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395B1 -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395B1
KR100776395B1 KR1020060115401A KR20060115401A KR100776395B1 KR 100776395 B1 KR100776395 B1 KR 100776395B1 KR 1020060115401 A KR1020060115401 A KR 1020060115401A KR 20060115401 A KR20060115401 A KR 20060115401A KR 100776395 B1 KR100776395 B1 KR 10077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ated hemoglobin
hemoglobin
cartridge
unit
gly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우
이성동
김민선
석홍성
이기원
전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06011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1Blood by separating the blood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3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sedime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샘플 내의 당화혈색소를 분리하여 측정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발광부, 제1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담겨져 있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제1 혈색소 측정부,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시료용액 내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와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이 경과되면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제2 혈색소 측정부, 제1, 제2 혈색소 측정부에서 측정된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당화혈색소 처리부를 포함한다.
당화혈색소, 결합물질, 비드, 시료

Description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Equip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일예,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탑 커버의 저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측정 셀의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혈액샘플 내에 존재하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 일예,
도10은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혈액샘플 내에 존재하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 다른 예,
도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 크기별 중력에 의한 침전 시간에 관한 실시 결과 그래프,
도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 크기별 당화혈색소 반응 정도에 관한 실시 결과 그래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서 교반판의 유무에 따른 당화혈색소 분리 실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혈액 샘플 내의 당화혈색소를 분리하여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적혈구(Red Blood Cell)에는 혈색소(Hemoglobin)라고 하는 산소 운반에 필요한 단백질이 들어있다. 혈액속에 혈당(포도당)이 상승하면 혈액내의 포도당의 일부가 혈색소에 결합된다. 이렇게 포도당과 결합된 혈색소(Hemoglobin)를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라고 하며, 헤모글로빈 에이원씨(HbA1c)라고도 부른다.
정상 적혈구의 수명은 약 120일 정도이며, 우리 몸안에서는 매일 일부의 적혈구가 파괴되며, 이 파괴된 양과 비슷한 양의 적혈구가 생성되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한번 포도당과 결합되어 당화혈색소가 만들어지면 그 적혈구 수명이 다 되어 분해될 때까지 당화혈색소를 가지고 있게 된다.
혈당검사는 매일 매일 피속의 당분이 얼마만큼 있는가를 체크하는 검사인 반면에, 당화혈색소 검사는 평균 8주간의 혈당치를 반영한다. 혈당검사의 경우 공복 시의 혈당치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8시간 이상 금식해야 하며, 식후 혈당치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보통 식후 2시간 정도 지나서 채혈하여 검사해야하지만, 당화혈색소 검사는 식사 시간과 무관하게 채혈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당화혈색소 검사는 비교적 장기간의 혈당치를 반영하므로, 최근 수개월 동안 당뇨병이 치료에 의해서 잘 관리가 되고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된다. 즉, 당뇨병의 치료 목표는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상 혈당을 유지하는 것이며, 당뇨병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번한 혈당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혈당을 자주 측정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므로 혈당을 자주 측정할 수 없는 경우나, 자주 측정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당화혈색소 검사를 이용하면 한번 측정으로 비교적 장기간의 혈당 평균치를 알 수 있으므로, 혈당 조절이 잘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만일, 당화혈색소 측정치가 높으면 당뇨병 치료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평가될 수 있으며, 환자는 이러한 측정을 통해 더욱 엄격한 식이요법을 적용하거나 또는 인슐린 주입 용량을 더 늘리는 등의 당뇨병 관리가 이루어 질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당화혈색소 측정은 병원의 임상병리실에서 측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 경우 시료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며, 장비의 부피가 크고, 시약 및 소모품이 고가인 단점이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US5,162,237의 경우 바이오 카트리지 내부의 반응 채널에 커버로 차단된 반응물이 흘러나와 한 코너에서 시료와 측정이 이루어진 후, 다음에 다 른 코너에서 시료가 같이 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측정이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일어나야 하며, 실험 순서에 따라 커버를 잡아당겨 반응물이 테스트 샘플로 흘러들어 가도록 측정하는 사람이 측정단계에 개입해야 한다.
미국등록특허 US6,300,142의 경우에도 샘플 내에 존재하는 2가지 이상의 분석물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테스트 샘플을 제1 주입구를 통해 제1 반응물에 반응시키고, 순차적으로 제2 주입구를 통해 제2 반응물에 반응시켜 2가지 분석물질을 측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비드를 일단 걸러 주어야하기 때문에 측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측정 공간에서 혈액샘플에 포함된 당화혈색소를 신속하고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혈액샘플에 포함된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의 양을 정량 측정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제1 발광부, 제1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담겨져 있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제1 혈색소 측정부,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시료용액 내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와 혈액샘플 내의 당 화혈색소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이 경과되면,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제2 혈색소 측정부, 제1, 제2 혈색소 측정부에서 측정된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당화혈색소 처리부 및 당화혈색소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당화혈색소의 양을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일예이다.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진 비색 측정방식에 따라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 부연하면, 혈색소는 특정 주파수의 광 신호를 특이적으로 흡수한다. 이러한 혈색소의 성질에 따라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이용하여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의 삽입 유도부(132)와 대응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본체(50)에 형성된 삽입홈(51)에 맞춰 장착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제1 발광부(52a)와 제1 수광부(52b)와 제2 발광부(53a)와 제2 수광부(53b)와 외력 발생부(54)와 제어부(55)와 데이터 출력부(56)를 포함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이다.
제1 발광부(52a)와 제2 발광부(53a)는 혈색소(Hemoglobin)가 특이적으로 흡광을 나타내는 460nm 파장을 갖는 광 신호를 발광한다. 제1 수광부(52b)와 제2 수광부(53b)는 각각 제1 발광부(52a)와 제2 발광부(53a)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를 통과한 광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제1 발광부(52a)에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52b)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에 담겨져 있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제2 발광부(53a)에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수광부(53b)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는지를 검출한다. 제2 발광부(53a)와 제2 수광부(53b)는 제1 발광부(52a)와 제1 수광부(52b) 상측에 설치된다.
외력 발생부(54)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로 외력을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력 발생부(54)는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5)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 롬과 램과 주변장치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부(55)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혈색소 측정부(551)와 제2 혈색소 측정 부(552)와 당화혈색소 처리부(553)와 시료용액 주입 검출부(554)와 구동 제어부(555)를 포함한다.
제1 혈색소 측정부(551)는 제1 발광부(52a)에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52b)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담겨져 있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
제2 혈색소 측정부(552)는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시료용액 내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와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이 경과되면, 제1 발광부(52a)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52b)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
당화혈색소 처리부(553)는 제1, 제2 혈색소 측정부(551, 552)에서 측정된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시료용액 주입 검출부(554)는 제2 발광부(53a)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수광부(53b)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는지를 검출한다. 시료용액 주입 검출부(554)는 시계열적으로 제1 혈색소 측정부(551)의 동작이 수행된 후에 동작된다.
구동 제어부(555)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에 주입된 용혈된 혈액과 당화혈색소와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당화혈색소―비드를 포함하는 시료용액을 교반하 기 위해 외력 발생부(54)로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제어부(555)는 시계열적으로 시료용액 주입 검출부(554)의 동작이 수행된 후에 동작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5)는 혈당 측정 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통해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부(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혈당 측정 센서(60)는 작동전극과 기준전극과 각각의 전극에 연결되는 리드선들 및 상기 전극들에 형성되는 효소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혈당 측정 센서(60)의 기준전극을 기준으로 작동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환원상태의 전자전달매개물질을 산화시키며, 이 때 발생하는 산화 전류의 양을 측정하여 혈액샘플 내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56)는 당화혈색소 처리부(553)로부터 입력되는 당화혈색소의 양을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부(56)는 표시부,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주지된 표시 장치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가 삽입되면 혈색소 측정부(552)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카트리지 인식부(57a, 5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인식부(57a, 57b)는 이미 널리 알려진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혈색소 측정부(551)는 카트리지 인식부(57a, 57b)로부터 입력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에 따라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거나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제1 혈색소 측정부(551)는 참조부호 57a에서만 카트리지 인식신 호가 입력되면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참조부호 57a와 57b에서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입력되면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58)와 당화혈색소 처리부(55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57)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58)는 숫자키와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키 패드, 사이드 키, 터치패널, 필기체 입력부, 음성 인식부등이 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59)는 컴퓨터, 프린터, USB 저장매체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통신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장치이다. 제어부(5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59)를 통해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는 하나의 측정 공간에서 혈액 샘플에 포함된 당화혈색소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장치이다.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시한 도면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는 크게 제1 저장용기(110)와 제2 저장용기(120)와 탑 커버(130)와 측정 셀(140)을 포함한다.
제1 저장용기(110)에는 혈액을 용혈시키는 용혈액이 담겨져 있고, 제2 저장 용기(120)에는 당화혈색소와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를 포함하는 시료용액이 담겨져 있다. 제1 저장용기(110)와 제2 저장용기(120)는 예컨대 튜브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저장용기(110)와 제2 저장용기(120)는 별도로 포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용혈액은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완충용액으로서, 예컨대 20 mM 헤페스 완충용액(N-2-Hydroxyethyl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HEPES; pH 8.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혈된 혈액 샘플에는 혈색소(Hemoglobin)와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가 존재한다.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는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예컨대, 보로닉산(boronic acid, BA),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Lectin), 항체(antibody)로 구현될 수 있다. 비드(bead)는 아가로즈(agarose) 혹은 셀룰로즈(cellulose)와 같은 고분자 다당류 지지체,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비닐톨루엔(polyvinyltolune)와 같은 라텍스(latex) 비드 또는 유리(glass) 비드로 구현될 수 있다.
탑 커버(130)는 용액이 주입되는 투입구(131)와 그 외측면에 당화혈색소 카트리지가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삽입 유도부(132)를 포함한다. 탑 커버(130)는 투입구(131)가 형성된 외부면이 투입구(131) 방향으로 경사가 지며, 빛투과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탑 커버(130)는 측정 셀(140)에 부착되도록 구현되며, 나아가 탑 커버(130)와 측정 셀(140)은 회전 가능 하게 결합될 수 있다.
측정 셀(140)은 탑 커버(130)의 투입구(131)를 통해 제1, 제2 저장용기(110, 120)에 담겨져 있는 혈액샘플과 시료용액을 주입 받는다. 측정 셀(140)은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서 수행되는 비색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빛투과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 셀(140)은 탑 커버(130)의 투입구(131)를 통해 제1, 제2 저장용기(110, 120)로부터 주입된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와 시료용액 내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가 침전되어 주입된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되는 측정 공간부(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는 상기 비드에 작용하는 중력 또는 전자기력에 의해 침전될 수 있다. 도면부호 142는 측정 후의 혈액샘플이 측정 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샘플 공간부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카트리지(100)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50)에서 발생되는 외력 예컨대 원심력, 전자기력에 따라 움직이는 교반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셀(140)은 측정 공간부(141) 내에 배치되는 교반판(150)을 지지하는 지지홈(143)을 더 포함한다. 당화혈색소 측정장치(50)에서 발생되는 외력이 전자기력일 경우, 교반판(150)은 예컨대 은, 구리, 알루미늄, 쇠 또는 구리를 주체로 하는 합금과 같은 전도체(electric conductor)로 구현되어져야 한다. 교반판(150)은 측정 공간부(141) 내에서 용혈된 혈액의 당화 혈색소와 시료용액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 간의 반응이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 셀(140)은 측정 공간부(141) 내벽에 혈색소 변형시료(144)가 도포될 수 있다. 혈색소 변형시료(144)는 페리시안화칼륨(K3Fe(CN)6)과 시안화칼륨(KCN) 혹은 페리시안화칼륨(K3Fe(CN)6)과 티온시안화리튬(LiSCN),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laurylsulfate)와 비이온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인 트라이톤 X-100(TritonX-1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혈된 혈액중의 여러 종류로 존재하는 혈색소(Hemoglobin)는 페리시안화칼륨(K3Fe(CN)6) 및 시안화칼륨(KCN)과 반응하여 씨안메트-헤모글로빈(cyanmet-hemoglobin, HbCN),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laurylsulfate)와 트라이톤 X-100(TritonX-100)과 반응하여 소듐라우릴설페이트-헤모글로빈(Sodiumlaurylsulfate-hemoglobin, SLS-hemoglobin), 페리시안화칼륨(K3Fe(CN)6)과 티온시안화리튬(LiSCN)과 반응하여 아지드메트-헤모글로빈(azidemet-hemoglobin)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혈색소 변형시료(144)와 용혈된 혈액중의 혈색소(Hemoglobin)가 반응하여 형성된 씨안메트-헤모글로빈(cyanmet-hemoglobin, HbCN), 소듐라우릴설페이트-헤모글로빈(Sodiumlaurylsulfate-hemoglobin, SLS-hemoglobin), 아지드메트-헤모글로빈(azidemet-hemoglobin)을 비색측정하여 용혈된 혈액중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탑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시 한 바와 같이, 탑 커버(130)는 그 내부면에 흡수패드가 탈, 부착되는 흡수패드 부착부(133)가 형성된다. 여기서, 흡수패드는 측정이 끝난 혈액 샘플을 흡수하여 샘플이 측정 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측정 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는 용도와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측정 셀(140)은 인식장치(200)가 부착되면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측정 셀(140)은 인식장치(200)가 탈착되면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측정 셀(140)은 그 외부 바닥면에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종류와 설치 여부를 인식하도록 하는 인식장치(200)가 탈, 부착되는 인식장치 장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인식장치 장착부는 장착홈 또는 접착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600)는 탑 커버(630)의 투입구(631)를 통해 측정 셀(640)의 측정 공간부(641)에 용액이 주입되도록 구현된다. 또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600)는 교반판(650)이 측정 공간부(641)에 주입된 혈액과 시료용액을 교반하여 측정 공간부(641) 내에서 혈액의 당화혈색소와 시료용액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 간의 반응이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도8은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용혈액이 담겨져 있는 제1 저장용기(81)에 넣어 혈액 샘플을 용혈시킨다. 용혈된 혈액 샘플에는 혈색소(Hemoglobin)와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가 존재한다. 이후, 도8의 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장용기(81)에 용혈된 혈액 샘플을 측정 공간부(70)에 주입한다. 도면부호 71은 교반판이고, 72는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이고, 73은 혈색소(Hemoglobin)이다. 이후,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측정 공간부(70)의 A 부분에 460 nm 파장을 갖는 엘이디를 구동한 후,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용혈된 혈액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
이후, 도 8의 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저장용기(82)에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를 포함하는 시료용액을 측정 공간부(70)에 주입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74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이다. 측정 공간부(70)에 용혈된 혈액 샘플과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를 포함하는 시료용액을 주입한다. 이후,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교반판(72)을 움직여 용혈된 혈액 샘플과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를 교반한다. 교반이 일어나는 동안 측정 공간부(70)에는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와 시료용액 내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 간의 항원-결합물질 반응이 일어나 당화혈색소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75)가 발생한다.
이후, 도 8의 Ⅲ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교반판(72)의 움직임을 멈추어 측정 공간부(70)에 존재하는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가 중력에 의해 침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가 중력에 의해 침전되면 용혈된 혈액 내의 혈색소와 당화 혈색소는 분리된다. 이후,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측정 공간부(70)의 B 부분에 460 nm 파장을 갖는 엘이디를 구동한 후,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
이후,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상기 용혈된 혈액 내의 총 혈색소의 양에서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감산하여 상기 용혈된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은 측정 공간부(70) 내에서 용혈된 혈액에 포함된 당화혈색소와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 간의 반응 정도와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중력에 의한 침전 시간의 향상을 위해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 크기를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혈액샘플 내에 존재하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제1 발광부, 제1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 제1 발광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2 발광부, 제2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광부, 제어부 및 당화혈색소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제어부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카트리지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는 카트리지 인식부로부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카트리지 삽입 여부를 판단한다(S811). 제어부는 당화혈색 소 카트리지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카트리지 인식부로부터 입력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측정용 카트리지 인식신호인지를 판단한다(S812). 제어부는 측정용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아닌 경우,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813). 제어부는 측정용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혈액샘플이 주입되는지 검출한다(S814). 이후, 제어부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되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S815).
이후, 제어부는 제2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는지를 확인한다(S816). 확인결과 제어부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면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 카운트(S817)를 시작하여 침전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한다(S818). 제어부는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시료용액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와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이 경과되면,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S819). 이후, 제어부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한다(S820).
도 10은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혈액샘플 내에 존재하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 다른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제1 발광부, 제1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 제1 발광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2 발광부, 제2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광부,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로 외력을 발생하는 외력 발생부, 제어부 및 당화혈색소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제어부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카트리지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먼저, 제어부는 카트리지 인식부로부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카트리지 삽입 여부를 판단한다(S821). 제어부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카트리지 인식부로부터 입력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측정용 카트리지 인식신호인지를 판단한다(S822). 제어부는 측정용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아닌 경우,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823). 제어부는 측정용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입력되면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혈액샘플이 주입되는지 검출한다(S824). 이후, 제어부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되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S825).
이후, 제어부는 제2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는지를 확인한다(S826). 확인결과 제어부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혈액샘플과 시료용액을 교반하기 위해 외력 발생부로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827). 이후 제어부는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 카운트(S828)를 시작하여 침전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한다(S829).
제어부는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시료용액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와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이 경과되면,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한다(S830). 이후, 제어부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한다(S831).
도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 크기별 중력에 의한 침전 시간에 관한 실시 결과 그래프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 크기별 당화혈색소 반응 정도에 관한 실시 결과 그래프이다.
본 출원인은 실험을 위해 카르복실기 기능기(carboxyl molecule)가 존재하며 다양한 입경 크기를 갖는 세파로즈(이하, CM sepharose라 기재하기로 함.)와 3-아 미노페닐 보로닉산(3-aminophenylboronic acid)과 EDC(1-Ethyl-3-carbodiimide hydrochloride) 또는 EDAC(1-Ethyl-3-dimethylaminopropyl hydrochloride)와 완충용액과 세척용액과 용혈액과 6%, 9%의 당화혈색소 표준시료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6 w/v%인 CM sepharose를 100mM 메스 완충용액(4-Morpholineethanesulfonic acid) pH 4.7로 세척하여 6 w/v% 로 준비한다. 800mM EDC와 66mM 3-아미노페닐 보로닉산도 각각 메스 완충용액에 준비한다. 준비된 CM sepharose와 EDC와 3-아미노페닐 보로닉산을 반응시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를 포함하는 시료용액을 합성한다. 반응이 끝난 후에는 메스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CM sepharose에서 3-아미노페닐 보로닉산이 결합하지 않고 남은 카르복시 기능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4M sodium acetate, 50mM NaOH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세척한다.
합성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는 실제 혈액내의 당화혈색소와 반응 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맞추기 위하여 20mM 만큼의 헤페스 완충용액(N-2-Hydroxyethyl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HEPES) pH8.1 으로 충분히 세척하여 보관한다.
20mM의 헤페스 완충용액(N-2-Hydroxyethyl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HEPES) pH8.1에, 0.1 % 프로클린150(proclin150), 0.05% 트라이톤X-100(TritonX-100)을 첨가하여 용혈액을 제조한 후 900 ul씩 저장용기에 담아둔다.
20mM의 헤페스 완충용액(N-2-Hydroxyethylpiperazine-N'-2-ethanesulfonic Acid, HEPES) pH8.1에, 0.1% 프로클린150(proclin150), 0.05% 트라이톤X- 100(TritonX-100)을 첨가하여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를 포함하는 시료용액이 1.3 w/v% 가 되도록 제조하여 600 ul 씩 튜브에 담아 준비한다.
인체에서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만 제거한 후 150mM 염화나트륨(NaCl)이 첨가된 50mM 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osphate)으로 세척한다. 이것을 고농도의 글루코스 용액을 50mM 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osphate)에 녹여 놓은 것과 반응시킨다. 반응시간을 달리하여 반응 시킨 후 다시 50mM 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osphate)으로 세척하여 기준장비인 G7으로 확인하여 각각 6%, 9%의 당화혈색소 표준시료를 준비한다. 당화혈색소 표준용액을 안정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70 이하의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한다.
6%, 9%의 당화혈색소 표준시료를 용혈액에 용혈하여 각각 저장용기에 담아둔다. 이후, 각각의 저장용기에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를 포함하는 시료용액을 주입한 후 교반한다. 각각 6%, 9%의 당화혈색소 표준용액과 시료용액을 일정 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당화혈색소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가 침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M sepharose의 입경 크기가 50㎛이하인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침전하는 시간이 급격히 증가한다.
한편, 6%, 9%의 당화혈색소 표준시료를 용혈액에 용혈한 후 측정한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색 측정법으로 측정하고, 총 혈색소의 양에서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감산하여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한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이 500㎛ 이상에서 당화혈색소와 시료용액이 반응하는 정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 크기는 반응 후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 시간과 당화혈색소와 반응하는 정도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입경 크기가 50∼300㎛인 것을 사용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서 교반판의 유무에 따른 당화혈색소 분리 실시 결과 그래프이다.
본 출원인은 교반판이 존재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와 교반판이 존재하지 않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서, 여러 가지 당화혈색소 표준시료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도13에서, 다이아몬드(◆)는 교반판이 존재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분리를 실시한 결과이고, 직사각형(■)은 교반판이 존재하지 않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분리를 실시한 결과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판이 존재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가 교반판이 존재하지 않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보다 당화혈색소가 더 잘 분리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하나의 측정 공간에서 용혈된 혈액 샘플에 포함된 당화혈색소를 신속하고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장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샘플에 포함된 총 혈색소와 당화혈색소를 정량 측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
    상기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담겨져 있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제1 혈색소 측정부;
    상기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시료용액 내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와 상기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제2 혈색소 측정부;
    상기 제1, 제2 혈색소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상기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당화혈색소 처리부; 및
    상기 당화혈색소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당화혈색소의 양을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는,
    상기 비드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상기 제1 혈색소 측정부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카트리지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혈색소 측정부가,
    상기 카트리지 인식부로부터 입력되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에 따라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거나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상기 제1 발광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2 발광부;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광부;
    상기 제2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는지를 검출하는 시료용액 주입 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로 외력을 발생하는 외력 발생부; 및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혈액샘플과 시료용액을 교반하기 위해 상기 외력 발생부로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 발생부가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부가 표시부, 오디오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상기 당화혈색소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혈당 측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기초로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11.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에서 실행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제1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와 제1 수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이 :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담겨져 있는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시료용액의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와 상기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간의 반응에 따라 생성된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과 당화혈색소가 분리된 혈색소의 양을 비교하여 상기 혈액샘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는,
    상기 비드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가 삽입되면 상기 제어부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카트리지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이 :
    상기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트리지 인식부로부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가 혈액샘플이 담겨져 있는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인지 또는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기 위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확인결과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기 위한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인식신호이면 당화혈색소 측정장치의 영점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상기 제1 발광부보다 높이 설치되는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방사되어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를 통과한 광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이 :
    상기 혈액샘플 내의 총 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발광부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수광 부로부터 입력되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면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장치가 :
    당화혈색소 카트리지로 외력을 발생하는 외력 발생부와 상기 외력 발생부로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당화혈색소 측정방법이 :
    상기 당화혈색소와 결합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비드의 침전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구동 제어부가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이 주입되면 상기 당화혈색소 카트리지에 주입된 혈액샘플과 시료용액을 교반하기 위해 상기 외력 발생부로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KR1020060115401A 2006-11-21 2006-11-21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077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01A KR100776395B1 (ko) 2006-11-21 2006-11-21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01A KR100776395B1 (ko) 2006-11-21 2006-11-21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395B1 true KR100776395B1 (ko) 2007-11-28

Family

ID=3907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401A KR100776395B1 (ko) 2006-11-21 2006-11-21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3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049B1 (ko) 2010-03-12 2011-1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피부 혈색소 측정이 가능한 다채널 음압시스템
KR101240962B1 (ko) 2011-04-08 2013-03-11 (주)미코바이오메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KR101795481B1 (ko) 2016-03-30 2017-11-10 (주)오상헬스케어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KR20230098964A (ko) * 2021-12-27 2023-07-04 (주)오상헬스케어 광량 보정 기능이 구비된 측정 장치 및 그 광량 보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21B1 (ko) 2005-12-30 2006-12-27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21B1 (ko) 2005-12-30 2006-12-27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 카트리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049B1 (ko) 2010-03-12 2011-12-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피부 혈색소 측정이 가능한 다채널 음압시스템
KR101240962B1 (ko) 2011-04-08 2013-03-11 (주)미코바이오메드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KR101795481B1 (ko) 2016-03-30 2017-11-10 (주)오상헬스케어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KR20230098964A (ko) * 2021-12-27 2023-07-04 (주)오상헬스케어 광량 보정 기능이 구비된 측정 장치 및 그 광량 보정 방법
KR102656511B1 (ko) 2021-12-27 2024-04-19 (주)오상헬스케어 광량 보정 기능이 구비된 측정 장치 및 그 광량 보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1466C (en) Direct immunosensor assay
US8614087B2 (en) Multiple-analyte assay device and system
KR100776395B1 (ko)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0776394B1 (ko) 당화혈색소 카트리지 및 당화혈색소 측정방법
EP2284526B1 (en) Biosensor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analyte concentration in blood sample
KR101647106B1 (ko) 폴더블 케이스 일체형 다중 디바이스
EP2280284A1 (en) Biosensor
JP2010536026A (ja) 電気化学的バイオセンサ及びその測定器
JP4436742B2 (ja) 尿分析システム、尿分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495570B1 (en) Measurement system, measurement method, program for executing aforementione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f said program
JP2022098478A (ja) センサアセンブリ
US11493474B2 (en) Mobile hand-held device with reusable biosensor cartridge
US7828949B2 (en) Biomolecule detection device, mobile phone for biomolecule detection, and biomolecule detection method
US20230294091A1 (en) Electrochemical microfluidic assay devices
CA3031081C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whole blood hemolysis detection
CN113116348A (zh) 一种连续动脉血液检测装置
US20230067165A1 (en) Electric, Magnetic, and RF Sensor Based Methods to Register and Interpret Lateral Flow Assay Measurements
KR101832452B1 (ko) 임피던스 신호를 이용하여 바이오 물질을 분석하는 장치
CN217385314U (zh) 血浆凝血酶原时间pt的检测芯片
KR102290207B1 (ko) 바이오 센서
US20080169799A1 (en) Method for biosensor analysis
EP42201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ction of traumatic brain injuries
KR102327315B1 (ko) 나노웰 구조를 사용하는 바이오 센서
GB2442353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low material concentrations
Stefan et al. Estimation of uncertainties in clinical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