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324B1 - 분유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분유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324B1
KR100781324B1 KR1020060109738A KR20060109738A KR100781324B1 KR 100781324 B1 KR100781324 B1 KR 100781324B1 KR 1020060109738 A KR1020060109738 A KR 1020060109738A KR 20060109738 A KR20060109738 A KR 20060109738A KR 100781324 B1 KR100781324 B1 KR 10078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milk
powdered milk
mix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628A (ko
Inventor
하정규
Original Assignee
하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정규 filed Critical 하정규
Priority to KR102006010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2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with ultraviole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물의 가열에 의한 대기시간을 없앰으로서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아기수유에 필요한 까다로운 위생성을 확보하며, 더불어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성을 확보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킨 분유혼합장치가 제공된다.이를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10)에 가열장치(12)와 온도센서(14) 및 단열층(16)을 포함하여 수유온도로 가열시켜 저장시키는 급수용기(18)가 설치되고, 분유저장용기(20)에는 연속적으로 분유를 공급하는 연속분유토출구(22)가 설치되는 한편, 급수용기(18)와 연결되는 급수라인과 상기 분유저장용기(20)와 연결된 분유공급라인의 최종 토출구는 케이스본체(10) 외부에서 서로 근접된 위치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기(18)의 급수라인에는 최종 토출구에 이웃된 위치에서 급수의 살균이 수행되도록 살균램프(24)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분유의 연속적인 혼합에 의한 일정 혼합농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혼합된 우유의 토출량이 결정되도록 항시단락스위치로서 혼합스위치(26)가 상기 급수/분유토출을 위한 급수펌프(28)와 연속분유토출구로의 전원공급라인과 살균램프(24)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유, 혼합, 토출, 항시단락스위치, 살균

Description

분유혼합장치{Water/Powdered Milk Mixing Device for Nursing}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혼합장치를 나타낸 블럭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본체, 12 - 가열장치,
14 - 온도센서, 16 - 단열층,
18 - 급수용기, 20 - 분유저장용기,
22 - 연속분유토출구, 24 - 살균램프,
26 - 혼합스위치, 28 - 급수펌프,
30 - 컨트롤유니트, 32 - 농도조절모드스위치,
34 - 수유용기, 36 - 조명램프,
38 - 교반부, 40 - 온도조절스위치,
42 - 온도계, 44 - 작동확인램프,
46,48 - 관망창, 50 - 조명스위치,
본 발명은 아기가 우유를 원하는 즉시 제공할 수 있으며 부모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위생성을 대폭 높이고 단순한 구조로 만들어 생산비용이 낮아 소비자들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실용적인 분유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는 생후 일정기간의 수유기간를 갖게 되는 데 모유를 주기도 하지만 분유를 온수와 섞어서 만든 우유를 수유하는 경우가 많다. 아기 우유를 타기 위해서는 적절히 미지근한 온도의 위생적인 물을 준비하고 분유를 준비하여 스푼으로 양을 측정한 다음 젖병에 부어서 혼합한 다음 흔들어서 아기에게 먹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우유를 알맞은 온도로 데우고 섞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특히 아기가 배고파서 울 때 즉시 우유를 만들어 주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많은 발명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아직까지도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데, 그것은 이러한 장치가 갖추어야 될 아래 나열한 핵심적인 조건들이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첫째는 즉시성으로 아기가 우유를 원할 때 즉시 우유를 만들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인데, 예를 들어 출원 제10-2000-0010906호의 경우를 보면 물과 혼합 후 데우는 방식인데 이 경우 데우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즉시성이 충족되지 못하고 있 다.
둘째는 위생성으로 기존의 장치는 미생물, 바이러스에 취약한 유아를 상대로 하며, 아기에게 적합한 우유를 만들기 위한 물은 36℃ ~ 40℃ 정도의 미지근한 온도인 데, 동 온도는 미생물의 번식에 취약하여 오래 둘 경우 비위생적이며, 고도의 영양물인 분유와 물이 혼합된 우유는 미생물의 번식에 취약하므로 위생성을 보장하는 것이 쉽지 않다.
셋째는 경제성으로 수유에 필요한 장치를 만들기 위해 지나치게 구조가 복잡해지면 생산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자가 구매부담이 가중되므로 가능한한 단순한 구조로서 생산성이 확보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 의거 종래 공지된 수유 또는 수유에 관련될 수 있는 장치들의 문제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출원 제20-1989-0017303, 10-1992-0024291, 10-1996-0045059, 10-2001-0024734호의 경우에는 수유액을 원하는 즉시 만들기 위해 미지근한 물을 보온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따른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번식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다.
또한 출원 제10-1994-0016941, 10-1995-0034633호는 경우는 위생성을 높이기 위해 물을 일단 장치 내에서 끓인 후 각각 찬물과의 간접마찰을 위한 라디에이터의 사용과 냉각팬을 이용하여 강제 냉각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 방식 역시 냉각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열 후 다시 냉각하는 방식이므로 에너지 낭비요인이 심하며, 장치가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끓인 물이라도 냉각되어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시 미생물 번식의 가능성이 있어 여전히 위생 적이지 않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더운물과 찬물을 혼합하는 방식인 특허출원 제10-2000-0019114호의 경우를 보면, 역시 장치가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상승하며, 찬물 즉 상온의 물의 경우도 역시 미생물 번식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위생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 제20-2005-0001970, 20-2001-0038912호의 경우는 별도의 정수장치를 부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역시 구조가 복잡해서 생산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으며 정수된 후의 물을 데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미생물 번식의 문제를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다.
한편, 아기수유와 관련된 온수가열 및 보온장치인 출원 제20-1998-0025277, 20-2000-0022458호의 경우에 자외선 살균램프를 설치한 경우를 살펴보면, 물 외부에서 자외선램프를 비추어서 살균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데 이 경우 자외선의 대부분이 물 표면에 반사되어 투과율이 적으므로 실제 살균효과는 미미하다.
또한 물 내부에 자외선램프를 설치하여 살균을 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이 경우 보온하고자 하는 미지근한 물이 자외선 램프의 열에 의해 데워져서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온수가열 및 보온장치인 미국특허 제6,766,106호의 경우를 보면, 아기 우유를 만들기 위한 물 디스펜서의 형태로 이러한 보온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데 위생문제 해결을 위해서 UV살균램프를 물통내부와 토출관에 부착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물을 거르기 위한 다양한 필터까지 갖추고 있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아기 우유용 정수장치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오늘날 상당수의 가정에서 정수장치를 갖추고 있거나 시중에서 판매하는 생수를 음용수로 사용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복잡한 장치에 비해서 실용성이 떨어진다.
위생성에 있어 또 다른 문제는 분유와 물의 혼합 부분이다. 상기 발명들의 대부분은 분유와 물이 혼합되는 혼합통을 만들거나 분유와 물이 타고 내려오면서 혼합되는 미끄럼관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뜨거운 커피나 차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의 구조를 그대로 채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미지근한 우유를 처리하는 분유혼합기의 경우 훨씬 더 위생적이어야 하므로, 우유가 묻은 혼합통이나 미끄럼관을 매번 수유 후에 세척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것은 부모들에게 대단히 불편하여 실용적이지 못하다.
다음으로, 생산비용 절감 부분에 관련하여 중요한 부분은 우유량 변화에 따른 물과 분유의 혼합비율(농도) 조절 문제이다. 자판기의 경우 컵에 붓는 커피의 양이 정해진 상태에서 일정량의 분말과 물을 부으면 되므로 농도조절이 비교적 단순하지만, 아기의 상태, 배고픔 정도, 월령 등에 따라 그때 그때 수유량이 달라져야 하는 우유의 경우는 우유량이 달라져도 농도는 일정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토출되는 분유와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해야 한다. 분유 토출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은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에서 사용하는 스크류식의 토출방식을 사용하면 간단하지만, 토출되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하는 것은 젖병으로떨어지는 물의 수압을 어떻게 조절하느냐 하는 문제로, 출원 제20-1989-0017303호와 같이 높은 물통에서 떨어지는 자연 수압을 이용하는 경우 물통에 보관된 물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시간당 물 토출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 제10-1996-0045059, 20-2005-0001970호는 각각 물통에 균형추를 달아서 물통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과 압력보정용 펌프를 다는 방식으로 수압을 보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비실용적이다.
다음은 혼합되는 우유량이 증감되더라도 농도를 유지하는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 제20-1989-0017303호의 경우는 분유와 물의 양을 수작업과 유사한 기계적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어 편의성이 떨어지며, 출원 제10-1992-0024291, 10-1994-0016941, 10-1996-0045059, 10-2001-0054687, 10-2003-0022053호의 예를 보면 젖병에 떨어뜨릴 분유량와 물량의 조절을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이용해 전자식으로 계산한 후 이에 따라 분유통과 물통 밸브의 열림을 조절하여 처리하고 있는 데 이는 생산비용이 높아져서 실용성이 떨어진다.
경제성에 있어 두 번째로 중요한 부분은 교반장치이다. 상기의 대부분의 장치들이 분유와 물을 섞기 위해 교반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데 이는 젖병을 쥐고 흔 들기 위해 추가적인 모터를 포함한 여러 장치들이 필요하므로, 필요성 대비 투입장치가 과도하게 되어 생산비용이 상승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즉시성과 위생성 및 생산성을 겸비한 실용적인 분유혼합 보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물의 가열에 의한 대기시간을 없앰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아기 수유에 필요한 까다로운 위생성을 확보하며, 더불어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성을 확보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킨 분유혼합장치를 제공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 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며,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설명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유혼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개념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유혼합장치를 나타낸 블럭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본체 내에 급수용기와 분유저장용기를 갖추고 별도의 가열장치를 갖추어 우유를 혼합하는 분유혼합장치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0)에 가열장치(12)와 온도센서(14) 및 단열층(16)을 포함하여 수유온도로 가열시켜 저장시키는 급수용기(18)가 설치되고, 분유저장용기(20)에는 연속적으로 분유를 공급하는 연속분유토출구(22)가 설치되는 한편, 급수용기(18)와 연결되는 급수라인과 상기 분유저장용기(20)와 연결된 분유공급라인의 최종 토출구는 케이스본체(10) 외부에서 서로 근접된 위치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기(18)의 급수라인에는 최종 토출구에 이웃된 위치에서 급수의 살균이 수행되도록 살균램프(24)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분유의 연속적인 혼합에 의한 일정 혼합농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혼합된 우유의 토출량이 결정되도록 항시단락스위치로서 혼합스위치(26)가 상기 급수/분유토출을 위한 급수펌프(28)와 연속분유토출구로의 전원공급라인과 살균램프(24)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혼합장치이다.
여기서, 연속분유토출구(22)는 토출되는 급수량 대비 분유투입량에 의해 분 유혼합비인 우유농도가 조절되도록 컨트롤유니트(30)를 통해 연속분유토출구(22)의 구동모우터 회전수 선택에 따른 우유혼합비를 선택하는 농도조절모드스위치(3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케이스본체(10)에는 급수/분유 토출부위와 수유용기(34)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야간에서의 수유용기(34)로의 우유충진을 식별하기 위한 조명램프(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급수라인과 분유공급라인 토출구의 근접된 이격 배치는 상기 연속된 투입시간구간에서 연속적으로 투하된 분유의 투하경로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경로가 중첩되게 하여 공급된 물과 분유가 케이스본체(10) 외부에서의 혼합됨과 동시에 낙하에 의해 교반이 수행되는 교반부(38)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유에 필요한 주변물품을 더욱 집약적으로 조합하여 그 부피와 무게가 절감되어지되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성이 확보된 우유혼합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가열장치(12)와 단열층(16)이 포함된 급수용기(18)를 통하여 급수온도를 수유온도로 가열 저장시켜 수유의 즉시성을 확보하고, 수유용기로 토출되는 물의 급수라인에 살균램프를 설치하여 살균급수를 수행하여 위생성을 확보하며, 사용자가 혼합스위치(26)를 조작하는 동안만 우유가 혼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임의로 우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시간당 물토출량과 분유토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우유의 양이 달라져도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우유혼합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먼저, 하나의 케이스본체(10)내에 급수용기(18)와 분유저장용기(20)를 포함한다.
급수용기(18)는 마치 전기포트와 같은 케이스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급수펌프(28)에 의해 일정량이 토출되도록 설치된다.
급수용기(18)는 단열용기로 마련되고 가열장치(12,전열수단)가 포함되어 수유온도로 가열대기되어 저장된다.
이로부터 급수용기(18)에는 항시 수유온도로 가열된 급수가 대기되므로, 우유의 혼합에 있어서, 가열 대기시간이 단축된다.
수유온도는 전술된 바와 같이 36℃ ~ 40℃ 정도이며, 이를 위해 온도센서(14)가 급수용기(18)에 설치됨은 당연하다.
상기 온도센서(14)는 컨트롤유니트(30)를 매개하여 가열장치(12)와 연동되며, 상기 수유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구동(전원단속)을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수유온도의 유지 외에도 음료수로서의 물이나 차 등을 음용하기 위한 전기보온포트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므로, 온도조절스위치(40)를 두어 급수용기의 온도조절이 사용자의 임의에 의하도록 배려시킴도 바람직하며, 이때 가열된 물만을 토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급수스위치(41)가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급수스위치(41)는 급수펌프(28)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며, 급수펌프로의 전원공급라인은 상기 항시단락스위치인 혼합스위치(26)와는 병렬연결된다.
한편, 온도조절스위치(40)는 가변저항스위치로서 컨트롤유니트(30)의 개념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온도센서(14)가 연결됨에 따라, 케이스본체(10) 외부로는 급수용기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이 설치되어 온도계(42)가 장착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수유는 그 주기가 짧음을 감안할 때, 급수용기(18)가 오염될 우려가 크지는 않지만, 수유온도 자체가 물 내부에서의 세균번식의 왕성한 온도환경을 제공하므로, 최종 토출부위에서는 토출되는 온수에 대한 살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급수용기(18)에 저장된 물이 수유온도로 대기되어 보온저장됨에 따라 급수라인의 토출구에는 이에 가장 근접되게 이웃된 위치로 살균램프(24)가 매개된다.
살균램프(24)에는 급수라인이 경로되며, 바람직하기로는 급수라인에 살균램프를 내장될 공간을 마련시키고, 이 공간에서 살균램프의 자외선발광부에 접촉하여 급수가 나선상으로 경로되도록 함이 적당하다.
이것은 살균램프(24)에서 자외선 노출시간을 확장시켜 살균을 충분히 수행시키기 위함이며, 이러한 살균램프는 자외선의 노출이 야기되므로, 케이스본체(10) 내부로 은폐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살균램프(24)의 은폐에 따른 살균램프의 작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작동확인램프(44)가 설치됨도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확인램프(44)는 다이어그노시스 단자를 포함하며, 컨트롤유니트(30)에 의해 살균램프의 고장이나 교환유무를 감시하는 기능이 포함된 것이고, 이 역시 일반적인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급수용기가 설치되는 케이스본체(10) 외부로는 관망창(46)이 설치되어 급수용기로의 물 충진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배려되어 있으며, 관망창(46)에 저장량의 표시하는 계량눈금이 형성됨도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본체(10)의 노즐인 각 토출구에는 이에 근접하게 이웃되어 조명램프(36)가 배치되며, 이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조명스위치(50)가 형성된다.
조명장치는 특히 야간 수유시 실내 조명을 별도로 켜지 않고서도 수유용기(34) 등을 식별 가능케 하고, 수유용기로의 우유 충진 정도를 확인케 하며, 아울러 야간시 수유자가 아기에게 수유하는 전 과정을 비춰줌으로써 수유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케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분유저장용기(20)는 분유분말의 투하를 용이케 하는 호퍼형 몸체를 가지며, 케이스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용기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관망창(48)이 설치된다.
분유저장용기(20)의 하부에는 지속적이며 연속적으로 분유를 공급라인으로 투하시키는 연속분유토출구(22)가 설치되며, 연속분유토출구(22)는 예를 들어 스크류 이송장치가 사용되어 지속적인 분유토출이 가능하고, 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단위시간 당 분유토출량이 제어된다.
이러한 분유토출량의 제어에 의해, 급수공급량이 고정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필요시 아기의 건강상태 등에 따른 우유 혼합비 조절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농도조절모드스위치(32)를 통해 우유의 혼합비 조절이 수행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농도조절모드스위치(32)가 케이스본체(10)에 노출되게 설치됨은 당연하고, 어느 하나의 단계가 조절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회전수에 따라 분유투입량이 조절된다.
이러한 공급을 통해 분유는 서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우유를 조성할 수 있다.
즉, 항시단락스위치인 혼합스위치(26)를 통해 이것이 눌려져 있는 동안만 급수와 분유가 공급되며, 이러한 동일 시간대 공급되는 급수와 분유가 농도조절모드스위치(32)에 의해 결정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그 농도가 유지되는 상태로 사용자는 100ml 이건 200ml 이건 원하는 량의 우유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항시단락스위치는 급수라인과 분유공급라인의 구동부를 조작하도록 그 전원라인에 설치되며, 이는 급수라인에 관계된 급수펌프(28)와 급수의 살균 토출을 위한 살균램프(24) 및 분유토출을 위한 연속분유토출구(22)의 전원라인이다.
한편, 이러한 지속시간영역에서 대기되어 토출된 온수가 토출된 분유와 케이스본체(10) 외부에서 접촉되면서 1차 혼합이 수행되며, 본 발명의 교반부(38)에 포함되는 부분이다.
상기 1차 혼합은 수유용기(34)의 상방에서 이루어지며, 서로 근접되지만 이격되게 배치되며, 분유의 투하경로와 급수의 투하경로가 서로 중첩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치는 특히 급수라인과 분유공급라인이 구별된 것으로, 이것은 전술된 바와 같이 분유공급라인과 급수라인이 어느 지점에서 교차되어 공용될 경우, 이 부위에서의 오염과 세균번식이 수행되며, 특히 케이스본체(10)에 이러한 배치가 내장될 경우 그 세척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이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함도 포함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유용기(34)로 낙하충진되면서 물리적인 교반이 수행되며, 이것은 낙하충격에 따른 에너지와 연속적으로 충진되는 우유의 흔들림에 의한 물리적인 결과로서, 2차 혼합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급수라인과 분유공급라인의 합리적인 배치와 연속적인 공급 및 그 낙하에너지에 의한 다중의 교반에 의해 종래 모우터 등의 교반장치가 없더라도 충분한 교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반장치의 삭제는 특히 우유혼합장치에 있어서 전체 무게와 부피를 최소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필요성 대비 충분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물로서 생산성 확보에 용이한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은 분유저장용기로부터 분유분말을 연속적으로 수유용기의 상방 개구부로 토출하는 분유토출단계와, 급수용기에서 수유온도로 가열되어 대기저장된 온수를 상기 분유토출단계의 시간구간을 포함하는 시간구간으로 우유혼합량에 따라 연속적으로 공급하되, 급수라인의 최종 토출부위에서 살균램프에 의해 상기 수유온도로 대기가열된온수의 살균후 토출을 수행하는 온수공급단계와, 이로부터 분유가 혼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분유토출과 온수공급에 의해 혼합된 우유량이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조성되도록, 급수펌프(28)와 연속분유토출구(22)의 가동을 명령하는 항시단락스위치를 통해 연속된 조작지시에 의해 제어되며, 이때 동일 토출 시간대에서 분유와 물의 혼합비율에 맞추어 온수공급과 분유토출을 연속시키는 온수/분유혼합단계가 더 포함된 것이다.
여기서, 온수/분유혼합단계에는 분유공급라인에서 토출된 분유의 토출구역이 급수라인에서 토출된 급수의 구역내에 위치되도록 분유공급라인의 토출구와 급수라인의 토출구를 이웃시키고, 상기 연속된 시간 구역내에서 수유용기의 상방 개구부에서 온수와 분유가 연속적으로 혼합되는 1차 혼합단계 및 이에 의해 혼합되는 상태로 수유용기로 낙하 충진되면서 그 충격에 의해 혼합되는 2차 혼합단계로 이루어 진 교반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급수용기(18)와 분유저장용기(20)에 물과 분유가 저장된 상태에서 우유를 혼합시키기 위해 항시단락스위치로서 혼합스위치(26)를 조작하게 된다.
이때, 급수용기(18)에 저장된 물은 가열장치(12) 및 단열층(16)에 의해 급수온도가 수유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수유시기에 따른 혼합농도는 농도조절모드스위치(32)에 의해 결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혼합스위치(26)를 조작하게 되면, 사용자가 이를 누르는 동안 급수펌프(28), 살균램프(24), 연속분유토출구(22)가 작동되어 그 지속시간동안 분유/물이 혼합되면서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이 지속되는 동안 교반부(38)를 매개하여 수유용기(34)에 충진되며, 이에 의해 충분히 혼합되어 수용된 상태로 수유용기(34)에 우유가 충진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항상 일정한 온도의 물을 유지하여 아기가 우유를 원하는 즉시 제공할 수 있는 즉시성과,
둘째, 물을 살균하는 순간살균방식의 자외선램프를 갖추고 세척이 필요한 별 도의 우유 혼합부분이 없어 우유를 위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위생성과,
셋째, 아기 수유에 필요한 우유량, 온도, 농도를 조절하고 교반을 수행하는 기능을 보유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를 갖추어 생산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하나의 케이스 내에 급수용기와 분유저장용기를 갖추고 별도의 가열장치를 갖추어 우유를 혼합제조하는 분유혼합장치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0)에 가열장치(12)와 온도센서(14) 및 단열층(16)을 포함하여 수유온도로 가열시켜 저장시키는 급수용기(18)가 설치되고, 분유저장용기(20)에는 연속적으로 분유를 공급하는 연속분유토출구(22)가 설치되는 한편, 급수용기(18)와 연결되는 급수라인과 상기 분유저장용기(20)와 연결된 분유공급라인의 최종 토출구는 케이스본체(10) 외부에서 서로 근접된 위치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기(18)의 급수라인에는 최종 토출구에 이웃된 위치에서 급수의 살균이 수행되도록 살균램프(24)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분유의 연속적인 혼합에 의한 일정 혼합농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혼합된 우유의 토출량이 결정되도록 혼합스위치(26)가 상기 급수/분유토출을 위한 급수펌프(28)와 연속분유토출구(22)로의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분유토출구(22)는 토출되는 급수량 대비 분유투입량에 의해 분유혼합비인 우유농도가 조절되도록 컨트롤유니트(30)를 통해 연속분유토출구(22)의 구동모우터 회전수 선택에 따른 우유혼합비를 선택하는 농도조절모드스위치(3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혼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0)에는 급수/분유 토출부위와 수유용기(34)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조명램프(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혼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과 분유공급라인 토출구의 근접된 이격 배치는 상기 연속된 투입시간구간에서 연속적으로 투하된 분유의 투하경로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경로가 중첩되게 하여 공급된 물과 분유가 케이스본체(10) 외부에서의 혼합됨과 동시에 낙하에 의해 교반이 수행되는 교반부(38)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혼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스위치(26)는 사용자의 임의에 의해 토출량이 결정되도록 사용자의 조작을 조건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항시단락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유혼합장치.
KR1020060109738A 2006-11-08 2006-11-08 분유혼합장치 KR10078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38A KR100781324B1 (ko) 2006-11-08 2006-11-08 분유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38A KR100781324B1 (ko) 2006-11-08 2006-11-08 분유혼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352U Division KR200401459Y1 (ko) 2005-08-12 2005-08-12 분유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28A KR20070019628A (ko) 2007-02-15
KR100781324B1 true KR100781324B1 (ko) 2007-12-03

Family

ID=4163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738A KR100781324B1 (ko) 2006-11-08 2006-11-08 분유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21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다운 가축용 분유 자동혼합기
KR20210075652A (ko) * 2019-12-13 2021-06-23 송준수 살균과 교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분유혼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028B1 (ko) * 2007-11-19 2010-07-22 주식회사 이담테크 분유 공급 장치
CN104856565B (zh) * 2015-04-28 2018-02-27 广东顺德东方麦田工业设计有限公司 即热式饮水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157983B1 (ko) 2020-03-11 2020-09-18 송준수 분유 혼합 시스템
CN111387845A (zh) * 2020-05-10 2020-07-10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提供消毒功能的搅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777B2 (en) 1992-11-25 2002-06-25 Danny J. Roberson Method for preparing infant formula from powder with dispensing and filtering means
KR20020085304A (ko) * 2001-05-07 2002-11-16 한규생 자동 급유장치
KR20050075924A (ko) * 2004-01-19 2005-07-26 이동윤 분유 자동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1777B2 (en) 1992-11-25 2002-06-25 Danny J. Roberson Method for preparing infant formula from powder with dispensing and filtering means
KR20020085304A (ko) * 2001-05-07 2002-11-16 한규생 자동 급유장치
KR20050075924A (ko) * 2004-01-19 2005-07-26 이동윤 분유 자동 혼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21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다운 가축용 분유 자동혼합기
KR20210075652A (ko) * 2019-12-13 2021-06-23 송준수 살균과 교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분유혼합장치
KR102307659B1 (ko) * 2019-12-13 2021-10-01 송준수 살균과 교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분유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28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459Y1 (ko) 분유혼합장치
US20090139978A1 (en) Water/powdered milk mixing device for nursing
US7316249B2 (en) Infant formula preparation apparatus
AU7499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infant formula from powder
KR100781324B1 (ko) 분유혼합장치
CN101637356B (zh) 一种自动冲奶装置
CN102273917B (zh) 用热水及蒸汽联合蒸煮食物的器具和方法
US20080041236A1 (en) Device for Preparing Food for Young Children
JP2019511341A (ja) ベビーフード調製装置
CN101797120A (zh) 全自动多功能饮品机
WO2015142273A1 (en) Autom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in a nutritious drink of powder and water
WO2016059443A1 (en) Drink dispenser for protein drinks
CN205322098U (zh) 饮水机
GB2610883A (en) Food preparation device
CN210446709U (zh) 一种水加热装置
RU109965U1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олочной смеси для детского питания
CN111166169A (zh) 一种翻盖式封闭消毒型饮水机
KR200270107Y1 (ko) 정수와 온수공급 기능을 가지는 분유 믹서
SE1551632A1 (sv) Automatiserad tillagningsmaskin och förfarande för att däribereda en näringsrik dryck av pulver och vatten
KR19990011844U (ko) 유아용 분유 물 데움기
KR20030049709A (ko) 정수와 온수공급 기능을 가지는 분유 믹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