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358B1 - 고압산소 튜브 - Google Patents

고압산소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358B1
KR100777358B1 KR1020060048038A KR20060048038A KR100777358B1 KR 100777358 B1 KR100777358 B1 KR 100777358B1 KR 1020060048038 A KR1020060048038 A KR 1020060048038A KR 20060048038 A KR20060048038 A KR 20060048038A KR 100777358 B1 KR100777358 B1 KR 100777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pace
folded
folded portion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호
Original Assignee
송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호 filed Critical 송태호
Priority to KR102006004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61G10/026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4Oxygen tents ; Oxygen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산소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둘레부에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주입구(12)와 출입수단(11)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공간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 좌우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태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를 일자형 튜브(10)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2공간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공간지(20)와 제2공간지(30)는 각각 내부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팽창부재(25,35)와, 상기 팽창부재(25,35)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27,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뇌졸증이나 연탄가스 중독자와 같은 환자뿐만 아니라, 과격한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나 수험생과 같이 산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을 튜브의 내부에 확보된 넓은 공간에 편안하고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고, 출입구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출입이 매우 용이하고, 출입구를 측면부로 낼 수 있기 때문에, 중증의 뇌졸증을 앓고 있는 사람과 같이 몸을 스스로 거동할 수 없는 사람도 편안하게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항상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도 자신이 스스로 편안하게 측면부로 난 출입구를 통해 쉽게 출입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고압산소, 튜브, 공간, 제1공간지, 제2공간지

Description

고압산소 튜브{High pressure oxygen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본 4는 발명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인 제1공간지와 튜브를 접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인 제1공간지와 튜브를 접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3실시예의 주요부인 제1공간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3실시예의 다른 주요부인 제2공간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튜브 20. 제1공간지
30. 제2공간지 40. 테두리 프레임
본 발명은 고압산소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뇌졸증이나 연탄가스 중독자와 같은 환자뿐만 아니라, 과격한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나 수험생과 같이 산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을 튜브의 내부에 확보된 넓은 공간에 편안하고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출입구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여러 모로 편리한 고압산소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산소 치료기(Hyperbaric Therapy)는 특수 제작된 챔버의 내부에 치매성 노인질환이나 뇌졸증을 앓고 있는 환자나 화재시 유독가스 중독자 또는 연탄가스 중독자 등을 수용하고, 챔버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순수 청정 산소를 호흡하도록 하여 치료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것이다. 즉, 뇌에 충분한 산소을 공급함으로써 자연 치유력을 높여서 각종 성인병 질환자의 치료 및 예방과 응급환자 등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3-82207호로 출원된 고압산소 치료기가 있다. 이러한 고압산소 치료기는 환자가 출입하는 출입수단이 구비되며 산소 및 압축공기 주입시 밀폐성이 유지되는 챔버와, 이 챔버의 내부에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환자가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보강부재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수단과, 상기 챔버의 저면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챔버의 내부에 수용된 환자를 복수개의 보강부재에 의해 안정적으로 수용한 상태에서 산소공급수단에 의해 챔버의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고압산소 치료기는 환자를 챔버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보강부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챔버 내부의 공간이 그만큼 비좁아지며, 이로 인해, 환자를 편안하고 신속하게 챔버의 내부에 수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욱이, 챔버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챔버의 외부 하측에 별도로 지지부재를 대주어야 하고, 챔버의 내부 바닥면에는 평평한 바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쿠션부재를 대주어야 하므로, 챔버 내부의 공간이 그만큼 더 비좁아질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에는 복수개의 보강부재를 챔버의 내부 측면부에 대주는 형태로서, 챔버의 상측에 출입구를 확보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중증 뇌졸증 환자와 같이 자신이 혼자 거동할 수 없는 사람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이 환자의 몸을 상측으로 들어서 출입구를 통해 챔버의 내부에 수용해야 하므로, 사용하기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적어도 두 사람 이상이 힘을 써야 환자를 챔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출입구가 챔버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아주 중증은 아니지만 누워서 생활해야 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챔부의 내부에 전혀 들어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고압산소 치료기는 자신이 몸을 전혀 거동할 수 없는 사람이나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에게는 거의 무용지물에 가깝다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뇌졸증이나 연탄가스 중독자와 같은 환자뿐만 아니라, 과격한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나 수험생과 같이 산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을 튜브의 내부에 확보된 넓은 공간에 편안하고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출입구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출입이 매우 용아한 새로운 구성의 고압산소 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구를 측면부로 낼 수 있기 때문에, 중증의 뇌졸증을 앓고 있는 사람과 같이 몸을 스스로 거동할 수 없는 사람도 편안하게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항상 누워서 생활하는 사람도 자신이 스스로 편안하게 측면부로 난 출입구를 통해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고압산소 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널리 알려진 산소방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고압산소 튜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레부에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주입구(12)와 출입수단(11)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공간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 좌우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태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를 일자형 튜브(10)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2공간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공간지(20)와 제2공간지(30)는 각각 내부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팽창부재(25,35)와, 상기 팽창부재(25,35)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27,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및 제2공간지(30,40)의 각 팽창부재(25,35)는 가장 안쪽의 섬유층(25a)과, 상기 섬유층(25a)의 외면에 바인더층(25b)에 의해 코팅된 시트층(25c,25d)으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층(25c,25d)는 내측시트(25c)와 외측시트(25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간지(20)의 외곽부에 결합된 테두리 프레임(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40)은 상하벽부(42)와, 상기 상하벽부(42)를 연결하는 측벽부(44)를 갖는 단면 채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공간지(20)지패널의 둘레부에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접합편(14a)이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10)의 하측단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수평접합편(5a)과 수직접합편(5b)을 갖는 단면 형태의 접합부재(5)가 구비되어, 상기 접합부재(5)의 수평접합편(5a)은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고 상기 수직접합편(5b)은 상기 튜브(10)의 하측부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열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진 제1절첩 부(16a)과, 상기 제1절첩부(16a)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져 상기 제1절첩부(16a)의 저면에 구비된 제2절첩부(16b)와, 상기 제2절첩부(16b)에서 이어지면서 상기 튜브(10)의 내벽면 방향으로 접혀져 상기 제2절첩부(16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절첩부(16c)와, 상기 제3절첩부(16c)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튜브(10)의 하측 내벽면과 맞닿는 수직 방향의 제4절첩부(16d)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절첩부(16a,16b,16c)를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4절첩부(16d)를 상기 튜브(10)의 내벽면에 접합하여 상기 튜브(10)의 하단부를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견고하게 열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10)에는 안전밸브(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튜브(10)의 산소압을 상기 안전밸브(50)에 의해 자동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둘레부에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주입구(12)와 출입수단(11)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공간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 좌우측 내벽면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튜브(10)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튜브(10)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일자형 튜브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측 팽창튜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간지(20)는 내부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팽창부재(25)와, 상기 팽창부재(25)의 서로 마 주하는 내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본 4는 발명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인 제1공간지와 튜브를 접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주요부인 바닥의 공간지와 튜브를 접합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3실시예의 주요부인 제1공간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3실시예의 다른 주요부인 제2공간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3실시예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하측에 구비된 제1공간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 좌우측에 구비된 제2공간지(30)를 갖는다.
상기 튜브(10)는 플렉시블한 필름 형태의 수지로 긴 일자형 튜브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튜브(10)의 적어도 일측면에 출입수단(11)이 구비된다. 이 출입수단(11)은 이중지퍼로 구성되어, 튜브(10)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튜브(10)의 일측면에 환자나 기타 사람들이 드나드는 출입구를 형성한다. 또한, 튜브(10)의 양단부에는 고압산소 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주입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부호 50은 안전밸브로서, 이 안전밸브(50)가 튜브(10) 내부의 산소압을 자동 조절하여 튜브(10) 내부의 산소압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부호 17a, 18a는 각각 투명창 으로서, 튜브(10)의 내부에 수용된 사람의 상태를 외부에서 살필 수 있다. 그리고, 튜브(10)의 일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압력게이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공간지(20)는, 도 1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압축공기 주입공간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팽창부재(25)와, 이 팽창부재(25)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2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25)는 가장 안쪽의 섬유층(25a)과, 이 섬유층(25a)에 바인더층(25b)에 의해 코팅된 시트층(25c,25d)으로 구성된다. 이때, 시트층(25c,25d)은 내측시트(25c)와, 이 내측시트(25c)의 외면에 부착된 외측시트(25d)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공간지(20)에는 도시 안된 압축공기 주입구가 구비되어, 압축공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제1공간지(20)가 직사각형 패널 형상으로 펼쳐진다. 즉, 제1공간지(20)는 압축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접혀질 수 있는 한편, 압축공기가 주입되면 사각 패널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혀진 한 쌍의 접합편(14a)이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된다. 즉,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의 각 접합편(14a)의 상면에 열간롤러(r1)를 배치하고, 제1공간지(20)의 저면에는 열간롤러(r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롤러(r2)를 배치하여 열간롤러(r1)와 가이드롤러(r2)를 함께 제1공간지(20)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시키면, 튜브(10) 하단 양측의 각 접합편(14a)이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어 튜브(10)의 양측 하단부가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밀봉되도 록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10)의 하측단 외벽면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수평접합편(5a)과 수직접합편(5b)을 갖는 단면 형태의 접합부재(5)가 구비되어, 상기 접합부재(5)의 수평접합편(5a)은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고 수직접합편(5b)은 튜브(10)의 하측부 외벽면에 열접합된다. 이때, 접합부재(5)와 튜브(10) 및 제1공간지(20)는 열간롤러(r1)와 가이드롤러(r2)에 의해 열접합되는 것은 튜브(10)의 각 접합편(14a)과 제1공간지(20)를 열접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이러한 열접합 방법으로 제1공간지(20)를 튜브(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접합하는데, 제1공간지(20)에는 도시 안된 압축공기 주입구가 구비되어, 이 압축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제1공간지(20)가 사각패널 형상으로 팽창되며, 이렇게 사각패널 형상으로 팽창된 제1공간지(20)에 의해 튜브(10)의 하측부가 지면에 받쳐져 지지된다.
상기 제2공간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의 내부 좌우측에 직립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2공간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지(2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압축공기 주입공간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팽창부재(35)와, 이 팽창부재(35)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을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3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공간지(30)는 가장 안쪽의 섬유층(35a)과, 이 섬유층(35a)의 외면에 바인더층(35b)에 의해 코팅된 시트층(35c,35d)으로 구성되고, 시트층(35c,35d)은 내측시트(35c)와 외측시트(35d)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공간지(30)는 하측부가 튜브(10)의 좌우측 바닥면에 부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 부착수단은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수단이 될 수도 있고 열융착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공간지(30)에는 도시안된 압축공기 주입구가 구비되어, 압축공기 주입구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팽창된다. 구체적으로, 제1공간지(20)에 대해 수직 방향의 패널 형상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상기 튜브(10)가 긴 일자형 튜브(10)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공간지(30)에 의해 좌우측이 지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공간지(20)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제1공간지(20)를 사각 패널 형상으로 팽창시킴과 동시에 제2공간지(30)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제2공간지(30)를 패널 형상으로 팽창시키면, 상기 제1공간지(20)에 의해 튜브(10)의 하측이 지지되고, 제2공간지(30)에 의해 튜브(10)의 좌우측이 지지되기 때문에, 튜브(10)가 긴 일자형 튜브(10)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튜브(10)의 일측에 구비된 출입수단(즉, 이중지퍼)에 의해 튜브(10)를 개방하여 환자나 기타 산소가 필요한 사람들을 튜브(10) 내부의 챔버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튜브(10) 하측의 제1공간지(20)에 의해 튜브(10)의 하측을 지지함과 더불어 제2공간지(30)에 의해 튜브(10)의 양측을 지지하여 튜브(10) 내부의 챔버에 상대적으로 넓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을 편안하고 신속하게 튜브(10)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튜브(10)가 길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불필요하여 튜 브(10)에 상대적으로 넓은 출입구를 확보할 수 있으면, 출입하기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보강부재를 챔버의 내부 측면부에 대주는 구조가 아니라서, 튜브(10)의 측면부에 출입수단(11)(즉, 지퍼와 같은 출입구)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증 뇌졸증 환자와 같이 자신이 혼자 거동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이 환자를 튜브(10) 상측부까지 들지 않고 바닥에 눕힌 상태에서 환자를 튜브(10)의 측면부 출입수단(11)을 통해 수용할 수 있으므로, 환자를 수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중증은 아니지만 항상 누워서 생활하면서 몸을 조금은 가눌 수 있는 환자의 경우, 환자 자신이 바닥에 누워서 튜브(10)의 측면부로 형성된 출입수단(11)(즉, 출입구)를 열어서 환자 자신의 상체를 먼저 튜브(10)의 안쪽으로 밀어넣고 다시 다리 부분을 튜브(10)의 안쪽을 밀어넣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튜브(10)의 내부에 들어가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몸을 전혀 가눌수 없는 환자가 아니고 바닥에 누워서 몸을 가눌 수 있는 정도의 사람은 충분히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특히, 본 발명은 튜브(10)의 측면부로 난 출입수단(11)은 튜브(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지퍼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그 길이가 대략 170cm에서 180cm까지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출입구의 길이가 훨씬 더 길게 확보되므로, 튜브(10)의 내부로 출입하기가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튜브(10)의 내부에 보강용 프레임을 대주지 않아 서 튜브(10) 내부의 공간을 종래에 비하여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튜브(10) 내부의 내부에 들어가서 보다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3의 제2공간지(30) 대신에 좌우측 팽창튜브(60)를 채용한다.
상기 좌우측 팽창튜브(60)는 튜브(10)의 내부 좌우측 내벽면에 일체로 구비되는데, 튜브(10)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좌우측 팽창튜브(60)의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좌우측 팽창튜브(60)가 대략 아치형으로 팽창되면서 튜브(10)의 좌우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튜브(10)가 일자형 튜브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튜브(10)의 내부에 사람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확보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우측 팽창튜브(60)에는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이때, 좌우측 팽창튜브(60)는 필름 형태의 수지의 양측단에 접합리브(62)가 구비되어, 이 접합리브(62)를 튜브(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열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밖에도, 좌우측 팽창튜브(60)를 하나의 아치형 튜브 형상으로 구성하여, 아치형 튜브 형상의 좌우측 팽창튜브(60) 자체를 상기 튜브(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열접하는 방식도 채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공간지(20)의 외곽부에는 테두리 프레임(40)이 더 구비된다. 이 테두리 프레임(40)은 상하벽부(42)와, 이 상하벽부(42)를 연결하는 측벽부(44) 를 갖는 단면 채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공간지(20)의 둘레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테두리 프레임(40)은 제1공간지(20)를 압축공기로 팽창시킬 때 제1공간지(20)의 외곽 테두리부분이 상측으로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게 튜브(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공간지(2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함과 동시에 제2공간지(30)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튜브(10)를 일자형 튜브(10) 형태로 펼치게 되는데, 이러한 순간에 제1공간지(20)의 외각 테두리부가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향으로 말려올라가려 하는데, 상기 테두리 프레임(40)이 사각틀 형상으로 제1공간지(20)의 외곽 테두리부분을 잡아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1공간지(20)의 사방 둘레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상기 튜브(10)의 하측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진 제1절첩부(16a)와, 상기 제1절첩부(16a)에서 내측 저면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져 제1절첩부(16a)의 저면에 구비된 제2절첩부(16b)와, 상기 제2절첩부(16b)에서 이어지면서 튜브(10)의 내벽면 방향으로 접혀져 제2절첩부(16b)의 상측에 구비된 제3절첩부(16c)와, 상기 제3절첩부(16c)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튜브(10)의 하측 내벽면과 맞닿는 제4절첩편(16d)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절첩부(16a)와 제2절첩부(16b) 및 제2절첩부(16b)와 제3절첩부(16c)을 상기 제1공간 지(20)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열접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4절첩부(16d)를 튜브(10)의 내벽면에 접합하여 튜브(10)의 양측 하단부를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견고하게 열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a와 도 6b의 경우에는 세 군데의 열접합 개소가 형성되어, 어느 한 개소의 열접합 부분의 밀봉이 해제되더라도 쉽게 튜브(10)와 제1공간지(20) 사이의 밀봉이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뇌졸증 환자나 치매 환자와 같은 뇌질환자를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이 밖에도 과격한 운동선수을 한 운동선수의 피로 회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도 및 수험생의 경우 머리가 맑아지도록 하기 위한 용도 등과 같이 기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부언하면,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널리 알려진 산소방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사람이 보다 편안하게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튜브(10)의 바닥면, 즉,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스폰지와 같은 쿠션부재(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고압산소 튜브는 튜브 내부의 챔버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환자, 예컨데, 연탄가스 중독자나 뇌졸증 환자 또는 치매환자와 같은 각종 환자는 물론 피로회복을 원하는 사람, 예컨대, 과격한 운동을 한 운동선수나 공부에 시달리는 수험생 등과 같이 산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을 편안하고 신속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출입구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부언하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산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신속하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며, 나아가 널리 알려진 산소방을 대체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12)

  1. 둘레부에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주입구(12)와 출입수단(11)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공간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 좌우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태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를 일자형 튜브(10)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2공간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공간지(20)와 제2공간지(30)는 각각 내부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팽창부재(25,35)와, 상기 팽창부재(25,35)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27,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지(20)의 외곽부에 결합된 테두리 프레임(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40)은 상하벽부(42)와, 상기 상하벽부(42)를 연결하는 측벽부(44)를 갖는 단면 채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공간 지(20)지패널의 둘레부에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접합편(14a)이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10)의 하측단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수평접합편(5a)과 수직접합편(5b)을 갖는 단면 형태의 접합부재(5)가 구비되어, 상기 접합부재(5)의 수평접합편(5a)은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고 상기 수직접합편(5b)은 상기 튜브(10)의 하측부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열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진 제1절첩부(16a)과, 상기 제1절첩부(16a)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져 상기 제1절첩부(16a)의 저면에 구비된 제2절첩부(16b)와, 상기 제2절첩부(16b)에서 이어지면서 상기 튜브(10)의 내벽면 방향으로 접혀져 상기 제2절첩부(16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절첩부(16c)와, 상기 제3절첩부(16c)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튜브(10)의 하측 내벽면과 맞닿는 수직 방향의 제4절첩부(16d)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절첩부(16a,16b,16c)를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4절첩부(16d)를 상기 튜 브(10)의 내벽면에 접합하여 상기 튜브(10)의 하단부를 상기 제1공간지(20)의 상면에 견고하게 열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그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출입수단(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7. 둘레부에 산소발생기와 연결되는 산소주입구(12)와 출입수단(11)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간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져서 상기 튜브(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공간지(20)와, 상기 튜브(10)의 내부 좌우측 내벽면에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튜브(10)의 길이 방향 중심선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튜브(10)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일자형 튜브 형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측 팽창튜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간지(20)는 내부에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패널 형상으로 펼쳐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팽창부재(25)와, 상기 팽창부재(25)의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양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부재(2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지(20)의 외곽부에 결합된 테두리 프레임(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40)은 상하벽부(42)와, 상기 상하벽부(42)를 연결하는 측벽부(44)를 갖는 단면 채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지(20)의 둘레부에 끼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접합편(14a)이 상기 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10)의 하측단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수평접합편(5a)과 수직접합편(5b)을 갖는 단면 형태의 접합부재(5)가 구비되어, 상기 접합부재(5)의 수평접합편(5a)은 상기 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되고 상기 수직접합편(5b)은 상기 튜브(10)의 하측부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열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양측 하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진 제1절첩부(16a)과, 상기 제1절첩부(16a)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도록 접혀져 상기 제1절첩부(16a)의 저면에 구비된 제2절첩부(16b)와, 상기 제2절첩부(16b)에서 이어지면서 상기 튜브(10)의 내벽면 방향으로 접혀져 상기 제2절첩부(16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절첩부(16c)와, 상기 제3절첩부(16c)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튜브(10)의 하측 내벽면과 맞닿는 수직 방향의 제4절첩부(16d)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절첩부(16a,16b,16c)를 상기 공간지(20)의 상면에 열접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4절첩부(16d)를 상기 튜브(10)의 내벽면에 접합하여 상기 튜브(10)의 하단부를 상기 공간지(20)의 상면에 견고하게 열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0)는 그 양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출입수단(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산소 튜브.
KR1020060048038A 2006-05-29 2006-05-29 고압산소 튜브 KR10077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38A KR100777358B1 (ko) 2006-05-29 2006-05-29 고압산소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38A KR100777358B1 (ko) 2006-05-29 2006-05-29 고압산소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358B1 true KR100777358B1 (ko) 2007-11-28

Family

ID=3908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038A KR100777358B1 (ko) 2006-05-29 2006-05-29 고압산소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35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054B1 (ko) * 2011-08-30 2013-08-06 송태호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KR101304197B1 (ko) 2011-06-30 2013-09-05 (주)메디코넷 공기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고압 산소 체임버
KR101383325B1 (ko) * 2012-07-20 2014-04-08 정재찬 산소방
KR20160069937A (ko) * 2014-12-09 2016-06-17 (주)옥시캡플러스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KR101746656B1 (ko) 2015-09-02 2017-06-27 (주)카우스 소프트 타입 산소 챔버
US9987183B2 (en) 2014-10-29 2018-06-05 Ibex Medical Systems Co., Ltd. Overlay portable hyperbaric oxygen chamber
KR101893936B1 (ko) 2017-09-21 2018-08-31 주식회사 웃샘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KR20210131821A (ko) * 2020-04-25 2021-11-03 신동우 튜브식 다중압력 일체형 챔버시스템
KR102556934B1 (ko) 2022-02-25 2023-07-19 박수민 풀케어 음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4716B1 (en) 1997-07-22 2002-11-26 Kci Licensing, Inc. Hyperbaric oxygen patient treatment system with therapeutic surface
KR20050048304A (ko) * 2003-11-19 2005-05-24 김형완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KR20060057560A (ko) * 2006-05-02 2006-05-26 남경아 간이식 산소방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4716B1 (en) 1997-07-22 2002-11-26 Kci Licensing, Inc. Hyperbaric oxygen patient treatment system with therapeutic surface
KR20050048304A (ko) * 2003-11-19 2005-05-24 김형완 상부 개방형 고압산소 치료기
KR20060057560A (ko) * 2006-05-02 2006-05-26 남경아 간이식 산소방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97B1 (ko) 2011-06-30 2013-09-05 (주)메디코넷 공기 누출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고압 산소 체임버
KR101293054B1 (ko) * 2011-08-30 2013-08-06 송태호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KR101383325B1 (ko) * 2012-07-20 2014-04-08 정재찬 산소방
US9987183B2 (en) 2014-10-29 2018-06-05 Ibex Medical Systems Co., Ltd. Overlay portable hyperbaric oxygen chamber
KR20160069937A (ko) * 2014-12-09 2016-06-17 (주)옥시캡플러스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KR101675083B1 (ko) 2014-12-09 2016-11-22 (주)옥시캡플러스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KR101746656B1 (ko) 2015-09-02 2017-06-27 (주)카우스 소프트 타입 산소 챔버
KR101893936B1 (ko) 2017-09-21 2018-08-31 주식회사 웃샘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KR20210131821A (ko) * 2020-04-25 2021-11-03 신동우 튜브식 다중압력 일체형 챔버시스템
KR102340295B1 (ko) 2020-04-25 2021-12-23 주식회사 스타웍스 튜브식 다중압력 일체형 챔버시스템
KR102556934B1 (ko) 2022-02-25 2023-07-19 박수민 풀케어 음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358B1 (ko) 고압산소 튜브
EP1795089B1 (en) Inflatable mattress assembly
TWI361685B (en) Method to occlude patient entrapment zones
ES2393257T3 (es) Colchón de uso personal para un único paciente, que tiene una única costura perimetral
KR101293054B1 (ko)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US6775868B1 (en) Inflatable mattress system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383325B1 (ko) 산소방
CA2577693C (en) Inflatable cushion system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RU2560313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JP5906310B2 (ja) スライディング方式の温熱治療器
CN110327173A (zh) 软体氧舱
JP5027279B2 (ja) 簡易の隔離設備、隔離壁およびトイレ付ベッド
JP2000308547A (ja) マットレス装置
JP2004351217A (ja) 伏臥就寝、休養又は治療用クッション用具
JP7016999B1 (ja) 介護用半身入浴装置の浴槽フレーム
JP2010536500A (ja) 患者の捕捉領域を塞ぐ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9264022A (ja) 空間ユニット
JP2010536500A5 (ko)
KR101675087B1 (ko)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JP2010065726A (ja) 高気圧式酸素供給装置およびチャンバ
CN206403860U (zh) 一种便携式心肺复苏急救箱
CN101166447A (zh) 用于支撑人或动物的装置
CN218356606U (zh) 一种纳米洗浴护理床
JP2005319077A (ja) 高気圧エアーチャンバ装置
KR101752747B1 (ko)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