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043B1 -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043B1
KR100778043B1 KR1020070027035A KR20070027035A KR100778043B1 KR 100778043 B1 KR100778043 B1 KR 100778043B1 KR 1020070027035 A KR1020070027035 A KR 1020070027035A KR 20070027035 A KR20070027035 A KR 20070027035A KR 100778043 B1 KR100778043 B1 KR 100778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terproof
self
adhesive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택
장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페이스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페이스,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070027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Abstract

내근성을 향상시키고 방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방수시공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방수구조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 자착식시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착식시트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내근성시트, 및 자착시시트의 노출 부위에 제공되는 섬유질시트를 포함하며, 벽체(壁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에 부착되는 방수시트, 및 섬유질시트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섬유질시트와 벽체에 걸쳐 형성되는 도막방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착식시트, 내근성시트, 섬유질시트, 도막방수층, 겹침, 맞댐

Description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SHEET USED THEREF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 및 방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 및 방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수시트 20 : 자착식시트
30 : 내근성시트 40 : 섬유질시트
50 : 도막방수층
본 발명은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내근성을 향상시키고 방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방수시공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선진 국가들에서는 환경오염과 생태계 균형의 파괴 등에 따라 열악해지는 도시 기후의 해결을 위해서 환경보전 및 복원을 위한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최근에는 도시 생태계와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옥상 녹화가 중요한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옥상 녹화는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등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 관계로 지속적으로 권장되고 있음은 물론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서는 의무적으로 옥상 녹화 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옥상 녹화는 토양생태계의 복원, 냉난방 에너지 절약 효과,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도시 홍수 예방, 공기 정화, 수질 정화, 소음 경감 효과, 도시 경관 향상,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옥상 녹화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옥상 녹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식물뿌리의 성장에 의한 방수시트의 손상 및 주변환경 변화에 따른 방수시트의 변형으로 효율적인 방수를 실현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는데 있다.
즉, 기존에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의 이음 부분으로 식물뿌리가 쉽게 침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방수시트의 이음 부분으로 식물뿌리 가 침투됨에 따른 균열 및 변형으로 인해 효율적인 방수를 실현하는 데 한계가 발생하는데 있다.
또한, 기존에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가 주변환경 조건에 따라 쉽게 변형됨으로 인해 효율적인 방수를 실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추운 겨울에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시트가 수축되어 크랙(Crack)이 발생하고, 더운 여름에는 상술한 방수층이 늘어나 버블(Bubble)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종래의 방수층은 방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방수층의 내근성을 향상시키고 방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내근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수구조의 이음부분으로 식물뿌리가 침투됨에 따른 균열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방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환경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시공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방수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를 위해 사용되는 시트들이 일체로 연결된 기성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며 방수시공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 및 적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구조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 자착식시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착식시트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내근성시트, 자착시시트의 노출 부위에 제공되는 섬유질시트를 포함하며, 벽체(壁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에 부착되는 방수시트, 및 섬유질시트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섬유질시트와 벽체에 걸쳐 형성되는 도막방수층을 포함한다.
자착식시트, 내근성시트 및 상기 섬유질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섬유질시트는 직물시트 또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구조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을 따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자착식시트, 및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며 폭 방향을 따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내근성시트를 포함하고, 각 자착식시트의 연결부위와 각 내근성시트의 연결부위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각 내근성시트의 맞댐 연결부위 사이에는 탄성이음부재가 개재될 수 있고, 각 내근성시트의 맞댐 연결부위를 덮도록 내근성시트의 상부에는 마감테이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구조는 바닥에 부착되는 바닥방수시트, 일단은 바닥방수시트와 겹침 이음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壁體)에 고정되는 벽체방수시트, 바닥방수시트와 벽체방수시트의 경계를 덮도록 부착되는 마감테이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 및 방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 및 방수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는 방수시 트(10) 및 도막방수층(50)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시트(10)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자착식시트(20), 상기 자착식시트(2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착식시트(20)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자착식시트(20)의 상부에 제공되는 내근성시트(30), 및 상기 자착시시트의 노출 부위에 제공되는 섬유질시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10)는 벽체(壁體)(W)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벽체(壁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B)에 부착된다.
상기 자착식시트(20)는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접착수단을 배제하고 모체(콘크리트 슬라브 등과 같이 방수시트가 부착되는 바탕)의 바닥 또는 벽체의 시공면 상에 자체적으로 접착될 수 있는 시트를 말한다.
일 예로 자착식시트(20)로서는 석유 아스팔트의 결함을 고분자 폴리머로 보완하여 개질한 통상의 아스팔트시트(다르게는 고무 아스팔트시트라 지칭되기도 함)가 사용될 수 있다. 자착식시트(20)의 형식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사양에 따라 자착식시트(20)의 형식 및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자착식시트(20)는 그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롤의 형태로 권취하기 어렵고, 이와 반대로 자착식시트(2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바탕면의 모래 등의 이물질이나 요철면에 대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자착식시트(20)는 대략 0.5 ~ 5㎜의 두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1 ~ 3㎜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착식시트(20)의 접착면에는 이형지(도시하지 않음)가 붙여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형지를 제거한 후 자착식시트(20)를 시공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내근성시트(30)는 자착식시트(20)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벽체에 인접한 자착식시트(20)의 상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착식시트(20)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근성시트(30)로서는 내근성이 우수한 통상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근성시트(30)로서는 통상의 PVC(POLYVINYL CHLORIDE)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근성시트(30) 역시 대략 0.5 ~ 5㎜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2㎜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근성시트(30)와 자착식시트(20) 간의 접착은 별도의 접착수단을 배제하고 자착식시트(20)의 고유 특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근성시트(30)가 재생 PVC시트로 이루어질 경우 친환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PVC시트에 비해 원재료가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자착식시트(20)가 노출되는 구간의 길이(L)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자착식시트(20)의 노출길이(L)가 너무 길면 권취된 롤을 세워서 보관할 시 시트의 형태가 변형될 우려가 있고, 이와 반대로 자착식시트(20)의 노출길이(L)가 너무 짧으면 접착면적이 좁아져 시트의 신축 및 팽창에 대한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자착식시트(20)의 노출길이는 1 ~ 10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질시트(40)는 자착식시트(20)의 노출 구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노출된 자착식시트(20)의 상면에 일체로 부착된다. 섬유질시트(40)로서는 요 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섬유질시트(40)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일 예로 통상의 직물시트 또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질시트(40)는 대략 0.1 ~ 2㎜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보다 작은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섬유질시트(40)는 별도의 접착수단을 배제하고 자착식시트(20)의 고유 특성에 의해 자착식 아스팔트의 상면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10)는 자착식시트(20), 내근성시트(30) 및 섬유질시트(40)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막방수층(50)은 섬유질시트(40)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섬유질시트(40)와 벽체에 걸쳐 형성되어, 방수시트(10)와 함께 연속적으로 연결된 방수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막방수층(50)은 섬유질시트(40)를 매개로 부착되기 때문에 수밀성을 확보하며 충분한 부착력을 갖도록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막방수층(50)은 섬유질시트(40)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되, 그 일부가 내근성시트(30)와도 겹쳐질 수 있도록 섬유질시트(40)보다 큰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도막방수층(50)에서 섬유질시트(40)와 겹쳐지는 부위가 섬유실시트(4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막방수층(50)은 도막 방수재를 섬유질시트(40) 및 벽체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막 방수재라 함은 수성 또는 유성의 액상 형태의 방수재를 각종 건축물 및 구조벽의 표면에 도포하고 수분 또는 용제가 증발되고 남은 피막을 이용하여 방수효과를 거두는 조성물을 말한다. 현재 널리 보급된 도막 방수재로서는 고무화 아스팔트, 아크릴고무 또는 아크릴수지 등이 주성분인 에멀젼 형과, 클로로프렌이나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이 함유되어 있으며 우레탄이나 에폭시수지가 주성분인 반응형 등이 있다.
한편,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벽체 및 벽체와 인접한 바닥상에 형성되는 방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하에서는 수평한 바닥 상에 형성되는 방수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평한 바닥 상에 형성되는 방수구조는 도 1과 같이 전술한 방수구조와 함께 연속적으로 연결된 방수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벽체용 방수구조 및 바닥용 방수구조가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구조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을 따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자착식시트(120), 상기 자착식시트(120)의 상부에 제공되며 폭 방향을 따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내근성시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 자착식시트(120)의 연결부위와 각 내근성시트(130)의 연결부위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수구조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120), 및 상기 자착식시트(120)와 어긋나게 자착식시트(120)의 상부에 제공되어 폭 방향을 따라 일단은 자착식시트(120)의 일단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단은 자착식시트(120)의 다른 일단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내근성시트(13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방수시트(110)를 연속적으로 맞댐 이음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수시트(110)를 구성하는 자착식시트(120) 및 내근성시트(130)는 서로 일체로 이루도록 부착되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맞댐 이음되는 방수시트(110)의 각 단부는 각각 대략 "ㄴ" 및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맞댐 이음 연결시 자착식시트(120)의 연결부위와 내근성시트(130)의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식물뿌리가 방수시트(110)의 이음 부분으로 침투함에 따른 방수시트(110)의 균열 및 변형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방수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자착식시트(120) 및 내근성시트(130)가 서로에 대해 어긋나는 구간의 길이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자착식시트(120) 및 내근성시트(130)가 서로에 대해 어긋나는 구간의 길이는 1 ~ 1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10㎝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자착식시트(120) 간의 맞댐 연결은 각 자착식시트(120) 단부가 연속적으로 맞닿음 되도록 각 자착식시트(20)를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 자착식시트(120)의 맞댐 연결부위 사이에 통상의 접착제가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내근성시트(130)의 맞댐 연결부위 사이에는 탄성이음부재(132)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이음부재(132)로서는 수밀성을 가지면서 탄성변형 가능한 통상의 탄성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이음부재(132)로서는 통상의 실란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우레탄 실란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이음부재(132)는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내근성시트(130)의 수축 및 팽창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며, 내근성시트(130)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파손 및 방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내근성시트(130)의 상부에는 각 내근성시트(130)의 맞댐 연결부위를 덮도록 마감테이프(16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테이프(160)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마감테이프(160)의 재질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감테이프(160)는 통상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은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20), 상기 자착식시트(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자착식시트(20)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자착식시트(20)의 상부에 제공되는 내근성시트(30), 및 상기 자착식시트(20)의 노출 부위에 제공되는 섬유질시트(40)를 포함하는 방수시트(10)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10)를 벽체(壁體)에 인접하게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질시트(40)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섬유질시트(40)와 벽체에 걸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자착식시트(20), 내근성시트(30) 및 섬유질시트(40)가 서로 일체를 이 루도록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된 방수시트(10)를 마련한다. 이때 자착식시트(20)의 접착면에는 이형지가 붙여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권취된 방수시트(10)를 평평하게 풀어 벽체(W)에 인접한 바닥(B)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자착식시트(20), 내근성시트(30) 및 섬유질시트(40)를 포함하는 방수시트(10)는 최초 공장에서부터 일체로 연결된 기성제품으로써, 시공장소로 운송된 후 자착식시트(20)의 접착면에 붙여진 이형지를 제거한 후 직접 시공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 후, 통상의 도막방수용 붓을 사용하여 섬유질시트(40)와 벽체에 걸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함으로써 섬유질시트(40)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벽체 상에 도막방수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막방수층(50)을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벽체에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긴 길이를 갖는 방수시트(10)의 일부를 폭 방향으로 절곡하여 벽체를 덮는 방수시공 방법에 비해 방수시공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방수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 즉, 수평한 바닥 상에 형성되는 방수구조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수평한 바닥 상에 형성되는 방수구조에 대한 시공은 전술한 방수구조의 시공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시공 순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은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120), 상기 자착식시트(120)와 어긋나게 자착식시트(120)의 상부에 제공되어 폭 방향을 따라 일단은 자착식시트(120)의 일단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단은 자착식시트(120)의 다른 일단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내근성시트(130)를 포함하는 방수시트(110)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110)를 바닥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자착식시트(120) 및 내근성시트(130)가 서로 어긋난 연결부위를 갖도록 또 다른 방수시트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자착식시트(120) 및 내근성시트(130)가 서로 어긋나도록 일체로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된 방수시트(110)를 마련한다. 이때 자착식시트(120)의 접착면에는 이형지가 붙여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권취된 방수시트(110)를 평평하게 풀어 바닥에 부착한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110) 역시 최초 공장에서부터 일체로 연결된 기성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시공장소로 운송된 후 자착식시트(120)의 접착면에 붙여진 이형지를 제거한 후 직접 시공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방수시트(11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또 다른 방수시트(110)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맞댐 이음되는 방수시트(110)의 각 단부가 각각 대략 "ㄴ" 및 "ㄱ"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맞댐 이음 연결시 자착식시트(120)의 연결부위와 내근성시트(130)의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시트(110)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각 내근성시트(130)의 맞댐 연결부위 사이에 탄성이음부재(132)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이음부재(132)로서는 수밀성을 가지면서 탄성변형 가능한 통상의 탄성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이음부재(132)로서는 통상의 실란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우레탄 실란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근성시트(130)의 상부에는 각 내근성시트(130)의 맞댐 연결부위를 덮도록 마감테이프(16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테이프(160)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마감테이프(160)의 재질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감테이프(160)는 통상의 PE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성 제품화된 방수시트가 맞댐 이음으로 연결되며 자착식시트(120) 및 내근성시트(130)가 동시에 맞댐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자착식시트만을 먼저 맞댐 이음으로 연결한 후, 그 상부에 내근성시트가 맞댐 이음으로 연결함으로써 내근성시트의 연결부위와 자착식시트의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구조는 바닥(B)에 부착되는 바닥방수시트(310), 일단은 상기 바닥방수시트(310)와 겹침 이음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壁體)(W)에 고정되는 벽체방수시트(320), 및 상기 바닥방 수시트(310)와 벽체방수시트(320)의 경계를 덮도록 부착되는 마감테이프(16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방수시트(310)는 단일 시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복수개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닥방수시트(310)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중첩되는 자착식시트(312) 및 내근성시트(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착식시트(312)는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접착수단을 배제하고 모체(콘크리트 슬라브 등과 같이 방수시트가 부착되는 바탕)의 바닥 또는 벽체의 시공면 상에 자체적으로 접착될 수 있는 시트를 말한다.
일 예로 자착식시트(312)로서는 석유 아스팔트의 결함을 고분자 폴리머로 보완하여 개질한 통상의 아스팔트시트(다르게는 고무 아스팔트시트라 지칭되기도 함)가 사용될 수 있다. 자착식시트(312)의 형식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사양에 따라 자착식시트(312)의 형식 및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내근성시트(314)로서는 내근성이 우수한 통상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근성시트(314)로서는 통상의 PVC(POLYVINYL CHLORIDE)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벽체방수시트(320)의 일단은 상기 바닥방수시트(310)와 겹침 이음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壁體)에 고정된다. 이러한 벽체방수시트(320)는 전술한 바닥방수시트(3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는 전술한 바닥방수시트(310)와 다른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벽체방수시트(320)가 단일 시트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벽체에 대한 벽체방수시트(320)의 고정은 스크류 및 앵커와 같은 통상의 체결부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테이프(160)는 바닥방수시트(310)와 벽체방수시트(320)의 경계를 덮도록 부착된다. 이러한 마감테이프(160)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마감테이프(160)의 재질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감테이프(160)는 통상의 PE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방수시트(320)의 경계를 따라 실링부(18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160)는 실링부(180)를 덮도록 제공된다. 상기 실링부(180)는 벽체방수시트(320)의 경계를 따라서 형성되어 방수구조의 방수 성능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함은 물론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바닥방수시트(310)의 수축 및 팽창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실링부(180)는 우레탄 실란트와 같은 통상의 실란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방수시트(310)의 일단이 직접 벽체 상에 고정될 경우에는 주변 환경 변화에 따른 바닥방수시트(310)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바닥방수시트(310)의 고정부위가 파손되며 방수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닥방수시트(310)가 벽체방수시트(320)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바닥방수시트(310)가 수축 및 팽창된다 하더라도 바닥방수시트(310)의 파손없이 방수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벽체에는 물받이 또는 비흘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플래싱(330)이 벽체방수시트(320)의 상부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싱(33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통상의 체결부재를 통해 벽체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플래싱(330)의 재질 및 고정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은 바닥방수시트(310) 및 벽체방수시트(320)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바닥방수시트(310)를 바닥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벽체방수시트(320)의 일단은 바닥방수시트(310)와 겹침 이음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에 고정되도록 바닥방수시트(310)와 벽체(壁體)에 걸쳐 벽체방수시트(320)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바닥방수시트(310)와 벽체방수시트(320)의 경계를 덮도록 마감테이프(160)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바닥방수시트(310) 및 벽체방수시트(320)를 마련한다. 상기 각 방수시트는 단일 시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복수개의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닥방수시트(310)는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중첩되는 자착식시트(312) 및 내근성시트(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착식시트(312)의 접착면에는 이형지가 붙여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바닥방수시트(310)를 바닥에 부착한다. 자착식시트(312) 및 내근성시트(314)를 포함하는 바닥방수시트(310)는 최초 공장에서부터 일체로 연결된 기성제품으로써, 시공장소로 운송된 후 자착식시트(312)의 접착면에 붙여진 이형지를 제거한 후 직접 시공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 후, 벽체방수시트(320)의 일단이 바닥방수시트(310)와 겹침 이음되고 다른 일단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바닥방수시트(310)와 벽체(壁體)에 걸쳐 벽체방수시트(320)를 부착한다. 이때 벽체에 대한 벽체방수시트(320)의 고정은 스크류 및 앵커와 같은 통상의 체결부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바닥방수시트(310)와 벽체방수시트(320)의 경계를 덮도록 마감테이프(160)를 부착한다. 이러한 마감테이프(160)는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마감테이프(160)의 재질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감테이프(160)는 통상의 PE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감테이프(160)를 부착하기 전에 벽체방수시트(320)의 경계를 따라 실링부(18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80)는 우레탄 실란트와 같은 통상의 실란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감테이프(160)는 실링부(180)를 덮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벽체에는 물받이 또는 비흘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플래싱(330)이 벽체방수시트(320)의 상부를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싱(33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통상의 체결부재를 통해 벽체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플래싱(330)의 재질 및 고정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방수구조의 내근성(방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구조의 이음부분으로 식물뿌리가 침투됨에 따른 균열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방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환경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방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시공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방수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시트들이 별개 부품이 아닌 일체로 연결된 기성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방수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들의 사이에 일일이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방수시공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및 적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송 및 적재에 필요한 시간, 인력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6)

  1.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 상기 자착식시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자착식시트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내근성시트, 및 상기 자착시시트의 노출 부위에 제공되는 섬유질시트를 포함하며, 벽체(壁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에 부착되는 방수시트; 및
    상기 섬유질시트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섬유질시트와 상기 벽체에 걸쳐 형성되는 도막방수층;
    을 포함하는 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 내근성시트 및 상기 섬유질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시트는 직물시트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의 노출 폭은 3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7.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
    상기 자착식시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자착식시트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내근성시트; 및
    상기 자착시시트의 노출 부위에 제공되는 섬유질시트;
    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 내근성시트 및 상기 섬유질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시트는 직물시트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12.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 상기 자착식시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자착식시트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내근성시트, 및 상기 자착시시트의 노출 부위에 제공되는 섬유질시트를 포함하는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를 벽체(壁體)에 인접하게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질시트와 겹침 이음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섬유질시트와 상기 벽체에 걸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 내근성시트 및 상기 섬유질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시트는 직물시트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의 노출 폭은 3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18.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을 따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 되는 복수개의 자착식시트; 및
    상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며, 폭 방향을 따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내근성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 자착식시트의 연결부위와 상기 각 내근성시트의 연결부위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방수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근성시트의 맞댐 연결부위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이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이음부재는 실란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근성시트의 맞댐 연결부위를 덮도록 상기 내근성시트의 상부에 제공되는 마감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24.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 및
    상기 자착식시트와 어긋나게 상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어, 폭 방향을 따라 일단은 상기 자착식시트의 일단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자착식시트의 다른 일단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내근성시트;
    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 및 내근성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28.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자착식시트, 상기 자착식시트와 어긋나게 상기 자착식시트의 상부에 제공되어 폭 방향을 따라 일단은 상기 자착식시트의 일단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자착식시트의 다른 일단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내근성시트를 포함하는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를 바닥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자착식시트 및 상기 내근성시트가 서로 어긋난 연결부위를 갖도록 또 다른 상기 방수시트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 내근성시트는 서로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를 맞댐 이음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각 내근성시트의 맞댐 연결부위 사이에 탄성이음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이음부재는 실란트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근성시트의 맞댐 연결부위를 덮도록 상기 내근성시트의 상부에 마감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35. 바닥에 부착되는 바닥방수시트;
    일단은 상기 바닥방수시트와 겹침 이음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壁體)에 고정되는 벽체방수시트; 및
    상기 바닥방수시트와 상기 벽체방수시트의 경계를 덮도록 부착되는 마감테이프;를 포함하는 방수구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방수시트의 경계를 따라 형성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테이프는 상기 실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실란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방수시트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플래싱(flash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방수시트는 서로 중첩되는 자착식시트 및 내근성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41. 바닥방수시트 및 벽체방수시트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바닥방수시트를 바닥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벽체방수시트의 일단은 상기 바닥방수시트와 겹침 이음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닥방수시트와 벽체(壁體)에 걸쳐 상기 벽체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바닥방수시트와 상기 벽체방수시트의 경계를 덮도록 마감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테이프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벽체방수시트의 경계를 따라 실링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실란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방수시트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벽체에 플래싱(flashing)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방수시트는 서로 중첩되는 자착식시트 및 내근성시트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시트는 아스팔트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근성시트는 PVC시트 또는 재생 PVC시트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시공방법.
KR1020070027035A 2007-03-20 2007-03-20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 KR100778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35A KR100778043B1 (ko) 2007-03-20 2007-03-20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35A KR100778043B1 (ko) 2007-03-20 2007-03-20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043B1 true KR100778043B1 (ko) 2007-11-21

Family

ID=3908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35A KR100778043B1 (ko) 2007-03-20 2007-03-20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04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35B1 (ko) * 2008-05-09 2009-03-26 이대우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방수 시공방법
KR101020607B1 (ko) 2010-11-19 2011-03-09 미래건설(유)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101178156B1 (ko) 2010-12-15 2012-08-29 강남이앤알(주) 바닥용 방수시트 고정방법
KR101242243B1 (ko) * 2007-05-11 2013-03-12 (주)엘지하우시스 이형테이프를 포함하는 건축용 측면 차음/완충재 및 그시공방법
KR101302282B1 (ko) * 2008-09-04 2013-09-03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재
KR101553296B1 (ko) * 2014-12-18 2015-09-16 장진호 벨크로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방수 조립체 및 그 방수 공법
KR101864090B1 (ko) * 2017-11-09 2018-06-29 장정인 실내 복합시트 방수공법
KR20200126568A (ko) 2019-04-30 2020-11-09 김종삼 방수구조
KR20210058444A (ko) 2019-11-14 2021-05-24 김영식 방수보호 플레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674A (en) * 1906-06-04 1907-05-21 Charles R Spicer In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674A (en) * 1906-06-04 1907-05-21 Charles R Spicer Inker.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243B1 (ko) * 2007-05-11 2013-03-12 (주)엘지하우시스 이형테이프를 포함하는 건축용 측면 차음/완충재 및 그시공방법
KR100890435B1 (ko) * 2008-05-09 2009-03-26 이대우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것을 이용한방수 시공방법
KR101302282B1 (ko) * 2008-09-04 2013-09-03 (주)엘지하우시스 차음재
KR101020607B1 (ko) 2010-11-19 2011-03-09 미래건설(유)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101178156B1 (ko) 2010-12-15 2012-08-29 강남이앤알(주) 바닥용 방수시트 고정방법
KR101553296B1 (ko) * 2014-12-18 2015-09-16 장진호 벨크로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방수 조립체 및 그 방수 공법
KR101864090B1 (ko) * 2017-11-09 2018-06-29 장정인 실내 복합시트 방수공법
KR20200126568A (ko) 2019-04-30 2020-11-09 김종삼 방수구조
KR20210058444A (ko) 2019-11-14 2021-05-24 김영식 방수보호 플레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043B1 (ko) 방수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와 그 시공방법
US7267735B2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US8061098B2 (en) Roof/wall structure
US20050229503A1 (en) Rib vent system for roofing panels
KR101397827B1 (ko) 옥상 외단열 방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0975534B1 (ko) 멀티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우레탄 방수시공방법
US20030230040A1 (en) Waterproof-sheet type of roofing shingle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0438127Y1 (ko) 방근시트
US3215243A (en) Method of repairing roofing material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1035909B1 (ko) 단일겹 방수시트의 벽면 마감부위 시공방법
KR100496627B1 (ko) 방수층 접착방식이 개선된 복합방수층 시공 방법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1058118U (zh) 一种三坡金属屋面屋脊交接节点
KR20070085022A (ko)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7863322U (zh) 一种屋面防水结构
KR101051477B1 (ko) 방수 블록, 이를 이용한 건물의 방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20090081082A (ko) 조립식 외단열 방수 구조
KR200405173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연결부재
CN201802010U (zh) 一种保温防水屋面板结构
CN218623477U (zh) 一种屋面渗漏修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