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481B1 -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481B1
KR101795481B1 KR1020160038154A KR20160038154A KR101795481B1 KR 101795481 B1 KR101795481 B1 KR 101795481B1 KR 1020160038154 A KR1020160038154 A KR 1020160038154A KR 20160038154 A KR20160038154 A KR 20160038154A KR 101795481 B1 KR101795481 B1 KR 101795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light
state
light source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893A (ko
Inventor
김원동
이석기
이종진
홍주표
Original Assignee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상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오상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6003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481B1/ko
Priority to US16/080,650 priority patent/US20190022636A1/en
Priority to CN201680083930.5A priority patent/CN108780034B/zh
Priority to PCT/KR2016/013834 priority patent/WO2017171194A1/ko
Priority to EP16897214.9A priority patent/EP3438645B1/en
Priority to ES16897214T priority patent/ES2935417T3/es
Publication of KR2017011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303Optical path conditioning in cuvettes, e.g. windows; adapted optical elements or systems; path modifying or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providing a thin slice, e.g. microto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1/0303Optical path conditioning in cuvettes, e.g. windows; adapted optical elements or systems; path modifying or adjustment
    • G01N2021/0307Insert part in ce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03Cuvette constructions
    • G01N2021/0357Sets of cuvet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카세트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카세트일 수 있다.

Description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Check cassete, measur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quantity of light of light source of measur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여 정확한 측정이 구현되도록 하는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학적 진단, 약물을 통한 치료 영역에 있어서, 마취제 또는 유해한 화학물질에 대한 분석 물질의 농도 측정이 의학적 또는 환경적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의학적 진단 및 치료 분야에 사용되는 생체 시료 농도의 측정은 다양한 질환으로부터 해방되고 싶어하는 인간의 용구 증가와 맞물려 그 관심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과 관련하여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검사는 한번의 측정으로 비교적 장기간의 혈당 평균치를 알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헤모글로빈 A1c(HbA1c)는 당화혈색소라고도 불리며, 이는 혈색소(Hemoglobin) 중 하나로서 사람의 적혈구(Red Blood Cell)에 들어있다. 혈액 속의 혈당(포도당)이 상승하면 혈액 내 포도당의 일부가 혈색소에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포도당과 결합한 혈색소(Hemoglobin)를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라고 한다. 이러한 당화혈색소 검사를 통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데, 당화혈색소 검사는 식사 시간과 무관하게 채혈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는 한국등록특허 KR10-0798471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KR10-0798471호의 경우, 혈액을 수용하는 측정 카세트를 측정 장치에 삽입하여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한국등록특허 KR10-0798471호에 따른 측정 장치의 경우,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측정 장치의 경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게 되는데, 광원은 시간에 따라 광량이 변화되거나 외란광의 유입으로 광량이 증가하는 등, 광량이 변화된다는 점이 고려되지 않은 채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게 되어 측정 결과의 정확성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여 정확한 측정이 구현되도록 하는 동시에 측정 장치에 측정 카세트를 삽입하는 과정 및 분리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카세트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응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카세트로,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2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면이 되어,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가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1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면이 되어,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가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1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2 반응면의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크 카세트의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반응면의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크 카세트의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크 카세트의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크 카세트의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크 카세트의 상기 제2 반응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제1 반응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는,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특정 상태로만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 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로,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2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1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 면의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특정 상태로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하는 측정 카세트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체크 카세트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및 상기 측정 장치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체크 카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내부공간 상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체크 카세트는,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2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1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 면의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의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의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특정 상태로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하는 측정 카세트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체크 카세트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2 면을 포함한 체크 카세트를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를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하는 제3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를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제4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5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의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의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미리 정해진 제1 조건 -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 - 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의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미리 정해진 제2 조건 -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및 완전히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 - 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의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미리 정해진 제3 조건 -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 - 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의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를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측정 장치의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보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는,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여 정확한 측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 장치에 측정 카세트를 삽입하는 과정 및 분리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될 생체시료를 삽입하기 위한 측정 카세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측정 장치에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따른 측정 장치에 측정 카세트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에 제공되는 체크 카세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은 도 10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원의 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3 내지 도 18은 도 12에 따른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따른 제1 체크 카세트 및 제2 체크 카세트를 이용하여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1 내지 도 26은 도 20에 따른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 측정 카세트 및 측정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될 생체시료를 삽입하기 위한 측정 카세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시료는 혈액일 수 있으며, 상기 분석물질은 당화혈색소일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100)는, 상기 생체시료인 혈액 내의 상기 분석물질인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의 광신호를 특이적으로 흡수하는 혈색소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장치(100)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20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S1)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위치한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측정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삽입되면,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일정한 패턴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체시료와 시약은 함께 교반 또는 이동되어 상기 생체시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이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정 장치(100)에 의한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및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구성 등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한국공개특허 KR2010-0136744호에 이미 개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생체시료 내의 분석물질, 즉,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 카세트(200)가 측정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측정 장치(100)의 광원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해야 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이를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내부공간(S1)에 삽입된 측정 카세트(200)를 이용하여 생체시료 내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는 도중,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생체시료 내의 분석물질의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 카세트(200)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해야 하고, 상기 측정 장치(100)는 이를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측정 카세트를 측정 장치에 삽입하는 과정 및 분리하는 과정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측정 장치에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1에 따른 측정 장치에 측정 카세트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여, 측정 장치(100, 도 1 참조)에 측정 카세트(200)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 장치(100) 및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담긴 측정 카세트(200)를 준비한다.
여기서, 측정 카세트(200)는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저장된 시약용기(210) 및 상기 시약용기(210)가 삽입된 후 내부에서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카세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정 카세트(220)가 측정 장치(100)에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 시약용기(210)가 카세트(2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측정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세트(220)가 측정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된 후, 시약용기(210)가 카세트(220)에 삽입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는 측정 카세트(200)는 시약용기(210)와 카세트(220)를 포함하는 개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세트(220)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측정 장치(100)는, 외관을 제공하고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광원 등의 구성요소가 장착되는 본체부(110, 도 1 참조), 상기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삽입되기 위한 내부공간(S1)을 규정하는 규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시료의 분석물질, 즉,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약용기(210)가 삽입된 카세트(220)인 측정 카세트(200)를 내부공간(S1)에 삽입한다.
이때, 측정 카세트(200)는 특정 상태로만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어야 하며, 이는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된 측정 카세트(200)의 측정영역(230)의 위치가 광원의 위치에 대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측정 장치(100)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특정 상태로만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는, 상기 규정부(120)의 일 구성요소로, 내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되, 일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카세트(200)는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와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대응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측정 카세트(2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대응부(240)가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에는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만,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는 반드시 함입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돌출되어도 무방하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대응부(240)는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가압부(140)에 의해 가압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가압부(140)는, 상기 규정부(120)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S1)으로 삽입되는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규정부(120)의 내면의 일면(B1)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140)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규정부(120)의 내면의 일면(B1)과 대향하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의 반대면인 타면(B3)에 접촉되어 탄성 변형되는 제1 가압부(142) 및 제2 가압부(14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압부(142) 및 상기 제2 가압부(144)에 의해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타면(B3)에 상기 가압력이 제공된 후,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타면(B3)에 추가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3 가압부(14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142) 및 상기 제2 가압부(144)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양측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상기 내부공간(S1)으로의 삽입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을 상기 측정 카세트(200)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압부(142) 및 상기 제2 가압부(144)에 의해 소정 크기의 가압력이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타면(B3)에 제공되게 되면,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삽입 방향이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기울어진 방향(D1)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은 규정부(120)의 접촉부(125)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125)는 상기 규정부(120)의 내면의 일면(B1)의 상측단으로부터 내면의 타면 방향으로 돌출된 일종의 걸림턱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142) 및 상기 제2 가압부(144)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측정 카세트(200)에 제공되면서,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125)는 상기 규정부(120)의 내면의 일면(B1)과 대향하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삽입 방향은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기울어진 방향(D1)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압부(142) 및 상기 제2 가압부(144)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125)와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타면(B3)을 가압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접촉부(125)는 측정 카세트(200)가 수직축(X)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방향(D1)으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도록,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삽입 도중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부(140)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타면을 가압하는 것이다.
한편,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 상기 제1 가압부(142) 및 상기 제2 가압부(144)와 상기 접촉부(125)에 의해 기울어지게 삽입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상기 제3 가압부(146)에 의해 타면에 추가 가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3 가압부(146)에 의해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측정 장치(100)의 광원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S1) 내에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내부공간(S1)에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접촉부(125)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의 상단이 상기 접촉부(125)에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내부공간(S1)에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가압부(140)는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타면(B3)에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의 상단이 상기 접촉부(125)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부공간(S1)에 삽입된 측정 카세트(200)를 이용하여 생체시료 내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는 도중,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위치한 상기 측정 카세트(200)가 측정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일정한 패턴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체시료와 시약은 함께 교반 또는 이동되어 상기 생체시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장치(100)는 상기 상기 당화혈색소의 양의 측정으로 인하여 총 혈색소에 대한 당화혈색소의 비율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100)에 의해 상기 생체시료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이 측정되고 나면, 상기 측정 카세트(200)는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에 사용자의 외력(F)이 인가되면, 상기 접촉부(125)로부터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일면(B2)의 상단이 이격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측정 카세트(20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외력(F)은 상기 가압부(140)에 의해 상기 측정 카세트(200)의 타면(B3)에 제공되는 가압력보다 커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생체시료 내의 분석물질의 측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외력(F)에 의해 측정 카세트(100)를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3. 측정 장치의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 제1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에 제공되는 체크 카세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은 도 10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원의 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13 내지 도 18은 도 12에 따른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장치로, 필수적으로, 광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정 장치(100)는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특정 주파수의 광의 광량 중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에 의해 특이적으로 흡수되지 않고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에 의해 혈액 내의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발광소자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광량과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광의 광량으로부터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과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광의 광량과의 관계가 당화혈색소의 양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광원의 특성, 즉, 발광소자의 특성 상, 측정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조사되는 광의 광량은 저하되거나 외란광의 유입에 의해 증가되는 등, 변화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당화혈색소의 양에 따른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과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광의 광량과의 관계는 보정이 되어야 하며, 보정을 해야만 측정 장치(100)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측정 장치(100)의 사용에 따른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상기 시스템에 제공되는 체크 카세트 및 측정 장치 등을 제공한다.
우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10)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측정 장치(100) 및 체크 카세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카세트(30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측정 카세트(200)와는 달리 측정 장치(100)의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카세트일 수 있으며, 제1 면(310) 및 상기 제1 면(31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310)은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31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면(320)은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32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특정 반응 특성은 특정 발광소자에 의해 조사되는 특정 광의 광량과 제1 반응면(315)에 의해 반응된 후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과의 관계를 규정짓는 특성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특정 반응 특성은 상기 특정 발광소자에 의해 조사되는 특정 광의 광량과 제2 반응면에 의해 반응 된 후 상기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과의 관계를 규정짓는 특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10)을 이용하여 광원의 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원의 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은, 체크 카세트(300)를 제1 상태로 측정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1 단계(S100), 제1 반응면(310)에 의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하는 제3 단계(S300),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4 단계(S400), 제2 반응면(320)에 의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5 단계(S500) 및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제6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2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315)을 구비하는 제1 면(310)과 상기 제1 면(31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325)을 구비하는 제2 면(320)을 포함한 체크 카세트(300)를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1 단계(S10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기 위해, 측정 장치(100)의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및 체크 카세트(300)의 삽입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드는, 측정 모드와 체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모드의 경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도 1 내지 도 9 참조)를 이용하여 생체시료 내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모드이며, 체크 모드의 경우, 체크 카세트(300)를 이용하여 측정 장치(100)의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체크 모드가 선택되고 나면, 상기 측정 장치(100)는 현 시점이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해야 하는 시점이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1 단계(S100)에 모드 선택 단계 및 체크 카세트(300)의 삽입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필요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크 카세트(300)는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해야만 제2 단계(S20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다양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체크 카세트(300)가 제1 상태로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제1 상태로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두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데 소요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5초인 경우, 체크 모드를 선택하고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해야 하는 시점으로부터 5초가 지날 때까지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세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로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시간이 5초인 경우, 최소한 5초 동안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전술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체크 카세트(300)의 내부공간(S1)으로의 완전한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반응면(3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G)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S20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00)는 상기 제1 면(310)이 상기 광원에 상기 제2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면이 되어, 상기 제1 반응면(3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가 상기 측정 장치(100)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면 발광소자로부터 상기 제1 반응면(315)을 향해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반응면(315)에 의해 반응된 후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을 통해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응면(31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광에 대하여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특정 광과 동일한 동일한 주파수의 동일 광량인 경우, 상기 제1 특정 반응 특성과 상기 제1 반응 특성은 동일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특정 광이 상기 광원의 광인 경우, 상기 제1 반응 특성이 상기 제1 특정 반응 특성과 상이하다면, 광원의 광량이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면(320)의 제2 반응면(325)은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G)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반응면(3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나면,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하는 제3 단계(S30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단계(S300)는 체크 카세트(300)를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크 카세트(300)는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해야만 제4 단계(S40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다양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및 완전히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8에 도시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두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8에 도시된 상태가 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3 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시간이 5초인 경우, 현 시점이 체크 카세트(300)를 분리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사용자에게 알려준 시점으로부터 5초가 지날 때까지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으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전술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제3 단계가 진행되면,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4 단계(S40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상태를 기준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4 단계(S400)는 체크 카세트(300)의 삽입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크 카세트(300)는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해야만 제4 단계(S40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은 다양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은 체크 카세트(300)가 제2 상태로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제2 상태로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이때, 체크 카세트(300)는 제2 상태로 삽입됨)가 되어야 한다.
두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이때, 체크 카세트(300)는 제2 상태로 삽입됨)가 미리 정해진 제4 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시간이 5초인 경우, 체크 카세트(300)의 삽입 시점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5초가 지날 때까지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세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이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이때, 체크 카세트(300)는 제2 상태로 삽입됨)로 미리 정해진 제5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5 시간이 5초인 경우, 최소한 5초 동안 체크 카세트(3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전술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체크 카세트(300)의 내부공간(S1)으로의 완전한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반응면(320)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5 단계(S50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S500)는, 상기 제2 면(320)이 상기 광원에 상기 제1면(310)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면이 되어, 상기 제2 반응면(32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가 상기 측정 장치(100)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면 발광소자로부터 상기 제2 반응면(325)을 향해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반응면(325)에 의해 반응된 후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을 통해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반응면(32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광에 대하여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특정 광과 동일한 동일한 주파수의 동일 광량인 경우, 상기 제2 특정 반응 특성과 상기 제2 반응 특성은 동일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특정 광이 상기 광원의 광인 경우, 상기 제2 반응 특성이 상기 제2 특정 반응 특성과 상이하다면, 광원의 광량이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면(310)의 제1 반응면(315)은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S500)가 진행되고 나면,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제6 단계(S60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단계(S200) 및 제5 단계(S500)를 통해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당화혈색소의 양에 따른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과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광의 광량과의 관계를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와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에 가중치 등을 부여하여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단계(S600)는, 체크 카세트(300)를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 단계(S100)에서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의 제1 반응면(315)의 위치와 상기 제4 단계(S400)에서 상기 체크 카세트(300)를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의 제2 반응면(325)의 위치를 비교하면, 서로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면(310)을 기준으로 한 제1 반응면(315)의 위치와 제2 면(320)을 기준으로 한 제2 반응면(325)의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면(310)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반응면(315)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친 위치일 있으며, 상기 제2 면(320)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반응면(325)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친 위치일 수 있다.
이는, 측정 장치(100) 내의 광원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체크 카세트(300)가 제1 상태로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제1 반응면(315)은 상기 광원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해야 하며,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제2 상태로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2 반응면(325)은 상기 광원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2 단계(S200)를 통해 제1 반응 특성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제2 면(320)의 제2 반응면(325)은 상기 광원과 상기 제2 반응면(325)의 위치 관계로 인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5 단계(S500)를 통해 제2 반응 특성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제1 면(310)의 제1 반응면(315)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9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 카세트(300)가 특정 상태로만 내부공간(S1)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는 상기 제1 단계(S100) 및 상기 제4 단계(S400)를 통해 상기 체크 카세트(300)가 각각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체크 카세트(30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체크 카세트(300)는 측정 카세트(200)와 달리 제1 상태 및 제2 상태 모두 내부공간(S1)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법이 프로그램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유통되는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을 것이다.
CD-ROM,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휴대용 기록 매체에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휴대용 기록 매체를 유통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즉,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부)를 구비한 서버가 제공되고, 상기 서버를 통해,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및/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전자기기로 전술한 프로그램에 대한 코드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이 유통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즉, 내장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기기가 전자기기 등의 제조업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전자기기가 유통되는 방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이 유통될 수 있을 것이다.
(2) 제2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19에 따른 제1 체크 카세트 및 제2 체크 카세트를 이용하여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1 내지 도 26은 도 20에 따른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20)은 도 1 내지 도 9을 참조로 설명한 측정 장치(100) 및 체크 카세트(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크 카세트(600)에 관하여 앞서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체크 카세트(600)는 제1 체크 카세트(400) 및 제2 체크 카세트(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 및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측정 카세트(200)와는 달리 측정 장치(100)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카세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는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41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는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5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100)는 본체부(110)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반응면(4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가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반응면(5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상태 조건, 상기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1 반응면(4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및 완전히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상태 조건, 상기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반응면(5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원의 광량을 보정하는 방법은,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측정 장치(100)의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1 단계(S10); 제1 반응면(4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S20);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하는 제3 단계(S30); 제2 체크 카세트(5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4 단계(S40); 상기 제2 반응면(5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5 단계(S50); 및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제6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415)을 구비하는 제1 체크 카세트(400)를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1 단계(S1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계(S10)는,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기 위해, 측정 장치(100)의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및 제1 체크 카세트(400)의 삽입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는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해야만 제2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다양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은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3에 도시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도 23에 도시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제1 체크 카세트(400)의 대응부(440)가 측정 장치(100)의 측정 카세트 안내부(130)에 삽입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두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3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데 소요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 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시간이 5초인 경우, 체크 모드를 선택하고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해야 하는 시점으로부터 5초가 지날 때까지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세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이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3에 도시된 상태로 미리 정해진 제2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시간이 5초인 경우, 최소한 5초 동안 제1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전술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제1 체크 카세트(400)의 내부공간(S1)으로의 완전한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반응면(4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G)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조건을 만족하면 발광소자로부터 상기 제1 반응면(415)을 향해 광(G)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반응면(415)으로부터 반응되어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을 통해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응면(41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광에 대하여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특정 광과 동일한 동일한 주파수의 동일 광량인 경우, 상기 제1 특정 반응 특성과 상기 제1 반응 특성은 동일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특정 광이 상기 광원의 광인 경우, 상기 제1 반응 특성이 상기 제1 특정 반응 특성과 상이하다면, 광원의 광량이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반응면(4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나면,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하는 제3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단계(S30)는 제1 체크 카세트(400)를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는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해야만 제4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다양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은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및 완전히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6에 도시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두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이 조건이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6에 도시된 상태가 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3 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시간이 5초인 경우, 현 시점이 제1 체크 카세트(400)를 분리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사용자에게 알려준 시점으로부터 5초가 지날 때까지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를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으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전술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내부공간(S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제3 단계가 진행되면, 제2 체크 카세트(5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 제4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제2 체크 카세트(500)의 삽입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는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해야만 제4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은 다양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은 제2 체크 카세트(5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이 제2 체크 카세트(5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6에 도시된 상태(이때, 체크 카세트(600)는 제2 체크 카세트(500)임)가 되어야 한다.
두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이 제2 체크 카세트(5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6에 도시된 상태(이때, 체크 카세트(600)는 제2 체크 카세트(500)임)가 미리 정해진 제4 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4 시간이 5초인 경우, 제2 체크 카세트(500)의 삽입 시점이 표시된 시점으로부터 5초가 지날 때까지 제2 체크 카세트(5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세번째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이 제2 체크 카세트(5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인 경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도 26에 도시된 상태(이때, 체크 카세트(600)는 제2 체크 카세트(500)임)로 미리 정해진 제5 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정해진 제5 시간이 5초인 경우, 최소한 5초 동안 제2체크 카세트(500)가 내부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장치(100)는 제어부에 의해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100)는 전술한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제2 체크 카세트(500)의 내부공간(S1)으로의 완전한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 및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크 카세트(5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반응면(515)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5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제2체크 카세트(500)가 상기 미리 정해진 제3 조건을 만족하면 발광소자로부터 상기 제2 반응면(515)을 향해 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반응면(515)으로부터 반응되어 수광소자에 도달하는 광의 광량을 통해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반응면(51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광에 대하여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특정 광과 동일한 동일한 주파수의 동일 광량인 경우, 상기 제2 특정 반응사 특성과 상기 제2 반응 특성은 동일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특정 광이 상기 광원의 광인 경우, 상기 제2 반응 특성이 상기 제2 특정 반응 특성과 상이하다면, 광원의 광량이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5 단계(S50)가 진행되고 나면,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제6 단계(S60)가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단계(S20) 및 제5 단계(S50)를 통해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당화혈색소의 양에 따른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광량과 수광소자로 도달하는 광의 광량과의 관계를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와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에 가중치 등을 부여하여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6 단계(S60)는, 제2 체크 카세트(500)를 내부공간(S1)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시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 단계(S10)에서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의 제1 반응면(415)의 위치와 상기 제4 단계(S40)에서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를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의 제2 반응면(515)의 위치를 비교하면, 서로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응면(415)의 위치는 상기 제1 체크 카세트(4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친 위치일 있으며, 상기 제2 반응면(515)의 위치는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가 상기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친 위치일 수 있다.
이는, 측정 장치(100) 내의 광원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제1 체크 카세트(400)가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제1 반응면(415)은 상기 광원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해야 하며, 상기 제2 체크 카세트(500)가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2 반응면(515)은 상기 광원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법이 프로그램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유통되는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을 것이다.
CD-ROM,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휴대용 기록 매체에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휴대용 기록 매체를 유통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즉,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부)를 구비한 서버가 제공되고, 상기 서버를 통해,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및/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전자기기로 전술한 프로그램에 대한 코드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이 유통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 매체(즉, 내장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기기가 전자기기 등의 제조업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전자기기가 유통되는 방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이 유통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측정 카세트(200)에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한 구성은, 체크 카세트(300, 6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측정 장치
200: 측정 카세트
300, 600: 체크 카세트
400: 제1 체크 카세트
500: 제2 체크 카세트

Claims (19)

  1.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체크 카세트에 있어서,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 면을 구비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2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면이 되어,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가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1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면이 되어,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가 상기 측정 장치에 의해 추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1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제2 반응면의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카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반응면의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카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반응면의 위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카세트.
  7.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체크 카세트에 있어서,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반응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제1 반응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대한 반응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 카세트.
  8.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특정 상태로만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 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2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1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 면의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특정 상태로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하는 측정 카세트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체크 카세트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
  10.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및 상기 측정 장치에 사용되어 상기 측정 장치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체크 카세트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내부공간 상의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체크 카세트는,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2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광원에 상기 제1 면보다 더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제2 면의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카세트가 특정 상태로만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하는 측정 카세트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 안내부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체크 카세트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13.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반사. 흡수 및 투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광의 반응 특성에 기초하여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되도록 하는 측정 장치 -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생체시료와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서로 반응하는 측정 카세트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측정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된 이후, 상기 생체시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약이 반응한 물질에 대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응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시료의 분석물질이 측정됨 - 의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에 있어서,
    특정 광에 대한 제1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1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특정 광에 대한 제2 특정 반응 특성을 보유하는 제2 반응면을 구비하는 제2 면을 포함한 체크 카세트를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1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를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하는 제3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를 상기 제1 상태와 상이한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는 제4 단계;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반응면에 의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5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제1 반응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반응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에 따른 상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보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상태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미리 정해진 제1 조건 -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 - 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미리 정해진 제2 조건 -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체크 카세트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및 완전히 분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 - 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가 미리 정해진 제3 조건 -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조건, 완전히 삽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조건 및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 조건 중 적어도 하나 - 을 만족하지 않으면,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체크 카세트를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측정 장치의 모드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60038154A 2016-03-30 2016-03-30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795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54A KR101795481B1 (ko) 2016-03-30 2016-03-30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US16/080,650 US20190022636A1 (en) 2016-03-30 2016-11-29 Check cassette, measurement device, system for compensating for light intensity of light source for measurement device, method for compensating for light intensity of light source for measur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201680083930.5A CN108780034B (zh) 2016-03-30 2016-11-29 检验盒、测量装置、用于补偿测量装置用的光源的光强度的系统和方法以及记录介质
PCT/KR2016/013834 WO2017171194A1 (ko) 2016-03-30 2016-11-29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EP16897214.9A EP3438645B1 (en) 2016-03-30 2016-11-29 Check cassette, measurement device, system for compensating for light intensity of light source for measurement device, method for compensating for light intensity of light source for measur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ES16897214T ES2935417T3 (es) 2016-03-30 2016-11-29 Casete de verificación, dispositivo de medición, sistema para compensar intensidad de luz de fuente de luz para dispositivo de medición, método para compensar intensidad de luz de fuente de luz para dispositivo de medición, y medio de grabació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54A KR101795481B1 (ko) 2016-03-30 2016-03-30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93A KR20170111893A (ko) 2017-10-12
KR101795481B1 true KR101795481B1 (ko) 2017-11-10

Family

ID=6014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54A KR101795481B1 (ko) 2016-03-30 2016-03-30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554B1 (ko) * 2023-12-04 2024-02-28 주식회사 와이엘컴퍼니 반려동물 질병 진단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95B1 (ko)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WO2009066235A1 (en) 2007-11-22 2009-05-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al sensor cartridges
JP2012507703A (ja) 2008-10-31 2012-03-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ルチチャンバー・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バイオセンサー
KR101412423B1 (ko) 2013-06-25 2014-06-27 주식회사 인포피아 검체 함유 유닛, 검체 측정 카세트, 검체 측정 유닛 및 검체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395B1 (ko)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WO2009066235A1 (en) 2007-11-22 2009-05-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al sensor cartridges
JP2012507703A (ja) 2008-10-31 2012-03-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ルチチャンバー・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バイオセンサー
KR101412423B1 (ko) 2013-06-25 2014-06-27 주식회사 인포피아 검체 함유 유닛, 검체 측정 카세트, 검체 측정 유닛 및 검체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93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456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compromised reagent pads by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exposure to a hostile environment
JP6356691B2 (ja) ヘマトクリットを補正す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に適合させた血糖測定器
JP4804535B2 (ja) 分析試験エレメント上の試料の分析のための分析システム
US20060099703A1 (en) Devic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s
US2017009813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compromised reagent pads by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exposure to a hostile environment
JP2008544265A5 (ko)
JP2009509667A (ja) 多部分体液試料採取及び分析カートリッジ
KR20210081415A (ko) 분석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153673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biomarkers in biological fluids
US11391676B2 (en) Test element analysis system for the analytical examination of a sample
US9285380B2 (en) Measurement system, measurement metho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program
KR101795481B1 (ko)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US20080044842A1 (en) Biological Test Strip
US85705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 body fluid
KR101801948B1 (ko)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EP3438645B1 (en) Check cassette, measurement device, system for compensating for light intensity of light source for measurement device, method for compensating for light intensity of light source for measuremen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70111894A (ko) 체크 카세트, 측정 장치,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시스템, 측정 장치용 광원의 광량 보정 방법 및 기록매체
US10328429B2 (en) Test element analysis system for the analytical examination of a sample
US2023038430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comprised reagent pads by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exposure to a hostile environment
US20230211338A1 (en) A point of care device
KR101090947B1 (ko) 테스트 스트립과 이를 이용한 생체물질 분석용 측정기 및 분석방법
US20160084793A1 (en) Electrode reaction area testing method of biosensor test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