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391B1 -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 Google Patents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391B1
KR100779391B1 KR1020070086919A KR20070086919A KR100779391B1 KR 100779391 B1 KR100779391 B1 KR 100779391B1 KR 1020070086919 A KR1020070086919 A KR 1020070086919A KR 20070086919 A KR20070086919 A KR 20070086919A KR 100779391 B1 KR100779391 B1 KR 10077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etachable
piece
coupled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수
Original Assignee
장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수 filed Critical 장윤수
Priority to KR102007008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21Keyboard support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팔걸이(A)가 형성된 의자(C)와, 상기 의자(C)에 컴퓨터증후군 및 손목터널증후군이 예방되도록 부착되는 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A)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견고히 고정결합되고, 상하좌우 및 전후 간격조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100)과; 하부면에 전후이송레일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수단(100)의 상측으로 레일결합되며, 일단에 걸림단턱(242)이 형성된 걸림부(240)가 구비된 팔받침판(200)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팔받침판(200) 일측으로 볼트결합되는 주변기기 거치수단(300)과; 상측으로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거치부(410)가 구비되고, 하측으로 상기 걸림부(240)에 결합되도록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탈착부(430)가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410)와 탈착부(430)가 다수의 가이드공(452)이 형성된 결합안내편(450)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개별작동되는 키보드 거치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클램핑 수단, 키보드 거치수단, 팔받침대, 의자, 팔걸이, 컴퓨터단말기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군.

Description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Arm supporting apparatus for attach on and off with Supporter of key board}
본 고안은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팔을 각각 팔받침대에 안착시키는 등의 바른 자세로 키보드와 마우스의 작업을 안정된게 유도함으로써, 장시간 컴퓨터 작업시 발생되는 컴퓨터단말기증후군(VDT증후군) 및 손목터널증후군(Carpal-tunnel syndrome), 마우스터치 손가락 증후군 등의 컴퓨터 관련 증후군이 예방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들어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컴퓨터 작업 이외에 청소년들 사이의 컴퓨터 게임에 의해 컴퓨터에서 장시간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빈번하다. 즉, 컴퓨터 작업, 컴퓨터 게임 등을 하기 위해 컴퓨터에서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작업, 게임 등을 하는 사람들은 특히 손목과 관절, 목, 등 그리고 어깨부위의 근육통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증세가 최근에는 청소년들에게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 며, 컴퓨터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직장인에게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증세에 따른 다양한 증후군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그 대표적 예로서 몇 가지를 들어보면 컴퓨터단말기증후군(Video Display Terminal Syndrome;VDT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Carpal-tunnel syndrom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증후군은 컴퓨터 작업, 게임 등을 장시간 수행시 작업자의 올바르지 않은 자세에서 비롯된다.
즉, 종래의 컴퓨터에서의 작업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1)에 모니터(M)와 키보드(K) 그리고 마우스가 놓여 지게 되고, 의자(C)에 앉아 책상(1)에 놓여 진 키보드(K)와 마우스를 조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팔 전체를 어느 정도 들어올리면서 손목을 아래로 꺾은 긴장상태에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게 되거나, 팔 전체를 책상에 받치고 손목을 위로 꺽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의 사용시 손목을 꺽거나 팔을 들어올리는 등의 긴장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들어올린 팔의 무게에 의해 어깨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뭉치거나 손목이 꺾이는 등의 손목터널증후군이 발병하게 된다.
여기서, 손목터널증후군(Carpal-tunnel syndrome)에 대해 살펴보면 이러한 손목터널증후군은 편중된 손목의 움직임과 관련이 깊고, 손목이 부자연한 상태로 컴퓨터 및 타자기와 같은 자판을 오랫동안 반복해서 두드리는 직장인이나 망치질과 드릴 등과 같이 진동이 심한 기구를 다루는 사람에게 흔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컴퓨터의 자판 등을 사용시, 손등을 위로 젖힌 채로 손을 사용하는데 이렇게 손을 한쪽 방향으로만 사용하게 되면 손의 근육과 관절이 특정한 방향으로 비뚤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꺽임으로 인해 혈액순환과 같은 생리적 기능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결국 손목 주위의 통증이나 부종 혹은 손의 냉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손목증후군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마우스터치 손가락 증후군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마우스터치 손가락 증후군은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손가락을 오므린 상태에서 항상 같은 자세로 마우스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사용하게 되어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은 증상을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손목터널증후군과 마우스터널 손가락 증후군의 예방에는 컴퓨터에서 작업 또는 게임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즉,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의 신경이 압박을 받아서 나타나는 증상인 만큼 손목이 구부려진 상태로 장시간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한편, 상술한 손목터널증후군, 마우스터치 손가락 증후군 이외에도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책상에 팔을 올려놓은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 모니터에 근접하여 앉게 되고, 이로 인해 모니터에서 방사되는 X선, 전리방사선 등의 해로운 전자기파에 그대로 노출되어 시각장애뿐만 아니라 두통 등의 증세를 유발시키게 되는 컴퓨터단말기증후군(Video Display Terminal Syndrome;VDT증후군)이 빈번하게 발생 된다.
따라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직장인, 학생 등의 올바른 자세로 교정이 가능하고, 앞서 상술한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 등을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컴퓨터 사용자의 양팔을 의자 팔걸이에 안착시키는 등의 바른 자세로 키보드와 마우스의 작업을 유도함으로써, 장시간 컴퓨터작업에 의한 어깨, 허리 등의 통증과 만성두통 등의 증세를 나타내는 컴퓨터단말기증후군(VDT증후군) 및 손저림 등의 증세를 나타내는 손목터널증후군, 마우스터치 손가락 증후군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자세교정용 의자가 필요없이 팔걸이가 부착된 일반 의자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컴퓨터 작업시 자세교정이 가능하도록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이 가능한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는 좌우 대칭되도록 팔걸이(A)가 형성된 의자(C)와, 상기 의자(C)에 컴퓨터증후군 및 손목터널증후군이 예방되도록 부착되는 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A)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견고히 고정결합되고, 상하좌우 및 전후 간격조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100)과; 하부면에 전후이송레일홈(212)이 형성 되고, 상기 클램핑 수단(100)의 상측으로 레일결합되며, 일단에 걸림단턱(242)이 형성된 걸림부(240)가 구비된 팔받침판(200)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팔받침판(200) 일측으로 볼트결합되는 주변기기 거치수단(300)과; 상측으로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거치부(410)가 구비되고, 하측으로 상기 걸림부(240)에 결합되도록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탈착부(430)가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410)와 탈착부(430)가 다수의 가이드공(452)이 형성된 결합안내편(450)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개별작동되는 키보드 거치수단(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 수단(100)은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ㄱ"자형의 수직편(112)에 다수의 높이조절공(114)이 형성되며, 수평편(116)에 좌우조절장공(118)이 형성된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과; 상측으로 상기 전후이송레일홈(212)에 결합되고, 그 직하로 볼트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조절장공(118)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T"형 레일편(120)과; 상기 "T"형 레일편(120)의 볼트에 결합되어 전후좌우 조절토록 형성된 고정노브(122)와; 상기 팔걸이의 폭에 따라 좌우이격되어 조절토록 구비된 폭조절수단(130)과; 상기 팔걸이의 두께에 따라 상하이격되어 조절토록 구비된 두께조절수단(140)과; 상기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에 수평상으로 결합되어 탈부착가능토록 구비된 복수의 곡률받침부재(150)와; 일측으로 볼트공(16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이 일체로 결합된 결합판(160)과; 상기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의 높이조절공(114)을 통해 상기 결합판(160)의 볼트공(162)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54);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폭조절수단(13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결합판(16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향절곡된 폭조절 수직편(132a)이 형성되며, 상기 폭조절 수직편(132a) 중앙으로 통공되어 베어링(132b)이 결합된 폭조절 브라켓(132)과; 상기 베어링(132b)에 결합되어 수평상에서 회전되는 폭조절볼트(134)와; 상기 폭조절볼트(134)에 결합되는 볼트공(136a)이 형성된 폭조절편(136)과; 상기 폭조절편(136) 직하로 형성되고, 팔걸이(A)의 폭에 대응되어 이탈방지토록 구비된 폭조절 가이드바(1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께조절수단(14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폭조절수단(130)의 직하의 결합판(16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하향절곡된 두께조절 수직편(142a)이 형성되어 하측 일단부가 절곡되어 두께조절 수평편(142b)이 형성되며, 상기 두께조절 수평편(142b) 중앙으로 통공되어 베어링(142c)이 결합된 두께조절 브라켓(142)과; 상기 베어링(142c)에 결합되어 수직상에서 회전되는 두께조절볼트(144)와;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146a)이 형성되어 상기 두께조절볼트(144)가 결합되고, 전후 양측으로 관통된 가이드통공(146b)이 형성된 두께조절편(146)과; 상기 가이드통공(146b)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격가능토록 형성되고, 팔걸이(A)의 두께에 대응되어 이탈방지토록 구비된 "ㄷ"형의 두께조절가이드바(1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팔받침판(200)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외력에 의한 충격이 완충토록 형성된 쿠션판(230)과; 상기 쿠션판(230) 선단부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단턱(242)이 구비된 걸림부(240)와 상기 쿠션판(230) 직하로 하중이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판(220)과;상기 지지판(220) 직하로 상기 클램핑 수단(100)의 "T"형 레일편(120)이 레일결합되는 "T"형의 전후이송레일홈(212)이 형성된 레일판(210)과;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음료수병 또는 컵 등이 거치되는 컵홀더 통공(320)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거치부(410)는 일측으로 키보드걸림홈(412a)이 형성되고, 상기 키보드걸림홈(412a) 하측 일면 중앙으로 복수의 제 1 가이드 고정홈(412b)이 형성된 제 1 거치파지편(412)과; 타측으로 키보드걸림홈(414a)이 형성되고, 상기 키보드걸림홈(414a) 하측 일면 양측으로 복수의 제 2 가이드 고정홈(414b)이 형성된 제 2 거치파지편(414)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면에 상기 제 1 가이드 고정홈(412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1 가이드 결합홈(416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결합홈(416a)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가이드 통공(416b)이 마련된 제 1 간격조정편(416)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면에 복수의 제 2 가이드 통공(418b)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고정홈(414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2 가이드 결합홈(418a)이 복수의 제 2 가이드 통공(418b)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2 간격조정편(418)과; 상기 제 1 가이드 고정홈(412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공(452)과 상기 제 2 가이드 통공(418b)을 통해 상기 제 1 가이드 결합홈(416a)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바(420)와; 상기 제 2 가이드 고정홈(414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공(452)과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416b)을 통해 상기 제 2 가이드 결합홈(418a)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바(422)와; 상기 제 1 거치파지편(412)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 간격조정편(418)의 양측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 2 거치파지편(414)이 제 1 거치파지편(412)측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된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탈착부(430)는 일측으로 파지단턱(432a)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단턱(432a) 반대편 일면 중앙으로 복수의 제 1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이 형성되며, 그 직하에 탈착단턱(432c)이 형성된 제 1 탈착편(432)과; 타측으로 파지단턱(434a)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단턱(434a) 반대편 일면 양측으로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4b)이 형성되며, 그 직하에 탈착단턱(434c)이 형성된 제 2 탈착편(434)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면에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1 탈착가이드 결합홈(436a)이 형성되며, 상기 탁착가이드 결합홈(436a)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탈착가이드 통공(436b)이 마련된 제 1 탈착조정편(436)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 고, 중앙 일면에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통공(438b)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4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결합홈(438a)이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통공(438b)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2 탈착조정편(438)과;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통공(452)과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통공(438b)을 통해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결합홈(436a)에 결합되는 제 1 탈착가이드바(440)와;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4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통공(452)과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통공(436b)을 통해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결합홈(438a)에 결합되는 제 2 탈착가이드바(442)와; 상기 제 1 탈착편(432)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 탈착조정편(438)의 양측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 2 탈착편(434)이 제 1 탈착편(432)측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된 탈착 탄성스프링(4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자의 양팔을 의자 팔걸이에 안착시키는 등의 바른 자세로 키보드와 마우스의 작업을 유도함으로써, 장시간 컴퓨터작업에 의한 어깨통증과 만성두통 등의 증세를 나타내는 컴퓨터단말기증후군(VDT증후군) 및 손저림 등의 증세를 나타내는 손목터널증후군, 마우스터치 손가락 증후군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자세교정용 의자가 필요없이 팔걸이가 부착된 일반 의자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컴퓨터 작업시 자세교정이 가능하도록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팔받침 및 클램핑수단 확대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클램핑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팔받침대의 저부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키보드 거치수단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키보드 거치수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에 의해 의자 팔걸이에 결합되는 순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에 결합되는 팔받침판의 좌우위치조절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에 의해 팔받침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수단의 좌우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수단의 결합관계와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가 부착된 통상의 의자에 범용으로 사용되어 컴퓨터단말기 증후군 및 손목터널증후군 등이 예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클램핑 수단(100), 팔받침판(200), 주변기기 거치수단(300), 키보드 거치수단(4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 수단(100)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의자(C)에 부착된 팔걸이(A)에 견고히 고정결합되되, 상하좌우 및 전후 간격조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클램핑 수단(100)은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 "T"형 레일편(120), 폭조절수단(130), 두께조절수단(140), 곡률받침부재(150), 결합판(1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체를 ㄱ"자형 으로 절곡되어 수직편(112), 수평편(114)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ㄱ"자형으로 절곡된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의 수직편(112)에는 후술되는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이 결합된 결합판(160)이 사용자의 임의 설정에 따라 높이가 조정되도록 높이조절공(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편(116)에는 후술되는 팔받침판(200)이 좌우로 조절될 수 있도록 마련된 좌우조절장공(118)이 형성된다.
상기 "T"형 레일편(120)은 상측으로 후술되는 판받침판(200)의 전후이송레일홈(212)에 결합되고, 그 직하로 볼트가 형성되어 전술한 좌우조절장공(118)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여기서, "T"형 레일편(120)의 볼트에는 고정노브(122)가 결합되어 후술되는 팔받침판(200)이 전후좌우 조절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폭조절수단(130)은 팔걸이의 폭에 따라 좌우이격되어 조절토록 구비되되, 폭조절 브라켓(132), 폭조절볼트(134), 폭조절편(136), 폭조절 가이드바(138)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폭조절 브라켓(132)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후술되는 결합판(16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향절곡되어 폭조절 수직편(132a)이 형성된다. 그리고, 폭조절 수직편(132a) 중앙으로 통공되어 베어링(132b)이 결합되어 후술되는 폭조절볼트(134)가 공회전토록 마련된다.
상기 폭조절볼트(134)는 전술한 폭조절 수직편(132a) 중앙으로 마련된 베어링(132b)에 축결합되어 수평상에서 정역회전됨으로써, 후술되는 폭조절편을 수평상 에서 이격조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폭조절편(136)은 전술한 폭조절볼트(134)에 결합되는 볼트공(136a)이 형성되어 폭조절볼트(134) 상에서 수평이동되어 의자(C)의 팔걸이(A)의 폭에 따라 조절이 가능토록 구비되어 팔걸이(A)에 안착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폭조절 가이드바(13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조절수단(140)은 팔걸이의 두께에 따라 상하이격되어 조절토록 구비되되, 두께조절 브라켓(142), 두께조절볼트(144), 두께조절편(146), "ㄷ"형의 두께조절가이드바(148)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두께조절 브라켓(142)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폭조절수단(130)의 직하의 결합판(160)에 결합된다. 그리고, 타측으로 하향절곡되어 두께조절 수직편(142a)이 형성된다. 또한, 두께조절 수직편(142a)의 하측 일단부가 수평절곡되어 두께조절 수평편(142b)이 형성되고, 두께조절 수평편(142b) 중앙으로 통공되어 후술되는 두께조절볼트(144)가 공회전되도록 베어링(142c)이 결합된다.
상기 두께조절볼트(144)는 전술한 베어링(142c)에 결합되어 수직상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두께조절볼트(144)는 후술되는 두께조절편(146)의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146a)에 볼트결합되어 두께조절볼트(144)의 정역회전에 따라 두께조절편(146)이 상하 이격조정된다.
상기 두께조절편(146)은 전술한 두께조절볼트와 볼트결합되는 볼트공(146a)가 형성되고, 볼트공(146a) 전후 양측으로 수평 관통된 가이드통공(146b)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통공(146b)에는 좌우로 이격가능토록 형성되고, 팔걸이(A)의 두께에 대응되어 이탈방지토록 구비된 "ㄷ"형의 두께조절가이드바(148)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률받침부재(150)는 전술한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에 수평상으로 결합되어 팔걸이(A)의 상부면의 곡률에 따라 수평상 이격조정되어 클램핑 수단(10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다수 마련된다. 여기서, 곡률받침부재(15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상으로 구비되어 그 하측에 받침돌편(1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160)은 일측으로 볼트공(16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전술한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이 타측면에 일체로 결합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미적감각이 나타나도록 구비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판(160)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공(16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높이조절볼트(154)가 구비된다. 여기서, 높이조절볼트(154)는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의 높이조절공(114)을 통해 결합판(160)의 볼트공(162)에 결합되는 것으로, 높이조절공(114)의 위치에 따라 결합판(160)과 높이조절볼트(154)를 결합시켜 사용 자의 사용높이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토록 구비된다.
상기 팔받침판(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판(210), 지지판(220), 쿠션판(230), 걸림부(240) 등으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판(210)은 전술한 클램핑 수단(100)의 "T"형 레일편(120)이 레일결합되는 "T"형의 전후이송레일홈(21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20)은 레일판(2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팔의 하중이 지지된다. 나아가, 쿠션판(230)은 지지판(220)의 상부면에 형상이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외력에 의한 충격이 완충토록 합성수지재, 고무재 등의 완충작용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림부(240)는 상기 쿠션판(230)의 선단부로 연장형성되어 후술되는 키보드 거치수단(400)이 결합되도록 걸림단턱(242)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팔받침판(200)은 인체의 곡선에 부합되도록 곡선지게 형성되어도 좋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 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은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팔받침판(200) 일측으로 볼트결합된다. 여기서,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마우스 등의 주변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토록 구비되되, 그 중앙 또는 일면에 음료수병 또는 컵 등이 거치되는 컵홀더 통공(320)이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또한,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키보드 거치수단(400)은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거치부(410)가 구비된다. 그리고, 거치부(410) 하측으로 전술한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의 걸림부(240)에 결합되도록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탈착부(430)가 마련된다. 여기서, 거치부(410)와 탈착부(430)는 다수의 가이드공(452)이 형성된 결합안내편(450)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개별작동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410)는 제 1, 2 거치파지편(412, 414), 제 1, 2 간격조정편(416,418), 제 1, 2 가이드바(420,422),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거치파지편(412,414) 키보드걸림홈(412a,414a)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키보드걸림홈(412a,414a) 하측 일면으로 복수의 제 1, 2 가이드 고정홈(412b,414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2 간격조정편(416,418)은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전술한 제 1, 2 가이드 고정홈(412b,414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1, 2 가이드 결합홈(416a,418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2 가이드 결합홈(416a,418a)과 동일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2 가이드 통공(416b,418b)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2 가이드바(420,422)는 제 1, 2 가이드 고정홈(412b,414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공(452)과 상기 제 1, 2 가이드 통 공(416b,418b)을 통해 상기 제 1, 2 가이드 결합홈(416a,418a)에 결합된다.
상기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은 제 1 거치파지편(412)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제 2 간격조정편(418)의 양측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제 2 거치파지편(414)이 제 1 거치파지편(412)측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는 제 2 거치파지편(414)측과 제 1 간격조정편(416)측으로 결합되어도 동일한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탈착부(430)는 제 1, 2 탈착편(432, 434), 제 1, 2 탈착조정편(436,438), 제 1, 2 가이드바(440,442),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44)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탈착편(432,434) 일측에는 사용자가 외력으로 제 1, 2탈착편(432,434)을 탄성스프링(444)의 탄성력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파지될 수 있는 파지단턱(432a,434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파지단턱(432a,434a) 반대편 하측 일면으로 복수의 제 1,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434b)이 형성되고, 그 직하에 탈착단턱(432c,434c)이 형성되어 전술한 걸림단턱(242)에 사용자에 의한 해제가 용이하면서도 사용시 견고하도록 탈착된다.
상기 제 1, 2 탈착조정편(436,438)은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전술한 제 1,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434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1, 2 탈착가이드 결합홈(436a,438a)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2 탈착가이드 결합 홈(436a,438a)과 동일면에 각각 형성된 제 1, 2 탈착가이드 통공(436b,438b)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2 탈착가이드바(440,442)는 제 1,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434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공(452)과 상기 제 1, 2 탈착가이드 통공(436b,438b)을 통해 상기 제 1, 2 탈착가이드 결합홈(436a,438a)에 결합된다.
상기 탈착 탄성스프링(444)는 제 1 탈착편(432)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제 2 탈착조정편(438)의 양측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제 2 탈착편(434)이 제 1 탈착편(432)측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탈착 탄성스프링(424)는 전술한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와 마찬가지로 제 2 탈착편(434)측과 제 1 탈착조정편(436)측으로 결합되어도 동일한 효과가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작용은 아래의 설명과 같으며, 이하 사용상태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팔받침대(200)의 전후이송레일홈(212) 에 "T"형 레일편(120)을 이용하여 상하조정 브라켓(110)의 수평면(116)에 형성된 좌우조절장공(118)을 통해 레일결합하여 팔받침대(200)와 상하조정 브라켓(110)을 결합한다. 여기서, 좌우조절장공(118)을 통해 상하조정 브라켓(110)의 좌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전후이송레일홈(212)상에서 "T"형 레일편(120)을 이격조정함으로써, 팔받침판(200)의 전후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후, 좌우 조절한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이 구비된 결합판(160)을 높이조절볼트(154)를 이용하여 상하조정 브라켓(110)의 수직편(112)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14)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높이조절공(114)의 위치에 따라 팔받침판(2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비된 클램핑수단(100)과 팔받침대(200)를 사용자가 의자(C)의 팔걸이(A)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조절수단(140)의 "ㄷ"형 두께조절 가이드바(148)를 두께조절편(146)의 가이드통공(146b)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시켜 하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후, 폭조절수단(130)의 폭조절브라켓(132)의 폭조절 수직편(132a)의 베어링(132b)에 결합된 폭조절볼트(134)를 회전시켜 폭조절편(136)이 팔걸이(A)의 폭에 적합한 폭으로 조절하여 고정한다. 이때, 곡률받침부재(150)를 수평이동시켜 팔걸이(A) 상부면의 곡률에 따라 클램핑 수단(100)의 수평을 조정한다.
다음으로, 외측으로 이격된 두께조절수단(140)의 "ㄷ"형 두께조절 가이드 바(148)를 가이드통공(146b)를 통해 결합판(160)측으로 이격되어 팔걸이(A)로부터 클램핑 수단(1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두께조절 브라켓(142)의 두께조절수평편(142b)의 베어링(142C)에 결합된 두께조절볼트(144)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두께조절볼트(144)가 공회전하면 두께조절볼트에 볼트결합되어 있는 두께조절편(146)이 "ㄷ"형 두께조절 가이드바(148)가 함께 상향이동된다. 따라서, 상향이동되는 "ㄷ"형 두께조절 가이드바(148)의 상측이 팔걸이(A)의 하측에 맞닿게 되어 클램핑 수단(100)이 팔걸이(A)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수단(100)과 팔받침판(200)을 팔걸이(C)에 견고히 결합한 후,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을 팔받침판(200)의 일측에 볼트결합한다. 여기서,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은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의 사용자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 통공(320)이 구비된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을 탈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렇게 팔걸이(A)에 거치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보드 거치수단(400)을 팔받침판(200)의 걸림부(240)에 형성된 걸림단턱(242)에 결합한다. 여기서, 걸림단턱(242)에는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탈착부(430)에 구비된 제 1, 2 탈착편(432,434)의 파지단턱(432a,434a)이 각각 결합되되, 탈착 탄성스프링(444)의 지속적인 당김력에 의한 탄성에 의해 견고히 결합된다. 그리고, 키보드(K)는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거치부(410)에 구비된 제 1, 2 거치파지 편(412,414)의 키보드걸림홈(412a,414a)에 결합파지된다. 덧붙여 말하면, 전술한 탈착부(430)과 동일하게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에 의한 당김력에 의해 키보드(K)가 견고히 파지된다. 한편, 거치부(410)에 파지된 키보드(K)는 제 1, 2 가이드바(420,422)상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거치부(410)는 초기에는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에 의해 제 2간격조정편(418)을 제 1 가이드바(420)상에서 제 1 거치파지편(412)측으로 잡아당겨진 상태로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 2 가이드바(422)상에서 제 1 간격조정편(416)이 제 2거치파지편(414)측이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후, 제 2 거치파지편(414)을 제 2 가이드바(422)상에서 외측으로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지면 제 2 간격조정편(418)은 제 1 가이드바(420) 상에서 제 2 거치파지편(414)측으로 이격조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 1 거치파지편(412)와 제 2 거치파지편(414)가 벌어진 상태에서 키보드를 상측에 올려놓은 후, 제 2 거치파지편(414)측을 제 1 거치파지편(412)측으로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에 의해 제 1, 2 가이드바(420,422)상에서 이격되어 키보드가 파지되게 된다.
또한,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탈착부(420)도 키보드 거치수단(400)과 동일하게 폭의 확대축소가 가능하되, 탈착부(420)는 초기에는 탈착 탄성스프링(444)에 의해 제 2탈착조정편(438)을 제 1 탈착가이드바(440)상에서 제 1 탈착편(432)측으로 잡아당겨진 상태로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 2 탈착가이드바(442)상에서 제 1 탈착조정편(436)이 제 2탈착편(434)측이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후, 제 2 탈착편(434)을 제 2 탈착가이드바(442)상에서 외측으로 사용자가 파지단턱(432a,434a)을 파지하여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지면 제 2 탈착조정편(438)은 제 1 가이드바(440) 상에서 제 2탈착(434)측으로 이격조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 1 탈착편(432)와 제 2 탈착편(434)이 벌어진 상태에서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240)의 걸림단턱(242)에 안치시킨다.
이후, 걸림단턱(242) 상에 안치된 제 1, 2 탈착편(432,434)은 탄성스프링(444)에 의해 제 2 탈착편(434)과 제 1 탈착편(432)이 서로 내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 1, 2 탈착편(432,434)이 서로 대향되어 내측으로 당겨짐으로써, 제 1, 2 탈착편(432,434)에 구비된 탈착단턱(432c,434c)이 걸림단턱(242)의 하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탈착 탄성스프링(444)에 의해 제 1, 2 탈착편(432,434)이 제 1, 2 탈착가이드바(440,442)상에서 이격되어 키보드 거치수단(400)이 클램핑 수단(100)과 팔받침판(200) 및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에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거치부(410) 및 탈착부(430)는 각각의 제 1, 2 가이드바(420,422) 및 제 1, 2 탈착가이드 바(440,442)가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가이드공(452)이 형성된 결합안내편(450)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개별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치부(410)는 탈착부(430)상에서 좌우로 이격조정된다. 즉, 거치부(410)이 탈착부(430)상에서 좌우 이격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거치부(410)에 안치된 키보드(K)를 사용자가 사용시, 사용자가 편하게 작업될 수 있는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탈착부(420)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아당김으로써, 탈거가 손쉽게 되고, 이로 인해 업무현장에서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여 같은 자세로 인한 피로의 누적시 키보드 거치수단(400)만을 용이하게 잡아당겨 탈거시켜 다른 자세로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결합된 의자에서 손쉽게 사용자가 이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하좌우, 전후조절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100)에 의해 사용자의 팔걸이 높이에 적합한 팔받침판이 조정됨과 함께, 팔받침판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볼트결합되는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에 마우스 등을 올려놓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팔굽치와 손목이 꺽이지 않은 자연스런 상태로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판받침판(200)에 키보드 거치수단(400)이 간단하게 사용자가 잡아당김으로써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에 따라 좌우위치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컴퓨터 작업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의자의 팔걸이(A)에 클램핑되어 있어 허리를 과도하게 구부리지 않고 키보드 및 마우스 작업이 가능하여 모니터에 허리를 구부려 보는 등의 컴퓨터 단말 기 증후군을 근본적으로 예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팔굼치와 손목이 팔받침판(200)에 의해 수평을 이룬상태에서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이 팔받침판(200)의 수평면보다 아래로 위치되어 자연스럽게 손목이 아래를 향하여 손목터널증후군의 예방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며, 이와 같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손목과 손가락에 집중되는 팔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마우스터치 손가락 증후군의 예방에도 탁월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 작업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팔받침 및 클램핑수단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클램핑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팔받침대의 저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키보드 거치수단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의 키보드 거치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에 의해 의자 팔걸이에 결합되는 순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에 결합되는 팔받침판의 좌우위치조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수단에 의해 팔받침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수단의 좌우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거치수단의 결합관계와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A : 팔걸이 C : 의자
100 : 클램핑 수단 112 : "ㄱ"자형 수직편
114 : 높이조절공 116 : 수평편
118 : 좌우조절장공 120 : "T"형 레일편
122 : 고정노브 130 : 폭조절수단
132 : 폭조절브라켓 132a : 폭조절 수직편
132b : 베어링 134 : 폭조절볼트
136 : 폭조절편 136a : 볼트공
138 : 폭조절 가이드바 140 : 두께조절수단
142 : 두께조절브라켓 142a : 두께조절 수직편
142b : 두께조절 수평편 142c : 베어링
144 : 두께조절볼트 146 : 두께조절편
146a : 볼트공 148 : "ㄷ"형두께조절 가이드바
150 : 결합판 154 : 높이조절볼트
200 : 팔받침판 212 : 전후이송레일홈
300 : 주변기기 거치수단 310 : 걸림부
312 : 걸림단턱 400 : 키보드 거치수단
410 : 거치부 412 : 제 1거치파지편
412a : 키보드걸림홈 412b : 제 1가이드 고정홈
414 : 제 2거치파지편 414a : 키보드걸림홈
414b : 제 2가이드 고정홈 416 : 제 1간격조정편
416a : 제 1가이드 결합홈 416b : 제 1가이드 통공
418 : 제 2간격조정편 418a : 제 2가이드 결합홈
418b : 제 2가이드 통공 420 : 제 1가이드바
422 : 제 2가이드바 424 :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
430 : 탈착부 432 : 제 1탈착편
432a : 파지단턱 432b : 제 1탈착가이드 고정홈
434 : 제 2탈착편 434a : 파지단턱
434b : 제 2탈착가이드 고정홈 436 : 제 1 탈착조정편
436a : 제 1 탈착가이드 결합홈 436b : 제 1탈착가이드 통공
438 : 제 2탈착조정편 438a : 제 2 탈착가이드 결합홈
438b : 제 2탈착가이드 통공 440 : 제 1탈착가이드바
442 : 제 2탈착가이드바 444 : 탈착 탄성스프링

Claims (8)

  1. 좌우 대칭되도록 팔걸이(A)가 형성된 의자(C)와, 상기 의자(C)에 컴퓨터증후군 및 손목터널증후군이 예방되도록 부착되는 팔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A)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견고히 고정결합되고, 상하좌우 및 전후 간격조정이 가능한 클램핑 수단(100)과;
    하부면에 전후이송레일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수단(100)의 상측으로 레일결합되며, 일단에 걸림단턱(242)이 형성된 걸림부(240)가 구비된 팔받침판(200)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팔받침판(200) 일측으로 볼트결합되는 주변기기 거치수단(300)과;
    상측으로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거치부(410)가 구비되고, 하측으로 상기 걸림부(240)에 결합되도록 좌우폭이 확대축소되는 탈착부(430)가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410)와 탈착부(430)가 다수의 가이드공(452)이 형성된 결합안내편(450)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되어 각각 개별작동되는 키보드 거치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00)은
    ㄱ"자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ㄱ"자형의 수직편(112)에 다수의 높이조절공(114)이 형성되며, 수평편(116)에 좌우조절장공(118)이 형성된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과;
    상측으로 상기 전후이송레일홈(212)에 결합되고, 그 직하로 볼트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조절장공(118)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T"형 레일편(120)과;
    상기 "T"형 레일편(120)의 볼트에 결합되어 전후좌우 조절토록 형성된 고정노브(122)와;
    상기 팔걸이의 폭에 따라 좌우이격되어 조절토록 구비된 폭조절수단(130)과;
    상기 팔걸이의 두께에 따라 상하이격되어 조절토록 구비된 두께조절수단(140)과;
    상기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에 수평상으로 결합되어 탈부착가능토록 구비된 복수의 곡률받침부재(150)와;
    일측으로 볼트공(16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폭조절수단(130)과 두께조절수단(140)이 일체로 결합된 결합판(160)과;
    상기 상하좌우 조정브라켓(110)의 높이조절공(114)을 통해 상기 결합판(160)의 볼트공(162)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1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수단(13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결합판(16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향절곡된 폭조절 수직편(132a)이 형성되며, 상기 폭조절 수직편(132a) 중앙으로 통공되어 베어링(132b)이 결합된 폭조절 브라켓(132)과;
    상기 베어링(132b)에 결합되어 수평상에서 회전되는 폭조절볼트(134)와;
    상기 폭조절볼트(134)에 결합되는 볼트공(136a)이 형성된 폭조절편(136)과;
    상기 폭조절편(136) 직하로 형성되고, 팔걸이(A)의 폭에 대응되어 이탈방지토록 구비된 폭조절 가이드바(1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조절수단(14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상기 폭조절수단(130)의 직하의 결합판(16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하향절곡된 두께조절 수직편(142a)이 형성되어 하측 일단부가 절곡되어 두께조절 수평편(142b)이 형성되며, 상기 두께조절 수평편(142b) 중앙으로 통공되어 베어링(142c)이 결합된 두께조절 브라켓(142)과;
    상기 베어링(142c)에 결합되어 수직상에서 회전되는 두께조절볼트(144)와;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146a)이 형성되어 상기 두께조절볼트(144)가 결합되고, 전후 양측으로 관통된 가이드통공(146b)이 형성된 두께조절편(146)과;
    상기 가이드통공(146b)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격가능토록 형성되고, 팔걸이(A)의 두께에 대응되어 이탈방지토록 구비된 "ㄷ"형의 두께조절가이드바(14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판(200)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외력에 의한 충격이 완충토록 형성된 쿠션판(230)과;
    상기 쿠션판(230) 선단부 일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단턱(242)이 구비된 걸림부(240)와;
    상기 쿠션판(230) 직하로 하중이 지지되도록 형성된 지지판(220)과;
    상기 지지판(220) 직하로 상기 클램핑 수단(100)의 "T"형 레일편(120)이 레일결합되는 "T"형의 전후이송레일홈(212)이 형성된 레일판(210)과;
    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 거치수단(30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음료수병 또는 컵 등이 거치되는 컵홀더 통공(32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거치부(410)는
    일측으로 키보드걸림홈(412a)이 형성되고, 상기 키보드걸림홈(412a) 하측 일면 중앙으로 복수의 제 1 가이드 고정홈(412b)이 형성된 제 1 거치파지편(412)과;
    타측으로 키보드걸림홈(414a)이 형성되고, 상기 키보드걸림홈(414a) 하측 일면 양측으로 복수의 제 2 가이드 고정홈(414b)이 형성된 제 2 거치파지편(414)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면에 상기 제 1 가이드 고정홈(412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1 가이드 결합홈(416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결합홈(416a)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가이드 통공(416b)이 마련된 제 1 간격조정편(416)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면에 복수의 제 2 가이드 통공(418b)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고정홈(414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2 가이드 결합홈(418a)이 복수의 제 2 가이드 통공(418b)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2 간격조정편(418)과;
    상기 제 1 가이드 고정홈(412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공(452)과 상기 제 2 가이드 통공(418b)을 통해 상기 제 1 가이드 결합홈(416a)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바(420)와;
    상기 제 2 가이드 고정홈(414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공(452)과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416b)을 통해 상기 제 2 가이드 결합홈(418a)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바(422)와;
    상기 제 1 거치파지편(412)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 간격조정편(418)의 양측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 2 거치파지편(414)이 제 1 거치파지편(412)측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된 키보드파지 탄성스프링(4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거치수단(400)의 탈착부(430)는
    일측으로 파지단턱(432a)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단턱(432a) 반대편 일면 중앙으로 복수의 제 1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이 형성되며, 그 직하에 탈착단턱(432c)이 형성된 제 1 탈착편(432)과;
    타측으로 파지단턱(434a)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단턱(434a) 반대편 일면 양측으로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4b)이 형성되며, 그 직하에 탈착단턱(434c)이 형성된 제 2 탈착편(434)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면에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1 탈착가이드 결합홈(436a)이 형성되며, 상기 탁착가이드 결합홈(436a)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1 탈착가이드 통공(436b)이 마련된 제 1 탈착조정편(436)과;
    직육면체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일면에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통공(438b)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4b)과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결합홈(438a)이 복수의 제 2 탈착가이드 통공(438b) 외측으로 각각 형성된 제 2 탈착조정편(438)과;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고정홈(432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통공(452)과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통공(438b)을 통해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결합홈(436a)에 결합되는 제 1 탈착가이드바(440)와;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고정홈(434b)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결합안내편(450)의 가이드통공(452)과 상기 제 1 탈착가이드 통공(436b)을 통해 상기 제 2 탈착가이드 결합홈(438a)에 결합되는 제 2 탈착가이드바(442)와;
    상기 제 1 탈착편(432)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2 탈착조정편(438)의 양측에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제 2 탈착편(434)이 제 1 탈착편(432)측으로 지속적인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마련된 탈착 탄성스프링(4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KR1020070086919A 2007-08-29 2007-08-29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KR10077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19A KR100779391B1 (ko) 2007-08-29 2007-08-29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919A KR100779391B1 (ko) 2007-08-29 2007-08-29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391B1 true KR100779391B1 (ko) 2007-11-23

Family

ID=3908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919A KR100779391B1 (ko) 2007-08-29 2007-08-29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3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481B1 (ko) 2008-02-04 2010-02-04 원용기 체어보드
KR101053857B1 (ko) 2009-02-19 2011-08-03 주식회사 실버스핸드 팔걸이 탈착용 가변 테이블
KR101247959B1 (ko) 2010-09-29 2013-04-02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기구
CN108185706A (zh) * 2018-01-10 2018-06-22 田西岳 一种托架及其椅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4387A (en) 1986-12-31 1989-07-04 Hunt Holdings, Inc. Monitor arm apparatus
US6045179A (en) 1997-07-15 2000-04-04 Harrison; Paul A. Portable and adjustable keyboard stand for computer
KR200225943Y1 (ko) 2001-01-16 2001-06-01 김학상 마우스 보드
KR200276876Y1 (ko) 2002-01-19 2002-05-27 김태규 컴퓨터 의자에 가설되는 다기능의 키이보드판과 마우스보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4387A (en) 1986-12-31 1989-07-04 Hunt Holdings, Inc. Monitor arm apparatus
US6045179A (en) 1997-07-15 2000-04-04 Harrison; Paul A. Portable and adjustable keyboard stand for computer
KR200225943Y1 (ko) 2001-01-16 2001-06-01 김학상 마우스 보드
KR200276876Y1 (ko) 2002-01-19 2002-05-27 김태규 컴퓨터 의자에 가설되는 다기능의 키이보드판과 마우스보드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481B1 (ko) 2008-02-04 2010-02-04 원용기 체어보드
KR101053857B1 (ko) 2009-02-19 2011-08-03 주식회사 실버스핸드 팔걸이 탈착용 가변 테이블
KR101247959B1 (ko) 2010-09-29 2013-04-02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기구
CN108185706A (zh) * 2018-01-10 2018-06-22 田西岳 一种托架及其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5468B1 (en) Combination guitar arm rest and leg rest for improved guitar sound resonance
US20100016129A1 (en) Multifunctional Physical Training Device
KR100779391B1 (ko) 키보드 거치대가 구비된 탈부착용 팔받침대
US8292342B2 (en) Plate holder
US7520550B2 (en) Plate carrier
WO2014101760A1 (zh) 治疗用的拉伸装置
US11311770B2 (en) Adjustable fitness bench
US20110143890A1 (en) Abdomin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5518487A (en) Exercise apparatus
US20150196798A1 (en) Core Exercise Equipment With Semi-Spherical Base
JP2012521264A (ja) アイソレートカールマシンおよびそのトレーニング方法
KR101053459B1 (ko) 확장가능한 탈부착용 팔받침대
US10035039B1 (en) Convertible conversion table exerciser
US20020198087A1 (en) Triceps extension machine
US7074165B1 (en) Exercise device
US20110057088A1 (en) Multipurpose support device and method
EP3356000B1 (en) Triceps press exercise machine with a moving user support
KR101108673B1 (ko) 휴대용 팔씨름 단련기
JP7108150B1 (ja) 姿勢矯正器具
KR101770065B1 (ko) 높이조절식 철봉
CN211409126U (zh) 一种医疗检查用辅助托架
US20200179207A1 (en) Birth assisting module and birthing furniture
KR200487636Y1 (ko) 플랭크 겸용 푸쉬업 운동기구
KR100962116B1 (ko) 체어보드
US5453067A (en) Reverse grip tricep push-down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