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682B1 -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682B1
KR100775682B1 KR1020060104733A KR20060104733A KR100775682B1 KR 100775682 B1 KR100775682 B1 KR 100775682B1 KR 1020060104733 A KR1020060104733 A KR 1020060104733A KR 20060104733 A KR20060104733 A KR 20060104733A KR 100775682 B1 KR100775682 B1 KR 100775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frame
extrusion molded
extrudate
extrud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연
강정구
문성현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yre Mould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폭이 작은 고무압출물을 성형드럼에 공급할 경우에, 상기 고무압출물의 중간저장 및 이송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그린타이어 성형과정에서 고무압출물의 조인트 오버랩(Joint Overlap)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 끝단에 이어 설치되는 고무운반 컨베이어(60)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어 고무압출물(11)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고, 사이마다 페스툰(Festoon) 방식으로 고무압출물을 아래로 늘어뜨린 채 중간저장하면서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 쪽으로 이송하는 다수의 롤 타입 모터(30)와; 상기 페스툰 방식으로 중간저장되는 고무압출물을 감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50)와; 상기 각 롤 타입 모터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고무압출물의 센터링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수단(40)과; 그리고,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을 감지하여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의 이송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이송감지센서(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무, 압출, 반제품, 타이어, 그린타이어, 성형, 중간저장, 이송, 페스툰

Description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DEVICE FOR INTERMEDIATE STORAGE AND FEE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출기, 11 : 고무압출물,
20 : 프레임, 30 : 롤 타입 모터,
30a : 최상류측 롤 타입 모터, 60 : 고무운반 컨베이어,
40 : 가이드 수단, 50 : 감지센서,
61 : 이송감지센서, 70 : 롤 칼렌더.
본 발명은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이 작은 고무압출물을 타이어 제조용 성형드럼에 감아 가류전의 그린타이어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압출물을 상기 성형드럼에 공급할 경우에, 상기 고무압출물의 중 간저장 및 이송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그린타이어 성형과정에서 고무압출물의 조인트 오버랩(Joint Overlap)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기압 타이어는, 타이어의 내부를 구성하는 인너라이너와, 상기 인너라이너의 외주에 적층되는 카카스와, 상기 카카스의 외주에 적층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주에 적층되어 실질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와, 상기 타이어의 양쪽 측부를 구성하는 양쪽 사이드월과, 그리고 휠에 결합되어 타이어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하는 양쪽 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타이어를 이루는 각종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각각 반제품들을 제조하고, 이 반제품들을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에 차례로 감아 스티칭(Stitching) 수단으로 압착하여 상기 반제품들을 서로 부착시키는 성형공정을 통해 그린케이스를 제조하게 된다. 이 그린케이스를 가류몰드에 투입하여 블래더로 상기 그린케이스 내부에 온도 및 압력을 가하는 가류공정을 거친 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를 완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타이어 성형공정에서 각 타이어 부품에 대응하여 성형드럼에 공급되는 고무압출물은 통상적으로 폭이 큰 시트 형상의 반제품으로 미리 제조되어 성형드럼에 공급되는데, 이러한 기술이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2005-11394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통상적으로, 압출기에서 압출된 고무시트를 일련의 냉각드럼들을 갖춘 냉각부를 거친 후 저장루프들을 갖춘 저장대를 통하여 성형공급 컨베이어와 성형기 서비서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각각의 타이어 부품에 대응하는 반제품인 고무시트를 각각 별도로 이송하여야 하므로, 많은 이송장치가 요구되고, 또한 냉각부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타이어 성형에 필요한 일련의 장치가 복잡해지고, 시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저장대를 통해 고무시트의 이송속도 및 장력에 대한 완충성을 도모한다 하더라도, 고무압출물의 이송속도와 저장량을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고무시트의 중간저장 및 이송 성능이 저하되고, 그 결과로 성형시 반제품 오버랩이 불규칙하게 나타나 타이어 외관 및 균일성(Uniformity)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폭이 작은 고무압출물을 타이어 제조용 성형드럼에 감아 가류전의 그린타이어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압출물을 상기 성형드럼에 공급할 경우에, 상기 고무압출물의 중간저장 및 이송을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써, 그린타이어 성형과정에서 고무압출물의 조인트 오버랩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는, 고무압출물을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에 이어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압출기 반대쪽의 프레임 끝단에 이어 설치되는 고무운반 컨베이어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어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고, 사이마다 페스툰(Festoon) 방식으로 고무압출물을 아 래로 늘어뜨린 채 중간저장하면서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 쪽으로 이송하는 다수의 롤 타입 모터(Roll Type Motor)와; 상기 페스툰 방식으로 중간저장되는 고무압출물을 감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와; 상기 각 롤 타입 모터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고무압출물의 센터링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수단과; 그리고,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을 감지하여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의 이송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이송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롤 타입 모터중 최상류측 롤 타입 모터의 하류측에 압출기로부터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을 각 타이어 부품에 맞는 반제품으로 가공하여 완성하는 롤 칼렌더(Roll Calender)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는, 프레임(20)과, 고무운반 컨베이어(60)와, 다수의 롤 타입 모터(30)와, 다수의 가이드 수단(40)과, 그리고 이송감지센서(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은, 고무압출물(11)을 압출하는 압출기(10)에 이어 설치되며, 상기 압출기(10)는 타이어 제조가 중단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고무압출물(11)을 압출하게 된다.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60)는, 상기 압출기(10)로부터 상기 프레임(20)을 경유하여 이송되는 고무압출물(11)을, 미도시된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에 고무압출물(11)을 공급하여 감기 위한 성형기 서비서(Servicer)에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20)중 압출기(10)의 반대쪽 끝단에 이어 설치된다.
고무압출물(11)은 상기 성형기 서비서에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이송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다수의 롤 타입 모터(30)가 적용된다. 상기 롤 타입 모터(30)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는데, 상기 압출기(10)로부터 압출되어 이송되는 고무압출물(11)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고, 각 롤 타입 모터(30) 사이마다 페스툰(Festoon) 방식으로 고무압출물(11)을 아래로 늘어뜨린 채 중간저장하면서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60) 쪽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고무압출물(11)은 상하의 지그재그 구조로 늘어진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고무압출물(11)의 이송속도 및 페스툰 방식의 저장길이(아래로 늘어진 길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페스툰 방식으로 중간저장되는 고무압출물(11)을 감지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다수의 감지센서(50)가 설치되는데, 그 설치위치는 각 롤 타입 모터(30) 사이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무압출물(11)을 감지하는 각 감지센서(5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저장길이가 짧은 곳에 대응하는 롤 타입 모터(30)를 구동함으로 써, 고무압출물(11)의 이송속도 및 저장길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하류측 롤 타입 모터(30)가 구동되면 그 보다 더 하류측의 고무압출물(11)의 저장길이가 길어지고, 상류측의 고무압출물(11)의 저장길이는 짧아지며, 이러한 저장길이에 대한 감지센서(50)의 감지로 롤 타입 모터(50)를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저장길이로 고무압출물(11)을 이송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40)은 상기 롤 타입 모터(30)들을 경유하는 고무압출물(11)이 이송될 때, 센터링이 맞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하는 것으로서, 각 롤 타입 모터(30)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고무압출물(11)의 센터링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이송감지센서(61)는,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60) 쪽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60)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11)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60)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11)의 이송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컨대, 고무운반 컨베이어(60)에 고무압출물(11)이 이송되는 것이 이송감지센서(61)에 의해 감지되면, 그 신호가 미도시된 PLC와 같은 제어장치에 입력되고, 이 제어장치는 최하류측 롤 타입 모터(30b)를 구동하여 페스툰 타입으로 저장된 고무압출물(11)을 소요량만큼 고무운반 컨베이어(60) 쪽으로 이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무압출물(11)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는 폭이 좁은 고무압출물(11)을 중간저장 및 이송하기 위한 것이므로, 각 타이어 부품에 대응하는 반제품 형상으로 성형기에 고무압출물(11)을 공급하여 감도록 함으로써, 고무압출 물(11)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의 범용화를 달성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상기 롤 타입 모터(30)중 최상류측 롤 타입 모터(30a)의 하류측에 압출기(10)로부터 이송되는 고무압출물(11)을 각 타이어 부품에 맞는 반제품으로 가공하여 완성하는 롤 칼렌더(7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무압출물(11)은 타이어 제조가 중단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압출기(10)로부터 압출된다. 이 초기 고무압출물(11)은 최상류측 롤 타입 모터(30a)를 통해 롤 칼렌더(70)를 지나면서 가동되어 타이어 성형에 소요되는 소정의 반제품에 알맞는 고무압출물(11)로 완성되어 그 하류측 롤 타입 모터(30)들을 차례로 경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고무압출물(11)은 롤 타입 모터(30)들을 경유하면서 가이드 수단(40)들에 의해 센터링이 맞춰지면서 이송되고, 또한 고무압출물(11)들에 대한 감지센서(50)들의 감지에 의해 페스툰 타입의 저장길이가 부족할 경우나 저장길이가 충분할 경우, 당해 롤 타입 모터(30)의 구동 및 구동정지가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고무압출물(11)의 이송속도 및 저장길이가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고무압출물(11)이 고무운반 컨베이어(60)로 이송되는 것이 이송감지센서(61)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최하류측 롤 타입 모터(30b)의 구동으로 페스툰 타입으로 저장된 고무압출물(11)이 소요량만큼 고무운반 컨베이어(60)로 이송된다. 고무운반 컨베이어(60) 쪽으로 고무압출물(11)의 이송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한 방식으로 압출기(10)로부터 압출되는 고무압출 물(11)이 적절한 저장길이만큼 각 롤 타입 모터(30) 사이에서 페스툰 방식으로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에 의하면, 폭이 좁은 고무압출물을 범용적으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의 범용화가 도모됨에 따라, 타이어 성형에 필요한 일련의 장치를 단순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설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고무압출물의 페스툰 타입 저장길이 및 이송속도를 롤 타입 모터(30)들 사이의 각 구간마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무시트의 이송속도 및 장력에 대한 완충성이 향상됨에 따라, 고무시트의 중간저장 및 이송 성능이 향상되고, 그 결과로 성형시 반제품 오버랩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 외관 및 균일성(Uniform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고무압출물(11)을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10)에 이어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상기 압출기 반대쪽의 프레임 끝단에 이어 설치되는 고무운반 컨베이어(60)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어 고무압출물을 이송속도를 제어하고, 사이마다 페스툰(Festoon) 방식으로 고무압출물을 아래로 늘어뜨린 채 중간저장하면서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 쪽으로 이송하는 다수의 롤 타입 모터(30)와;
    상기 페스툰 방식으로 중간저장되는 고무압출물을 감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50)와;
    상기 각 롤 타입 모터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고무압출물의 센터링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 수단(40)과; 그리고,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을 감지하여 상기 고무운반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고무압출물의 이송량을 제어하도록 하는 이송감지센서(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타입 모터(30)중 최상류측 롤 타입 모터(30a)의 하류측에 압출기(10)로부터 이송되는 고무압출물(11)을 각 타이어 부품에 맞는 반제품으로 가공 하여 완성하는 롤 칼렌더(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KR1020060104733A 2006-10-26 2006-10-26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KR100775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733A KR100775682B1 (ko) 2006-10-26 2006-10-26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733A KR100775682B1 (ko) 2006-10-26 2006-10-26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682B1 true KR100775682B1 (ko) 2007-11-09

Family

ID=3906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733A KR100775682B1 (ko) 2006-10-26 2006-10-26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6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38A (ko) * 2003-04-24 2004-1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압출물 저장 및 이송장치
KR20050113947A (ko) * 2004-05-31 2005-12-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압출물 시트 이송장치
KR100679300B1 (ko) 2005-09-28 2007-02-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고무스트립 운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638A (ko) * 2003-04-24 2004-1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압출물 저장 및 이송장치
KR20050113947A (ko) * 2004-05-31 2005-12-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압출물 시트 이송장치
KR100679300B1 (ko) 2005-09-28 2007-02-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고무스트립 운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901B1 (ko) 타이어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CN100406241C (zh) 制造轮胎的设备和方法
KR101868002B1 (ko) 차륜용 타이어 제조 방법, 공정 및 기구
EP297859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CN102015269B (zh) 构建轮胎的方法和设备
EP2978595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tyres for vehicle wheels
CN104768739B (zh) 用于在构建轮胎的处理中控制由弹性体材料制造的连续细长元件的厚度的方法
WO2019220792A1 (ja) ゴムシート部材の供給装置および方法
KR101658611B1 (ko) 타이어용 벨트폭 조정장치
KR100775682B1 (ko) 고무압출물 중간저장 및 이송 장치
KR100682548B1 (ko) 트레드 압출물의 자체 터닝 이송장치
EP30304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elivery of a continuous elongated element in a process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CN102933380A (zh) 硫化压力机系统
KR100808311B1 (ko) 타이어용 스틸 벨트 이송장치
KR100625063B1 (ko) 윈치 저장존을 갖는 타이어 압출 스트립 저장장치
KR20120002031A (ko) 그린 케이스 성형 드럼
JP5188401B2 (ja) タイヤ成形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KR100187626B1 (ko) 폭변형 방지장치를 갖춘 타이어용 벨트의 이송설비
KR100345414B1 (ko) 인너라이너 재료의 온드럼 공급 시스템
JP6627566B2 (ja) タイヤ製造方法
KR100441053B1 (ko) 사이드 반제품 자동 이송장치
JP2023016433A (ja) 筒状部材の成形装置及び搬送ベルトの滑り検知装置
JP2023061105A (ja) 環状ゴム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22165634A (ja) 未加硫ゴム部材の巻取り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タイヤの製造方法
US20220219418A1 (en) Tire manufacturing devic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