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500B1 -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500B1
KR100775500B1 KR1020060130422A KR20060130422A KR100775500B1 KR 100775500 B1 KR100775500 B1 KR 100775500B1 KR 1020060130422 A KR1020060130422 A KR 1020060130422A KR 20060130422 A KR20060130422 A KR 20060130422A KR 100775500 B1 KR100775500 B1 KR 10077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exhaust
wet
flang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2Evacuating and treating of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5Other waste gases from metallurgy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제진 설비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광로에서 용선 생산시 더스트(Dust)가 다량 함유된 BFG(Blast Furnace Gas) 가스를 습식 제진 설비에서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식 제진 설비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도어가 마련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이 플랜지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배기하우징과, 상기 배기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결 설치되어 습식 제진 설비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배기팬을 포함한 것이다.
고로, 건식 집진기, 습식 제진 설비, 더스트

Description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Apparatus for exhaust forced gas of hydrometallurgy purification equipment}
도 1은 일반적인 고로 노정 가스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를 습식 제진 설비에 설치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플랜지 110: 도어
200: 배기하우징 210: 고정축
220: 롤러 221: 잠금부
230: 가이드레일 400: 배기팬
본 발명은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광로에서 용선 생산시 더스트(Dust)가 다량 함유되어 발생되는 BFG(Blast Furnace Gas)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에서 용선 생산시 BFG 가스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BFG 가스는 더스트가 다량 함유되어 열원으로 부적절함으로써 도 1에서 보듯이, 더스트가 다량 함유된 가스를 청정 가스로 만들기 위해서는 용광로(10)에서 용선 생산시 더스트가 다량 함유 발생한 BFG 가스는 용광로(10)의 상부와 연결되는 하강관(11)을 타고 건식 집진기(20)로 이동되어 1차적으로 집진이 이루어지고 이 건식집진기(20) 상부와 연결된 연결관(21)을 통해 연결된 습식 제진 설비(30)로 가스가 이동되어 습식 제진을 실시하고 있다.
이때 고압수나 가스에 함유된 더스트의 마찰로 인해 내부 철피 등이 마모되어, 정기 수리 작업시 습식 제진 설비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 용접 및 보강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자가 습식 제진 설비 내로 들어가기 위해 노정 大 맨홀을 오픈하여 습식 제진 설비와 동시 작업시 틈새부로 스팀 및 가스가 습식 제진 설비의 하강관을 통하여 습식 제진 설비 내부로 역류 된다.
이로 인하여 습식 제진 설비 내부 작업이 수행될 수 없고, 또한 작업자는 그 내부에 잔류되 있는 일산화탄소에 의해 가스 중독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습식 제진 설비 내부 작업중 스팀 및 가스가 역류하면 그 내부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산소 결핍 및 가스 중독 사고의 위험에 내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습식 제진 설비의 내부 작업이 연기되면 내부 철피 마모가 진행되어 2차 설비 트러블이 발생하였다.
또한, 습식 제진 설비 수리작업이 연기되면 차기 정수시 작업 물량이 증가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가중되고 있으며, 특히 송기 마스크 착용 후 무리한 작업으로 인한 실족 및 협착 사고의 위험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습식 제진 설비 내로 들어가 보수작업을 하기 전, 용광로에서 용선 생산시 발생한 BFG(Blast Furnace Gas) 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에 따라 종래의 습식 제진 설비의 내부 수리 작업에 내포되어 있는 내부 작업중 스팀 및 가스가 역류, 작업자의 송기 마스크 착용 후 무리한 작업으로 인한 실족 및 협착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는, 용광로에서 용선 생산시 더스트(Dust)가 다량 함유된 BFG(Blast Furnace Gas) 가스를 습식 제진 설비에서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식 제진 설비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도어가 마련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이 플랜지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배기하우징과, 상기 배기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결 설치되어 습식 제진 설비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하는 배기팬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로 정기수리 작업시 행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고로 가스관이 노 상부에서 가스 청정 설비인 습식 제진 설비까지 일체 하는 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노정과 연속 작업시 가스의 흐름에 의해 습식 제진 설비로 역류함으로 동일한 시간대에 작업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한 정상조업 지연시 조업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무리한 작업으로 인한 에어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작업함으로 안전사고 위험이 있어 이를 더욱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장치로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의 설치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용광로에서 용선 생산시 더스트(Dust)가 다량 함유된 BFG(Blast Furnace Gas) 가스를 습식 제진 설비에서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식 제진 설비(30)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도어(110)가 구비된 플랜지(100)가 마련된다.
이 플랜지(100)의 도어(11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볼트로 원주 면을 따라 플랜지(100)에 체결되고, 상시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정상 조업시 가스의 리크(LEAK)를 방지하기 위함이고, 습식 제진 설비(30)의 내부 정기수리 작업시에만 플랜지(100)에 체결된 도어(100)를 개방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00)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이 플랜지(100)에 체결될 수 있 도록 배기하우징(200)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배기 하우징(200)은 상기 플랜지(100)의 도어(110)를 개방하였을 시 이 도어(110)가 체결되는 플랜지(100)의 원주 외면과 볼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배기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와 연결 설치되어 습식 제진 설비(3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기팬(400)이 마련 된다.
이 배기팬(400)을 조작반에서 배기팬(400)을 작동시켜 플랜지(100)의 드래프트 상태를 확인하고 충분한 기동 후 내부의 잔류 가스를 검지하여 작업가능한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하우징(200)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하우징(2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하, 좌/우 각각의 고정축(210)이 설치되고 이 고정축(210)의 하부에는 이동가능하게 롤러(220)가 설치되며 이 롤러(220)가 이동 궤적을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230)이 마련된다.
이는 상기 습식 제진 설비(30)의 플랜지(100)부에 배기하우징(200)을 근접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롤러(220)가 구비된 것이고, 이 롤러(220)는 가이드레일(230)을 따라 밀착되어 있으므로, 배기하우징(200)의 이동시에 가이드레일(2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하우징(200) 하부에 마련된 롤러(220)에는 배기하우징(200)의 이동이 완료되면 그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부(221)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습식 제진 설비(30)의 플랜지(100)를 개방하고 내부에 배기팬(400)이 설치된 배기하우징(200)을 플랜지(100)부에 결합하고 볼트로 견고히 체결하며 배기팬(400)을 가동하여 습식 제진 설비(30) 내부에 잔존하고 있는 가스와 고로 상부에서 하강하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습식 제진 설비(30)의 보수 작업시에만 사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 그 착탈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작업자가 습식 제진 설비 내로 들어가 습식 제진 설비의 내부 수리 작업에 내포되어 있는 내부 작업중 스팀 및 가스가 역류, 작업자의 송기 마스크 착용 후 무리한 작업으로 인해 발생하던 안전사고를 습식 제진 설비 가스 강제 배기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에 잔존 되어 있는 가스를 강제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습식 제진 설비 바디부에 하강관을 타고 내려오는 가스 및 스팀을 효과적으로 배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용광로에서 용선 생산시 더스트(Dust)가 다량 함유된 BFG(Blast Furnace Gas) 가스를 습식 제진 설비에서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스 강제 배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식 제진 설비(30)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도어(110)가 마련된 플랜지 100);
    상기 플랜지(100)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어 이 플랜지(1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배기하우징(200); 및,
    상기 배기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와 연결 설치되어 습식 제진 설비(30)의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배기팬(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하우징(200)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히는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하우징(2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하, 좌/우 각각의 고정축(210)이 설치되고 이 고정축(210)의 하부에는 이동가능하게 롤러(220)가 설치되며 이 롤러(220)가 이동 궤적을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23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하우징(200) 하부에 마련된 롤러(220)에는 배기하우징(200)의 이동이 완료되면 그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부(22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KR1020060130422A 2006-12-19 2006-12-19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KR10077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22A KR100775500B1 (ko) 2006-12-19 2006-12-19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22A KR100775500B1 (ko) 2006-12-19 2006-12-19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500B1 true KR100775500B1 (ko) 2007-11-12

Family

ID=3906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422A KR100775500B1 (ko) 2006-12-19 2006-12-19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5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64A (ko) * 2000-10-27 2002-05-04 이구택 노정압 발전기에서 노정압력 제어방법
KR20050000164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의 노정 가스 압력제어 방법
KR20190000840A (ko) * 2017-06-23 2019-01-03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864A (ko) * 2000-10-27 2002-05-04 이구택 노정압 발전기에서 노정압력 제어방법
KR20050000164A (ko) * 2003-06-23 2005-01-03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의 노정 가스 압력제어 방법
KR20190000840A (ko) * 2017-06-23 2019-01-03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유기 전계발광 물질 및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500B1 (ko) 습식 제진 설비의 가스 강제 배기 장치
JP4122015B2 (ja) プラント洗浄方法,アスベスト除去方法および解体処理方法
CN113755665A (zh) 一种转炉烟罩清渣方法
CN113926279A (zh) 一种用于工业废气排放的空气净化设备
JP6151526B2 (ja) 熱交換器を具えた脱臭装置
CN214914192U (zh) 一种热矫直机的水汽除尘系统
KR101697095B1 (ko) 더스트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배가스 청정 라인의 실탱크
CN113862440A (zh) 一种淬火装置及其淬火工艺
CN106011365A (zh) 一种转炉汽化固定烟罩在线快速修复方法
JP2007177269A (ja) 溶融金属溶製炉の副原料投入シュートからのガス漏れ防止方法及びガス漏れ防止装置
JP4004476B2 (ja) 焼却炉及び焼却炉内清掃・補修方法
CN210145843U (zh) 一种压铸的废气处理装置
JP2007205606A (ja) 発塵抑制装置
CN207091453U (zh) 转炉活动烟罩
KR101299761B1 (ko) 전기로 집진덕트 지금 제거 장치
CN201132166Y (zh) 轧制棒材及圆钢的水封除尘装置
CN213739543U (zh) 一种高炉炉前出铁场铁口区域封闭式除尘罩
Boscolo et al. Identification of possible dioxin emission reduction strategies in pre-existing iron ore sinter plants
CN214327779U (zh) 一种铁水罐车脱硫扒渣站烟气捕集罩
Trovant et al. A Novel Dry-Based System for Safe, Hygienic Energy Recovery from Ferroalloy Furnace Exhaust
KR101065842B1 (ko) 고로의 분진 포집장치
KR100805707B1 (ko) 코크스 장입차 곡관부의 카본 제거장치
JP6572857B2 (ja) 室炉式コークス炉の煙道部の解体方法
CN211331725U (zh) 一种数控火焰切割区烟尘吸收装置
CN210699381U (zh) 一种电炉炼钢的排烟除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