33 and the auxiliary sleeve can be automatically mov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haft 30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30. The locking piece 39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utward movement of the 35.

한편, 상기 축(30)의 내부로 이동한 상기 걸림편(39)은 앞서 설명한 상기 토션스프링(39a)으로 인해 상기 축(30)의 외주연방향으로 다시 이동된다.Meanwhile, the locking piece 39 moved into the shaft 30 is moved again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aft 30 due to the torsion spring 39a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걸림편(39)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어 상기 보조슬리브(35)가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locking piece 39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uxiliary sleeve 35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30 as shown in Figure 5 so that the auxiliary sleeve 35 is not moved inward. It plays a role.

이로써,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될 우려가 방지된다.Thereby, the possibility that the movable sleeve 33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30 is accident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haft 30 by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is prevented.

다시 말해서, 상기 축(30)상에서 펼쳐진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축(30)상에서 우발적으로 접혀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unfolded on the shaft 30 are not accidentally folded on the shaft 30 by an external force or the like.

도 6은 유모차(10)가 계단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age 10 travels on stairs.

먼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일정각도로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회전하여 통상의 유모차(10)가 계단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33 are rotated so that the normal baby carriage 10 may run down the stair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30)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유모차(10)가 계단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re rotated about the shaft 30, which causes the stroller 10 to travel the stairs more easily.

단,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유모차(10)가 굴곡이 있는 턱 등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due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he stroller 10 may be more easily traveling, such as a jaw.

이로써, 사용자는 종래처럼 상기 유모차(10)를 번거롭게 들어올린 채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통과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상기 축(30)상에서 접혀졌을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단부에 장착된 보조바퀴(53)의 끝부분에서 상기 축(30)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모차(10)의 앞바퀴(13)의 반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10)가 평지를 주행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음과 더불어 종래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 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Thus, the user does not need to pass through the stairs and the curved jaws while lifting the baby carriage 10 as conventionally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are folded on the shaft 30. Since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auxiliary wheel 53 moun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o the shaft 30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front wheel 13 of the baby carriage 10, the baby carriage ( 10) has no problem to run on the flat and the structure is simp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통상의 유모차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롭게 상기 유모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통과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펴지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가 평지를 주행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음과 더불어 종래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rdinary stroller can be driven more easily on stairs or curved chins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stroller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lifts the stroller. Since there is no need to pass through a curved jaw or the like, as well as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there is no problem for the stroller to run on a flat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reduced.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축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슬리브가 상기 축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어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이동슬리브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우발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xed member selectively fixes the auxiliary sleeve moved inwardly of the shaft, thereby preventing the movable sleeve from moving outward of the shaft and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by an external force. The support link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unfolded.

또한,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태가 해제 할 경우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이동슬리브가 상기 축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펼쳐지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member, the movable sleeve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hat is com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re unfolded, so that the user supports the plurality of supports.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link more convenient.

더불어, 상기 축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슬리브가 상기 축의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걸림편이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킴 으로써,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이동슬리브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우발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e hinge pieces are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by an external force by selectiv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so that the movable sleeve moved outwardly of the shaft does not move inside the shaf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upport from being accidentally fold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of course, mo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3)

양단에 유모차의 앞바퀴가 각각 회전결합되는 축과;A shaft to which the front wheels of the baby carriag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상기 앞바퀴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결합되는 고정슬리브와;A fixed sleeve rotatably coupled to a left and right position on the shaft inside the front wheel; 상기 고정슬리브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이동슬리브와;A movable sleev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shaft inside the fixed sleeve; 일단부에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슬리브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링크와;A plurality of support links having an auxiliary wheel mounted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the other end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제 1보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지고,One end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nd the other end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hinged to the fixed sleeve, so tha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상기 이동슬리브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보조슬리브와; 상기 이동슬리브와 상기 보조슬리브상에 게재되는 스프링과;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슬리브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제 2보조링크와; 상기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An auxiliary sleev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shaft inside the movable sleeve; A spring disposed on the movable sleeve and the auxiliary sleeve;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auxiliary sleeve; And a fixing member configured to selectively fix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when the movable sleeve is moved inward and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auxiliary sleeve is moved inwa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축상에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앞바퀴의 보조장치.The assisting device of the front wheel of the baby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ie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so that the movable sleeve moved outward on the shaft is not moved inward. 삭제delete
KR1020060093856A 2006-09-27 2006-09-27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KR100781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856A KR100781999B1 (en) 2006-09-27 2006-09-27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856A KR100781999B1 (en) 2006-09-27 2006-09-27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999B1 true KR100781999B1 (en) 2007-12-06

Family

ID=391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856A KR100781999B1 (en) 2006-09-27 2006-09-27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99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79B1 (en) * 2008-02-13 2009-09-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 device of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GB2480069A (en) * 2010-05-07 2011-11-09 Abdulkarim Mohamed Stair climbing wheel for baby carriage
CN106347439A (en) * 2016-09-30 2017-01-25 集美大学 Wheel combination device and hand buggy
KR20190137577A (en) 2018-06-02 2019-12-11 김영민 A zip goalkeeper glov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582A (en) * 1998-05-20 1999-12-06 양현중 Stroller for easy running on stairs and slop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582A (en) * 1998-05-20 1999-12-06 양현중 Stroller for easy running on stairs and slop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79B1 (en) * 2008-02-13 2009-09-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 device of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GB2480069A (en) * 2010-05-07 2011-11-09 Abdulkarim Mohamed Stair climbing wheel for baby carriage
CN106347439A (en) * 2016-09-30 2017-01-25 集美大学 Wheel combination device and hand buggy
KR20190137577A (en) 2018-06-02 2019-12-11 김영민 A zip goalkeeper glo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865B2 (en) Foldable enclosure apparatus having a locking device for a baby bed
CN105923035B (en) Perambulator
KR100781999B1 (en)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CN102642555B (en) Child stroller apparatus
US10023217B2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CN103381847B (en) For the device and its hinge assembly that take a seat children
CN103359149B (en) Braking mechanism and there is the child carrier of this braking mechanism
US20170282952A1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CN101289092B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child
CN102975757A (en) Foldable baby bearing device
EP1295776A2 (en) Stroller
US20130264799A1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and apparatus for seating a child
JP5020655B2 (en) stroller
KR102249325B1 (en) Wheel chair lift for vehicle
JP3122547U (en) Folding and unfolding device for protective fence
CN103204177B (en) Stroller frame and lockout mechanism thereof
CN204196969U (en) Foldable wheelbarrow
TWI752337B (en) Pushchair
KR20170001076U (en) Folding Apparatus with control lever for Kick Board
JPH07205864A (en) Frame body for folding bicycle
CN112441102A (en) Baby carriage frame and baby carriage
CN105151104B (en) One kind can fold perambulator
GB2549845B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KR100908597B1 (en) stroller
JP2004268879A (en) Moving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