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171B1 -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171B1
KR100774171B1 KR1020050115370A KR20050115370A KR100774171B1 KR 100774171 B1 KR100774171 B1 KR 100774171B1 KR 1020050115370 A KR1020050115370 A KR 1020050115370A KR 20050115370 A KR20050115370 A KR 20050115370A KR 100774171 B1 KR100774171 B1 KR 100774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hannel
booster
automatic gain
radi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546A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17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6Driving or adjus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other driving or adjusting arrangements, e.g. of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 튜너의 동작 전계 레벨의 정확한 설정이 가능한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정 채널의 무선주파수를 선택 증폭하는 튜너 회로부, 상기 튜너 회로부에서 증폭된 상기 무선 주파수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검출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의 채널 대역정보에 따라 상기 튜너 회로부의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로 증폭하기 위한 부스터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 상기 무선 주파수의 채널 대역 정보가 저장된 채널 정보 저장부, 그리고, 상기 채널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채널 대역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로 전송하고,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로부터의 상기 부스터 온/오프 정보에 따라 상기 부스터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튜너의 동작 전계 레벨에 대한 정확한 설정이 가능하여 부스터를 정확히 동작시킬 수 있어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혼신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튜너, 부스터

Description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un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튜너 회로부 110 : 부스터
120 : 스위칭부 130 : RF 증폭부
140 : AGC 검출부 200 : AGC 전압 및 대역 판단부
210 : A/D 변환부 220 : 채널 대역 및 전압 검출부
300 : 제어부 400 : 채널 정보 저장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기기의 튜너 부스터의 동작 전계 레벨의 정확한 설정이 가능한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티브이 방송 이후 스테레오 음향, 리모트컨트롤 장치, 자막방송, 데이터방송 등이 일부 디지털 기술을 수용하게 되었고, 90년대 들어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이 더욱 급속히 확산되어 방송분야도 티브이의 고화질화와 다기능화를 실현시킬 디지털 티브이(DTV)를 추구하게 되었다.
방송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대중매체로서 디지털 방식으로 바꾸면 모든 요소(영상,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다루기 때문에 컴퓨터 데이터의 압축에서처럼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영상과 음성을 디지털로 신호처리 하면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정보가 되고, 여기에 부가적인 데이터를 추가하여 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금의 채널 하나에 HDTV급의 하나의 프로그램을, SDTV급 세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으며, 디지털로 신호를 전달하고 가공하므로 훨씬 더 깨끗한 화면을 즐길 수 있다. 전파가 장애물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화면 겹침(고스트)현상도 자체적으로 해결이 가능하고, HDTV 채널에서는 영화관에서만 즐기던 현실감 넘치는 화면과 입체음향을 가정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된다.
티브이는 안테나를 통해 공중의 무선 주파수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방 송을 튜너를 통해서 선국하게 된다.
그리고 티브이의 표준 채널 대역은 48.25 MHz 내지 140.25 MHz의 VHF-L 대역과, 147.25 MHz 내지 423.25 MHz의 VHF-H 대역 및 431.25 MHz 내지 855.25 MHz의 UHF 대역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RF) 신호가 약한 경우, 즉 약전계인 경우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며,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튜너 RF 입력에 별도의 신호 증폭기(부스터)를 이용해 신호를 증폭시켜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는 튜너 회로부(10)와, 자동이득제어(AGC : Auto Gain Control) 전압 판단부(20) 및 제어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튜너 회로부(10)는 부스터(Booster)(11), 스위칭부(12), RF 증폭부(13), AGC 검출부(14)로 구성되어 수신된 RF 중 선국된 RF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한다.
여기서 부스터(11)는 RF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만큼 증폭시킨다. 즉 RF 신호가 약하여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될 경우 RF 입력에 별도의 신호 증폭기를 두어 신호를 설정된 레벨(일반적으로, 약 20dB) 증폭시켜 깨끗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칭부(12)는 부스터(11)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RF 신호와 증폭되지 않은 RF 신호 중 하나의 RF 신호를 RF 증폭부(13)로 스위칭한다.
RF 증폭부(13)는 RF 신호를 일정한 이득이 되도록 증폭시킨다.
AGC(Auto Gain Control) 검출부(14)는 증폭된 RF 신호의 자동이득제어(AGC) 값을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AGC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그리고 증폭된 RF 신호는 혼합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중간 주파수로 하향 변환되고, 복조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영상신호로 복조된다.
AGC 전압 판단부(20)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부(21)와 AGC 전압 검출부(22)로 구성되어 AGC 전압을 판단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는 AGC 검출부(14)에서 검출된 AGC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AGC 전압 검출부(22)는 디지털 변환된 AGC 값에 따라 AGC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AGC 전압을 판단한다. 이때 검출된 AGC 전압이 설정된 전압(예를 들면, 2.2V) 이상이면 현재 RF 신호의 수신상태가 약전계이고, 설정된 전압 이하이면 약전계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제어부(30)는 AGC 전압 판단부(20)에서 판단된 AGC 전압을 리드하는 것에 따라 부스터 온/오프를 결정하여, 약전계인 경우 수신되는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부스터(11)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RF 증폭부(13)로 입력되도록 하고, 약전계가 아닌 경우에는 부스터(11)를 통하지 않는 바이패스된 RF 신호가 RF 증폭부(13) 에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부(12) 제어를 수행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튜너 부스터 제어 방법은 채널 업/다운 등의 채널 선국동작에 따른 채널 변경이 수행되면(S10), AGC 전압 판단부(20)에서는 AGC 전압을 판단하여 리드한 AGC가 설정된 AGC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20).
판단결과(S20) AGC 전압이 설정된 AGC 값(레벨)보다 크다면 약전계이므로 부스터 온을 결정한다(S30). 그에 따라 부스터에서 증폭된 신호가 RF 증폭부에 입력된다.
그러나 판단결과(S20) AGC 전압이 설정된 AGC 값(레벨)보다 크지 않다면 약전계가 아니므로 부스터 오프를 결정한다(S40). 그에 따라 부스터를 통과하지 않은(바이패스되는) RF 신호가 RF 증폭부에 입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VHF 대역과 UHF 대역의 전계강도(dB)에 따른 AGC 전압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UHF 대역에서 불필요한 부스터 동작을 실행하여 혼신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깨끗한 화면을 볼 수 있는 기준에 해당하는 전계 강도를 63dB이상이라 하고, RF 신호를 증폭한 후에 검출한 AGC 값이 약 2.2V인 경우 VHF 대역 채널에서의 2.2V는 60dB의 전계강도에 해당하지만, UHF 대역 채널에서의 2.2V는 70dB의 전계강도에 해당한다. 이때, VHF 대역에서는 63dB이하이므로 약전계라 판단하여 부스터 온을 하여야 하지만, UHF 대역에서는 약전계가 아닌 정상전계에 해당함에도 부스터 온을 하도록 함으로써 선국된 채널 이외의 채널 역시 전계가 증폭되어 복조 시 선국된 채널에 대한 혼신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었다.
둘째, 반대의 경우에는 VHF 대역에서 필요한 부스터 동작을 실행하지 않아 선명한 화면을 시청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영상기기 튜너의 동작 전계 레벨의 정확한 설정이 가능한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채널의 무선주파수를 선택 증폭하는 튜너 회로부, 상기 튜너 회로부에서 증폭된 상기 무선 주파수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검출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의 채널 대역정보에 따라 상기 튜너 회로부의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로 증폭하기 위한 부스터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 상기 무선 주파수의 채널 대역 정보가 저장된 채널 정보 저장부, 그리고, 상기 채널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채널 대역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로 전송하고,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로부터의 상기 부스터 온/오프 정보에 따라 상기 부스터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튜너 회로부는, 상기 영상기기에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만큼 증폭하는 부스터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스터를 통해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와 증폭되지 않은 무선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무선 주파수 증폭부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전송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일정한 이득이 되도록 증폭시키는 무선 주파수 증폭부와, 상기 무선 주파수 증폭부에서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검출하는 자동이득제어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는, 상기 자동이득제어 검출부에서 검출된 자동이득제어 값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자동이득제어값과, 상기 채널 대역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부스터 온/오프가 결정하는 채널 대역 및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채널 정보 저장부는, 티브이의 표준 채널 대역에 따라 VHF-L 대역과, VHF-H 대역 및 UHF 대역의 채널 정보가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튜너 회로부에서 채널 변경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채널의 채널 대역 정보를 리드하고, 상기 변경된 채널의 무선 주파수 신호의 자동이득제어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 대역 정보와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값을 비교하는 것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만큼 증폭하기 위한 부스터 온/오프 제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하는 채널 대역 정보는 VHF-L 대역과, VHF-H 대역 및 UHF 대역 중 하나인 것을 판단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스터 온/오프 제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VHF-L 대역과, VHF-H 대역 및 UHF 대역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설정된 자동이득제어 전압 임계값을 비교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기기에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채널 대역에 따라서 부스터 동작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강전계에 의한 혼신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약전계에 따른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는 튜너 회로부(100)와, AGC 전압 및 대역 판단부(200), 제어부(300) 및 채널 정보 저장부(400)로 구성된다.
튜너 회로부(100)는 부스터(Booster)(110), 스위칭부(120), RF 증폭부(130), AGC 검출부(140)로 구성되어 수신된 RF 중 선국된 채널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일정한 이득이 되도록 증폭한다.
여기서 부스터(110)는 RF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만큼 증폭시킨다. 즉 RF 신호가 약하여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될 경우 RF 입력에 별도의 신호 증폭기를 두어 신호를 설정된 레벨(일반적으로, 약 20dB) 증폭시켜 깨끗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칭부(120)는 부스터(110)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RF 신호와 증폭되지 않은 RF 신호 중 하나의 RF 신호를 RF 증폭부(130)로 스위칭한다.
RF 증폭부(130)는 RF 신호를 일정한 이득이 되도록 증폭시킨다.
AGC(Auto Gain Control) 검출부(140)는 증폭된 RF 신호의 자동이득제어(AGC) 값을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AGC는 아날로그 신호 값이다. 그리고 증폭된 RF 신호는 혼합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중간 주파수로 하향 변환되고, 복조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영상신호로 복조된다.
AGC 전압 및 대역 판단부(200)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부(210)와 채널 대역 및 전압 검출부(220)로 구성되어 현재 선국된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대역 및 AGC 전압을 판단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10)는 AGC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AGC 값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채널 대역 및 전압 검출부(220)는 디지털 변환된 AGC 값에 따라 AGC 전압을 검출한다. 한편 채널 대역 및 전압 검출부(220)는 제어부(300)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채널 대역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와 AGC 전압을 비교한다. 이때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는 예를 들면 티브이의 표준 채널 대역에 따라 제 1 대역(VHF-L 대역(48.25 MHz 내지 140.25 MHz))과, 제 2 대역(VHF-H 대역(147.25 MHz 내지 423.25 MHz)) 및 제 3 대역(UHF 대역(431.25 MHz 내지 855.25 MHz)) 중 하나의 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GC 전압 역시 VHF-L 대역에서 약전계라 할 수 있는 AGC 전압인 제 1 AGC 전압(2.2V)과, VHF-H 대역에서 약전계라 할 수 있는 AGC 전압인 제 2 AGC 전압(2.6V이상) 및 UHF 대역에서 약전계라 할 수 있는 AGC 전압인 제 3 AGC 전압(3V이상)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각 대역별로 서로 다른 AGC 임계 전압값을 갖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채널 대역이나 AGC 전압은 하나의 실시예로 당업자라면 실험이나 현장경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VHF-L 대역, VHF-H 대역 및 UHF 대역)와 제 1 내지 제 3 AGC 전압을 비교하여 부스터 온/오프가 결정된다.
다시 말하면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가 VHF_L 대역이면서 AGC가 제 1 AGC 전압(2.2V )이상인 경우,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가 VHF_H 대역이면서 AGC가 제 2 AGC 전압(2.6V)이상인 경우 및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가 UHF 대역이면서 AGC가 제 3 AGC 전압(3V)이상인 경우에는 현재 RF 신호의 수신상태가 약전계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300)는 채널 대역 및 전압 검출부(220)에서 부스터 온/오프에 따라, 약전계인 경우 수신되는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부스터(110)를 통해 증폭된 RF 신호를 RF 증폭부(130)로 입력되도록 하고, 약전계가 아닌 경우에는 부스터(110)를 통하지 않는 바이패스된 RF 신호가 RF 증폭부(130)에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칭부(120) 제어를 수행한다.
채널 정보 저장부(400)는 티브이의 표준 채널 대역에 따라 제 1 대역(VHF-L 대역(48.25 MHz 내지 140.25 MHz))과, 제 2 대역(VHF-H 대역(147.25 MHz 내지 423.25 MHz)) 및 제 3 대역(UHF 대역(431.25 MHz 내지 855.25 MHz))의 채널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국된 채널 정보와 AGC 값을 함께 비교함으로써 현재 수신중인 RF 신호의 전계레벨에 따른 약전계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은 채널 업/다운 등의 채널 선국동작에 따른 채널 변경이 수행되면(S100), 제어부(300)는 채널 정보 저장부(400)에서 채널 대역 정보를 리드한다(S110). 그리고 리드한 채널 대역 정보를 AGC 전압 및 대역 판단부(200)로 전송한다.
AGC 전압 및 대역 판단부(200)는 전송된 채널 대역 정보에 따라 채널이 제 1 대역(VHF_L)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120). 한편 AGC 전압 및 대역 판단부(200)는 AGC 검출부(140)로부터 AGC를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판단결과(S120) 제 1 대역에 해당한다면 리드한 AGC 전압값이 VHF-L 대역에서 약전계로 설정된 전압인 제 1 AGC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30).
판단결과(S130) 리드한 AGC 값이 설정된 제 1 AGC 전압 이상이라면 부스터 온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그러나 판단결과(S130) 리드한 AGC 값이 설정된 제 1 AGC 전압 미만이면 부스터 오프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S150).
한편 판단결과(S120) 채널 대역 정보가 제 1 대역이 아니라면 리드한 채널 대역 정보에 따라 채널이 VHF-H 대역에 해당하는 제 2 대역인지를 판단한다(S160).
판단결과(S160) 제 2 대역에 해당한다면 리드한 AGC 전압값이 VHF-H 대역에서 약전계로 설정된 전압인 제 2 AGC 전압값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70).
판단결과(S170) 리드한 AGC 값이 설정된 제 2 AGC 전압 이상이라면 부스터 온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S180).
그러나 판단결과(S170) 리드한 AGC 값이 설정된 제 2 AGC 전압 미만이면 부스터 오프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S190).
또한 판단결과(S160) 제 2 대역 역시 아니라면 UHF 대역에 해당하는 제 3 대역이므로 리드한 AGC 전압값이 UHF 대역에서 약전계로 설정된 전압인 제 3 AGC 전압값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00).
판단결과(S200) 리드한 AGC 값이 설정된 제 3 AGC 전압 이상이라면 부스터 온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S210).
그러나 판단결과(S200) 리드한 AGC 값이 설정된 제 3 AGC 전압 미만이면 부스터 오프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한다(S220).
즉 본 발명에서는 각 대역별로 서로 다른 AGC 임계 전압값을 비교하는 것에 따라 부스터 온/오프가 결정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채널 대역에 따른 정확한 전계 레벨의 검출이 가능하여 부스터를 정확히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약전계시에도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부스터의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강전계에서 혼신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영상기기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특정 채널의 무선주파수를 선택 증폭하는 튜너 회로부;
    상기 튜너 회로부에서 증폭된 상기 무선 주파수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검출하고, 상기 선국된 채널의 채널 대역정보에 따라 상기 튜너 회로부의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로 증폭하기 위한 부스터의 온/오프를 판단하는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
    상기 무선 주파수의 채널 대역 정보가 저장된 채널 정보 저장부; 그리고,
    상기 채널 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의 채널 대역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로 전송하고,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로부터의 상기 부스터 온/오프 정보에 따라 상기 부스터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회로부는,
    상기 영상기기에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설정된 전계강도만큼 증폭하는 부스터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스터를 통해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와 증폭되지 않은 무선 주파수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무선 주파수 증폭부 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전송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일정한 이득이 되도록 증폭시키는 무선 주파수 증폭부와,
    상기 무선 주파수 증폭부에서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검출하는 자동이득제어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득제어 전압 및 대역 판단부는,
    상기 증폭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자동이득제어 값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변환된 자동이득제어값과, 상기 채널 대역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선국된 채널 대역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부스터 온/오프가 결정하는 채널 대역 및 전압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 저장부는,
    티브이의 표준 채널 대역에 따라 VHF-L 대역과, VHF-H 대역 및 UHF 대역의 채널 정보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5. 영상기기의 튜너 회로부에서 채널 변경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채널의 채널 대역 정보를 리드하고, 상기 변경된 채널의 무선 주파수 신호의 자동이득제어 전압값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채널 대역 정보와 상기 채널 대역 정보에 대응하여 대역별로 설정된 자동이득제어 임계 전압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전압값에 따라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부스터의 동작 제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하는 채널 대역 정보는 VHF-L 대역과, VHF-H 대역 및 UHF 대역 중 하나인 것을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의 동작 제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VHF-L 대역과, VHF-H 대역 및 UHF 대역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자동이득제어 임계 전압값이 2.2V, 2,6V 및 3V 이상인 경우, 상기 부스터가 온(on)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동이득제어 임계 전압값이 설정된 전압값 미만인 경우, 상기 부스터가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방법.
KR1020050115370A 2005-11-30 2005-11-30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74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370A KR100774171B1 (ko) 2005-11-30 2005-11-30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370A KR100774171B1 (ko) 2005-11-30 2005-11-30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546A KR20070056546A (ko) 2007-06-04
KR100774171B1 true KR100774171B1 (ko) 2007-11-08

Family

ID=3835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370A KR100774171B1 (ko) 2005-11-30 2005-11-30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851A (ko) 2016-08-11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361A (ko) * 1994-05-09 1995-12-30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부스터신호 선택 제어 방법 및 회로
KR19980017760A (ko)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텔레비전 튜너의 rf증폭 공용화장치
KR2000003459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텔레비전에서의 채널 동조 방법
JP2002043970A (ja) 2000-07-19 2002-02-08 Alps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KR20040080752A (ko) * 2003-03-13 2004-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신호경로 전환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튜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5361A (ko) * 1994-05-09 1995-12-30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부스터신호 선택 제어 방법 및 회로
KR19980017760A (ko) * 1996-08-31 1998-06-05 배순훈 텔레비전 튜너의 rf증폭 공용화장치
KR2000003459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텔레비전에서의 채널 동조 방법
JP2002043970A (ja) 2000-07-19 2002-02-08 Alps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KR20040080752A (ko) * 2003-03-13 2004-09-20 삼성전기주식회사 신호경로 전환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튜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546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985B1 (ko) 자동선국 중에 선국된 채널을 표시하는 텔레비젼, 및 그의자동선국화면 표시방법
KR101009720B1 (ko) 채널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17992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受信回路
JP2006033630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EP16451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gc function using multiple feedback sources
US7408594B2 (en) Electronic switch for TV signal booster
KR100774171B1 (ko) 영상기기의 튜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80013843A (ko) 적응적 수신감도 향상을 위한 방송수신장치
KR200250445Y1 (ko) 안테나 선택장치
US7373074B2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KR0154249B1 (ko) 텔레비전의 비디오단자 자동절환장치
KR100727120B1 (ko) 영상신호의 오프셋과 게인의 자동 처리를 위한 텔레비젼수상기 및 방법
KR10076115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10064717A (ko) 티브이수상기에서의 저소음증폭기(lna)제어장치
KR20050000087A (ko) 자동이득제어에 의한 볼륨 균일화장치
JPS6256714B2 (ko)
KR0184962B1 (ko) 강신호 선별 예약녹화기능을 갖춘 텔레비디오
KR0163132B1 (ko) 텔레비전의 시청거리적응형 음량제어장치
JP2005109593A (ja) テレビ放送受信器
KR0178897B1 (ko) 텔레비전의 저음량레벨시 음성뮤팅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9980023839A (ko) 위성방송 수신단말기의 화면표시기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0886A (ko) 텔레비젼의 키잠금 장치
EP2023621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KR20100135477A (ko)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출력 방법 및 장치
KR20070025592A (ko) 티브이에서 자동 신호 증폭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