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974B1 - 자전거용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974B1
KR100774974B1 KR1020050064126A KR20050064126A KR100774974B1 KR 100774974 B1 KR100774974 B1 KR 100774974B1 KR 1020050064126 A KR1020050064126 A KR 1020050064126A KR 20050064126 A KR20050064126 A KR 20050064126A KR 100774974 B1 KR100774974 B1 KR 10077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unshade
frame
fixed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0135A (ko
Inventor
최대영
Original Assignee
최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영 filed Critical 최대영
Priority to KR102005006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9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우산 형상을 가지는 차양부와 일정 길이의 수직프레임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L’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조립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자전거의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조립·설치함에 따라, 자전거를 주행하는 동안, 주행자를 간섭하지 않으면서, 주행자에게서 햇빛과 비를 가려 주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대략 설명하면,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살대(16)에 차양막(17)을 고정한 차양부(10);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로, 그 양단에 탄성을 가진 로킹스프링(22)이 끼움된 수평프레임(20); 일정 길이의 환봉으로, 일단 내부에 원통형으로 파인 끼움부(31, 미도시)를 형성하고, 그 타단에 브라켓(32)이 일체·형성되어, 이에 관통된 고정공(32′)을 형성한 회전연결부(30); 일정 길이의 환봉으로, 그 일단에 브라켓(41)이 일체·형성되어, 이에 관통된 고정공(41′)을 형성한 수직프레임(40); ‘L’자로 형성한 파이프로, 일단에 연결용 고정구(70)를 구비한 지지프레임(60)을 구성하여,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양단에 차양부(10)와 회전연결부(30)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회전연결부(30)에 수직프레임(40)에 및 지지프레임(60)을 순차로 연결·고정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는, 자전거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고정·설치되어, 따가운 햇살이나 내리는 비로부터 주행자를 보호하며, 주행자의 움직임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하고,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분리되어 차양부에 조립되어 이동용 우산으로 사용함에 따라 실용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자전거, 차양, 우산, 파라솔, 캠레버, 스프링, 살대, 로킹, 프레임

Description

자전거용 차양 장치 { the apparatus of blocking off sunshine and rain for bicycle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 및 수평프레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프레임, 회전연결부, 수직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 지지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차양부의 접은 상태를 보여 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차양 장치를 자전거에 설치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양부 20 : 수평프레임 30 : 회전연결부
40 : 수직프레임 50, 70, 70′: 고정구 60 : 지지프레임
본 발명은 자전거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우산 형상을 가지는 차양부와 일정 길이의 수직프레임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L’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조립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자전거의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조립·설치함에 따라, 자전거를 주행하는 동안, 주행자를 간섭하지 않으면서, 주행자에게서 햇빛과 비를 가려 주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앞·뒤로 나란히 구성하는 바퀴를 페달을 밟아 진행하는 2륜차로, 비교적 짧은 거리에 이용하고, 주로 사람의 힘을 통해 운전하므로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날씨 변화에 대한 장치는 따로 설치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내리쬐는 햇빛,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 등에서 주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차양 장치를 자전거에 설치하는 것이 발명되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384135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자전거 전륜측 본체와 그 후륜측 본체에 걸쳐 적어도 두 개이 폴대를 아치형으로 설치하고, 이에 덮개를 구비한 자전거용 조립식 텐트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그 폴대 높이에 대한 한계가 있으므로 앉은키가 높은 사람에게 적절하지 않고, 또 그 폴대가 시야를 가리거나 좁힐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5287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측의 안감에는 다수개의 공기유입배출구를 형성하고, 외측에 이를 덥는 겉감을 설치하며, 이 사이에 공간 이격을 위한 공간지지대를 구성한 자전거용 유선형 이층구조 통풍 파라솔을 구성하고, 상기 파라솔을 지지하는 포스트를 자전거의 안장 뒤쪽으로 설치하고, 안감 전면에 형성된 고리에 연결끈을 연결하여, 이를 자전거 전면에 돌출·설치한 연결끈지지대와 연결되게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이층구조 통풍 파라솔은, 그 이중 구조에 의해 구조가 복잡하고,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감 전면을 연결끈으로 잡아 자전거 전면으로 고정함에 따라 시야가 좁아지고, 연결끈지지대에 의한 상·하, 좌·우의 흔들림으로 주행자와 간섭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양막에 살대가 고정된 우산 형상의 차양부에 일정 길이의 수평프레임을 고정하고, 이에 일정 높이를 가진 수직프레임 및 ‘L’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순차로 고정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자전거의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뒤로 고정되어, 따가운 햇살이나 내리는 비로부터 주행자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을 아치형으로 형성하고, 이와 조립하는 수평프레임과는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며, 이 수평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은 높이 조 절이 가능하여, 주행자의 움직임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하고,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분리되어 차양부에 조립하여 이동용 우산으로 사용함에 따라 실용성을 더욱 높이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수평프레임은 수직프레임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리하여 별도 보관할 수 있음으로 분실의 우려성을 불식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용 차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우산 형상을 가지는 차양부와 일정 길이의 수직프레임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L’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조립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자전거의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조립·설치함에 따라, 자전거를 주행하는 동안, 주행자를 간섭하지 않으면서, 주행자에게서 햇빛과 비를 가려 주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대략 설명하면,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살대(16)에 차양막(17)을 고정한 차양부(10);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로, 그 양단에 탄성을 가진 로킹스프링(22)이 끼움된 수평파이프(20); 일정 길이의 환봉으로, 일단 내부에 원통형으로 파인 끼움부(31, 미도시)를 형성하고, 그 타단에 브라켓(32)이 일체·형성되어, 이에 관통된 고정공(32′)을 형성한 회전연결부(30); 일 정 길이의 환봉으로, 그 일단에 브라켓(41)이 일체·형성되어, 이에 관통된 고정공(41′)을 형성한 수직프레임(40); ‘L’자로 형성한 파이프로, 일단에 연결용 고정구(70)를 구비한 지지프레임(60)을 구성하여, 상기 수평프레임(20)의 양단에 차양부(10)와 회전연결부(30)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회전연결부(30)에 수직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60)을 순차로 연결·고정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고정구(70)로 자전거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고정·설치하는 대략적인 구조이다.
이와 같이 차양부(10), 수평프레임(20), 회전연결부(30), 수직프레임(40), 지지프레임(60)으로 구성하는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먼저 차양부(10)를 살펴보면, 이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너트(11), 허브(12), 살대브라켓(13), 고정부(14) 및 로킹해제캡(15)을 순차로 조립하고, 이를 중심으로 살대(16)와 차양막(17)이 방사형으로 조립되어, 통상 우산과 유사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먼저, 잠금너트(11)는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그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그리고 허브(12)는 원통형의 중간부(12a)가 형성되어, 그 일단에 갈고리 형상의 고리부(12b)를 형성하되, 이는 탄성이 있고, 그 끝의 위치가 상기 중간부(12a)의 지름보다 벌어지게 형성하며, 이 타단은 상기 중간부(12a)보다 더 큰 지름의 걸림부(12c)가 원통형으로 일체·형성되어, 그 끝부분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 나사산을 두고 외주연을 따라 일정 폭으로 돌출·형성한 단턱부(12d)를 형성하며, 이 단턱부(12d)에 파인 안착홈(12d′)를 다수개 형성하고, 그 둘레를 따라 파인 안착부(12d″)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12c)는 내부 중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형으로 제거된 끼움부(12e)를 형성하고, 이에 관통한 걸림공(12e′)을 형성한다.
이어서 살대브라켓(13)은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일측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그 타측은 돌출한 단턱부(13a)가 형성되어, 이 단턱부(13a)에 파인 안착홈(13a′)를 다수개 형성하고, 그 둘레를 따라 파인 안착부(13a″)를 형성하며, 또, 고정부(14)는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일단의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 타단과 내부의 일정 위치에 돌출한 단턱부(14a)(14b)를 각각 형성하며, 이 고정부(14)의 외주연에 파이프 형상의 끼움부(14c)가 수직으로 일체·형성되어, 이에 관통한 걸림공(14c′)을 형성하고, 또한, 로킹해제캡(15)은 일정 높이를 가진 용기 형상으로, 그 가장자리를 따라 외부로 돌출한 단턱부(15a)를 형성한다.
그리고 살대(16)는 고정살대(16a)와 이 보다 짧은 이동살대(16b)로 구성되어, 고정살대(16a)의 일정 위치에 이동살대(16b)의 끝부분이 힌지 결합한 것으로, 각 고정살대(16a)와 이동살대(16b)는 일정 굵기를 가지고, 각 일단에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한 고리(16a′)(16b′)를 각각 형성하고, 이는 통상과 같이 내부식 처리된 철사, 스테인리스틸 또는 내구성이 좋은 합성수지로 구성하는데, 이는 상기 형상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양한 살대 구조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고정하는 차 양막(17)은 방수성 직물류로, 대개 사각형 이상의 다면체로 형성되어, 그 중앙을 원형으로 트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구성 부품 즉, 잠금너트(11), 허브(12), 살대브라켓(13), 고정부(14), 로킹해제캡(15), 살대(16) 및 차양막(17)은 순차로 결합되어 차양부(10)를 구성하되, 고정부(14)의 양단으로 로킹해제캡(15)과 살대브라켓(13)을 각각 조립하고, 허브(12)의 일단에 잠금너트(11)가 조립되어, 그 타단의 고리부(12b)를 상기 조립된 고정부(14)의 중앙으로 끼워 넣어, 그 단턱부(14b)에 걸리도록 하며, 이어 살대(16)를 방사형으로 조립하되, 각 고정살대(15a) 및 이동살대(15b)의 각 고리(15a′)(15b′)는 살대브라켓(13) 및 허브(12)의 각 안착홈(13a′)(12d′)에 각각 안착시키고, 각 안착부(13a″)(12d″)에 고정링(18)을 둘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살대(16)에 실 등으로 차양막(17)을 고정하여 차양부(10)를 구성하는데, 고정살대(16a)의 상부를 따라 고정하고, 차양막(17)의 중앙 부분을 고정부(14)와 살대브라켓(13)의 틈새 사이에 고정하거나, 또는 이 차양막(17)을 고정살대(16a) 및 이동살대(16b)의 하부을 따라 고정하고, 차양막(17)의 중앙 부분을 허브(12)의 단턱부(12d)와 잠금너트(11) 사이에 끼워 고정한 차양부(10)를 구성하며, 이렇게 구성한 차양부(10)는 펴진 상태이나, 이를 접을 경우에는 로킹해제캡(15)을 아래로 밀어 고리부(12b)의 기울기를 타고 내려가면서, 고리부(12b)가 고정부(14) 에서 이탈되어, 차양부(10)가 접히게 된다.
한편, 상기 살대(16)와 차양막(17)을 구성하는 실시예로써,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17)을 일 방향이 긴 육각형 형상을 띄되, 중앙 부분에서 각 모서리로 향하는 살대(16), 길이 방향의 중심에 각각 설치한 살대(16)로 총 6쌍의 살대(16)로 고정한다.
이어서 차양부(10)에 순차로 고정하는 수평프레임(20), 회전연결부(30), 수직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60)을 구성하는데, 우선 수평프레임(20)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가 구성되어, 양단에 일정 면적으로 관통한 걸림공(21)을 형성하고, 양단에 각각 로킹스프링(22)을 끼우되, 이는 판으로 ‘ㄷ’자, 또는 ‘∠’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일측이 돌출한 걸림부(22′)를 형성한 로킹스프링(22)을 끼워, 그 걸림부(22′)가 각 걸림공(21)을 통해 빠져, 걸림부(22)′ 누르면 그 탄성으로 걸림공(21) 아래로 내려 가고, 놓으면 다시 튀어나오도록 한다.
또한, 회전연결부(30), 수직프레임(40) 및 이 둘을 연결하는 고정구(50)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그 일단은 중앙 내부로 원통형으로 일정 깊이 파인 끼움부(31, 미도시)를 형성하고, 이에 관통한 걸림공(31′)을 형성하며, 그 타단은 일정 두께의 원판을 하나 또는 다수개 평행하게 일 체로 형성한 브라켓(32)을 구성하고, 이에 관통된 고정공(32′)을 각각 형성하며, 다음 수직프레임(40)은 일정 길이의 환봉으로, 일측을 아치로 형성하여, 차양부(10)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일단은 일정 두께의 원판을 하나 또는 다수개 평행하게 일체로 형성한 브라켓(41)을 구성하고, 이에 관통된 고정공(41′)을 각각 형성하며, 또한, 상기 각 브라켓(32)(41)을 연결하는 고정구(50)로는 일정 길이의 볼트에 손잡이가 달린 노브(51)와 상기 볼트(51a)에 끼움되는 너트(52)를 구비한다.
또, 지지프레임(60)를 도1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는 ‘L’자 형태를 가지는 파이프로, 일단에는 일정 폭 및 일정 길이로 트임부(61)를 형성하고, 그 타단에는 연결용 고정구(70)를 구비·고정하며, 참고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절곡한 부분은 온전히 수직을 형성하는 것보다, 실제로 부드럽게 굴곡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언급한 고정구(70)는, 상기 수직프레임(40)과 지지프레임(60)을연결하는 연결용 고정구(70′)와 그 구조와 대동소이하며, 이는 클램프(71), 캠레버(72) 및 너트(73)로 구성하되, 이를 도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클램프(71)는 ‘
Figure 112005038362472-pat00001
’의 형상으로, 일정폭의 판재를 둥글게 형성하고, 그 끝단이 일정 거리를 두고 마주 보게 꺽여, 이에 관통된 구멍을 각각 형성하며, 캠레버(72)는 볼트의 일단에 캠이 힌지 결합한 것으로, 상기 캠에는 아치형의 손잡이가 일체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클램프(71)가 원통형 물체를 잡아 고정하고, 이의 구멍에 캠레버(72)의 볼트 부분을 끼워 너트로 고정하며, 상기 손잡이를 돌려, 편심한 캠의 먼쪽을 향해 제껴, 클램프(71)와 원통형 물체를 밀착시키고, 손잡이를 클램프(71)에 가볍게 밀착하는 구조로, 클램프(71)는 적용하는 원통형의 물체에 따라 변형하는데, 지지프레임(60)과 자전거를 연결하는 고정구(70)의 경우, 클램프(71)를 지지프레임(6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되, 이는 원주 상에서 둘로 나뉜 상태로 힌지로 이음되어, 이에 의해 클램프(71)가 일정 각도로 벌어져 자전거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차양부(10), 수평프레임(20), 회전연결부(30), 수직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60)을 상기 각 고정구(50)(70)로 연결하여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되, 이는 수평프레임(20) 양단으로 상기 차양부(10)의 고정부(14)에 형성한 끼움부(14c)와 회전연결부(30)의 끼움부(31)에 각각 끼워, 각 로킹스프링(22)의 걸림부(22′)가 각 걸림공(14c′)(31′)으로 걸리도록 하고, 이어 회전연결부(30)에 수직프레임(40)을 연결하여 고정구(50)로 고정하되, 각 브라켓(32)(41)을 조립하여 각 고정공(32′)(41′)을 일치시켜, 이에 노브(51)를 끼워 너트(52)로 고정하며, 이어 상기 수직프레임(40)에 지지프레임(60)을 끼워 고정구(70′)로 고정하여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며, 이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60)의 고정구(70)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자전거용 차양 장치는, 차양막을 통해 내리쬐는 햇빛이나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로부터 주행자를 보호하며, 주행자의 뒤로 설치되므로 주행자의 움직임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하고, 주행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날씨나 상황에 따라 회전연결부와 수직프레임 사이의 각도 조절과 수직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통해 높이 조절로 최적의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고, 더욱이, 수직프레임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양부 및 회전연결부와 분리해내어, 그 일단을 상기 허브의 끼움부에 끼워, 로킹스프링의 걸림부가 걸림공으로 빠져 걸리도록 하여 고정하면, 이동용 우산으로 쓸 수 있으므로 실용성이 더욱 높은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양막에 살대가 고정된 우산 형상의 차양부에 일정 길이의 수평프레임을 고정하고, 이에 일정 높이를 가진 수직프레임 및 ‘L’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을 순차로 고정한 자전거용 차양 장치를 구성하여, 이를 자전거의 안장을 받치는 프레임에 뒤로 고정되어, 따가운 햇살이나 내리는 비로부터 주행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측을 아치형으로 형성하고, 이와 조립하는 수평프레임과는 일정 각도로 회전하며, 이 수평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주행자의 움직임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하고,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분리되어 차양부에 조립하여 이동용 우산으로 사용함에 따라 실용성이 더욱 높은 효과가 있다.
또, 수평프레임은 간편하게 분리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의 차양장치는 쉬 분리하여 별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자전거용 차양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허브(12), 살대브라켓(13) 및 고정부(14)를 구성하여, 이에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살대(16) 및 차양막(17)을 고정하여 차양부(10)를 구성하되,
    상기 허브(12)는 원통형의 중간부(12a)가 형성되어, 그 양단에 고리 형상의 고리부(12b)와 더 큰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걸림부(12c)를 각각 일체·구성한 허브(12)로 구성되고, 상기 살대브라켓(13)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형으로, 일측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살대브라켓(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4)는 내부가 관통한 원통형으로, 일단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 타단 및 내부 일정 위치에 내부로 돌출한 단턱부(14a)(14b)를 각각 형성한 고정부(14)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14)와 살대브라켓(13)이 결합하고, 이에 고리부의 이탈 또는 끼움으로 차양부(17)가 접거나 펴지도록 하며,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파이프로, 그 양단에 탄성을 가진 로킹스프링(22)이 끼움된 수평파이프(20), 일정 길이의 환봉으로, 그 일단에 관통된 고정공(32′)을 각각 형성한 회전연결부(30), 일정 길이의 환봉으로, 그 일단에 관통된 고정공(41′)을 형성한 수직프레임(40),
    상기 각 고정공(32′)(41′)에 끼움·조립하는 볼트에 손잡이를 형성한 노브(51)와 이에 잠기는 너트(52)로 구성하는 고정구(50),
    ‘L’자로 형성한 파이프로, 그 일단에는 연결용 고정구(70)가 고정된 지지프레임(60)과, 이 지지프레임(60)의 타단에는 두 원통체인 수직프레임(40)과 지지프레임(60) 연결용 고정구(70′)가 각기 구비된 지지프레임(60)으로 각기 구성되며,
    상기 연결용 고정구(70),(70')에는‘
    Figure 112007016352918-pat00010
    ’의 형상으로, 일정폭의 판재를 둥글게 형성하고, 그 끝단이 일정 거리를 두고 마주 보게 꺽여, 이에 관통된 구멍을 각각 형성하는 클램프(71), 볼트의 일단에 캠이 힌지 결합한 캠레버(72) 및 이에 조립하는 너트(73)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차양부, 수평프레임, 회전연결부, 수직프레임, 지지프레임을 각 고정구를 이용하여 순차로 연결·고정한 차양 장치를 구성하여, 자전거에 조립되어 주행자로 부터 햇빛과 비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차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파이프(20)은 그 양단에 관통된 걸림공(21)을 각각 형성하고, 이를 통해 로킹스프링(22)의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14)의 외주연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한 끼움부(14c)를 형성하고, 이에 관통된 걸림공(14c′)을 형성하며, 회전연결부(30)의 일단 중심에 일정 깊이로 파인 끼움부(31)을 형성하고, 이에 관통한 걸림공(31′)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차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12)의 걸림부(12c) 내부 중앙을 따라 원통형으로 파인 끼움부(12e)를 형성하고, 이에 관통된 걸림공(12e′)를 형성하여, 이에 수평프레임(20)이 끼움되어 우산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차양 장치.
  6. 1항에 있어서,
    고정부(14)의 상단에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가장자리를 따라 외부로 돌출한 단턱부(15a)를 형성한 로킹해제캡(15)를 구비하여, 고정부(14)에 끼워 고리부(12b)의 이탈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차양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12)의 걸림부(12c) 끝 부분과 살대브라켓(13)의 일단에는 각각 돌출한 단턱부(12d)(13a)가 형성되어, 이에 각각 파인 안착홈(13a′)을 다수개 형성하고, 그 둘레를 따라 파인 안착부(13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살대(16)는 일정 길이의 고정살대(16a)의 일정 위치에 이 보다 짧은 길이의 이동살대(16b)가 힌지 결합하되, 각 끝단에 갈고리 형상의 고리(16a′)(16b′)가 형성되어, 상기 살대의 고정을 용이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차양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허브(12)의 걸림부(12c)의 끝단 단턱부(12d)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별도로 중앙이 관통되어 그 내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한 잠금너트(11)를 구비하여, 상기 단턱부(12d)와 잠금너트(11)사이에 차양막(17)이 끼움된 상태로 잠금너트(11)을 체결함으로서, 차양막(17)이 각 살대(16)의 하부를 따라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차양 장치.
KR1020050064126A 2005-07-15 2005-07-15 자전거용 차양 장치 KR100774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26A KR100774974B1 (ko) 2005-07-15 2005-07-15 자전거용 차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26A KR100774974B1 (ko) 2005-07-15 2005-07-15 자전거용 차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35A KR20050080135A (ko) 2005-08-11
KR100774974B1 true KR100774974B1 (ko) 2007-11-08

Family

ID=3726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126A KR100774974B1 (ko) 2005-07-15 2005-07-15 자전거용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56B1 (ko) * 2014-06-05 2014-12-05 이춘복 전동 스쿠터용 절첩식 차양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374B1 (ko) * 2008-09-19 2010-10-26 홍재성 자전거용 우산 장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345A (en) 1975-07-11 1976-07-20 Holcomb Stephen A Cycle seat with accessory-bearing attachments
JPS58178083U (ja) 1982-05-24 1983-11-29 佐伯 若文 愛知県名古屋市西区貝田町1丁目75番地鷲尾荘
KR860002683A (ko) * 1984-09-26 1986-04-28 와다 고지 가요성 신축관 커플링
JPS63189891U (ko) 1987-05-28 1988-12-06
JPH0328600U (ko) * 1989-07-25 1991-03-22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345A (en) 1975-07-11 1976-07-20 Holcomb Stephen A Cycle seat with accessory-bearing attachments
JPS58178083U (ja) 1982-05-24 1983-11-29 佐伯 若文 愛知県名古屋市西区貝田町1丁目75番地鷲尾荘
KR860002683A (ko) * 1984-09-26 1986-04-28 와다 고지 가요성 신축관 커플링
JPS63189891U (ko) 1987-05-28 1988-12-06
JPH0328600U (ko) * 1989-07-25 1991-03-2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56B1 (ko) * 2014-06-05 2014-12-05 이춘복 전동 스쿠터용 절첩식 차양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35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53658B2 (en) Collapsible cover for seating unit
US9352642B2 (en) Vehicle sun cover
US9688336B2 (en) Protective detachable cabin for electric scooter
US7946306B2 (en) Portable garage
US20060272687A1 (en) Beach umbrella
US8910997B2 (en) Adjustable automobile shade cover
US20120012144A1 (en) Mini Cabana for Lounging at the Pool or Beach
US20190037983A1 (en) Foldable bicycle sunshade
KR100774974B1 (ko) 자전거용 차양 장치
JP2022546366A (ja) 自己調整式の日よけアセンブリ
JP2020037374A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US9326573B1 (en) Portable shade assembly with clamping system
US11098497B2 (en) Ventilated tent
US11001326B1 (en) Canopy apparatus and bicycle formed therewith
KR200384135Y1 (ko) 자전거용 조립식 텐트
CN204184182U (zh) 汽车遮阳篷
JP2008074312A (ja) 乗り物用覆い装置
CN104973177B (zh) 一种自行车电动车遮雨棚
KR200362038Y1 (ko) 자전거용 우산
TWI357384B (ko)
US10780734B2 (en) Tire sidewall shading device and attachment system
KR200429126Y1 (ko) 차량용 그늘 막 지지 구조
AU2007100513A4 (en) Improved pram/stroller cover
JP2005153623A (ja) 自動車用日除け装置
KR200378827Y1 (ko) 패스너를 갖는 유아탑승기구용 차양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