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202B1 -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202B1
KR100776202B1 KR1020060101468A KR20060101468A KR100776202B1 KR 100776202 B1 KR100776202 B1 KR 100776202B1 KR 1020060101468 A KR1020060101468 A KR 1020060101468A KR 20060101468 A KR20060101468 A KR 20060101468A KR 100776202 B1 KR100776202 B1 KR 10077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anese
crossing
cross
width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복
황광하
이영수
박광련
유응대
Original Assignee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8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간크로싱의 단부를 일체화하고, 내부 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으로 구조를 변경하고, 플랜지웨이 폭을 변경함으로써, 망간크로싱을 용접형과 이음매형으로 구분하여 재고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끝단부 일정구간을 레일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리하여 용도에 따른 가공 이원화가 불필요하며, 망간크로싱 내부의 스티프너 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 구조로 변경하여 동일 이상의 강도를 가져오며, 망간크로싱의 후단부를 포켓형에서 S형으로 변경하여 주조결함을 방지하도록 한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은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의 내부의 단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의 보강재를 횡근식으로 형성하며, 후단부의 형태를 S자 곡선형으로 형성하며,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의 폭을 42-47mm로 형성하는 망간크로싱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 제조방법은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의 내부의 단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의 보강재를 횡근식으로 형성하며, 후단부의 형태를 S자 곡선형으로 형성하며,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의 폭을 42-47mm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분기기, 망간크로싱, 단부, 횡근식, 플랜지웨이

Description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Manganese crossing for turnout, and its produc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E-E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의 플렌지웨이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부 20: 보강재
30: 후단부 40: 플랜지웨이
42: 플랜지웨이 폭 C: 망간크로싱
본 발명은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간크로싱의 단부를 일체화하고, 내부 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으로 구조를 변경하고, 플랜지웨이 폭을 변경한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간크로싱은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강을 사용하여 일체 주조로 제작되는 크로싱이다.
상기한 종래의 망간크로싱의 특징은 끈질겨 갈라지기가 어렵고, 흠이 생겨도 진전이 느리며, 가공경화성이 있어서 차륜이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경도가 Hs30에서 Hs50-60으로 증가하며, 내마모성이 있다
이 때문에 망간크로싱은 본선용 분기기에 사용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망간크로싱은 용접형과 이음매형으로 나누어져 별도의 재고관리가 필요하며, 망간크로싱의 끝단부 일정구간이 레일과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도에 따라 가공 이원화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망간크로싱의 내부의 보강재 구조가 종근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크로싱 후단부가 포켓 형상으로 되어 이어, 주조시 제품의 불량발생 빈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써, 망간크로싱의 단부를 일체화하고, 내부 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으로 구조를 변경하고, 플랜지웨이 폭을 변경함으로써, 망간크로싱을 용접형과 이음매형으로 구분하여 재고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끝단부 일정구간을 레일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리하여 용도에 따른 가공 이원화가 불필요하며, 망간크로싱 내부의 스티프너 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 구조로 변경하여 동일 이상의 강도를 가져오며, 망간크로싱의 후단부를 포켓형에서 S형으로 변경하여 주조결함을 방지하도록 한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은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의 내부의 단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의 보강재를 횡근식으로 형성하며, 후단부의 형태를 S자 곡선형으로 형성하며,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의 폭을 42-47mm로 형성하는 망간크로싱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 제조방법은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의 내부의 단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의 보강재를 횡근식으로 형성하며, 후단부의 형태를 S자 곡선형으로 형성하며,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의 폭을 42-47mm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의 플렌지웨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 제조방법은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C)의 내부의 단부(10)를 일체로 형성하고, 내부의 보강재(20)를 횡근식으로 형성하며, 후단부(30)의 형태를 S자 곡선형으로 형성하며,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40)의 폭(42)을 42-47mm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은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C)의 내부의 단부(10)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의 보강재(20)가 횡근식으로 형성되며, 후단부(30)의 형태가 S자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40)의 폭(42)이 42-47mm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망간크로싱(C)의 단부(10)를 이음매판 체결시나 플래시버트 용접시 이음매 구멍을 천공하여 일체화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망간크로싱(C)의 내부 보강재(20)는 종근식에서 횡근식으로 구조적으로 변경하여 종근식에 비하여 동일이상의 강도를 가져오도록 구성하였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한 횡근식 내부 보강재(20)는 진공주조법으로 제조하되, 점결제를 사용치 않고 주형상자 상하면에 필름을 사용하여 모래(140mesh 이하)가 들어 있는 상자를 진공으로 만들므로 가스로 인한 결함 발생율이 적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망간크로싱(C)의 후단부(30)를 포켓 타입에서 S자 곡선 타입으로 변경하여 주조 일체시 결함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망간크로싱(C)의 플랜지웨이(40) 폭(4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레일의 차륜 유도각과 차륜이 윙레일 두부상면에 접촉하는 폭(42)에 영향을 주는바, 플랜지웨이(40) 폭(42)을 넓게 한 경우에는 윙레일의 차륜 유도각이 작게 되어 배면 횡압에 대하여는 유리하지만, 차륜이 윙레일 두부상면에 접촉하는 폭(42)은 작게 되어 두부상면의 손모(損耗)에 대하여 불리하며, 플랜지웨이(40) 폭(42)을 좁게한 경우에는 윙레일의 차륜 유도각이 크게 되어 배면횡압에 대하여 불리하지만, 차륜이 윙레일 두부상면에 접촉하는 폭(42)이 크게 되어 두부상면의 손모에 대하여 유리함으로 이와 같은 제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망간크로싱(C)의 플랜지웨이(40) 폭(42)을 42-47mm로 정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은 망간크로싱의 단부일체화와 내부 구조 변경, 플랜지웨이 변경을 통하여 용접형과 이음매형으로 망간크로싱을 구분하여 재고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망간크로싱의 끝단부 일정길이를 레일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하여 용도에 따른 가공의 이원화가 불필요하며, 망간크로싱의 내부의 보강재 설치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으로 변경하여 동일이상의 강도를 가져오며, 망간크로싱의 후단부를 포켓 타입에서 S곡선 타입으로 변경하여 주조결함을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은 망간크로싱의 단부를 일체화하고, 내부 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으로 구조를 변경하고, 플랜지웨이 폭을 변경함으로써, 망간크로싱을 용접형과 이음매형으로 구분하여 재고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끝단부 일정구간을 레일과 동일한 형상으로 관리하여 용도에 따른 가공 일원화가 가능하며, 망간크로싱 내부의 스티프너 구조를 종근식에서 횡근식 구조로 변경하여 동일 이상의 강도를 가져오며, 국가별 요청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망간크로싱의 후단부를 포켓형에서 S형으로 변경하여 주조결함을 방지 및 축소시키며, 수요처별로 적정한 플랜지웨이를 설정이 가능하여, 궁극적으로 망간크로싱의 품질향상 및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C)의 내부의 단부(10)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내부의 보강재(20)를 횡근식으로 형성하는 단계, 후단부(30)의 형태를 S자 곡선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40)의 폭(42)을 42-47mm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망간크로싱 제조방법.
  2. 분기기의 크로싱 전체를 1개의 고망간 주강으로 만든 통상의 망간크로싱에 있어서,
    상기 망간크로싱(C)의 내부의 단부(10)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의 보강재(20)가 횡근식으로 형성되며, 후단부(30)의 형태가 S자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인 플랜지웨이(40)의 폭(42)이 42-47mm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KR1020060101468A 2006-10-18 2006-10-18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 KR10077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68A KR100776202B1 (ko) 2006-10-18 2006-10-18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468A KR100776202B1 (ko) 2006-10-18 2006-10-18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202B1 true KR100776202B1 (ko) 2007-11-16

Family

ID=3907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468A KR100776202B1 (ko) 2006-10-18 2006-10-18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1212A (zh) * 2012-12-31 2013-04-24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固定型高锰钢整铸辙叉新型结构
CN105970743A (zh) * 2016-05-17 2016-09-28 沈阳鼎然新材料有限公司 一种物理结合的铁路高速道岔复合型滑床台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593A (en) 1980-09-15 1982-08-03 Abex Corporation Castings
US4824055A (en) 1987-02-02 1989-04-25 Nortrak Limited Railroad FROG
EP0363349A2 (de) 1988-10-04 1990-04-11 Voest-Alpine Maschinenbau Gesellschaft m.b.H. Herzstück mit Herzspitze aus gegossenem Hartmanganstahl
KR20030089056A (ko) * 2002-05-16 2003-11-21 주식회사베스트엔지니어링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KR200402755Y1 (ko) 2005-09-23 2005-12-05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철도 분기기용 용접 크로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593A (en) 1980-09-15 1982-08-03 Abex Corporation Castings
US4824055A (en) 1987-02-02 1989-04-25 Nortrak Limited Railroad FROG
EP0363349A2 (de) 1988-10-04 1990-04-11 Voest-Alpine Maschinenbau Gesellschaft m.b.H. Herzstück mit Herzspitze aus gegossenem Hartmanganstahl
KR20030089056A (ko) * 2002-05-16 2003-11-21 주식회사베스트엔지니어링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KR200402755Y1 (ko) 2005-09-23 2005-12-05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철도 분기기용 용접 크로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1212A (zh) * 2012-12-31 2013-04-24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固定型高锰钢整铸辙叉新型结构
CN103061212B (zh) * 2012-12-31 2016-03-02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固定型高锰钢整铸辙叉新型结构
CN105970743A (zh) * 2016-05-17 2016-09-28 沈阳鼎然新材料有限公司 一种物理结合的铁路高速道岔复合型滑床台板
CN105970743B (zh) * 2016-05-17 2018-08-07 沈阳鼎然新材料有限公司 一种物理结合的铁路高速道岔复合型滑床台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168B2 (en) Mould for aluminothermic welding of railway rails, at least one of which is worn
KR100776202B1 (ko) 분기기용 망간크로싱 및 그 제조방법
US5100046A (en) Monobloc points for grooved rails and method for making same
AU2017256057B2 (en) Aluminothermic welding mold and repair method
TWI757352B (zh) 轍岔之翼軌以及製造轍岔之方法
US4334958A (en) Production of conveyor support bars for paper making machinery
CN105858102A (zh) 一种轻型链条导轨的弯曲成型结构
KR100705337B1 (ko) 철도 분기기용 용접 크로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1826B1 (ko) 띠톱 및 띠톱용 연삭세그먼트들의 제조방법
US4824055A (en) Railroad FROG
AU2013230678B2 (en) Rail switch having a main track and a branch track
CN105492193A (zh) 具有改进的埋入式空隙的翻新轮胎胎面
US1976627A (en) Mold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blocks
CN105215270B (zh) 薄壁框型铸钢件防裂筋结构
DE102007026653B4 (de) Fahrzeugreifen aus vulkanisierbarem Werkstoff
CN109701726B (zh) 用于重介浅槽分选机的布流板及其制作方法
CN110130159A (zh) 一种组合高锰钢辙叉
CN219093770U (zh) 一种浇口铣刀
KR200402755Y1 (ko) 철도 분기기용 용접 크로싱
KR102236701B1 (ko) 철도 분기기의 크로싱
KR20120001164U (ko) 철도레일 분기기용 간격유지장치
KR100602609B1 (ko) 유로중자의 분할방법
KR101792691B1 (ko) 분기기 크로싱의 윙레일 구조물
TWI726239B (zh) 轉轍裝置以及在其中更換尖軌的方法
CN201395752Y (zh) 一种辙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