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110B1 -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 Google Patents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110B1
KR100781110B1 KR1020050047128A KR20050047128A KR100781110B1 KR 100781110 B1 KR100781110 B1 KR 100781110B1 KR 1020050047128 A KR1020050047128 A KR 1020050047128A KR 20050047128 A KR20050047128 A KR 20050047128A KR 100781110 B1 KR100781110 B1 KR 10078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yer
steam
water vapor
was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212A (ko
Inventor
방정자
Original Assignee
방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정자 filed Critical 방정자
Priority to KR102005004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11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면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로 배출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에 전혀 잔존하지 않아 부패로 인한 악취 및 비위생적인 문제가 없도록 하는 발명으로서,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수증기 배출관과; 상기 수증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수증기 응축부와; 상기 수증기 응축부를 순환하는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 냉각부와; 상기 수증기 응축부와 냉매 냉각부 사이에 연통하여 구비된 냉매 순환관과; 상기 수증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구와; 상기 응축수 배출구의 중도부에 연통되며,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서 응축되지 않은 상태의 수증기를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으로 리턴시키는 수증기 리턴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수용함에 수용하여 건조기에 삽입 및 인출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에 잔존하여 건조기에서 부패하는 등의 염려가 없어 매우 위생적이며, 2중의 함으로 이루어지고 음식물 쓰레기를 2단으로 분리하여 건조함에 따라 건조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응축부, 냉매, 수용함

Description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을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이 결합되어 건조가 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건조기 110 : 거치대
111 : 결합홈 120 : 가이드홈
121 : 걸림홈 130 : 작동홈
140 : 수증기 배출관 150 : 수증기 리턴관
160 : 외부공기 유입관 170 : 가열부
180 : 응축수 배출구 200 :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
210 : 내측 함 211 : 날개부
212 : 수증기 배출공 213 : 수증기 리턴공
214 : 수분 배출구 215 : 걸림턱
220 : 외측 함 221 : 손잡이
222 : 돌출부 230 : 수증기 순환부
240 : 걸름판 300 : 덮개부
310 : 뚜껑 320 : 가이드대
330 : 회동구 340 : 뚜껑 작동구
400 : 수증기 응축부 500 : 냉매 냉각부
600 : 냉매 순환관
본 발명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면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로 배출함에 따라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에 전혀 잔존하지 않아 부패로 인한 악취 및 비위생적인 문제가 없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관한 발명이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약 550만톤 이상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약 4천억원 이상의 비용이 드는 바,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은 음식물 쓰레기를 발생시킨 국민에게 부담이 돌아가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나 비료로 사용하였으나, 우리나라의 음식 문화 자체가 발효식품과 염분이 다량 함유된 관계로 농가로부터 외면을 받아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매립지에 매립을 하기도 하였으나, 이를 위한 매립시설 부지 확보 및 매립으로 인한 침출수와 악취 등의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너무 과다하며, 소각하 는 경우에는 수분 함유량이 많아 불완전 연소가 됨으로 인해 각종 유해물질이 배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위하여 제공되고 있는 종래 건조기는 단순히 음식물 쓰레기에 단순히 온풍을 가하여 건조를 건조를 시킴에 따라 건조효율이 양호하지 못하며,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는 악취가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수구 등에 완전 밀폐시켜 배출을 하고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기에 삽입하여 건조한 후 다시 인출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고, 건조기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잔재가 남아 건조기 내부에서 부패하므로 인해 악취를 발생시키는 등 비위생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발명으로서,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로 배출시킴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에 잔존하여 부패하는 등의 염려가 없도록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을 별도로 구비한 건조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수증기 배출관과; 상기 수증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수증기 응축부와; 상기 수증기 응축부를 순환하는 냉매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 냉각부와; 상기 수증기 응축부와 냉매 냉각부 사이에 연통하여 구비된 냉매 순환관과; 상기 수증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구와; 상기 응축수 배출구의 중도부에 연통되며,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서 응축되지 않은 상태의 수증기를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으로 리턴시키는 수증기 리턴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구 전 중도부에는 U형관을 형성하여, 수증기 응축부에서 배출된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구로 배출되기 전 고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증기 배출관의 중도부에는 수증기 배출팬을 구비하여 배출효율을 높이고, 상기 수증기 리턴관의 중도부에는 히터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으로 리턴하는 수증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건조기에는 거치대를 형성하며, 상기 거치대에 삽입 결합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거치대에 결합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쓰레기를 상기 건조기의 가열부에 의해 건조시킨 후,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을 건조기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내주면 중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크기로 소정 크기의 통공이 다수 형성된 얇은 걸름판이 구비되며, 하부 측벽과 바닥면는 수분 배출구가 형성된 내측 함과; 상기 내측 함보다 다소 크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 함을 수용하되, 상기 내측 함과의 사이에 수증기 순환부가 마련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외측 함;의 2중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상면과 접하는 건조기에는 승하강 작동하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외측 함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뚜껑과; 상기 뚜껑의 중도부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건조기에서 상기 뚜껑측으로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홈의 중도부에 가이드홈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려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대를 감싸며 나사결합되는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건조기의 가이드홈에서 건조기의 전면측까지 관통 형성된 작동홈을 관통하여 건조기의 전면측까지 길게 구비되는 뚜껑 작동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을 분리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이 결합되어 건조가 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100)는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와 같이 가열부(170)의 가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특히,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수증기 배출관(140)과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수증기 응축부(400), 그리고, 냉매 냉각부(500) 및 냉매 순환관(600), 수증기의 일부를 건조기(100)로 리턴시키는 수증기 리턴관(15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건조기(100)에 거치대(110)를 구비하고, 음식물 쓰레기(10)를 별 도로 담아 상기 거치대(110)에 삽입 결합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을 별도로 구비하며, 건조기(100)에 결합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부(300)로 이루어진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10)를 담을 수 있는 내측 함(210)과, 상기 내측 함(210)보다 다소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외측 함(220)의 2중함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함(210)은 상면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외측 함(220)에 걸쳐지도록 날개부(211)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211)의 일측에는 상기 외측 함(220)과 내측 함(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증기 순환부(230)와 연통되는 수증기 배출공(212)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수증기 리턴공(21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측 함(210)의 하부 벽면과 바닥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수분 배출구(214)를 관통 형성하며, 중도부에는 걸림턱(215)을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15)에 걸리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통공(241)이 형성된 얇은 걸름판(240)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10) 중 크기가 작은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걸름판(240)의 통공(241)을 통과하여 내측 함(210)의 바닥에 쌓이고, 크기가 큰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걸름판(24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분리한다.
상기 외측 함(220)은 상기 내측 함(210)을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외주면 일측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221)가 구비되며, 바닥면에는 상기 내측 함(210)으로부터 배출된 수분이 고이도록 함과 동시에, 건조기(100)의 거치대(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돌출부(222)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덮개부(300)는 상기 건조기(100)의 거치대(110) 상면에 결합되는 바, 크게 뚜껑(310)과 가이드대(320), 그리고 회동구(330) 및 뚜껑 작동구(340)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310)은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외측 함(220)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외측 가장자리에는 고무재의 오링(311)이 구비된다. 또한, 건조기(100)에 형성된 가이드홈(120)에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가이드대(320)가 삽입되어 상기 뚜껑(31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20)의 중도부에는 가이드홈(120)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연통되는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121)에는 회동구(330)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대(320)를 감싸며 나사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건조기(100)에는 상기 가이드홈(120)에서 건조기(100)의 전면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작동홈(130)이 형성되며, 이 작동홈(130)에는 뚜껑 작동구(340)가 건조기(100)의 전측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회동구(33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310)의 일측에는 수증기 배출관(140)을 관통 형성하는 바, 이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10)가 가열부(170)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으로서,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증기 배출관(140)은 내측 함(210)의 날개부(211)와 외측 함(220) 사이에 형성된 수증기 배출공(212)을 통해 외측 함(220)의 수증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내측 함(210)의 상면으로 배출되는 수증기가 합쳐져서 배출되며, 배출되는 수증기는 수증기 배출관(140)의 중도부에 구비된 배출팬(141)에 의해 강제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수증기 배출관(140)의 끝단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응축부(400)를 구비하고, 아울러, 상기 수증기 응축부(40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냉매 냉각부(500)를 구비하며, 상기 수증기 응축부(400)와 냉매 냉각부(500) 사이에는 냉매 순환관(600)이 서로 연통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310)의 타측에는 상기 수증기 응축부(400)의 끝단과 연통되는 수증기 리턴관(150)을 관통 형성하는 바, 이는 배출되는 고온의 수증기 일부를 다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으로 리턴시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공기를 보충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배출팬(141)의 이전 수증기 배출관(140)에는 건조기(100)의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공기 유입관(160)을 구비하여 외부공기와 함께 리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증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되어 배출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 배출구(180)를 상기 수증기 응축부(400)의 끝단에 연통하되, 상기 응축수 배출구(180) 전 중도부에는 응축수가 고이도록 하기 위해 하측으로 다소 꺽어진 형태의 U형관(181)을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수증기 리턴관(150)은 U형관(181)과 수증기 응축부(400)사이 중도부에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리턴되는 수증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내부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증기 리턴관(150)의 중도부에는 히터(151)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수증기 리턴관(150)은 내측 함(210)의 날개부(211)에 형성된 수증기 리턴공(215)과 내측 함(210)의 상면을 통해 외측 함(220)과 내측 함(210)으로 수증기를 리턴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조기(100)를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10)를 건조하기 위해 먼저, 상기 건조기(100)와 분리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내측 함(210)에 걸름판(240)을 삽입하게 되면, 내측 함(210)의 중도부에 형성된 걸림턱(215)에 걸려 위치하게 되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10)는 상기 걸름판(240)에 걸리게 된다. 이때, 투입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10)는 1차로 걸름판(240)에 걸리면서 크기 가 작은 것은 걸름판(240)의 통공(241)을 통과하여 내측 함(210)의 바닥에 쌓이고 큰 크기의 음식물 쓰레기(10)는 분리되어 상기 걸름판(240) 위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30)가 투입된 상태의 내측 함(210)을 외측 함(220)에 삽입한 후, 상기 외측 함(220)의 손잡이(221)를 잡고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을 건조기(100)의 거치대(110)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222)가 거치대(110)의 결합홈(111)에 결합되어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위치하며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이 결합되면, 건조기(100)의 전면에 구비된 뚜껑 작동구(340)를 작동홈(130)의 일측으로(도면상에서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일체로 결합된 회동구(330)가 회전하게 되고, 나사 결합된 가이드대(320)가 상기 회동구(330)의 회동에 의해 하강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대(320)의 하강에 의해 뚜껑(310)이 동시에 하강하면서 내측 함(220)의 날개부(211)에 밀착 접하고, 상기 뚜껑(310)에 구비된 수증기 배출관(140)과 수증기 리턴관(150)이 날개부(211)의 수증기 배출공(212)과 수증기 리턴공(213)에 밀착 접한다. 이때, 상기 수증기 배출관(140)과 수증기 리턴관(150)의 주위를 감싸면서 뚜껑(310)에 결합되어 있는 오링(312)에 의해 밀폐되면서 접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기(100)의 가열부(170)에 전원을 인가하면,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이 가열되면서 음식물 쓰레기(10)가 건조되기 시작하는 바, 내측 함(21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10)에서 내측 함(210)의 바닥과 벽면에 형성된 수분 배출구(214)를 통해 외측 함(220)의 저면 돌출부(222)로 배출된 수분은 물론, 내측 함(210)의 바닥과 중도부의 걸름판(240)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10)가 동시에 건조되기 시작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10)는 걸름판(240)에는 크기가 큰 음식물 쓰레기, 내측 함(210)의 바닥에은 크기가 작은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되어 건조됨에 따라 건조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이렇게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10)에서는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수증기는 내측 함(210)과 수증기 순환부(230)에서 수증기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는 수증기는 배출팬(141)에 의해 강제적으로 수증기 응축부(400)로 유입된다. 그러면, 냉매 순환관(600)에 순환되는 냉매에 의해 수증기가 급속히 냉각되면서 응축수가 된다. 그리고, 유입되는 고온의 수증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냉매는 냉매 순환관(600)을 순환하여 냉매 냉각부(500)로 유입되어 다시 저온으로 냉각되어 수증기 응축부(400)로 순환된다.
아울러, 상기 수증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구(180)를 통해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나, 일단 U형관(181)에 고인 후, 응축수 배출 구(180)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수증기 응축부(400)에서 응축되지 않은 수증기는 상기 U형관(181)의 응축수로 인해 응축수 배출구(180)로 배출되지 못하고 수증기 리턴관(150)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으로 리턴됨에 따라, 악취를 포함한 수증기가 건조기(100)의 외부로 배출이 되지 않으며,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아 위생적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응축되지 않은 수증기는 다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으로 리턴되어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 내부의 공기양을 보충하여 주며, 이때,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와 함께 건조기(100)의 외부에서 외부공기 유입관(15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동시에 리턴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만큼 공기를 보충해 주게 된다.
또한, 리턴되는 공기와 수증기를 히터(151)에 의해 가열시켜 리턴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항상 고온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므로 건조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반복되는 공정에 의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10)의 건조가 마무리되면, 다시 상기 뚜껑 작동구(340)를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뚜껑 작동구(340)의 작동에 의해 회동구(330)가 반대로 회전하면서 가이드대(320)는 상승을 하게 되고, 상승하는 가이드대(320)에 의해 일체로 뚜껑(310)이 상승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과 분리된다.
그러면, 상기 건조기(100)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손잡이(221)를 잡고 거치대(110)에서 인출시키면 분리가 되며,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내측 함(210)을 인출시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10)를 별도로 처리한다.
그러면, 상기 건조기(100)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손잡이(221)를 잡고 거치대(110)에서 인출시키면 분리가 되며,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200)의 내측 함(210)을 인출시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10)를 별도로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한 수증기는 전혀 배출하지 않고, 응축이 된 상태의 응축수로 배출시킴에 따라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수용함에 수용하여 건조기에 삽입 및 인출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기에 잔존하여 건조기에서 부패하는 등의 염려가 없어 매우 위생적이며, 2중의 함으로 이루어지고 음식물 쓰레기를 2단으로 분리하여 건조함에 따라 건조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이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용함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거치대가 구비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내주면 중도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크기로 소정 크기의 통공이 다수 형성된 얇은 걸름판이 구비되며, 하부 측벽과 바닥면는 수분 배출구가 형성된 내측 함과;
    상기 내측 함보다 다소 크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 함을 수용하되, 상기 내측 함과의 사이에 수증기 순환부가 마련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외측 함;의 2중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상면과 접하는 건조기에는 승하강 작동하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는 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의 외측 함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뚜껑과;
    상기 뚜껑의 중도부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건조기에서 상기 뚜껑측으로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홈의 중도부에 가이드홈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려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대를 감싸며 나사결합되는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건조기의 가이드홈에서 건조기의 전면측까지 관통 형성된 작동홈을 관통하여 건조기의 전면측까지 길게 구비되는 뚜껑 작동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이 별도로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20050047128A 2005-06-02 2005-06-02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78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28A KR100781110B1 (ko) 2005-06-02 2005-06-02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28A KR100781110B1 (ko) 2005-06-02 2005-06-02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212A KR20060125212A (ko) 2006-12-06
KR100781110B1 true KR100781110B1 (ko) 2007-11-30

Family

ID=3772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128A KR100781110B1 (ko) 2005-06-02 2005-06-02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76B1 (ko) * 2013-03-29 2014-11-04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KR101579216B1 (ko) * 2014-04-03 2015-12-21 주식회사 스핀즈이노베이션 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094A (ko) * 1997-04-04 1997-07-22 박용남 음식물쓰레기 건조분쇄기의 탈취장치
KR19990045429A (ko) * 1997-11-19 1999-06-25 도시히로 고바야시 음식물 찌꺼기 처리기
KR200356444Y1 (ko) * 2004-05-03 2004-07-15 지영호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3094A (ko) * 1997-04-04 1997-07-22 박용남 음식물쓰레기 건조분쇄기의 탈취장치
KR19990045429A (ko) * 1997-11-19 1999-06-25 도시히로 고바야시 음식물 찌꺼기 처리기
KR200356444Y1 (ko) * 2004-05-03 2004-07-15 지영호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212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45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5174042A (en) Garbage disposer utilizing microwave heating
KR200381203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KR100781110B1 (ko)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2020000646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81109B1 (ko) 음식물 쓰레기 수용함이 별도로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건조기
EP0794911B1 (en) Kitchen unit and the use thereof for the handling of portions of kitchen garbage at the source
KR100990751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20080094644A (ko) 음식물쓰레기의 응축식 밀폐3단순환 탈취건조의 기본원리와이를 실현하는 기본구조 및 실시예
JP4209784B2 (ja) 真空乾燥装置
KR20230023864A (ko) 음식물 잔반 건조 처리기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EP261951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KR100816488B1 (ko) 분뇨 응축건조장치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002267B1 (ko) 음식쓰레기 건조기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100269422B1 (ko) 진공식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0161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8367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70682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통
KR20090006493U (ko) 가정용 음식쓰레기 건조처리기
KR20040663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45169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
US20090078320A1 (en) Steam exhaus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