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894B1 -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 - Google Patents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894B1
KR100773894B1 KR1020060002729A KR20060002729A KR100773894B1 KR 100773894 B1 KR100773894 B1 KR 100773894B1 KR 1020060002729 A KR1020060002729 A KR 1020060002729A KR 20060002729 A KR20060002729 A KR 20060002729A KR 100773894 B1 KR100773894 B1 KR 10077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ultimedia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768A (ko
Inventor
김영현
홍성용
김석범
Original Assignee
와이더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더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더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8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정보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멀티미디어 메시지, 메시지 서비스 센터, 교환기 수단(MSC),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

Description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METHOD OF PROCESSING MESSAGE TRANSMITTED FROM CALLER AND PROVIDING THE SAME TO CALLEE, AND MULTIMEDIA MESSAGE PROVIDING SYSTEM AND MOBILE SWITCHING CENTER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수단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수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701: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 702: 메시지 전송 요청 수신부
703: 메시지 생성부 704: 메시지 전송 제어부
705: 데이터베이스 기록부 706: 접속 요청 수신부
707: 쿼리 전송부
본 발명은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통신 단말기(핸드폰, PDA 등)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켰고, 이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는 음성 통화 서비스와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이다. 종래의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를 발송하는 방식으로, 통신 단말기 간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폰투폰(phone to phone) 방식 또는 컴퓨터 단말기에서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로 SMS 메시지를 송신하는 웹투폰(web to phone) 방식 등이 있다.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통신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그 편리함과 간편성,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개인 뿐만 아니라 법인 업체에도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어 국내의 경우 그 발송건수가 한달 평균 약 1억건에 달하고, 그 시장 규모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따라 형식이 조금씩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한글 기준 40자, 영어 기준 80자 정도의 적은 양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CBU(Call Back Url)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기도 하나 근본적으로 단문자 메시지는 단순히 텍스트 정보만을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오늘날 통신 단말기에서는 점차 다양한 영상(image)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점에서 단순히 텍스트 정보만을 전송하는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4-12560호에는 소정의 이미지와 메시지 정보가 결합된 MMS를 착신자에게 전송하는 구성이 제시되었다. 본 한국공개특허는 단조로운 단문자 메시지 대신 발신자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1)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기본적으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뿐, 해당 이미지를 직접 업로드 하거나 이미지와 메시지 정보를 편집할 수는 없다는 점, (2)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소정의 이미지 파일로 치환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및 (3) 착신자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전송하기 원치 않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착신자에 따른 이미지 전송 여부를 발신자가 선택할 수 없다는 점 등에서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술한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의 선택 및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모델을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정보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인 발신자 단말기에서 특번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착신자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적용 대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포 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수단의 동작 방법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forward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서는, 가입자정보저장수단(HLR: Home Location Register)을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수신부;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수단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forwarding) 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서는, 가입자정보저장수단(HLR: Home Location Register)을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서비스 가입 조회부; 및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 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 컴퓨터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교환기 수단(MSC)(120)로 전송한다. 교환기 수단(MSC: Mobile Switching Center)(120)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130)으로 포워딩(forwarding)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환기 수단(MSC)(120)은 발신자 단말기(110)에서 수신된 문자 메시지에 소정의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130)으로 포워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자는 착신자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 착신자 단말기 번호에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통상의 문자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130)은 가입자정보저장수단(HLR)을 참조하여,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서비스에 가입자인 경우, 수신된 문자 메시지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130)은 착신자 단말기(160)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160)로 전송하도록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40)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15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201)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이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가 설정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일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단말기 식별 정보(301), 멀티미디어 데이터(302)의 필드를 포함한다.
단말기 식별 정보(301)는 소정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가입자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정보 "011-501-1040",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 "jung1004"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302)는 단말기 식별 정보(301)에 대응하여 상기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특번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특번 정보 "*88"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특번 정보 "*88"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에 대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컴퓨터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202)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일례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안녕~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와 같은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은 소정의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부호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와 같이, 상기 발신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011-987-1414"와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 "*23"(도면부호 401)을 포함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발신자는 상기 착신자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적용 대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203)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포토 정보 데이 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한다. 일례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011-501-1040"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jung.jpg"를 독출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일례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jung.jpg"와 상기 메시지 정보 "안녕,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영상(image) 데이터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데 이용되는 오버레이 편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오버레이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우측 하단"에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 "우측 하단"에 따른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오버레이 편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우측 하단"에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 할 수 있다.
단계(205)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한다.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또는 MMSC(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501)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Multi Message Servic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쿼리(query)를 전송한다.
단계(502)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포지티브(Posi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단계(503)), 단계(504)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Center)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네거티브(Nega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단계(503)), 즉 착신자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처리 능력이 없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 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소정의 주소 정보(Call-back URL; CBU)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ing Services Center)를 제어하고, 이를 수신한 착신자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주소 정보로 접속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다. 상기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는 CBU(Call Back URL)방식의 단문자 메시지로서 착신자가 착신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확인 버튼을 푸쉬하는 경우, 상기 단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WAP URL로 자동 접속된다. 상기 착신자는 착신자 단말기에서 WAP 접속을 통해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단계(505)에서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대신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단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수단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601)에서 상기 발신자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메시지 정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교환기 수단(MSC: 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전송한다. 일례로, 상기 발신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메시지 정보 "안녕~ 날씨가 참 좋다. 즐거운 하루 보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011-987-1414" 및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 "*23"( 도면부호 401)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 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상기 교환기 수단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603)에서 상기 교환기 수단은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forwarding)한다. 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부호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교환기 수단은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문자 메시지의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를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604)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정보저장수단(HLR: Home Location Register)을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단계(605)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한다.
단계(606)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607)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Multi Message Servic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쿼리(query)를 전송한다.
단계(608)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09)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포지티브(Posi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센터(MMSC)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611)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네거티브(Nega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소정의 주소 정보(Call-back URL; CBU)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단계(612)에서 상기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상기 주소 정보(CBU)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CBU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수신한 착신자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주소 정보로 접속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 수신 능력이 없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대신 발신자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정보를 단문자 메시지 형식으로 상 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700)은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701), 메시지 전송 요청 수신부(702), 메시지 생성부(703), 메시지 전송 제어부(704), 데이터베이스 기록부(705), 접속 요청 수신부(706), 쿼리 전송부(707)를 포함한다.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701)는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이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가 설정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700)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기록부(705)는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하여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701)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기록부(705)는 접속 요청 수신부(706)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 기록부(705)에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접속 요청 수신부(706)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발신자가 입력한 특번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기록부(705)는 컴퓨터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요청 수신부(702)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은 소정의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703)는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704)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쿼리 전송부(707)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Multi Message Servic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쿼리(query)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포지티브(Posi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메시지 전송 제어부(704)는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네거티브(Nega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메시지 전 송 제어부(704)는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소정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수단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수단(700)은 메시지 수신부(801), 메시지 전송부(802)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801)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 전송부(802)는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forwarding) 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850)에서는 서비스 가입 조회부(851), 메시지 생성부(852), 메시지 전송 제어부(853)를 포함한다.
서비스 가입 조회부(851)는 가입자정보저장수단(HLR: Home Location Register)을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한다.
메시지 생성부(852)는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소정의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메시지 전송 제어부(853)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수행 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9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920)과 롬(ROM: Read Only Memory)(9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9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9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920) 및 롬(9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9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9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9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9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9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 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 정보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인 발신자 단말기에서 특번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착신자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적용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Claims (21)

  1.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포토 정보 데이 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특번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컴퓨터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이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가 설정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Multi Message Servic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쿼리(query)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포지티브(Posi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Multi Message Service) 지원 여부 쿼리(query)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네거티브(Nega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소정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영상(image) 데이터인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하는데 이용되는 오버레이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레이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오버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은 소정의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과 연동하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수단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forwarding)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서는,
    가입자정보저장수단(HLR: Home Location Register)을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수단의 동작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메시지 전송 요청 수신부;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 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기록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특번 정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접속 요청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기록부는,
    컴퓨터 단말기인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이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가 설정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Multi Message Servic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쿼리(query)를 전송하는 쿼리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포지티브(Posi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MMS(Multi Message Service) 지원 여부 쿼리(query)를 전송하는 쿼리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쿼리에 대한 네거티브(Negative)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된 소정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 수신부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요청은 소정의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
  21.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과 연동하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정보,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 정보, 및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서비스 트리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forwarding) 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공 시스템에서는,
    가입자정보저장수단(HLR: Home Location Register)을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서비스 가입 조회부; 및
    상기 조회 결과, 상기 발신자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가입자인 경우, 포토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메시지 정보를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소정의 메시지 서비스 센터(Message Service Center)를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
KR1020060002729A 2006-01-10 2006-01-10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 KR100773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29A KR100773894B1 (ko) 2006-01-10 2006-01-10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729A KR100773894B1 (ko) 2006-01-10 2006-01-10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68A KR20070074768A (ko) 2007-07-18
KR100773894B1 true KR100773894B1 (ko) 2007-11-06

Family

ID=3850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729A KR100773894B1 (ko) 2006-01-10 2006-01-10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3B1 (ko) 2007-10-16 2009-01-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답장을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878042B1 (ko) 2007-10-18 2009-01-2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문자 메시지 출력 배경화면 설정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986842B1 (ko) * 2008-04-10 2010-10-12 주식회사 케이티 메시지 전송방법 및 메시지 전송 시스템
WO2010042103A1 (en) * 2008-10-06 2010-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nerating a pre-recorded respon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726A (ja) * 1991-08-15 2003-02-07 Eaton Corp 電力消費をモニターするpc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と通信するバックパック・ユニット
JP2006002090A (ja) * 2004-06-18 2006-01-05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熱分解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726A (ja) * 1991-08-15 2003-02-07 Eaton Corp 電力消費をモニターするpc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と通信するバックパック・ユニット
JP2006002090A (ja) * 2004-06-18 2006-01-05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熱分解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3-35726호
공개특허 제2006-2090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68A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945B1 (ko) 프리뷰를 이용한 푸시-투-쉐어 파일 분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321002B1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US7725116B2 (en) Techniques for combining voice with wireless text short message services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CN102714681B (zh) 用于使用语音信箱提供消息传送的方法和装置
US2009031206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RU2271615C2 (ru) Обмен информацией в системах связи
WO2008134944A1 (fr) Procede de rappel d&#39;appel manque, systeme et dispositif de service mobile
KR100987133B1 (ko) 영상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6899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chedule managing method therein
US20080119173A1 (en) Multimedia Hold Method and Apparatus
KR100773894B1 (ko)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가공하여 착신자에게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제공 시스템 및 교환기 수단
US20090298519A1 (en)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applications for mobile device menu modification
CN100589601C (zh) 一种基于mms业务的音频消息和视频消息业务实现方法
KR100997689B1 (ko) 문자 또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이동 단말용 발신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7945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재중 메시지 전달방법
KR100683895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방법
CN101682652B (zh) 用于创建归因于来自外部源的触发事件的动态电话页面的方法和装置
WO20031006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multi-part messages sent to cellular phones from e-mail clients
KR101022792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KR20070115106A (ko) 광고를 이용한 무료 통화/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26478B1 (ko) 발신 단말기로 착신 단말기의 착신 응답을 제공하는 발신교환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발신 교환기와착신 알림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가입 확인 응답을제공하는 지능망 서버
KR101017754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연계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