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365B1 -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 Google Patents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365B1
KR100775365B1 KR1020060119174A KR20060119174A KR100775365B1 KR 100775365 B1 KR100775365 B1 KR 100775365B1 KR 1020060119174 A KR1020060119174 A KR 1020060119174A KR 20060119174 A KR20060119174 A KR 20060119174A KR 100775365 B1 KR100775365 B1 KR 10077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ot
body portion
rioter
strap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욱
Original Assignee
남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욱 filed Critical 남태욱
Priority to KR102006011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3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9/00Devices for locking clothing; Lockable clothing holders or hanger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취자나 피의자(이하, 난동자라 통칭함)가 난동을 부릴 경우에 난동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난동자용 신체구속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부를 상하가 개방된 튜브형태로 형성하여 난동자의 머리로부터 하측으로 씌울 수 있도록 하며, 이 몸통부의 상부에는 고무줄을 설치한 상측신축부를 형성하여 신체에 덮어씌운 뒤에 난동자의 얼굴을 포함한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몸통부의 중앙부 외측에는 결속밴드를 설치하여 몸통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난동자의 팔과 몸통을 결속시킬 수 있게 하고, 이 몸통부의 하부에는 난동자의 무릎주변을 결속하는 조임끈을 설치함으로서, 난동자를 경찰서로 연행하기 위하여 경찰차에 태우려고 할 때 난동자가 경찰차에 타지 않으려고 심하게 저항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신체구속복을 난동자에게 덮어씌워서 난동자의 난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억제시킨 뒤에 경찰차에 용이하게 태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물지로서 상하부가 개방되게 튜브형태로 형성된 몸통부(2)의 상부 전둘레에는 고무줄이 설치되어 상측신축부(3)가 형성되고, 몸통부(2)의 하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2)의 하단부를 조여주는 조임끈(5)이 빙 둘러 설치되며, 상기 몸통부(2)의 외측 중앙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2)의 중앙부를 결속하는 결속밴드(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체구속복, 경찰차, 난동자, 주취자, 피의자, 결속밴드, 조임끈

Description

난동자용 신체구속복{Straitjacket for a wild pers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동자용 신체구속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상측으로 끌어 올려서 뭉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체구속복 2 : 몸통부 3 : 상측신축부
4 : 결속밴드 5 : 조임끈 6 : 스톱퍼
7 : 끈안내부 8 : 인출구멍 9 : 버클
10 : 내측매직테이프 11 : 뭉침끈 12 : 외측매직테이프
13 : 손잡이부
본 발명은 주취자나 피의자(이하, 난동자라 통칭함)가 난동을 부릴 경우에 난동자의 신체를 구속하는 난동자용 신체구속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부를 상하가 개방된 튜브형태로 형성하여 난동자의 머리로부터 하측으로 씌울 수 있도록 하며, 이 몸통부의 상부에는 고무줄을 설치한 상측신축부를 형성하여 신체에 덮어씌운 뒤에 난동자의 얼굴을 포함한 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몸통부(2)의 중앙부 외측에는 결속밴드를 설치하여 몸통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난동자의 팔과 몸통을 결속시킬 수 있게 하고, 이 몸통부의 하부에는 난동자의 무릎주변을 결속하는 조임끈을 설치함으로서, 난동자를 경찰서로 연행하기 위하여 경찰차에 태우려고 할 때 난동자가 경찰차에 타지 않으려고 심하게 저항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신체구속복을 난동자에게 덮어씌워서 난동자의 난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억제시킨 뒤에 경찰차에 용이하게 태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취자나 피의자 등의 난동자가 난동을 부리게 되면 경찰관은 사건현장으로 출동하여 그 사건을 수습하게 되고, 그 뒤에 상기와 같은 난동자를 경찰차에 태워서 경찰서로 연행하게 된다.
위와 같이 경찰관이 난동자를 연행하기 위하여 경찰차에 태우려고 할 때, 순순히 경찰차에 제 발로 타는 경우와, 경찰차에 타지 않으려고 심하게 저항하면서 버티는 경우가 있다.
후자와 같이 난동자가 경찰차에 타지 않으려고 심하게 저항하면서 버티는 경우에 경찰관은 그러한 난동자를 강제로 경찰차에 태워야 하는데, 정신없이 저항하는 난동자를 경찰차에 태우는 일이 매우 많은 힘이 들 뿐만 아니라, 난동자가 몸부림치며 마구 휘두르는 팔과 다리에 의해 경찰관이 다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동자를 경찰서로 연행하기 위하여 경찰차에 태우려고 할 때에 난동자가 경찰차에 타지 않으려고 난동을 부리며 저항하는 경우에는, 상하가 개방된 튜브형태의 신체구속복을 난동자에게 머리부터 하측으로 덮어씌운 뒤에 신체구속복의 외부에 설치된 결속밴드를 결속시켜서 신체구속복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팔과 몸통을 결속함으로서, 난동자의 난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억제시킨 뒤에 경찰차에 용이하게 태워서 경찰관의 격무를 조금이라도 덜어 줄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난동자가 휘두르는 몸부림이나 발길질에 경찰관이 다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물지로서 상하부가 개방되게 튜브형태로 형성된 몸통부의 상부 전둘레에는 고무줄이 설치되어 상측신축부가 형성되고, 몸통부의 하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의 하단부를 조여주는 조임끈이 빙 둘러 설치되며, 상기 몸통부의 외측 중앙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의 중앙부를 결속하는 결속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동자용 신체구속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난동자용 신체구속복은, 직물지로서 상하부가 개방되게 튜브형태로 몸통부(2)가 형성되며, 이 몸통부(2)의 상부 전둘레에는 고무줄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목 부위에서 탄력적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상측신축부(3)가 형성된다.
이때, 상측신축부(3)의 직경은 몸통부(2)의 직경보다 축소시킨 상태에서 고 무줄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측신축부(3)의 가장 바람직한 크기는 머리부는 쉽게 통과하되 어깨는 통과하지 않을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의 하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2)의 하단부를 조여주는 조임끈(5)이 빙 둘러 설치되는데, 이는 몸통부(2)의 하단부 전둘레에 터널 형태로 끈안내부(7)가 재봉에 의해 형성되고, 이 끈안내부(7)의 소정위치에는 인출구멍(8)을 형성하여 끈안내부(7)의 내측 전둘레에 조임끈(5)을 빙 둘러 삽입 설치한다.
이때, 조임끈(5)의 일측은 인출구멍(8)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하며, 이 조임끈(5)의 노출된 외부에는 누름버튼부가 탄력적으로 설치된 공지된 스톱퍼(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2)의 외측 중앙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2)의 중앙부를 결속하는 결속밴드(4)를 설치하되, 결속밴드(4)의 선단부에는 버클(9)을 설치하고 결속밴드(4)의 밴드부 소정위치가 몸통부(2)와 재봉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2)의 내측면 상부 양측에는 하단부에 내측매직테이프(10)가 재봉으로 설치된 뭉침끈(11)의 상단부가 재봉으로 설치되고, 몸통부(2)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는 뭉침끈(11)의 내측매직테이프(10)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외측매직테이프(12)가 설치된다.
이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부(2)를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뭉쳐서 올린(다른 표현으로 한다면 말아 올린 또는, 접어 올린으로 표현할 수 있음) 뒤에 뭉침끈(11)으로 뭉쳐 올린 부분을 홀딩시킨 상태로 뭉침끈(11)의 내측매직테이프 (10)를 몸통부(2) 외측의 외측매직테이프(12)에 부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내외측매직테이프(10,12)는 정해진 것이 아니고, 암매직테이프나 숫매직테이프를 필요로 하는 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용어의 혼동의 소지를 피하고자 한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몸통부(2)의 외측면 상하부에는 손잡이부(13,13a)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하측 손잡이부(13,13a)를 잡아 이송이 용이 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14" 는 결속밴드(4)와 뭉침끈(11)을 몸통부(2)에 재봉으로 설치한 재봉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난동자용 신체구속복(1)은, 평상시에 결속밴드(4)와 하측의 조임끈(5)을 풀어서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부(2)의 하측부터 상측부분까지 상측으로 뭉쳐 올리게 되면, 몸통부(2)의 내측 상부에 상단부가 재봉으로 설치된 뭉침끈(11)이 도면상 좌측의 일점쇄선과 같이 뭉침끈(11)이 하측으로 늘어트려지면서 하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렇게 하측으로 늘어트려진 뭉침끈(11)을 상측으로 올리면서 위에서 먼저 상측으로 뭉쳐 올린 부분을 뭉침끈(11)으로 감싸면서 뭉침끈(11)의 하측에 설치된 내측매직테이프(10)를 몸통부(2)의 외측 상부에 재봉으로 설치된 외측매직테이프(12)에 부착시키면, 하측으로부터 상측까지 뭉쳐 올린 몸통부(2)를 상측으로 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몸통부(2)를 상측으로 뭉쳐 올린 부분(말아 올리거나 자바라식으로 접어올린부분)에 의해 초기에 여성 의복의 일종인 원피스와 같이 길이가 길던 것이 링형태(또는 고무튜브형태)로 길이가 대폭 짧아진 상태가 되며, 이 상태로 경찰차의 트렁크에 보관한다.
이렇게 링형태로 보관되던 본 발명의 신체구속복(1)을 사용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경찰관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부(2)가 뭉쳐진 부분부터 난동자의 머리부분에 덮어씌우면, 본 발명의 신체구속복(1)이 도 4와 같이 상하가 개방된 링형태이므로 상측신축부(3)가 난동자의 머리부분을 통과하게 된다.
난동자의 머리부분을 통과한 상측신축부(3)는 고무줄이 설치된 상태이므로 머리를 통과한 뒤에는 난동자의 목부분에서 느슨하게 걸려지게 된다. 이 때는 링형태로 뭉쳐진 신체구속복(1)이 머리를 통과하는 동안 순간적으로 난동자의 시야를 가리나 곧 바로 시야가 확보되어 인권침해의 논란은 없을 것이다.
뒤이어 몸통부(2)의 상측 외부면에 설치된 외측매직테이프(12)에 부착된 뭉침끈(11)의 내측매직테이프(10)를 떼어내면서 몸통부(2)를 하측으로 끌어내리면, 뭉침끈(11)으로 홀딩하던 뭉쳐진 몸통부(2)의 홀딩상태가 해제되어 몸통부(2)는 난동자의 목부분부터 무릎부분까지 감싸게 된다.
이렇게 신체구속복(1)의 몸통부(2)가 난동자의 목부분부터 무릎부분까지 감쌈에 따라 난동자의 행동의 폭은 대폭 줄어들게 되고, 뒤이어 경찰관은 몸통부(2)의 외측 중앙부에 설치된 결속밴드(4)를 체결하면서 결속하면, 몸통부(2)의 내부에서 난동자의 몸통과 양팔이 결속한 결속밴드(4)의 결속력에 의해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에는 몸통부(2)의 하단부에 설치된 조임끈(5)을 조이면 무릎부분까지 움직임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조임끈(5)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끈안내부(7)의 인출구멍(8)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누름버튼부가 탄력적으로 설치된 공지된 스톱퍼(6)가 설치되어서 단번에 필요로 하는 만큼 조임끈(5)을 조일 수 있고, 한 번 조여진 조임끈(5)은 스톱퍼(6)를 다시 누르면서 조임끈(5)을 풀기 전에서 그 조임상태가 풀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난동자의 목부분부터 무릎부분까지 직물지로서 튜브형으로 제작한 신체구속복(1)의 내측에 감싸여져 있으면서 양팔을 포함한 몸통은 결속밴드(4)로 결속되고, 무릎부분은 조임끈(5)으로 조여져 있음에 따라 난동자는 전혀 반항할 수 없는 무방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신체구속복(1)가 머리부분과 무릎 이하는 구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구속복(1)으로 결박시킨 상태에서도 보행은 가능하여 경찰차까지 걸어서 이동이 가능하고, 난동자가 걸음을 걸을 수 없는 상황인 경우에는 몸통부(2)의 상하부에 설치된 손잡이부(13,13a)를 이용하여 신체구속복(1)에 감싸여진 난동자를 들어서 경찰차의 뒷좌석에 어렵지 않게 태울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신체구속복(1)으로 난동자를 결박 또는 구속하여 경찰차에 싣고 경찰서까지 연행하고 난 뒤에는 신체구속복(1)을 착용시킬 때와 반대로 결박을 해제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난동자용 신체구속복은 주취자나 피의자가 난동을 부릴 때 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병원과 같은 곳에서 정신질환자가 난동을 부리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난동자용 신체구속복은, 난동자를 경찰서로 연행하기 위하여 경찰차에 태우려고 할 때에 난동자가 경찰차에 타지 않으려고 난동을 부리며 저항하는 경우에는, 상하가 개방된 튜브형태의 신체구속복을 난동자에게 머리부터 하측으로 덮어씌운 뒤에 신체구속복의 외부에 설치된 결속밴드를 결속시켜서 신체구속복의 내부에 위치하고 양팔과 몸통을 결속함으로서, 난동자의 난동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억제시킨 뒤에 경찰차에 용이하게 태워서 경찰관의 격무를 덜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난동자의 몸이 신체구속복의 내부에 결박된 상태이므로 경찰관에게 위해를 가하거나, 또는 스스로 자해를 할 수 없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직물지로서 상하부가 개방되게 튜브형태로 형성된 몸통부(2)의 상부 전둘레에는 고무줄이 설치되어 상측신축부(3)가 형성되고,
    몸통부(2)의 하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2)의 하단부를 조여주는 조임끈(5)이 빙 둘러 설치되며,
    상기 몸통부(2)의 외측 중앙부 전둘레에는 튜브형 몸통부(2)의 중앙부를 결속하는 결속밴드(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의 하단부 전둘레에는 일측에 조임끈 인출용 인출구멍(8)을 형성한 끈안내부(7)가 터널 형태로 재봉에 의해 형성되고, 이 끈안내부(7)의 내측 전둘레에 조임끈(5)이 빙 둘러 삽입 설치하되, 조임끈(5)의 일측이 인출구멍(8)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하며, 이 조임끈(5)의 노출된 외부에는 누름버튼부가 탄력적으로 설치된 공지된 스톱퍼(6)가 설치되고,
    상기 결속밴드(4)의 선단부에는 버클(9)이 설치되며 결속밴드(4)의 밴드부 소정위치가 몸통부(2)와 재봉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의 내측면 상부 양측에는 하단부에 내측매직테이프(10)가 재봉으로 설치된 뭉침끈(11)의 상단부가 재봉으로 설치 되고, 몸통부(2)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는 뭉침끈(11)의 내측매직테이프(10)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외측매직테이프(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의 외측면 상하부에 손잡이부(13,13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KR1020060119174A 2006-11-27 2006-11-27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174A KR100775365B1 (ko) 2006-11-27 2006-11-27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174A KR100775365B1 (ko) 2006-11-27 2006-11-27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365B1 true KR100775365B1 (ko) 2007-11-12

Family

ID=3906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1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5365B1 (ko) 2006-11-27 2006-11-27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3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447A (en) 1994-12-02 1996-09-03 Hoffman; Andrew T. Restraint belt
US5893366A (en) 1996-06-25 1999-04-13 Odell; Ronald Apparatus for restraining violent detainees
US6212684B1 (en) 2000-09-08 2001-04-10 Keith Waheed Strait jacket
US7000438B1 (en) 2002-05-20 2006-02-21 Restraint Systems Technologies, Inc. Restraint system and lockable fastener
JP2006292293A (ja) 2005-04-12 2006-10-26 Takeda Shoten:Kk 対人用の拘束衣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1447A (en) 1994-12-02 1996-09-03 Hoffman; Andrew T. Restraint belt
US5893366A (en) 1996-06-25 1999-04-13 Odell; Ronald Apparatus for restraining violent detainees
US6212684B1 (en) 2000-09-08 2001-04-10 Keith Waheed Strait jacket
US7000438B1 (en) 2002-05-20 2006-02-21 Restraint Systems Technologies, Inc. Restraint system and lockable fastener
JP2006292293A (ja) 2005-04-12 2006-10-26 Takeda Shoten:Kk 対人用の拘束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091B2 (en) Full body harness
JP6255044B2 (ja) 付属解除機構付きの拘束および引き上げハーネス
US6010051A (en) Apparatus for releasably carrying recreational equipment
US20090236176A1 (en) Integrated harness boiler suit
US20090255756A1 (en) Harness with integrated fall arrest system
EP1790386A2 (en) Improved carrying system with breathing apparatus
US20180310696A1 (en) Lanyard Assembly
US20110302685A1 (en) Firefighter harness
US20050251895A1 (en) Personal harness for towing
US20090159365A1 (en) Fireman's safet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6016891A (en) Tree stand harness system
US20090159364A1 (en) Fireman's safet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WO2007146020A2 (en) Emergency egress carrier for child or pet
KR100775365B1 (ko) 난동자용 신체구속복
US20190388716A1 (en) Trauma Relief Strap Assembly for Safety Harness
KR200490669Y1 (ko) 바지
JP7017673B2 (ja) 救助具
CN210083498U (zh) 救生衣
US20030213645A1 (en) Fire rescue harness
JP3142686U (ja) 安全帯を一体化した作業服
JP3511532B2 (ja) 緊急救出用マットシート
CN218683503U (zh) 可穿着睡袋
KR102406185B1 (ko) 보호기능을 극대화한 전신방탄복
KR102380555B1 (ko) 신속해체가 가능한 방탄복
KR20110001337U (ko) 개폐 가능한 등받침부를 구비한 아기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011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110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311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110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