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426B1 -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426B1
KR100777426B1 KR1020060028557A KR20060028557A KR100777426B1 KR 100777426 B1 KR100777426 B1 KR 100777426B1 KR 1020060028557 A KR1020060028557 A KR 1020060028557A KR 20060028557 A KR20060028557 A KR 20060028557A KR 100777426 B1 KR100777426 B1 KR 10077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haring service
computer
provider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819A (ko
Inventor
홍윤환
Original Assignee
(주)닥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닥터소프트 filed Critical (주)닥터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02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426B1/ko
Priority to PCT/KR2007/001533 priority patent/WO2007111487A1/en
Publication of KR2007009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44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hardware capabili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0
    • G06F2209/509Offloa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되,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도록 구현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공유,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클라이언트 처리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Application joint service system, Client process module for application joint service providers, and Client process module for application joint service user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의 시스템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동작 흐름도
도 6 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110 :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
120 :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부
130 :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
140 :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부 150 : 과금처리부
160 :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등록부 170 :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등록부
200 :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210 : 검색부 220 :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230 : 공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40 : 조작제한부
250 : 강제종료부 260 : 환경설정부
270 : 서비스 이용 통보부
300 :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310 : 환경설정부
320 :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부 330 :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
340 : 모니터링부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의 타 사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공유 기술에 관련한 것이다.
컴퓨터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이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모두를 구입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든다. 특히, 자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몇번 쓰기 위해 구입한다는 것은 금전적인 낭비이며, 자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의 용량이 매우 클 경우 이를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는 것은 메모리 낭비일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내부 네트워크망내에서 공유된 타 사용자 컴퓨터 폴더내의 어플리케이션을 내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가 접근하여 이를 해당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상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어플리케이션 공유기술은 비록 어플리케이션이 타 사용자 컴퓨터내에 존재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실행되어 메모리를 점유하는 것은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이므로, 타 사용자 컴퓨터와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간의 성능차이 등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기술은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 요청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선택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어플리케이 션 목록중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게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검색된 하드웨어 사양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하고,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해당 실행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실행되어 공유될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요청하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요청하고,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이양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 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의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버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 공유에 대한 과금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이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제공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Agent) 프로그램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공유하기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공유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따라 소정의 보상 예컨데, 현금, 사이버머니, 경품등의 인센티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요청하고,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이양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110)와,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부(120)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130)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110)는 적어도 1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관리한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110)에 의해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제공자 식별정보, 하드웨어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는 어플리케이션 명, 제공자 식별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ID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IP주소, 하드웨어 사양은 CPU 속도, 메모리 용량, 네트워크 속도 등이다.
즉,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제공자 식별정보, 하드웨어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요청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관리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 요청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 요청을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부(12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목록을 검출하고, 검출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선택한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130)에 의해 수집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상태정보가 각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 상태, 현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여부, 동작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동작 환경정보는 CPU 속도, 메모리 용량, 네트워크 속도 등의 하드웨어 사양 및 운영체제(OS)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13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목록을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 상태, 현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여부, 동작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네트워크에 연 결 상태가 양호하고, 현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가 이용되지 않고, 하드웨어 사양이나 운영체제가 해당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적당한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선택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부(14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130)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하도록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간의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제어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130)를 통해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가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해당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명령하고,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간을 직접 연결시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간의 어플리케이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가 사설망(Vpn)이나 방화벽(Firewall) 등에 의해 외부에서 직접 접속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 직접 접근 불가능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부(140)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접 접속방식의 P2P 기술이나, 서버 중계방식의 P2P 기술에 관련해 서는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며, 본원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 범위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되,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이 과금처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처리부(15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과금을 처리한다. 이 때, 상기 과금처리부(150)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시간에 따라 과금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과금처리부(150)에 의한 과금은 인터넷 신용카드 결제, 인터넷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 결제 등의 다양한 온라인 결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 유 서비스 시스템(100)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등록부(160)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등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등록부(16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등록을 처리하고, 회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을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등록부(170)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등록을 처리하고, 회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을 제공한다.
즉,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회원제 서비스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등록부(160)를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회원 등록을 처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등록부(170)를 통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회원 등록을 처리한다. 이러한 회원 등록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절차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110)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에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지 검사하여, 원활히 수행 가능한 어플리케이 션의 정보만 등록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즉,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 요청된 어플리케이션들중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에서 원활하게 수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만 등록시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의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110)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 제공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등록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즉,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 요청된 어플리케이션들중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제공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만 등록시켜 저작권 문제 등을 해결하여 안정적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효과를 도 3 을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요청(S110)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어 플리케이션 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S120)한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 요청(S130)을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부(12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S140)받는다.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13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목록을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검출(S150)하고, 검출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 상태, 현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여부, 동작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선택(S160)한다.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가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해당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처리(S170)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간의 어플리케이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 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되,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검색부(210)와, 어플리케이션 등록부(220)와, 공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검색부(21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검색한다. 이 때, 상기 검색부(210)에 의해 검색된 하드웨어 사양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CPU 속도, 메모리 용량, 네트워크 속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등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이 전송 및 설치되어 실행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상기 검색부(210)를 통해 CPU 속도, 메모리 용량, 네트워크 속도 등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과 설치된 어플리케 이션 목록을 검색한다.
예컨데, 상기 검색부(21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되는 시스템 관리정보로부터 하드웨어 정보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하드웨어 정보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220)는 상기 검색부(210)에 의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중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게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검색부(210)에 의해 검색된 하드웨어 사양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
즉, 상기 검색부(21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검색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220)를 통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게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게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아,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검색부(210)에 의해 검색된 하드웨어 사양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을 요청한다. 그러면, 기설명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 비스 등록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해당 실행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설정한다.
만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된 상태에서 기설명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요청이 전송되게 되고,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상기 공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를 통해 해당 실행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설정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이 조작제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제한부(240)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제어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측의 조작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조작제한부(240)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제어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을 더 차단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상대방 정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가 멀티태스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동안 상기 조작부(24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마우스, 키보드, 화면보기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거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가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24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보지못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접근을 차단한다거나 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제어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측의 조작을 차단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시 상기 조작제한부(24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내의 디렉토리 및 파일에 대한 조회 및 검색,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등의 드라이브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 터에 의해 제어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한 상대방 조작 차단 기술에 관련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 실시예적인 사항이며,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이 어플리케이션 강제종료부(25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강제종료부(250)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특정 시간 대기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이용중인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피치 못할 사정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전원을 오프한다거나 하는 등 어플리케이션 종료가 필요할 경우, 이 사실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자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구성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강제종료부(250)를 통해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종료를 통보하고, 특정 시간 대기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 강제종료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이 환경설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환경설정부(260)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을 설정한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제공 시간대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의 환경설정에 대한 구성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는 상기 환경설정부(26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제공 시간대 등의 각종 실행환경을 설정한다. 그러면, 이러한 환경설정에 맞게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이 서비스 이용 통보부(27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서비스 이용 통보부(270)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공유되고 있음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게 통보한다.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시점 즉,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 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점에 상기 서비스 이용 통보부(27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공유되고 있음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게 통보하여 알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의 동작 효과를 도 5 를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등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이 전송 및 설치되어 실행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검색부(210)를 통해 CPU 속도, 메모리 용량, 네트워크 속도 등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검색(S210)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검색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어플리케이션 등록부(220)를 통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게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게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S220)받는다.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검색된 하드웨어 사양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을 요청(S230)하고,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 처리가 수행된다.
만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수신(S240)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200)은 공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30)를 통해 해당 실행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설정(S250)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되,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 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은 환경설정부(310)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부(320)와,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330)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다.
상기 환경설정부(310)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실행되어 공유될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환경을 설정한다.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등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이 전송 및 설치되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는 상기 환경설정부(310)를 통해 공유될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환경을 설정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부(320)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요청하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만일,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부(3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요청하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여 표시하고, 이 목록을 열람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는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33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 부(320)에 의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이양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환경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디렉토리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하는 가상 디렉토리로 설정한다.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 의해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중 최적의 컴퓨터를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처리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이양하고,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33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이양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330)는 상기 환경설정부(310)에 의해 설정된 디렉토리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하는 가상 디렉토리로 설정하여 이 디렉토리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파일의 저장 및 임시저장을 처리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되,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 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 모니터링부(34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 모니터링부(34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어 공유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시간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 모니터링부(340)가 어플리케이션 종료시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으나, 안전한 과금을 위해 특정 주기로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이용시간을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가 공유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 모니터링부(340)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어 공유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시간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한 과금 처리를 위해 필요한 이용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부분은 어플리케 이션의 비정상 동작이나 무한 루틴 에러 등에 의한 부당한 과금을 방지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할 경우 예컨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가 사설망(Vpn)이나 방화벽(Firewall) 등에 의해 외부에서 직접 접속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 직접 접근 불가능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등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구현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의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330)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종료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종료 메시지 수신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요청시나, 어플리케이션의 비정상 동작이나 무한 루틴 에러 등의 이상 발생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한 구성으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종료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종료 메시지 수신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330)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의 동작 효과를 도 7 을 참조하여 알아 본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동작 흐름도이다.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등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이 전송 및 설치되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의 환경설정부(310)를 통해 공유될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환경을 설정(S310)한다.
만일,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부(3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요청(S320)하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여 표시하고, 이 목록을 열람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는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S330)한다.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에 의해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1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중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처리(S340)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 어권을 이양하고,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3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330)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이양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S350)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되,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위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원격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서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되, 종래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실행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므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측의 메모리 할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사양과 거의 무관하게 원격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 요청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받는 어플리케이션 목록 제공부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따라, 상기 데이타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목록을 검출하고, 검출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최적의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하도록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간의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과금을 처리하는 과금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등록을 처리하고, 회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등록을 처리하고, 회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을 제 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관리부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에 직접 접근 불가능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에서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지 검사하여, 원활히 수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만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가: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제공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 제공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목록 관리부에 의해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제공자 식별정보, 하드웨어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 상태 관리부에 의해 수집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상태정보가 각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들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 상태, 현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이용여부, 동작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10.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시간에 따라 과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
  11.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하드웨어 사양과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검색하는 검색부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중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게 공유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와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드웨어 사양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라, 해당 실행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설정하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제어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측의 조작을 차단하는 조작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한부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제어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을 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현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공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특정 시간 대기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어플리케이션 강제종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5.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환경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제공 시간대 설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7.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드웨어 사양이 해당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의 CPU 속도, 메모리 용량, 네트워크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8.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에 의해 공유되고 있음을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에게 통보하는 서비스 이용 통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19. 공유될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컴퓨터의 디렉토리 설정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부와;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요청하여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으로부터 공유하기를 원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요청부에 의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을 이양받아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환경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디렉토리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하는 가상 디렉토리로 설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를 통해 실행되어 공유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시간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 모니터링부가:
    특정 주기로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을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부가: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종료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자 컴퓨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종료 메시지 수신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KR1020060028557A 2006-03-29 2006-03-2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KR10077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557A KR100777426B1 (ko) 2006-03-29 2006-03-2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PCT/KR2007/001533 WO2007111487A1 (en) 2006-03-29 2007-03-29 Application sharing service system, application provider's client module and application user's client module for application shar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557A KR100777426B1 (ko) 2006-03-29 2006-03-2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819A KR20070097819A (ko) 2007-10-05
KR100777426B1 true KR100777426B1 (ko) 2007-11-22

Family

ID=3854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557A KR100777426B1 (ko) 2006-03-29 2006-03-29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77426B1 (ko)
WO (1) WO2007111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53B1 (ko) 2010-03-19 201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적합성 애플리케이션 최적화장치 및 방법
KR101973531B1 (ko) * 2010-12-17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1850817B1 (ko) 2011-11-17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25927B1 (ko) * 2012-01-16 2013-11-07 주식회사 퓨전소프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KR101868173B1 (ko) * 2013-12-16 2018-06-15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공유 방법 및 장치
FR3021831A1 (fr) * 2014-06-03 2015-12-04 Orange Procede et dispositif de partage d'appl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643A (ko) * 2000-07-31 2003-03-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에이전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7729B1 (en) * 1996-10-07 2004-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environment manager for network computers
WO2001009776A1 (en) * 1999-08-02 2001-02-08 Tae Gyu Lee Remote saving method of the searc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US20040187104A1 (en) * 2003-03-18 2004-09-23 Shantanu Sardesai Operating system deployment methods and systems
US7555543B2 (en) * 2003-12-19 2009-06-30 Microsoft Corporation Server architecture for network resource information rou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643A (ko) * 2000-07-31 2003-03-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에이전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819A (ko) 2007-10-05
WO2007111487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058B2 (en) Extending functionality of applications
EP2745219B1 (en) Manag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network resources
KR100777426B1 (ko)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 시스템과 어플리케이션 공유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및 어플리케이션 공유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용자측 클라이언트 처리모듈
CN101727449A (zh) 利用远程应用处理本地文件的系统和方法
KR101301352B1 (ko) 구독 사용 유효성 시행
JP5047870B2 (ja) マスタ管理システム、マスタ管理方法、およびマスタ管理プログラム
US93980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1548582A1 (en) Method for managing use of storage region by application
JP2004302741A (ja) グリッ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を用いた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装置,その監視装置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提供端末用プログラム
KR101602760B1 (ko) p2p 연결을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트래픽의 절감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6239B1 (ko) 스트리밍 기반 이동형 소프트웨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604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05124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resources with actions
JP364200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23011738A (ja) 通信モジュー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1443006B1 (ko) 로컬 장치의 공유 액세스
WO2012164711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ソフトウエア検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48518A (ja) Usbデバイス
US8499023B1 (en) Servlet-based grid computing environment using grid engines and switches to manage resources
JP6202507B1 (ja)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02557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2013128172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70314B2 (ja) サービス制御装置およびサービス制御プログラム
JP542171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6279431A (ja) 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通信制御手段を有する電気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