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580B1 -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580B1
KR100774580B1 KR1020060014458A KR20060014458A KR100774580B1 KR 100774580 B1 KR100774580 B1 KR 100774580B1 KR 1020060014458 A KR1020060014458 A KR 1020060014458A KR 20060014458 A KR20060014458 A KR 20060014458A KR 100774580 B1 KR100774580 B1 KR 10077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fid
rfid tag
license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118A (ko
Inventor
이길섭
Original Assignee
이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섭 filed Critical 이길섭
Priority to KR102006001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5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등록번호, 차대번호, 부착위치, 인증키, 오류검사코드 등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 차량 주변의 차량, 교통안전표지, 교통 신호기, 건물, 시설, 안내 정보 등을 수집 가능한 RFID 리더;를 포함하며, 상기 RFID 태그와 RFID 리더를 동일한 공실에 매입하여 불법적으로 해체할 수 없도록 소관기관의 봉인 하에 사용되며, 상기 RFID 태그과 FRID 리더를 각각 갖는 제1패널과 제2패널을 전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게 하고, 시각적 자동차등록번호판과 혼용 또는 단독으로 사용가능한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로의 시설물에 설치된 RFID 태그과 FRID 리더를 이용하여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정보를 다양한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등록번호판, 교통안전표지, RFID 태그, RFID 리더, 자동차 운행정보 시스템

Description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The Bidirectional Digital Identification Board for Registered Automobile and Servic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자동차 시스템의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의 RFID 태그 정보형식의 데이터구조,
도 2c는 본 발명의 교통안전표지, 건물, 시설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정보형식의 데이터구조,
도 2d는 본 발명의 RFID 정보 처리 개념도,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의 정보기록장치의 정보형식 데이터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로교통체계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동적인 신호 장치를 위한 정보처리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과속탐지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주정차 감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긴급 구조 서비스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디지털 도로반사경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차 110, 120 : 자동차등록번호판
111 : RFID 태그 112 : RFID 리더
113 : 제1패널 114 : 제2패널
115 : 봉인 116 : 고정홈
130~134 : 정보 단말기 400 : 통합 교통정보망
410 : 정보 필터 420 : 무선 기지국
430 : 응용 시스템 서버 440 : 응용 시스템 단말기
본 발명은 자동차등록번호를 기억시킨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와 도로 및 주변의 교통안전표지 및 시설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RFID 리더가 동일한 공실에 매입되어 봉인된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과 이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통신망 및 정보 단말기를 통하여 자동차의 운행 및 교통 관련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 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등록번호판과 도로 표지는 시각에 의존한 판독으로 광명, 기상, 인간의 인지 능력 등의 조건에 의하여 그 식별력에 있어서 오류 발생 확률이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식별 확률의 저하는 교통법규 준수율의 저하, 뺑소니 발생 등 범칙 및 범죄자의 증가로 이어지고, 도로 표지의 사전 예고 능력 저하로 특정 지점을 통과하거나 잘못된 길로 들어서 목적지까지 도착시간의 지연, 운전자의 망설임으로 교통 흐름의 저해 또는 사고 유발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에 도입된 RFID 태그는 안테나와 초소형 칩으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RFID 리더도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해짐에 따라 휴대용 이동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 다양한 단말기에 접속하여 사용이 되고 있다. 이들 RFID 태그와 리더는 일정거리에서 접촉이 없이도 정보 교환이 가능하여 산업계 전반, 특히 물류 유통 분야에서 많은 활용이 되었거나 적용이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RFID 태그를 교통 분야에 적용한 디지털 전자 번호판을 이용한 조회 시스템 (특허 10-0393485)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차량의 번호판에 RFID를 부착하고 도로상 또는 도로변에 설치된 검출기 이용하여 RFID 내장 정보를 읽어 PDA, 휴대폰, 전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회하는 시스템이다. 이 발명에서는 자동차 외부에 설치된 검출기에 의한 차량의 조회에만 한정되고, 자동차 내부의 이용자가 제외되거나, 검출된 정보는 위변조가 가능하여 공증이 요구되는 서비스에 적용하는데 제한된다.
또한, 도로면 또는 교통 신호기와 같은 도로 시설물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위치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특허공개 10-2005-0064579)이 개시된 바 있다. 이 발명에서는 RFID에 저장되는 식별 코드의 구조, RFID 리더를 통한 위치, 도로, 자동화 정보의 획득, 처리를 통한 차량의 제어 또는 일반적인 텔리매틱스 서비스 방법의 제공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위변조가 불가한 RFID 리더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통한 구체적인 응용 서비스에 대하여서는 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공공기관에 의하여 공인이 요구되며, 정보의 제공과 획득이 가능한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이를 통한 정보의 수집, 처리,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전파하여 제공되는 응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은 기존의 시각에 의존하거나 RFID 태그만을 부착한 자동차등록번호판 대신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및 RFID 리더를 부착하여 봉인하고 공공기관에 의하여 발급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이를 통하여 일정거리 내에서 다른 자동차 등록번호와 RFID가 부착된 도로 또는 주변 표지의 정보를 읽어서 정보의 보호가 유지되는 차량의 특정 공간에 기억소자에 저장하거나, 통신 장치 또는 망을 통하여 공인 또는 비공인 정보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용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사례가 가능하며 그 중의 본 발명의 실행 예로 자동차 등록, 도로관리, 시설관리, 교통경찰, 세무, 긴급 구조, 자동차 운행, 교통정보, 부가 서비스, 보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이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을 부착한 자동차(100)가 RFID 태그를 포함한 교통안전표지인 노면 표지(200)와 주의 표지(310), 지시 표지(320), 규제 또는 보조 표지(330)와 RFID 태그가 포함된 신호기(340), 및 RFID 리더가 포함된 검출기(35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도로상에 운행 중인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은 자동차등록번호와 부착위치 등의 정보를 기억시킨 RFID 태그와 RFID 리더를 동일 공실에 매입하여 봉인한 일체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은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운행 중인 차량 주변의 차량, 교통안전표지, 교통 신호기, 건물, 시설, 안내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으며, 검출기는 교통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유무선 통신체계를 포함하는 통합 교통정보망(400)을 통하여 운전자를 포함한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에게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자동차(100)내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여기에는 자동차등록번호판(110, 120), 정보 단말기(130) 및 그 진행방향(140)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자동차등록번호판에는 기존의 자동차등록번호판의 양 측면에 RFID 태그(111)와 리더(112)를 부착한다. 이 장치는 두 개의 제1패널(113)과 제2패널(114)이 전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을 불법적으로 해체할 수 없도록 봉인(115)을 사용하여 밀봉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동차등록번호판은 자동차의 전면과 후면 등 부착위치에 대한 구별이 필요하므로 뒤 바뀌지 않도록 고정 홈(116, 126)을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이하게 제작한다. 이 장치는 기존의 시각적인 자동차등록번호판(117, 118)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부착 방법은 기존의 자동차등록번호판 외에도 필요한 장소에 시각적 자동차등록번호판이 없는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만을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2b는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의 RFID 태그에 저장되는 정보 형식의 예(150)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는 헤더(151), 일련번호(152), 자동차등록번호(153), 차대번호(154), 부착위치(155), 인증키(156), 오류검사코드(157) 등으로 구 성된다.
상기 헤더(151)에는 버전 정보와 자동차등록번호 또는 표지 정보 등의 정보유형코드가 수록된다. 일련번호(152)는 통합 교통정보망에서 일련번호 또는 국제표준코드가 제정될 것을 대비한 번호로서 단일 RFID 태그를 유일하게 식별해주는 코드이다. 부착위치(155)는 자동차등록번호판이 부착된 위치를 의미하며 기존 번호판의 위치에 부착될 경우에는 전면과 후면으로 구분한다. 인증키(156)는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를 이용한 사생활 침해를 막기 위한 것이고, 오류검증코드(157)는 수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위한 것이다.
도 2c는 도로 노면 및 주변에 설치되는 각종 표지에 부착되는 RFID 태그에 수록되는 정보 형식의 예(160)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는 헤더(161), 일련번호(162), 표지코드(163), 부가정보(164), 실행정보(165), 관리정보(166), 인증키(167), 오류검사코드(168) 등으로 구성된다. 헤더(161)와 일련번호(162)는 도 2b에서와 동일한 의미이고, 표지코드(163)는 관련 법규에서 제시하는 노면, 주의, 규제, 보조 표지의 코드 값을 부여하고 부가정보(164)는 가변길이의 추가정보를 제공한다. 통상 RFID는 가독 거리가 짧아 운행을 위한 사전 주지가 필요하여 실행되는 위치보다 선행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여 실행정보(165)가 요구된다. 관리정보(166)는 RFID 태그가 실제로 설치된 위치, 관리자 등의 정보를 말한다. 인증키(167)는 부당한 검출기에 의한 정보 수집을 금지하고 오류검사코드(168)는 수신된 정보의 무결성을 위하여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지와 달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가 변동되는 동적 인 신호를 포함하는 정보 형식(170)이 요구된다. 상기 헤더(171)에는 버전 정보와 표지 정보 등의 정보유형코드가 수록된다. 일련번호(172)는 통합 교통정보망에서 일련번호 또는 국제표준코드가 제정될 것을 대비한 번호로서 단일 RFID 태그를 유일하게 식별해주는 코드이다. 상기 정보 형식(170)는 신호코드(173)와 신호 정보(174)에 의하여 구현된다. 예를 들어 신호등인 경우 신호코드(173)는 신호등을 의미하는 코드와 신호의 색상을 의미하는 값으로 구성된다. 실행정보(175)는 변경된 시점의 시각, 지속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안내문 코드와 ‘A 구간에서 소통지체‘라는 문구를 이용한 안내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관리정보(176), 인증키(177), 오류검사코드(178)는 표지정보의 형식(160)의 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정보 처리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른 자동차(111)의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과 교통안전표지(200) 및 신호기(340)에 포함된 RFID 태그(111)와 응용 시스템(440)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응용 시스템(440)이 RFID 리더(112)에 명령(a)을 내리면 RFID 태그(111)에 명령(b)을 내린다. 그 결과로 RFID 태그(111)로부터 응답(c) 정보를 RFID 리더(112)에 보내면 다시 응용 시스템(440)에 응답(d) 정보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통신과정에서 외부의 오용 또는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증키를 사용한다.
아울러 RFID 리더(112)는 제어기(112a)에서 응답 정보를 내부에 일정량으로 한정된 버퍼(112b)에 기록을 시킨다. 이는 필요 이상의 정보 보관으로 불특정 다수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버퍼에는 도 2e의 RFID 리더의 정보기록장치의 정보 형식의 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RFID 태그로부터 응답된 RFID코 드 정보(181)와 응답된 시각에 해당하는 타임스탬프(182)를 기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로교통체계의 예로서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을 부착한 자동차(100)가 디지털화된 도로 위를 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로에는 RFID 태그를 포함한 횡단보도(210), 자전거 횡단보도(220), 정지선(230), 진로변경제한선(240), 횡단보도 예고(250), 중앙선(260), 차선경계선(270) 등의 노면 표지(200)와 주의 표지(310), 지시 표지(320), 규제 또는 보조 표지(330) 등의 교통안전표지와 RFID 태그를 포함한 신호기(340)와 RFID 리더를 포함한 검출기(350)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이 가능한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을 이용한 응용 서비스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을 이용하여 자동차 등록(510), 도로 관리(520), 시설 관리(530), 교통경찰(540), 세무(550), 긴급 구조(560), 자동차 운행(570), 교통 정보(580), 보험(590), 부가 응용(600) 등의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통합 교통정보망(400)을 중심으로 각각 정보 필터(410)를 이용하여 서비스별로 인가된 정보의 공유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차 등록(510)은 자동차의 신규 등록, 자동차등록번호 지정, 자동차등록번호판의 교부 및 봉인, 변경등록 및 이전, 반출ㆍ폐차 및 말소등록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의 정보를 검출기를 이용하여 읽고 변경사항을 관리한다. 이를 기반으로 미등록 차량이 도로 상에 운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로 관리(520)는 도로와 관련된 시설 또는 표지에 대한 관리로서 설치 및 변경을 하는 경우에 도 2c에서와 같은 정보를 수록한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이들에 대한 식별자, 설치위치, 설치일자, 관리자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정보는 한 번 설치하고 읽기만 하는 정적 정보형식(160)과 변경이 가능한 동적 정보형식(170)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위 경우 모두 위변조가 일어나지 않도록 인증키를 적용하도록 한다.
동적으로 신호가 변동되는 장치와 연동이 되는 RFID 태그는 외부 신호에 의해서 위변조가 되지 않고 신호장치(340)에 의해서만 태그(200, 300)의 정보가 변경되도록 도 5와 같이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내부의 회로를 이용하여 신호 장치에서 제어를 통하여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RFID 태그 내의 정보를 읽고 처리하는 방법은 도 2d의 RFID 정보 처리 개념도에서와 동일하다. 이 경우에 교차로의 신호등, 가변차선, 통행금지 및 제한, 통행구분 등의 정보를 도 2c의 동적 정보 형식(170)을 통하여 차량내의 정보 단말기(135)의 표시창(341)에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시설 관리(530)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건물이나 시설 등에 대하여 RFID 태그를 부착하여 도로 관리(520)에서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시의 도로명과 건물의 번지 등을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안이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식별할 수 있다. 지리정보서비스와 연계하면 목적지까지 용이하게 경로를 탐색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교통경찰(540) 서비스는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와 도로 및 시설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법규 위반 차량을 단속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고시점 운행기록 제공, 속도위반, 주정차 위반 식별의 실시 예를 제시한다. 그리고 자동차 검사 정보, 과세 정보, 보험 정보, 수배 및 도난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를 할 경우 법규 위반, 미과세 차량 식별 등의 세무(550) 서비스, 무보험 차량 식별 등의 보험(590) 서비스도 적은 비용으로 쉽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변화된 서비스는 사고시점의 운행기록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통상의 사고에서 피해자는 증언 능력이 상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증언 능력이 있는 측에 유리한 방향으로 사고 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피해자 측에서는 갈급하게 목격자를 찾지만 목격자는 개인 생활의 침해를 감안하여 나서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또한, 사고 당시 속도추정에 있어서 사고 차량의 브레이크를 밟을 때 남는 타이어 자국에 의하지만 의도적으로 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식적인 조사에서 실제와 다른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a 내지 2d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자동차등록번호판을 통하여 상시 인접 자동차의 등록번호와 주변 표지 및 시설의 정보를 포함한 운행 기록을 제공하므로 사고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 차량을 찾을 수 있고, 주변 표지 및 시설의 정보를 읽은 시간과 표지 또는 시설간의 위치 정보를 통하여 사고 당시의 속도의 추정이 가능하다. RFID 리더(112)에 자동차등록번호판의 전면 및 후면 순서로 읽혀졌다면 차량의 진행 방향도 알 수 있다. 또한, 교차로와 곡선 도로 등 사고 다발 지역에는 검출기를 설치하여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자동차등록번호판의 운행기록을 근거로 사고용의 차량을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료를 근거로 보다 진실에 가까운 사고 조사와 뺑소니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속도 위반 단속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속도위반 단속은 현재 고정 및 이동 단속 카메라에 의하여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제한속도(vr)를 얼마나 초과(δ1, δ2) 하였는지에 따라 단계적으로 범칙금을 부여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특정 자동차(100)에 대하여 검출기 a와 검출기b가 거리 d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두 개의 검출기에서 정보를 읽은 시간이 각각 ta와 tb라 한다면 자동차의 평균속도는 v = d / (tb - ta) 임을 알 수 있고, 이는 다시 v > vr + δ1 인 경우와 v > vr + δ2 인 경우로 분류하여 범칙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카메라와 도플러 장치 등 고가의 전자장비의 사용과 점 단속의 제한사항을 저가의 전자장비로 대체하면서 구간 단속의 효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구비된 차량에 대해 도로상에 거리d 간격으로 설치된 검출기a와 검출기b를 이용하여 속도위반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검출기a와 검출기b를 통과한 차량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기b에서 측정된 시간과 상기 검출기a에서 측정된 시간 차(tb - ta)를 거리d로 제산하여 평균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평균속도를 제한속도(vr) 대비 초과속도(δ1, δ2)를 합산하여 범칙금을 부과하는 단계;를 통해 차량속도 위반을 검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 위반을 감시하는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정차 위반인 경우에 보다 현실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정차 감시용 검출기(351, 352)는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감시 구역에 있는 자동차(100) 정보를 수집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 (400, 420)을 통하여 교통통제 서버(430)에 전송을 한다. 상기 서버(430)에서는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자동차 정보가 존재할 경우 주정차 위반으로 간주하고 자동차 등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자동차 소유주의 휴대 단말기(440)에 문자정보 서비스로 위반 사실을 경고한다.
즉,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구비된 차량에 대해 주정차 위반 구역에 설치된 두 대의 주정차 감시용 검출기를 이용하여 위반여부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정차 감시용 검출기를 이용하여 감시 구역에 있는 자동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 통하여 교통통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교통통제 서버에서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자동차 정보가 존재할 경우 주정차 위반으로 간주하고 자동차 등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자동차 소유주의 휴대 단말기에 문자정보 서비스로 위반 사실을 경고하는 단계;를 통해 주정차 위반 차량을 감시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감시된 위반 차량은 허용 시간이 지나면 견인 팀에 견인 임무를 문자정보로 제공한다. 견인 팀은 임무 수행 전에 휴대 장치로 견인 대상차량의 등록번호를 읽고 견인 차고지와 시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다시 자동차 소유주에게 이 사실을 문자 서비스로 알려준다. 문자정보 서비스를 확인하지 못한 소유주는 견인 사실을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의 자동차가 위치한 곳을 확인하여 범칙금을 납부하고 회수를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긴급 구조(560)서비스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의 진압, 사상자의 응급조치 및 후송, 방치된 차량의 제거로 후속 사고를 방지하는 서비스이다. 먼저 사고 차량(101, 102)에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정보 단말기에서 긴급 구조 버튼을 누르게 되면 본 발병에 따른 자동차등록번호, 최근 읽은 표지 정보, 또는 시설물 정보가 유무선 통신망(400, 420)을 통하여 데이터 서버(430)에 저장이 된다. 이는 다시 긴급 구조 대응반(134)에 통보되고, 대응 요원은 접수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고지점을 식별하고 신속하게 소방(131), 의료(132), 구난(133) 팀을 출동시켜 구호 및 구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고 주변에 인적이 많은 경우 제 3자의 신고에 의하여 신속하게 처리가 가능하나 인적이 드문 한적한 곳에서 실종이 되는 경우에 사고 이후 유효시간이 경과되어 사상자를 구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위험지역에서 실종차량이 발생하는 경우 도로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검출기(351, 352)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통하여 실종차량의 통과지점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실종지점을 추정 및 탐색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자동차 운행(570) 서비스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등록번호판 또는 별도의 RFID 리더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운행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자동차에 설치된 정보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의 예로는 경고, 주의, 알림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 경고 서비스는 주요 법규사항을 위반하였을 경우로 예를 들면, 도 6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제한속도를 초과했을 때 발생한다.
주의 서비스는 안개, 낙석, 절벽 등 위험지역, 사고 발생 지역, 공사 지역 등을 미리 알려주는 경우이다. 곡선 도로나 철길 건널목처럼 위험지역인 경우에는 사전에 알려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인접 차량의 번호를 분석하여 긴급 자동차, 긴급 구난차, 어린이 보호차량, 대형 차량인 경우에 주의 메시지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차선을 양보하거나 속도를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RFID를 이용한 디지털 도로반사경의 개념을 보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곡선 도로나 철길 건널목처럼 시야의 제한을 받는 장소에는 기존의 가시적 도로반사경과 병행하여 RFID 태그와 리더를 이용한 디지털 도로반사경을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다. 곡선 도로상에 상행 자동차(101)는 장애물(360)로 인하여 좌행 자동차(102)를 볼 수 없다. 이 경우에 검출기(351,351a)(353,353a)는 각각 인접 자동차(101, 102)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및 후면의 자동차등록번호판의 검출 순서에 의하여 진행방향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근거리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검출기간 상호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고, 검출기 (351, 353)에서는 각각 획득된 정보를 상호 접속된 RFID 태그 의 칩에 기록한다. 그러면 도 5의 동적인 신호 장치를 위한 정보처리 개념도에서와 같이 주행 중인 차량에서 변경된 RFID 정보를 읽어 곡선 도로의 반대쪽에 자동차가 접근하고 있음을 정보 단말기를 통하여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는 보행자분류코드를 가진 휴대장치를 가진 보행자에 대해서도 제공이 가능하다. 아울러 철길 건널목에 기차가 접근하면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주행 중인 자동차의 인접 RFID 태그의 칩에 접근 정보를 기록하면 차량에서 식별이 가능하고, 자동화 제어장치를 통하여 차단기의 제어가 가능하다.
알림 서비스는 통상적인 정보의 제공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도 2c의 읽기 전용 RFID 태그 정보(160)에 의한 주요 지점, 이정표 및 교통안전표지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도 2c의 읽기 쓰기 가능한 RFID 태그 정보(170)를 이용하여 운행 중인 도로의 평균 속도, 주요 목적지 도착 예정시간, 정체 구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도로상에 대형 문자정보 제공 시설을 대체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한편, 보행자의 경우에는 사생활 침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도 2b에서 자동차등록번호 대신에 동일한 보행자코드를 가진 RFID 태그를 휴대장치에 부착하면 차량과 동일한 개념으로 운전자에게 보행자가 존재함을 알리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에 RFID 리더를 부착하면 차량에서 제공받는 유사한 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580) 서비스는 개개의 차량의 통행 정보를 종합하여 시간대별 주행 속도, 정체 지역, 사고 지역을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자동차 운행(570)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백오피스에서 통 계처리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부가 응용(600) 서비스는 본 발명에 따라 정보 단말기에서 프로그램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이다. 이러한 예로 자동차 자동식별은 주차장, 주유소, 세차장, 정비소, 건물, 기관의 출입에 있어서 인증 및 서비스에 따른 자동 과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금융사와 연계되는 경우에는 자동 지불도 가능하다. 기타 음식점, 오락, 휴식 시설, 이벤트 등의 알림 서비스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과 교통안전표지, 신호기, 건물 및 시설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관련 전자장치 및 통합 교통정보망을 이용하여 도로교통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 처리, 전파 및 종합하여 자동차 등록, 도로관리, 시설관리, 교통경찰, 세무, 긴급 구조, 자동차 운행, 교통정보, 부가 서비스, 보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상에 불법 자동차 및 교통 법규 위반 차량을 감소시키며, 운전자에게는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하고, 특히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공적인 증거자료를 제시하며, 관련 기관에게는 적은 비용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소관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기존의 물리적이고 전자적인 교통 환경을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유비쿼터스 단계로 발전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을 주어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자동차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
    자동차 주변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RFID 리더; 및
    상기 RFID 태그 및 RFID 리더가 구비되어 봉인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2. 자동차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
    자동차 주변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RFID 리더;
    상기 RFID 태그 및 RFID 리더가 구비된 제1패널; 및
    상기 RFID 태그 및 RFID 리더가 구비된 제2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전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시켜 봉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 수록된 정보구조는,
    헤더, 일련번호, 자동차등록번호, 차대번호, 부착위치, 인증키 및 오류검사코드의 정보가 수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RFID 정보를 처리하는 경우에 RFID 교환정보 외에 인증키를 사용하고, 내부 에 전원이 차단되어도 정보가 유지되게 수집된 정보를 기록하는 기억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억장치는 RFID 코드 정보와 타임스탬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RFID 태그가 구비된 주변 차량, 교통안전표지, 교통신호기, 건물, 시설, 안내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의 정보구조는,
    헤더, 일련번호, 표지코드, 부가정보, 실행정보, 관리정보, 인증키 및 오류검사코드의 정보구조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7. 삭제
  8. 삭제
KR1020060014458A 2006-02-15 2006-02-15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KR10077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458A KR100774580B1 (ko) 2006-02-15 2006-02-15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458A KR100774580B1 (ko) 2006-02-15 2006-02-15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254U Division KR200415574Y1 (ko) 2006-02-15 2006-02-15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118A KR20070082118A (ko) 2007-08-21
KR100774580B1 true KR100774580B1 (ko) 2007-11-13

Family

ID=3861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458A KR100774580B1 (ko) 2006-02-15 2006-02-15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301B1 (ko) * 2016-07-19 2018-06-08 (주)파이시스네트웍스 교통보행 위험지역 내 차량진입 알림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EP3373458B1 (de) * 2017-03-08 2019-05-08 Sick Ag Kommunikationssystem und maschinenanordnu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92A (ja) 1996-07-08 1998-01-23 Toyota Motor Corp 車両走行誘導システム
KR20050027291A (ko) * 2003-09-15 2005-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밀 측위응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4579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식별 코드의 구조, 이를 이용한 텔레매틱스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60083381A (ko) * 2005-01-14 2006-07-20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차량주행속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8085A (ko) * 2006-06-19 2006-08-03 주식회사 제이소프트테크놀로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불법주차 적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92A (ja) 1996-07-08 1998-01-23 Toyota Motor Corp 車両走行誘導システム
KR20050027291A (ko) * 2003-09-15 2005-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인식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밀 측위응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4579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주파수 식별 코드의 구조, 이를 이용한 텔레매틱스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60083381A (ko) * 2005-01-14 2006-07-20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자태그를 이용한 차량주행속도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8085A (ko) * 2006-06-19 2006-08-03 주식회사 제이소프트테크놀로지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불법주차 적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118A (ko)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32927A1 (en) Vehicle monitoring &amp; identification system
US8022845B2 (en) Vehicle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CA2704332C (en) Traffic monitoring system
US9305323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etecting law enforcement violations in a vehicular environment
EP1224647B1 (en) Information system
US20180025648A1 (en) Vehicle Monitoring &amp; Identification System
US201403719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locations of vehicles therein
US20040189493A1 (en) RF electronic license plate and information system for vehicle tracking
EP2257939B1 (en) Interactiv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urban and extra-urban road network subjected to safety and feature-related standards and restrictions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1103612A1 (en) Traffic management system
KR100774580B1 (ko)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방법
KR200415574Y1 (ko) 양방향 디지털 자동차등록번호판
Hosseini et al. Overview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safety countermeasures for wrong-way driving
JP2001283376A (ja) 駐車違反車両の検出装置
CN104751664B (zh) 一种基于公众举报违规驾驶车辆的评价系统及其实现方法
Mlinarić Inteligent Traffic Control with Priority for Emergency Vehicles
Hu Cross-Cutting Studies and State-of-the-Practice Reviews: Archive and Use of ITS-Generated Data
Laplante " Smarter" Roads and Highways
CN104732786B (zh) 一种基于公众举报违规驾驶车辆的警示系统及其实现方法
Shi et al. Integration of microscopic big traffic data in simulation-based safety analysis
CONGRESS APPLICAT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FOR URBAN ROADS
McCormack et al. Technology and Safety on Urban Roadways: The Role of ITS in WSDOT
Yadav RFID Future of Red-Light Violation Detection System: An Analysis on What Does It Look Like and What are the Public Perceptions
ES2253043B1 (es) Sistema de ayuda a la conduccion de vehiculos a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