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079B1 -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079B1
KR100774079B1 KR1020060035555A KR20060035555A KR100774079B1 KR 100774079 B1 KR100774079 B1 KR 100774079B1 KR 1020060035555 A KR1020060035555 A KR 1020060035555A KR 20060035555 A KR20060035555 A KR 20060035555A KR 100774079 B1 KR100774079 B1 KR 10077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supply pump
discharge pipe
blender
comp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796A (ko
Inventor
문동석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07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04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 G01G13/06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wherein the main feed is effected by gravity from a hopper or ch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6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in measured doses, e.g. by weigh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3/00Apparatus for measuring by volume and delivering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F13/001Apparatus for measuring by volume and delivering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fluent solid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16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18Means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weigh receptacle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by valves or flaps in the container bott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타이어 고무 등의 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배합재료 등을 계량할 경우에, 계량저울 1개와 듀얼호퍼를 구비하여, 서로 혼합되면 곤란한 서로 다른 배합재료들을 격리시킨 채 상기 듀얼호퍼에 투입하여 계량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계량장치는, 출구(121)에 제1밸브(122)가 설치된 제1호퍼(120) 및 상기 제1호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출구(131)에 제2밸브(132)가 설치된 제2호퍼(1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에 서로 다른 이종의 배합재료들이 격리된 채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듀얼호퍼(110)와;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에 격리된 채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배합재료들을 각각 계량하도록 상기 듀얼호퍼에 설치되는 계량저울(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계량, 호퍼, 저울, 배합재료, 액상, 고상, 격리, 배합기

Description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ONE CELL AND DUAL HOPPER TYPE WEIGHING DEVICE AND METHOD}
도 1은 배합재료를 계량하는 전형적인 계량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1-셀 1-호퍼 방식의 계량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호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듀얼호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듀얼호퍼, 120 : 제1호퍼,
121 : 제1호퍼의 출구, 122 : 제1밸브,
123 : 제1배출관, 124 : 제1감지기,
125 : 제1공급펌프, 130 : 제2호퍼,
131 : 제2호퍼의 출구, 132 : 제2밸브,
133 : 제2배출관, 134 : 제2감지기,
135 : 제2공급펌프, 140 : 계량저울,
150 : 배합기.
본 발명은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이어 고무 등의 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배합재료 등을 계량할 경우에, 계량저울(Cell) 1개와 듀얼호퍼를 구비하여, 서로 혼합되면 곤란한 서로 다른 배합재료들을 격리시킨 채 상기 듀얼호퍼에 투입하여 계량하도록 할 수 있는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업종에 따라 다양한 재료(예컨대, 약품류)를 취급하고 있는데, 이러한 재료들의 용도에 따라 사용방법상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상기 재료들을 자동으로 계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 계량장치는 통상적으로 1개의 계량저울(1-Cell)과, 1개의 호퍼(1-Hopper)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491635호에는, 쌀, 콩 등과 같은 재배작물이나 곡물, 음식재료 등의 일정량을 계량하여 공급하기 위한 정량공급 계량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2-54279호에는, 2개의 디스크를 설치하여 동전 걸림 방지 효과를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호퍼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01-0041689호에는 계량할 물체를 수용하도록 각각 설계된 다수의 그리퍼를 포함하는 계량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에는 타이어용 고무를 제조하기 위하여 고무배합을 위한 배합재료들을 자동으로 계량하여 공급하는 계장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1-셀 1-호퍼 방 식의 계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합재료는 그 형태에 따라 크게 액상과 고상의 재료로 구분되는데, 액상재료로 용융약품류, 공정조제 등이 각각의 저장조(10)에 저장되고, 고상재료로 카본블랙, 충전제류, 레진류 등이 각각의 저장조(10)에 저장된다. 도 1에는, 편의상 저장조(10)를 2개씩 1조로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통상 4~6개의 저장조(10)가 1조로 각각 사용된다. 이러한 조별 저장조(10)의 개수와는 무관하여 각 조의 저장조(10)들에 저장된 배합재료들은 각 저장조(10)의 하단에 설치된 이송스크류(고상재료일 경우)나 밸브(액상재료일 경우)(도 2 참조) 등의 공급수단(11)을 통해 1개의 계량저울(30)로 계량되는 1개의 계량호퍼(20)(도 1 내지 도 3 참조)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합재료들이 계량호퍼(20)에 순서대로 유입되어 설정량에 도달하면, 계량호퍼(20)로 배합재료들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계량호퍼(20)로부터 배합기(70) 내부로 배합재료를 투입할 준비를 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미도시된 PLC와 같은 제어장치(미도시)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계량된 배합재료를 배합기(70)에 투입할 경우에, 고상재료의 경우 예컨대, 투입관(40)을 통해 낙하방식으로 투입될 수 있고, 액상재료의 경우 공급펌프(50)의 구동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수단은 따라 바뀔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10)에 저장된 액상재료 A, B, C, D, E중에서 A와 C가 요구하는 사양을 가진다면, 먼저 액상재료 A가 설정중량 xKg만큼 계량된 후, 액상재료 C를 yKg만큼 계량하고, 그 후 배합기(70) 내로 투입하라는 신 호가 떨어질 때까지 계량호퍼(20) 내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 때, 계량 완료후 배합기(70)에 대한 배합재료의 투입시까지의 대기시간은 통상 30초에서 1분 수준으로 비교적 짧지만, 1차적으로 계량호퍼(20) 내에서 액상재료 A 및 C가 서로 혼합되므로, 계량하고자 하는 재료들은 서로간에 물리화학적인 반응성이 없어야 되는 것이 당연하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60은 공급펌프(50) 상류측에서 설치되어 계량호퍼(20)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재료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기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1-셀 1-호퍼 방식의 계량장치는 여러 분야, 예컨대 기술용 고무나 타이어용 고무를 배합하는 업체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개의 경우, 상온에서 다른 종류의 재료들과 반응성이 거의 없는 고상의 재료들에 대해서, 그리고 일부의 액상재료들을 상기한 방식을 이용하여 계량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타이어 제조분야에서, 최근에 고성능 타이어에 대한 수요가 커짐에 따라 실리카 배합시에 사용되는 실란결합제, 그리고 다른 종류의 재료와의 반응성이 높은 노방제류 등의 사용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물론, 이들이 정규 생산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자동으로 계량하는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이러한 경우에, 도 1 및 도 2의 계량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계량호퍼(20)에서 혼합된 채 계량되고 있는 이종재료들간에 반응을 반응을 일으킨다든지 혹은 그 재료 원래의 특성이 하락한다든지 하는 문제가 유발될 가능성이 크므로,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 계량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컨대, 타이어 고무 등의 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배합재료 등을 계량할 경우에, 계량저울 1개와 듀얼호퍼를 구비하여, 서로 혼합되면 곤란한 서로 다른 배합재료들을 격리시킨 채 상기 듀얼호퍼에 투입하여 계량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는, 출구에 제1밸브가 설치된 제1호퍼 및 상기 제1호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출구에 제2밸브가 설치된 제2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에 서로 다른 이종의 배합재료들이 격리된 채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듀얼호퍼와;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에 격리된 채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배합재료들을 각각 계량하도록 상기 듀얼호퍼에 설치되는 계량저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는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을 통하여 배합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의 도중에는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로 이송하기 위한 제1공급펌프 및 제2공급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중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의 상류측에는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 상류측의 배합재료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 및 제2감지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방법은, 출구에 제1밸브가 설 치된 제1호퍼 및 상기 제1호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출구에 제2밸브가 설치된 제2호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호퍼 및 제2호퍼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배합재료를 계량하는 계량저울이 설치된 듀얼호퍼중에서, 상기 제1호퍼에 어느 한 배합재료를 설정된 중량만큼 투입하여 상기 계량저울로 계량한 후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합재료와는 다른 배합재료를 상기 제2호퍼에 설정된 중량만큼 투입하여 상기 계량저울로 계량한 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방법은,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2밸브는 제1배출관 및 제2배출관을 통하여 배합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에는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로 이송하기 위한 제1공급펌프 및 제2공급펌프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중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의 상류측에는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 상류측의 배합재료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 및 제2감지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호퍼로부터 상기 제1공급펌프쪽으로 이송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제1감지기가 감지한 후 상기 배합기로의 배합재료의 투입을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호퍼로부터 상기 제2공급펌프쪽으로 이송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제2감지기가 감지한 후 상기 배합기로의 배합재료의 투입을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합기 내의 배합물 상태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제1공급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1감지기가 배합재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을 때까지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배합기 내의 배합물 상태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제2공급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2감지기가 배합재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을 때까지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계량장치는 주로 액상의 배합재료를 취급하는 용도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고상의 배합재료를 취급하는 용도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그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하므로, 편의상 여기서의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량장치는, 듀얼호퍼(110)와 계량저울(140)을 구비한다.
상기 듀얼호퍼(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호퍼(120)와 상기 제1호퍼(120)의 일측에 연결된 제2호퍼(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호퍼(120) 및 제2호퍼(130)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하단 출구(121, 131)에는 제1밸브(122) 및 제2밸브(132)가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호퍼(120) 및 제2호퍼(130)에, 예컨대 저장조(100)들에 저 장된 서로 다른 이종의 배합재료를 혼합되지 않도록 격리시킨 채,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상기 제1호퍼(120) 및 제2호퍼(130)에 선택적으로 투입되는 배합재료들은 상기 듀얼호퍼(110)에 설치되는 하나의 계량저울(14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계량될 수 있다. 즉, 제1호퍼(120) 및 제2호퍼(130)에 배합재료가 선택적으로 투입될 때, 계량저울(140)에 의하여 계량되면서 설정된 중량만큼 투입되며, 그 후 배합재료의 투입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배합재료의 투입량에 대한 제어는, 저장조(100)와 듀얼호퍼(110)를 잇는 투입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나 밸브와 같은 공급수단(101)(여기서는 밸브가 적용됨)과, 상기 계량저울(140)과 접속되는 PLC와 같은 제어장치(16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60)에 컴퓨터(17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설정치, 투입량 등의 각종 데이터가 상기 컴퓨터(17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듀얼호퍼(110)에 투입되어 계량된 배합재료들을 배합기(150)에 공급하여 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밸브(122) 및 상기 제2밸브(132)는 제1배출관(123) 및 제2배출관(133)을 통하여 배합기(15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호퍼(120) 및 상기 제2호퍼(130)로부터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150)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배출관(123) 및 상기 제2배출관(133)의 도중에는 상기 제1호퍼(120) 및 상기 제2호퍼(130)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150)로 이송하기 위한 제1공급펌프(125) 및 제2공급펌프(135)가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관(123) 및 상기 제2배출관(133)중 상기 제1공급펌프(125) 및 상기 제2공급펌프(135)의 상류측에는 상기 제1공급펌프(125) 및 상기 제2공급펌프(135) 상류측의 배합재료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124) 및 제2감지기(13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60)는 듀얼호퍼(110)의 밸브들(122, 132)과, 감지기들(124, 134), 공급펌프들(125, 135) 및 배합기(150)와 접속됨으로써, 상기 밸브들(122, 132), 상기 공급펌프들(125, 135) 및 상기 배합기(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에 의하여 듀얼호퍼(110)에 투입되는 배합재료를 계량하여 배합기(150)로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듀얼호퍼(110)중에서, 저장조(100)들에 저장된 배합재료들중에서 어느 한 배합재료를 설정된 중량만큼 제1호퍼(120)에 투입하여 상기 계량저울(140)로 계량한 후 배출시킨다.
다음에, 상기 배합재료와는 다른 배합재료를 상기 제2호퍼(130)에 설정된 중량만큼 투입하여 상기 계량저울(140)로 계량한 후 배출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제2호퍼(130)에 먼저 배합재료를 투입하여 계량한 후 배출시키고, 그 다음에 상기 제1호퍼(120)에 다른 배합재료를 투입하여 계량한 후 배출시켜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순서에 따른 후단계들에 대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상기 제1호퍼(120)로부터 상기 제1공급펌프(125)쪽으로 이송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제1감지기(124)가 감지한 후 상기 배합기(150)로의 배합재료의 투입 을 대기시키게 되는데, 실질적으로 이 단계후에, 상기 제2호퍼(130)에 설정된 중량만큼 배합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계량저울(140)로 계량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그 후, 상기 제2호퍼(130)로부터 배합재료를 배출하고, 상기 제2공급펌프(135)쪽으로 이송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제2감지기(134)가 감지한 후 상기 배합기(150)로의 배합재료의 투입을 대기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에, 상기 배합기(150) 내의 배합물 상태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제1공급펌프(125)를 구동하여, 상기 제1감지기(124)가 배합재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을 때까지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150)에 투입한다. 예컨대, 배합기(150) 내에서 배합되는 배합물의 온도가 110℃에 도달하면, 제1배출관(123) 내부에서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배합기(150)에 투입한다.
다음에, 상기 배합기(150) 내의 배합물 상태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제2공급펌프(135)를 구동하여, 상기 제2감지기(134)가 배합재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을 때까지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150)에 투입한다. 예컨대, 상기 배합기(150) 내의 배합물 온도가 130℃에 도달하면 제2배출관(133) 내부에서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배합기(150)에 투입한다.
상기한 단계들에 의하여 배합기(150)에 배합재료들이 모두 투입되고, 그 후 배합기(150) 내부의 배합물이 설정조건에 도달하여 배합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배합물이 배합기(150)로부터 토출되면 하나의 배치 사이클(Batch Cycle)이 종료되며, 다음 배치의 계량작업이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각 단계들의 동작은 컴퓨터(170)에 입력된 사양에 따라 모두 제어장치(16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배합재료 등을 계량할 경우에, 계량저울(140) 1개와 듀얼호퍼(110)를 구비하여, 서로 혼합되면 곤란한 서로 다른 배합재료들을 격리시킨 채 상기 듀얼호퍼(110)에 투입하여 계량할 수 있으므로, 배합기(150)에 투입되기 전에 배합재료들이 혼합되어 반응하거나 원래의 특성이 하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배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계량저울(14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듀얼호퍼(110)에 투입되는 배합재료들을 순차적으로 계량할 수 있으므로, 계량장치의 구성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신규 배합재료의 적용시 풀 세트(Full Set)의 계량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출구(121)에 제1밸브(122)가 설치된 제1호퍼(120) 및 상기 제1호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출구(131)에 제2밸브(132)가 설치된 제2호퍼(1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에 서로 다른 이종의 배합재료들이 격리된 채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듀얼호퍼(110)와;
    상기 제1호퍼 및 상기 제2호퍼에 격리된 채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배합재료들을 각각 계량하도록 상기 듀얼호퍼에 설치되는 계량저울(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밸브(122) 및 상기 제2밸브(132)는 제1배출관(123) 및 제2배출관(133)을 통하여 배합기(150)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의 도중에는 상기 제1호퍼(120) 및 상기 제2호퍼(130)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150)로 이송하기 위한 제1공급펌프(125) 및 제2공급펌프(135)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중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의 상류측에는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 상류측의 배합재료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124) 및 제2감지기(1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3. 삭제
  4. 출구(121)에 제1밸브(122)가 설치된 제1호퍼(120) 및 상기 제1호퍼의 일측에 연결되고 출구(131)에 제2밸브(132)가 설치된 제2호퍼(1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호퍼 및 제2호퍼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배합재료를 계량하는 계량저울(140)이 설치된 듀얼호퍼(110) 중에서, 상기 제1호퍼에 어느 한 배합재료를 설정된 중량만큼 투입하여 상기 계량저울로 계량한 후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합재료와는 다른 배합재료를 상기 제2호퍼에 설정된 중량만큼 투입하여 상기 계량저울로 계량한 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밸브(122) 및 상기 제2밸브(132)는 제1배출관(123) 및 제2배출관(133)을 통하여 배합기(150)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에는 상기 제1호퍼(120) 및 상기 제2호퍼(130)로부터 배출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로 이송하기 위한 제1공급펌프(125) 및 제2공급펌프(135)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배출관 및 상기 제2배출관중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의 상류측에는 상기 제1공급펌프 및 상기 제2공급펌프 상류측의 배합재료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제1감지기(124) 및 제2감지기(13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호퍼로부터 상기 제1공급펌프 쪽으로 이송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제1감지기가 감지한 후 상기 배합기로의 배합재료의 투입을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호퍼로부터 상기 제2공급펌프쪽으로 이송되는 배합재료를 상기 제2감지기가 감지한 후 상기 배합기로의 배합재료의 투입을 대기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합기 내의 배합물 상태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제1공급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1감지기가 배합재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을 때까지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에 투입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배합기 내의 배합물 상태가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제2공급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제2감지기가 배합재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없을 때까지 대기중인 배합재료를 상기 배합기에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방법.
KR1020060035555A 2006-04-20 2006-04-20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KR10077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55A KR100774079B1 (ko) 2006-04-20 2006-04-20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55A KR100774079B1 (ko) 2006-04-20 2006-04-20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796A KR20070103796A (ko) 2007-10-25
KR100774079B1 true KR100774079B1 (ko) 2007-11-06

Family

ID=3881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555A KR100774079B1 (ko) 2006-04-20 2006-04-20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0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048A (ja) * 1994-06-06 1995-12-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計量配合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3048A (ja) * 1994-06-06 1995-12-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計量配合方法及び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33304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796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6904B2 (en) Portable concrete plant dispensing system
JP3882148B2 (ja) 自動車用および他の塗料の連続自動製造システム
CN110622092B (zh) 基于批料制备可流动涂料的方法和混合装置
CN102773036B (zh) 聚氨酯多元醇多组份配方预混设备
CN204412193U (zh) 自动配料系统
TW200531152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osition for lithography process in real time using near infrared spectrometer
CN110215862A (zh) 染料助剂化料配送装置
KR100774079B1 (ko) 1-셀 2-호퍼 방식의 계량장치 및 방법
EP0888206A1 (en) Oil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lymer processing
CN105597623A (zh) 一种自动配料混合制粒系统
CN104857887B (zh) 一种高黏度涂布液的自动加料、配料、供料系统
TWM465965U (zh) 具有定量加料裝置的處理設備
KR101162239B1 (ko) 제작과 설치 및 운전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혼합장치
CN204816428U (zh) 一种固化剂配料生产系统
JP4903766B2 (ja) 粉粒体の定量供給装置および粉粒体の定量計量方法
KR20090080069A (ko) 점착성 물질 프로세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6865A (ko) 원료 측정 및 배합장치
KR20110085333A (ko) 사료 제조장치 및 제어방법
KR20070041556A (ko) 화학물 혼합용 장치와 시스템 및 방법
TW542818B (en) Pneumatic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der and grain
JP2007301942A (ja) バッチャプラント
CN104772057A (zh) 原料预混合生产系统及其混合工艺
CN205925614U (zh) 一种粉体助剂配料系统
CN204916317U (zh) 一种液体肥散装计量装置
JPH06238143A (ja) 液体調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