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999B1 -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 Google Patents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1999B1 KR100781999B1 KR1020060093856A KR20060093856A KR100781999B1 KR 100781999 B1 KR100781999 B1 KR 100781999B1 KR 1020060093856 A KR1020060093856 A KR 1020060093856A KR 20060093856 A KR20060093856 A KR 20060093856A KR 100781999 B1 KR100781999 B1 KR 100781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 sleeve
- shaft
- links
- movable slee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9/06—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with spid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ward,
도 4 및 도 5는 상기 이동슬리브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sleeve is moved to the outside,
도 6은 유모차가 계단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by carriage travels on stair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유모차, 13; 앞바퀴,10; Baby carriage, 13; Front Wheel,
15; 손잡이부, 15a; 레버,15; Handle portion, 15a; lever,
17; 좌석부, 30; 축,17;
31; 고정슬리브, 33; 이동슬리브,31; Fixed sleeve, 33; Moving Sleeve,
35; 보조슬리브, 35a; 걸림홈,35; Auxiliary sleeve, 35a; Groove,
37, 93a; 스프링, 39; 걸림편,37, 93a; Spring, 39; Hanging,
39a; 토션스프링, 50; 복수의 지지링크,39a; Torsion springs, 50; Multiple support links,
53; 보조바퀴, 70; 복수의 보조링크,53; Auxiliary wheel, 70; Multiple auxiliary links,
73; 복수의 제 1보조링크, 75; 복수의 제 2보조링크,73; A plurality of first
90; 고정부재, 93; 관체,90; Fixing
95; 횡축, 95a; 걸림턱,95; The abscissa, 95a; Jaw,
97; 와이어부재.97; Wire member.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는 복수의 지지링크로 인해 통상의 유모차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that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make it possible for a normal stroller to travel more easily on stairs, curved jaws, etc., as well as a simp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at the same time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evice for a front wheel of a baby carriage which can be reduced and further expands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more conveniently, and can preven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from being accidentally folded or unfolded by an external force.
일반적으로, 유모차란 사용자가 유아를 태워서 밀고 다니는 자그마한 수레를 의미하며, 요즘은 유아와 함께 외출해야 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 baby carriage means a small wagon in which a user rides a child and carries it, and nowadays, a baby carriage is used by users who have to go out with infants.
한편, 현대 도시의 모든 건물 내부에는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모차가 보호자에 의해 건물 내부에서 주행하다 상기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오르려 할 경우 상기 유모차의 이동수단이 통상적으로 지면과 선접촉되는 바퀴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에서는 상기 유모차의 주행이 여의치않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유모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통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ll buildings in the modern city are formed with stairs and curved jaws. That is, when the baby carriage is traveling inside the building by a guardian and tries to climb the stairs and the curved jaw, the moving means of the baby carriage is typically composed of a wheel member which is in lin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stairs and the bending are In the jaw, etc., the running of the baby carriage is not easy, and the user has to pass through the stairs and the curved jaw while the user lifts the baby carriag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1999-0074399호(계단이동이 가능하게 한 유모차)등과 같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technology such a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74399 (a stroller which enables a step movement) has been proposed.
구체적으로, 상기 국내 특허공버 제 10-1999-0074399호(계단이동이 가능하게 한 유모차)는 통상적인 상기 유모차에 지면과 면접촉되는 무한궤도를 구비하여 계단과 같이 턱이진 곳에서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짐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74399 (stroller that can move the staircase) is provided with an endless track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in the conventional stroller is configured to move even in the jaw, such as stairs However,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productivity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는 복수의 지지링크로 인해 통상의 유모차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ue to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that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a general stroller can more easily travel stairs, curved jaws, etc., as well as its structure. It is simpl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as well as to unfold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more conveniently, as well as to prevent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from accidentally folded or unfolded by external for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device for the front wheel of a baby carriag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에 유모차의 앞바퀴가 각각 회전결합되는 축과; 상기 앞바퀴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결합되는 고정슬리브와; 상기 고정슬리브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이동슬리브와; 일단부에 보조바퀴가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슬리브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제 1보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는 유모차 앞바퀴의 보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front wheel of the stroller on both ends of the shaft coupled; A fixed sleeve rotatably coupled to a left and right position on the shaft inside the front wheel; A movable sleev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shaft inside the fixed sleeve; A plurality of support links having an auxiliary wheel mounted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the other end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One end hing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nd the other end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links hinged to the fixed sleeve,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s the front wheel of the st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device.
여기서, 상기 이동슬리브 내측의 상기 축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보조슬리브와; 상기 이동슬리브와 상기 보조슬리브상에 게재되는 스프링과;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슬리브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제 2보조링크와; 상기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uxiliary sleev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liding on the axis inside the movable sleeve; A spring disposed on the movable sleeve and the auxiliary sleeve;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links,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auxiliary sleeve; Preferably, the movable sleev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for selectiv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when the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auxiliary sleeve is moved inward.
또한, 상기 축상에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슬리브가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locking piece is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so that the movable sleeve moved outward on the shaft is not moved inwar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축(30), 복수의 지지링크(50), 복수의 보조링크(70) 및 고정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축(30)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와 힌지결합되는 고정슬리브(31), 이동슬리브(33) 및 보조슬리브(35)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의 양단에는 통상의 유모차(10)를 구성하는 앞바퀴(13)가 각각 회전결합된다.Here,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슬리브(31)는 상기 앞바퀴(13) 내측의 상기 축(30)상에 좌우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이동슬리브(33)는 상기 고정슬리브(31) 내측의 상기 축(30)상 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보조슬리브(35)는 상기 이동슬리브(33) 내측의 상기 축(30)상에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걸림홈(35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 사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37)이 게재되는데 자세한 사항은 하기에서 상세히 상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고정슬리브(31), 상기 이동슬리브(33) 및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30)상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와 각각 힌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가 상기 축(30)상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 고정슬리브(31), 상기 이동슬리브(33) 및 상기 보조슬리브(35)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축(30)상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 및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와 각각 힌지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아울러, 상기 축(30)의 형상 및 구조 또한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슬리브(31), 상기 이동슬리브(33) 및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설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In additi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여 상기 유모차(10)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보조바퀴(53)가 장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된다. Next, the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이동슬리브(33)는 상기 축(30)상에 좌우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Here, since the
더불어, 상기 유모차(10)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회전운동으로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주행할 때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단부에 상기 보조바퀴(53)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10)는 보다 수월하게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타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 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31)와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축(30)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로 구성된다. One end of the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31)에 힌지결합된다. Her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 크(50)의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된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복수의 보조링크(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슬리브(31)와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일단부가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와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할 때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 및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 또한 상기 축(30)상에서 회전운동하게 된다.Meanwhil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슬리브(33)가 내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타단부가 각각 상기 축(30)상에 좌우위치가 고정되도록 회전결합되는 상기 고정슬리브(31)와 상기 축(30)상에 좌우슬라이딩되도록 회전결합되는 상기 보조슬리브(35)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선택적으로 접혔다 펼쳐질 수 있게 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보조슬리브(35) 또한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여기서,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의 간격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에서 상술한 상기 스프링(37)이 압축된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일단부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슬리브(31)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의 일단부 또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econd
이때,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이 점차 작아지게 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접혀질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an angle θ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한편,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상에 구비된 걸림편(39)을 통과해야 하는데, 상기 걸림편(39)은 상기 축(3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내측으로 이동할 때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when the
즉, 사용자가 상기 걸림편(39)을 상기 축(30)의 외주연에서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 user moves the locking
여기서, 상기 걸림편(39)의 하부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39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걸림편(39)은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통과한 뒤 다시 상기 축(30)의 외주연으로 이동된다. Here, since the
한편,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상기 고정부재(90)가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fixing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상기 축(30)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축(30)의 중심부에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9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프링(93a)이 구비된 채 상기 축(30)의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관체(93)와; 상기 관체(93)의 중심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부에 걸림턱(95a)이 형성되는 횡축(95)과; 상기 횡축(95)과 연결되고 상기 횡축(95)을 상기 관체(93)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부재(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단, 상기 고정부재(90)의 구성이 도 2 및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조슬리브(35)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축(30)의 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축(30)의 중심부에 다다를 경우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상기 고정부재(90)의 상기 걸림턱(95a)이 걸림고정된다. 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과 상기 고정부재(90)의 상기 걸림턱(95a)의 단면형상을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90)의 상기 걸림턱(95a)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보다 쉽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cking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과 접하게 되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의 형상을 따라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관체(93)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93a)이 압축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의 형상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다시 이동되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걸림고정되는데, 여기서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상기 관체(93)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93a)이 순식간에 팽창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즉,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의 형상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횡축(95)의 상기 걸림턱(95a)이 상기 관체(93)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93a)의 복원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 걸림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spring having the locking
이로써, 상기 고정부재(90)는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보다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ixing
이와 같이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위치가 선택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될 우려가 방지된다.As such, the position of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축(30)상에 접혀진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축(30)상에서 우발적으로 펼쳐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재(97)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부재(9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축(3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상기 축(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부재(97)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횡축(95)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모차(10)의 손잡이부(15)에 설치되는 레버(15a)와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여기서, 상기 레버(15a)가 사용자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되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부재(97)는 상기 레버(15a) 방향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부재(97)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횡축(95)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Here, when the
이때, 상기 횡축(95)의 걸림턱(95a)이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상기 걸림홈(35a)에서 이탈되어 상기 고정부재(9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jaw (95a) of the horizontal axis (95)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35a) of the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9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 사이에 게재되어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37)이 순간적으로 팽창되는데, 이로써 상기 이동슬리브(33)는 상기 축(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다시 말해서,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으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보조슬리브(35)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그리고,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으로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의 간격이 넓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슬리브(35)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의 일단부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더불어, 상기 고정슬리브(31)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의 일단부 또한 상부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plurality of first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 1보조링크(73)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보조링크(75)와 상기 축(30)이 이루는 각(θ)이 점차 커지게 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는 상기 축(30)상에서 일정각도로 펼쳐지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an angle θ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unfold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한편,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축(30)상에서 펼쳐질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펼쳐지도록 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상기 축(30)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수직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상기 유모차(10)를 구성하는 좌석부(17)와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when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스프링(37)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때 상기 축(30)상에 구비된 상기 걸림편(39)을 통과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걸림편(39)의 일측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방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편(39)은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가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상기 축(30)의 외주연에서 상기 축(30)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이동슬리브(33)와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외측 이동을 상기 걸림편(39)이 방해하지는 않는다.And, when the
한편, 상기 축(30)의 내부로 이동한 상기 걸림편(39)은 앞서 설명한 상기 토션스프링(39a)으로 인해 상기 축(30)의 외주연방향으로 다시 이동된다.Meanwhile, the locking
여기서, 상기 걸림편(39)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보조슬리브(35)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어 상기 보조슬리브(35)가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locking
이로써, 상기 축(30)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기 이동슬리브(33)가 외력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상기 축(30)의 내측으로 이동될 우려가 방지된다.Thereby, the possibility that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축(30)상에서 펼쳐진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축(30)상에서 우발적으로 접혀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도 6은 유모차(10)가 계단을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먼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슬리브(33)상에 일정각도로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회전하여 통상의 유모차(10)가 계단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30)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유모차(10)가 계단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단,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유모차(10)가 굴곡이 있는 턱 등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due to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50, the
이로써, 사용자는 종래처럼 상기 유모차(10)를 번거롭게 들어올린 채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통과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가 상기 축(30)상에서 접혀졌을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50)의 일단부에 장착된 보조바퀴(53)의 끝부분에서 상기 축(30)까지의 거리가 상기 유모차(10)의 앞바퀴(13)의 반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10)가 평지를 주행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음과 더불어 종래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 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Thus, the user does not need to pass through the stairs and the curved jaws while lift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의 회전에 의하여 통상의 유모차가 계단이나 굴곡이 있는 턱 등을 보다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롭게 상기 유모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계단과 굴곡이 있는 턱 등을 통과할 필요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선택적으로 접혔다 펴지기 때문에 상기 유모차가 평지를 주행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음과 더불어 종래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rdinary stroller can be driven more easily on stairs or curved chins by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stroller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lifts the stroller. Since there is no need to pass through a curved jaw or the like, as well as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re selectively folded and unfolded, there is no problem for the stroller to run on a flat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reduced.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축의 내측으로 이동한 상기 보조슬리브를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동슬리브가 상기 축의 외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어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이동슬리브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우발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ixed member selectively fixes the auxiliary sleeve moved inwardly of the shaft, thereby preventing the movable sleeve from moving outward of the shaft and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by an external force. The support link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unfolded.
또한,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태가 해제 할 경우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이동슬리브가 상기 축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가 펼쳐지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지지링크를 보다 편리하게 펼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xing state of the fixing member, the movable sleeve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hat is com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support links are unfolded, so that the user supports the plurality of supports.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link more convenient.
더불어, 상기 축의 외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슬리브가 상기 축의 내측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걸림편이 상기 보조슬리브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킴 으로써, 외력 등에 의해 상기 이동슬리브상에 일정한 각도로 힌지결합된 상기 복수의 지지대가 우발적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e hinge pieces are hi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ovable sleeve by an external force by selectiv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sleeve so that the movable sleeve moved outwardly of the shaft does not move inside the shaf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upport from being accidentally folded.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of course, mo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3856A KR100781999B1 (en) | 2006-09-27 | 2006-09-27 |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3856A KR100781999B1 (en) | 2006-09-27 | 2006-09-27 |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1999B1 true KR100781999B1 (en) | 2007-12-06 |
Family
ID=391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3856A KR100781999B1 (en) | 2006-09-27 | 2006-09-27 |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199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879B1 (en) * | 2008-02-13 | 2009-09-3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support device of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
GB2480069A (en) * | 2010-05-07 | 2011-11-09 | Abdulkarim Mohamed | Stair climbing wheel for baby carriage |
CN106347439A (en) * | 2016-09-30 | 2017-01-25 | 集美大学 | Wheel combination device and hand buggy |
KR20190137577A (en) | 2018-06-02 | 2019-12-11 | 김영민 | A zip goalkeeper glov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5582A (en) * | 1998-05-20 | 1999-12-06 | 양현중 | Stroller for easy running on stairs and slopes |
-
2006
- 2006-09-27 KR KR1020060093856A patent/KR10078199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5582A (en) * | 1998-05-20 | 1999-12-06 | 양현중 | Stroller for easy running on stairs and slope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9879B1 (en) * | 2008-02-13 | 2009-09-3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support device of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
GB2480069A (en) * | 2010-05-07 | 2011-11-09 | Abdulkarim Mohamed | Stair climbing wheel for baby carriage |
CN106347439A (en) * | 2016-09-30 | 2017-01-25 | 集美大学 | Wheel combination device and hand buggy |
KR20190137577A (en) | 2018-06-02 | 2019-12-11 | 김영민 | A zip goalkeeper glov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94865B2 (en) | Foldable enclosure apparatus having a locking device for a baby bed | |
US10000226B2 (en) | Infant stroller apparatus | |
CN105923035B (en) | Perambulator | |
KR100781999B1 (en) | Auxiliary equipment of baby buggy front wheel | |
CN102642555B (en) | Child stroller apparatus | |
CN103381847B (en) | For the device and its hinge assembly that take a seat children | |
CN103359149B (en) | Braking mechanism and there is the child carrier of this braking mechanism | |
US8919807B2 (en) | Infant stroller apparatus and apparatus for seating a child | |
CN102975757A (en) | Foldable baby bearing device | |
EP1295776A2 (en) | Stroller | |
CN101289092A (en) | Device for transporting a child | |
JP5020655B2 (en) | stroller | |
KR102249325B1 (en) | Wheel chair lift for vehicle | |
TWI752337B (en) | Pushchair | |
CN204196969U (en) | Foldable wheelbarrow | |
JPH07205864A (en) | Frame body for folding bicycle | |
CN112441102A (en) | Baby carriage frame and baby carriage | |
GB2549845B (en) | Infant stroller apparatus | |
KR100908597B1 (en) | stroller | |
JP2004268879A (en) | Moving cart | |
KR101473178B1 (en) | Stroller having a slide device | |
KR200380270Y1 (en) | A auxiliary-foot-board driving equipment for foot-board playing | |
CN113548141A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hildren article with same | |
JPH08244625A (en) | Stroller | |
IT201700022539A1 (en) | STRUCTURE OF PASSENGER PERFORMED FOR USE ON NON-FLAT SURFA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