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597B1 - stroller - Google Patents

s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597B1
KR100908597B1 KR1020070070083A KR20070070083A KR100908597B1 KR 100908597 B1 KR100908597 B1 KR 100908597B1 KR 1020070070083 A KR1020070070083 A KR 1020070070083A KR 20070070083 A KR20070070083 A KR 20070070083A KR 100908597 B1 KR100908597 B1 KR 10090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case
coupled
ba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598A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이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엽 filed Critical 이상엽
Priority to KR102007007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597B1/en
Publication of KR2009000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프레임부재;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후륜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재; 상기 제2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접근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이동바;를 구비하여서, 상기 이동바가 상기 제1위치를 벗어나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가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rame member rotatably installed a pair of front wheel assem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frame member rotatably installed with a pair of rear wheel assemblies spaced from each other; A cas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member; And a moving bar coupled to the case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pproaching the case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ase, wherein the movement bar is positioned out of the first position. When pressed at,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paced upwards from the ground.

프레임부재, 케이스, 이동바 Frame member, case, moving bar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Baby carriag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큰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팅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동을 멈추고 잠시 앉아 쉴 수 있는 휴식수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lifting means that can lift a large weight with a small force, the baby carriage with improved structure to provide a rest means for stopping movement and sitting for a while It is about.

도 1은 일반적인 유모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유모차는 전륜 어셈블리(11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프레임부재(100)와 후륜 어셈블리(21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프레임부재(200)를 구비하여서, 바퀴가 지면에 대해 구름접촉하면서 이동을 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의 작동으로 그 이동이 방지된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baby carriage. As shown in the drawing, a general stroller includes a first frame member 100 on which the front wheel assembly 110 is rotatably supported and a second frame member 200 on which the rear wheel assembly 210 is rotatably supported. The wheels are move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movement is prevented by the operation of a stopper (not shown) that limits the rotation of the wheels as necessary.

이러한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 외출을 하는 경우에 아이의 무게와 유모차의 무게 및 평평하지 못한 주행로 등으로 인하여 큰 수고로움이 요구된다. In the case of going out with a child in such a stroller, a great deal of trouble is required due to the weight of the child, the weight of the stroller, and an uneven driving path.

최근에는 쌍둥이를 키우는 가족들이 늘어나고 있어 쌍둥이를 태울 수 있는 유모차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정의 경우 유모차에 쌍둥이를 태우고 이동하기가 더 많은 수고로움이 요구된다.Recently, families with twins are increasing, and strollers that can carry twins are on the market. These homes require more effort to carry twins in the stroller.

특히, 계단과 같은 턱이 있는 곳을 지나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모차에 큰 힘을 가하여 전륜 측을 들어 올려야만 하기 때문에, 외출 후에 육체적으로 더 큰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In particular, if you want to go through the chin, such as a staircase, because you have to lift the front wheel side by applying a great force to the stroller, you will feel more physically tired after going out.

또한, 유모차의 이동 중에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벤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한 후 그 벤치에서 휴식을 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take a break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rolle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take a rest on the bench after moving to the place where the bench.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큰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carriage that can lift a large weight with a small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중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by carriage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rested while mov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프레임부재;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후륜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재; 상기 제2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접근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이동바;를 구비하여서, 상기 이동바가 상기 제1위치를 벗어나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가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frame member rotatably installed a pair of front wheel assembly spaced from each other; A second frame member rotatably installed with a pair of rear wheel assemblies spaced from each other; A cas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member; And a moving bar coupled to the case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pproaching the case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ase, wherein the movement bar is positioned out of the first position. When pressed at,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paced upwards from the ground.

본 발명은, 상기 이동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이동바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cas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bar; It is preferable to have a guide rail provided in the moving bar so that the moving bar can move along the guide groove.

상기 이동바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이동바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이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스토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ving bar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and the cas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topper part to selectively engage the locking step so as to limit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bar.

본 발명은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석가능한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복수의 다리부재를 가지는 보조의자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chair having a seat member sel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rame member and a seat member and a plurality of leg members supporting the sheet member on the ground.

상기 제1프레임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가 지지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의자의 시트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그 시트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바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의자의 다리부재들은, 상기 시트부재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frame member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ar on which one of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is supported, and a second support bar on which the other of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is supported, wherein the seat member of the auxiliary chair includes: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to prevent rotation of the seat member, the leg members of the auxiliary chair, coupled to the seat member rotatably It is configured to be.

본 발명은 상기 보조의자의 시트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형의 회전볼;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제1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볼이 끼워맞춤되는 끼움부; 상기 보조의자의 시트부재의 타측에 마련되는 삽입보스; 및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제2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삽입보스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시트부재의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삽입보스와 삽입부 간의 삽입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시트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pherical rotary bal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member of the auxiliary chair; A fitt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first frame member and fitted with the rotary ball; Insertion bos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 member of the auxiliary chair; And an insertion part provid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first frame member and into which the insertion boss is inserted, when the insertion bos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the rotation of the sheet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frame member. This is prevented, and when the insertion between the insertion boss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relea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et member is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는 다음과 같은 효 과가 기대된다.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에서는 작은 힘으로 유모차의 전륜 측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팅수단이 마련됨으로써, 턱이 있는 곳을 수월하게 지나갈 수 있게 하여 보호자의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ifting means that can lift the front wheel side of the stroller with a small force, it is possible to easily pass through the place where the jaw is to reduce the effort of the protector.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조의자가 마련되어 있어서, 벤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할 필요없이 아무 장소에서나 아이 근처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hai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sted near the child at any place without having to move to the place where the bench.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Ⅳ-Ⅳ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acteristic par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characteristic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4.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제1프레임부재(1), 제2프레임부재(2) 및 리프팅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리프팅수단은 유모차의 전륜측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3)와 이동바(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부재(1)에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부재(2)에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후륜 어셈블리(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rame member 1, a second frame member 2, and lifting means. The lifting means is for lifting the front wheel side of the baby carriage without great force, and comprises a case 3 and a moving bar 4. A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frame member 1, and a pair of rear wheel assemblies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frame member 2. ) Is rotatably installed.

상기 제2프레임부재(2)에는 케이스(3)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3)는, 상기 제2프레임부재(2)의 연결바(21)에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결합부(33)와, 상기 결합부(33)의 양단측으로부터 그 결합부(33)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이동바(4)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31)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3)의 안내부(31)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1a)이 마련되어 있다. The case 3 is coupled to the second frame member 2. The case 3 has a coupling portion 33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21 of the second frame member 2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and a coupling portion thereof from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33. 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guide parts 31 which exte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33, and which guide the movement of the said movement bar 4.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the guide part 31 of the case 3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31a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bar 4.

상기 이동바(4)는, 상기 케이스(3)에 접근되어 있는 제1위치(도3참조)와 상기 케이스(3)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위치(도4참조)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3)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바(4)는 상기 가이드홈(31a)에 삽입되는 가이드레일(41)을 구비하여서, 상기 케이스(3)에 대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The movable bar 4 is movable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pproaching the case 3 (see FIG. 3)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ase 3 (see FIG. 4). Is coupled to the case (3). The moving bar 4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41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a, so that it can be moved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case (3).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바(4)의 케이스(3)에 대한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4)에 마련되는 걸림턱(43)과 상기 케이스(3)에 마련되는 스토퍼부(31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동바(4)가 상기 제2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상기 걸림턱(43)이 상기 스토퍼부(31b)에 걸림으로써, 상기 이동바(4)가 상기 케이스(3)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movement limiting means for limiting the movement range with respect to the case 3 of the movement bar 4 is provided. As shown in FIG. 6, the movement limiting means includes a stopping jaw 43 provided on the moving bar 4 and a stopper part 31b provided on the case 3. That is, when the movable bar 4 is moved toward the second position, the locking jaw 43 is caught by the stopper part 31b, so that the movable bar 4 is removed from the case 3.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상기 리프팅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유모차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In this way, the baby carriage provided with the lifting means functions as follows.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 평평한 길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바(4)를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리프팅수단이 주행로와 간섭되지 않게 한다.In the case of carrying the child in the stroller and moving along the flat road, the moving bar 4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lifting means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iving path.

그리고,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 턱이 있는 곳을 지나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렛대와 같은 작용을 하는 리프팅수단을 이용하여 전륜 측을 들어 올리면 된다. 즉, 상기 이동바(4)를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게 하면 발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힘점과 받침점 사이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작은 가압력으로 상기 유모차의 전륜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특히, 유모차에 쌍둥이를 태우고 이동하는 경우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유모차의 전륜을 들어 올릴 수 있어 턱이 있는 곳을 수월하게 지나갈 수 있게 된다.And, if you want to ride the child in the stroller to pass through the place where the jaw is to lift the front wheel by using a lifting means that acts like a lever. That is, when the movable bar 4 is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length between the force point and the support point at which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by the foot is increased, so that the front wheel of the baby carriage can be lifted with a small pressing force. In particular, when carrying twins in a stroller, the front wheels of the stroller can be lifted without great force, so that the jaw can easily pass.

이와 같이, 리프팅수단이 채용된 유모차는 턱이 있는 곳을 힘들지 않게 지나나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종래의 손잡이부분에 힘을 가하여 유모차의 전륜을 들어 올리는 경우보다 제품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종래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손잡이부분에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손잡이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다른 프레임의 결합부위에 응력 및 모멘트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는 적은 힘을 가함으로써 유모차의 전륜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팅수단이 채용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stroller employing the lifting mean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ass through the place where the jaw is hard. In addition to these advantages,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furthe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than when lifting the front wheel of the stroller by applying a force to the conventional handle por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stress and moment are generat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other frame provided with the handle portion, thereby lower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front wheel of the baby carriage by applying a small force,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리프팅수단 이외에도 이동하는 중에 아무 장소에서나 앉아서 편히 쉴 수 있는 휴식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휴식수단으로는 시트부재(51)와 다리부재(52a,52b,52c)를 가지는 보조의자(5)가 채용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st means that can sit and relax at any place while moving in addition to the lifting means. In this embodiment, as the rest means, an auxiliary chair 5 having a seat member 51 and leg members 52a, 52b, 52c is employ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른 특징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특징부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특징부의 동작상태도이다. 여기서, 특징부는 상기 보조의자(52a,52b,52c)가 채용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fea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eature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eature shown in FIG. 7. Here, the feature means a portion where the auxiliary chairs 52a, 52b, 52c are employ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재(51)는 보호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1프레임부재(1)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다는 말은 회전될 수도 있고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즉, 상기 시트부재(51)가 도 7과 같이 상기 제1프레임부재(1)에 결합된 경우, 즉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부재(51)의 삽입보스(51b)가 제2지지바(12)의 삽입부(12a)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이 방지되고, 도 9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부재(1)에 결합된 경우, 즉 시트부재(51)의 삽입보스(51b)와 제2지지바(12)의 삽입부(12a) 간의 삽입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는 회전이 가능하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seat member 51 serves to provide a seat for the guardian to sit, and is selective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rame member 1. Here, the term selectively rotatable means that it may or may not be rotated. That is, when the sheet member 51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member 1 as shown in FIG. 7, that is, the insertion boss 51b of the sheet member 51 to be described below is the second support bar 12.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a) of the rotation is prevented, as shown in Figure 9 when coupled to the first frame member 1, that is, the insertion boss 51b and the second support of the seat member 51 When the insertion state between the insertion part 12a of the bar 12 is released, rotation is possible.

이와 같이,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 이동하는 중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시트부재(51)를 상기 제1프레임부재(1)에 결합시켜 놓음으로써 본 실시예에 채용되는 휴식수단과 주행로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As such, while the child is moving in the stroller, the seat member 51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member 1 as shown in FIG. 7 to cause interference between the rest means and the driving path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Do not do it.

상기 시트부재(51)와 제1프레임부재(1)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제1프레임부재(1)는 제1지지바(11)와 제2지지바(1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바(11)는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10) 중 어느 하나가 지지되고, 상기 제2지지바(12)는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10) 중 다른 하나가 지지된다. Looking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heet member 51 and the first frame member 1 as follows. That is, the first frame member 1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11 and a second support bar 12. One of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1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bar 11, and the second support bar 12 is supported by the other of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10.

상기 보조의자(5)의 시트부재(51)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바(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그 시트부재(5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바(12)에 결합된다.The seat member 51 of the auxiliary chair 5, the second support so that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11,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seat member 51 Coupled to bar 12.

여기서, 상기 시트부재(51)의 상기 제1지지바(11)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은, 상기 시트부재(51)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형의 회전볼(51a)과 상기 제1지지바(11)에 마련되는 끼움부(1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볼(51a)이 상기 끼움부(11a)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재(51)의 일측과 제1지지바(1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볼(51a)이 구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시트부재(5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Here, the configuration of enabling the rotation of the seat member 51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bar 11, the spherical rotary ball 51a and the first suppo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member 51 It comprises a fitting portion (11a) provided in the bar (11). The rotary ball 51a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11a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one side of the sheet member 51 and the first support bar 11 is performed, and the rotary ball 51a has a spherical shape. As a result, the sheet member 51 can be rotated.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51)의 제1프레임부재(1)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시트부재(51)의 타측에 마련되는 삽입보스(51b)와 상기 제2지지바(12)에 마련되는 삽입부(12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보스(51b)가 상기 삽입부(12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재(51)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 8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보스(51b)와 삽입부(12a) 간의 삽입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시트부재(51)의 상기 제1프레임부재(1)에 대한 회전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first frame member 1 of the seat member 51 may include an insertion boss 51b and the second support bar 1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 member 51. It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12a provided in). As the insertion boss 51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a, the rotation of the sheet member 51 may be prevented. 8 and 9, when the insertion between the insertion boss 51b and the insertion part 12a is released, the rotation of the seat member 51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member 1 is performed. This becomes possible.

상기 다리부재들(52a,52b,52c)은, 각각 상기 시트부재(5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각 다리부재(52a,52b,52c)의 일측은 상기 시트부재(51)에 힌지결합됨으로써, 각 다리부재(52a,52b,52c)의 타측이 상기 시트부재(51)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각 다리부재를 편의상 제1다리부재(52a), 제2다리부재(52b), 제3다리부재(52c)라고 칭한다. 상기 제1다리부재(52a) 및 제2다리부재(52b)는 상기 시트부재(51)의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턱(미도시)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leg members 52a, 52b and 52c are coupled to the sheet member 51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at is, one side of each leg member (52a, 52b, 52c) is hinged to the sheet member 51, the other side of each leg member (52a, 52b, 52c) to be rotated relative to the sheet member 51 It becomes possible. Hereinafter, the leg members are referred to as first leg members 52a, second leg members 52b, and third leg members 52c for convenience. The first leg member 52a and the second leg member 52b may include a jaw (not shown)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of the sheet member 51.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턱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다리부재(52a) 및 제2다리부재(52b)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턱과 홈 간의 삽입이 해제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다리부재(52a) 및 제2다리부재(52b)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jaw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s shown in Figure 8, the rotation of the first leg member 52a and the second leg member 52b is prevented, When insertion between the grooves is released, as shown in FIG. 9, the first leg member 52a and the second leg member 52b can be rotated.

한편, 상기 보조의자(5)에는 상기 제1다리부재(52a)와 제2다리부재(52b)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프레임(53)은 상기 제1다리부재(52a)와 제2다리부재(52b)를 한번에 펼쳐지도록 할 수 있게 하며,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다리부재(52c)를 눌러 줌으로써 그 제3다리부재(52c)의 상기 시트부재(51)에 대한 회전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위에서 설명한 턱이 상기 제3다리부재(52c)에 마련될 필요가 없고 상기 홈이 상기 시트부재(51)에 마련될 필요가 업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chair 5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frame 53 for connecting the first leg member (52a) and the second leg member (52b). The connecting frame 53 allows the first leg member 52a and the second leg member 52b to be unfolded at a time, and as shown in FIG. 8, the third leg member 52c is opened. It is not necessary to further provide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third leg member 52c with respect to the sheet member 51 by pressing. That is, the jaws described above need not be provided in the third leg member 52c and the grooves need not be provided in the sheet member 51.

이와 같이, 상기 휴식수단이 채용되어 있는 유모차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In this way, the stroller employing the rest means has the following function.

일반적으로, 보호자가 유모차에 아이를 태우고 이동하는 중에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벤치 근처에 유모차를 세워 놓고 보호자는 벤치에 앉아 쉬곤 했다. 그러나, 벤치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는 수고가 요구되며, 벤치가 없는 곳에서는 휴식을 취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In general, when a guardian wants to take a break while moving a child in a stroller, the guardian would usually stand near the bench and the guardian would rest on the bench. However, the effort to move to the place where the bench is required, there was a inconvenience that can not rest without the bench.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는 휴식수단인 보조의자(5)가 채용되었다. 상기 보조의자(5)는 유모차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그 유모차의 제1프레임부재(1)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모차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의자(5)를 필요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도록 하고, 보호자가 상기 보조의자(5)의 시트부재(51)에 앉아서 쉴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 중에 아무 장소에서나 아이의 근처에서 아이와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n auxiliary chair 5 as a rest means. The auxiliary chair 5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member 1 of the baby carriage so as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baby carriage. As such, the auxiliary chair 5 coupled to the stroller is unfolded as shown in FIG. 9 as needed, and the guardian can sit and rest in the seat member 51 of the auxiliary chair 5 to move. You will be able to relax with your child at any place near you.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about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defined by what was described in the claim, and it is clear that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are possibl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acteristic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의 동작상태도.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characteristic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도 6은 도 4의 Ⅳ-Ⅳ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4.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른 특징부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fea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특징부의 배면사시도.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eature shown in FIG. 7;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특징부의 동작상태도.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eature shown in FIG. 7;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제1프레임부재 10:전륜 어셈블리1: first frame member 10: front wheel assembly

11:제1지지바 11a:끼움부11: First Jiba 11a: Fitting

12:제2지지바 12a:삽입부12: 2nd support bar 12a: insertion part

2:제2프레임부재 20:후륜 어셈블리2: second frame member 20: rear wheel assembly

21:연결바 3:케이스21: Connecting bar 3: Case

31:안내부 31a:가이드홈31: Information 31a: Guide Home

31b:스토퍼부 33:결합부 31b: stopper portion 33: coupling portion

4:이동바 41:가이드레일4: moving bar 41: guide rail

43:걸림턱 5:보조의자43: Jam Jaw 5: Assistant Chair

51:시트부재 51a:회전볼51: seat member 51a: rotating ball

51b:삽입보스 52a:제1다리부재 51b: Insertion boss 52a: First leg member

52b:제2다리부재 52c:제3다리부재52b: second leg member 52c: third leg member

53:연결프레임53: connecting frame

Claims (6)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프레임부재;A first frame member rotatably installed with a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후륜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재;A second frame member rotatably installed with a pair of rear wheel assemblies spaced from each other; 상기 제2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케이스; 및A cas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member; And 상기 케이스에 접근되어 있는 제1위치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이동바;를 구비하여서,And a moving bar coupled to the case so as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pproaching the case and a secon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ase. 상기 이동바가 상기 제1위치를 벗어나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가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upwards from the ground when the moving bar is pressed in a state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position,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석가능한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복수의 다리부재를 가지는 보조의자를 구비하며, And an auxiliary chair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rame member and having a seatable seat member and a plurality of leg members supporting the sheet member on the ground, 상기 제1프레임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가 지지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한 쌍의 전륜 어셈블리 중 다른 하나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를 구비하며,The first frame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on which one of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is supported, and a second support bar on which the other of the pair of front wheel assemblies is supported. 상기 보조의자의 시트부재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그 시트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바에 결합되며,The seat member of the auxiliary chair,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seat member, 상기 보조의자의 다리부재들은, 상기 시트부재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The leg members of the auxiliary chai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at member so as to rotate rela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이동바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바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A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case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bar; And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moving bar so that the moving ba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바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으며,The moving bar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이동바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이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스토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The case, the s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locking jaw is selectively caught to limit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ba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의자의 시트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형의 회전볼; Spherical rotating bal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 member of the auxiliary chair;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제1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볼이 끼워맞춤되는 끼움부;A fitt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first frame member and fitted with the rotary ball; 상기 보조의자의 시트부재의 타측에 마련되는 삽입보스; 및Insertion bos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 member of the auxiliary chair; And 상기 제1프레임부재의 제2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보스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여서,It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frame member, the insertion boss is inserted, 상기 삽입보스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시트부재의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고,When the insertion bos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rotation of the sheet member relative to the first frame member is prevented, 상기 삽입보스와 삽입부 간의 삽입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시트부재가 상기 제1프레임부재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And the seat member is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frame member when the insertion between the insertion boss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relea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70083A 2007-07-12 2007-07-12 stroller KR100908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83A KR100908597B1 (en) 2007-07-12 2007-07-12 s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83A KR100908597B1 (en) 2007-07-12 2007-07-12 s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98A KR20090006598A (en) 2009-01-15
KR100908597B1 true KR100908597B1 (en) 2009-07-21

Family

ID=4048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083A KR100908597B1 (en) 2007-07-12 2007-07-12 s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597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117A (en) 1981-12-10 1984-11-13 Besek Jr John B Feeding bottle holder
KR19990064763A (en) * 1999-05-07 1999-08-05 김두현 Baby car-sheet convertible to baby carriage
KR19990085582A (en) * 1998-05-20 1999-12-06 양현중 Stroller for easy running on stairs and slopes
US6113128A (en) 1997-07-11 2000-09-05 Convaid Products, Inc. Mobile seating arrangement
KR20020043504A (en) * 2002-05-06 2002-06-10 임상운 A integr a ted dady carriage that is used For a dooster seat in a Car
JP2005349996A (en) * 2004-06-11 2005-12-22 Noriko Uchihata Stroller and auxiliary chair for stroller
KR20060113140A (en) * 2005-04-29 2006-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Transfer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117A (en) 1981-12-10 1984-11-13 Besek Jr John B Feeding bottle holder
US6113128A (en) 1997-07-11 2000-09-05 Convaid Products, Inc. Mobile seating arrangement
KR19990085582A (en) * 1998-05-20 1999-12-06 양현중 Stroller for easy running on stairs and slopes
KR19990064763A (en) * 1999-05-07 1999-08-05 김두현 Baby car-sheet convertible to baby carriage
KR20020043504A (en) * 2002-05-06 2002-06-10 임상운 A integr a ted dady carriage that is used For a dooster seat in a Car
JP2005349996A (en) * 2004-06-11 2005-12-22 Noriko Uchihata Stroller and auxiliary chair for stroller
KR20060113140A (en) * 2005-04-29 2006-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Transfer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98A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7612B2 (en) Carrier and stroller
US8328208B2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US8740243B2 (en) Foldable stroller frame
EP2441645B1 (en) Baby buggy
EP2164745B1 (en) Infant pushchair
JP6214943B2 (en) baby carriage
US20100314855A1 (en) Pushchair Frame
CN107128350B (en) Folding baby stroller
US9393982B2 (en) Folding chassis for push-chairs, baby carriages and the like
KR20010031072A (en) Steerable load-carrying assemblies
CA2471692A1 (en) Foldable mobility support device
KR20030025196A (en) Stroller
JP6523758B2 (en) wheelchair
KR100908597B1 (en) stroller
GB2450348A (en) Folding invalid vehicle
EP2873557B1 (en) Footrest for construction machine operating room
CN212828635U (en) Baby carriage
GB2398109A (en) Stroller brake arrangement
CA2486861A1 (en) Child's pushchair comprising steering wheel-locking means
JP3111185B1 (en) Operation lever device and light vehicle using the same
TWI754265B (en) stroller
CN214189776U (en) Folding type cart
JP6335414B2 (en) Bathing assistance wheelchair
CN213311021U (en) Old man's helping hand chair
CN201619595U (en) Pedal adjusting mechanism of baby s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