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859B1 -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금속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금속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859B1
KR100773859B1 KR1020060031981A KR20060031981A KR100773859B1 KR 100773859 B1 KR100773859 B1 KR 100773859B1 KR 1020060031981 A KR1020060031981 A KR 1020060031981A KR 20060031981 A KR20060031981 A KR 20060031981A KR 100773859 B1 KR100773859 B1 KR 10077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s
crystal
organometallic
solution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393A (ko
Inventor
이성풍
장홍기
전형하
백호정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ublication of KR2006011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3/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2 or 12 of the Periodic Table
    • C07F3/06Zin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15Organic compounds; Solu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84Solid storage mediu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pellets, sintered shaped bodies, sheets, porous compacts, spongy metals, hollow particles, solids with cavities, layered so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규 유기금속 결정체는 중심금속으로서 전이금속을 갖고, 탄소, 산소 및 수소로 이루어진 유기 리간드 여섯 개와 결합 되어 있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반복 단위로 갖고, 인접하는 여섯 개의 다른 반복 단위들과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반복 단위는 상기 전이 금속을 중심으로 하는 정 팔면체 구조를 갖고, 상기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1)으로 표시되며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한다. 상기 신규 유기금속 결정체는 안정한 다공질 구조를 포함하므로 수소 저장 매체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0602449109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M은 전이금속이다.)

Description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금속 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POROUS METAL-ORGANIC CRYST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COVALENT-CRYSTALLIZING AN METAL-ORGANIC COMPOUND}
도 1은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일 반복단위(단,인접하는 반복단위의 탄소는 제외)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결합 형태를 보여주는 구조도들이다.
도 5는 X선 단결정 분석 결과에 기초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를 합성하기 위한 실험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들의 FT-IR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5에서 수득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FT-IR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1, 4 및 5에서 수득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1, 4 및 5에서 수득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온도에 따른 질량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X-선 회절 결정 분석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금속 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정한 다공 구조를 갖는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상기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제조방법 및 3차원 입체구조의 유기금속 결정체를 용이하게 생성시켜 결정 생성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기금속 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서 기대되고 있는 수소에너지의 개발이 본격화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소에너지의 주재료인 수소는 저장성에 문제가 있다. 분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일반 저장용기에 저장할 경우 저장 용기로부터 침투 및 누설의 위험이 있어 저장 안정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 등으로 인하여, 세계 각국에서 수소 저장매체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새로운 결정구조를 갖는 결정체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현실이다.
본 발명은 안정한 다공질 구조를 갖는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정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금속 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는 중심금속으로서 전이금속을 갖고, 탄소, 산소 및 수소로 이루어진 유기 리간드 여섯 개와 결합 되어 있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반복 단위로 갖고, 인접하는 여섯 개의 다른 반복 단위들과 결합 되어 있다. 상기 반복 단위는 상기 전이 금속을 중심으로 하는 정 팔면체 구조를 갖고, 상기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1)으로 표시되며,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0602449109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M은 전이금속이다.
상기 전이금속은 배위수가 여섯 개인 전이금속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연(Zn)이다.
상기 중심 금속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네 개의 산소와 상기 평면과 수직인 두 개의 산소와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상기 중심 금속은 하기 화학식(2) 으로 표시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Figure 112006024491099-pat00003
본 발명의 신규 물질인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는 다음 각 단계를 통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제조방법은 (i) 질산아연 6수화물(Zn(NO3)2 ·6H2O)을 용매에 용해하는 제 1 용해단계, (ii) 상기 제 1 용해단계를 마친 용액에 테레프탈산을 첨가하여 용해하는 제 2 용해단계 (iii) 상기 제 2 용해단계를 마친 용액을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는 제 1 교반단계, (iv) 상기 제 1 교반에 의하여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CH3CH2)3N)을 첨가하고 다시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는 제 2 교반단계, (v) 상기 제 2 교반에 의하여 교반된 용액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단계, (vi) 상기 안정화 단계를 거친 상기 용액에 자외선영역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으로 조사하는 레이저광 조사단계, 및 (vii) 상기 레이저광 조사단계를 마친 용액을 열풍 건조하여 결정을 생성시키는 결정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유기 금속 화합물의 공유 결정화를 위해서는 우 선 유기금속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시킨다. 상기 용해된 시료 용액을 일정시간 동안 교반한다. 상기 교반된 시료 용액을 일정시간 동안 안정화 시킨 후 특정 파장의 광 에너지를 조사 시킨다. 상기 광 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레이저 광원을 사용한다. 상기 광 에너지가 조사되어 에너지를 흡수한 시료 용액은 열풍 건조 과정을 통해 결정화 되어 공유 결정형 결정체가 형성된다.
상기 공유 결정화 방법을 사용하면 3차원 구조의 공유 결정체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어, 결정체 생성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는 안정된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어 수소 등 작은 분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다공성 구조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이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일 반복단위로서, 아연을 중심금속으로 갖는 단위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금속(M)과 여섯 개의 리간드(L)를 갖는 유기금속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간드는 탄소, 산소 및 수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간드의 산소는 중심 금속(M)과 공유결합을 한다. 상기 금속은 전이원소 중의 어느 한 원소일 수 있으나, 상기 전이원소로서는 아연(Zn)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도시된 탄소 중 3 개는 도 1에 도시된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것이며 나머지 3 개의 탄소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각각 인접하는 다른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반복 단위 내에는 여섯 개의 산소, 세 개의 탄소 및 세 개의 수소가 포함된다.
상기 각 반복 단위들은 인접하는 여섯 개의 다른 반복단위와 결합하여 유기금속 결정체를 이룬다. 상기 유기금속 결정체는 상기 반복 단위들로 둘러싸인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함으로써, 다공질 특성을 나타낸다.
도 1에서, 인접하는 반복 단위에 포함되는 탄소를 제외하면, 일 반복 단위는 하기 화학식(1)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24491099-pat00004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M은 전이금속이다.
각 반복 단위를 이루는 유기금속 화합물들은 반복적으로 성장하여 결정체를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유기금속 화합물 내의 산소와 인접한 유기금속 화합물 내의 탄소와의 공유 결합을 통하여 결정이 성장되어 간다.
상기 중심금속(M)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네 개의 산소 및 상기 평면과 수직 방향(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존재하는 두 개의 산소와 결합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중심금속(M)을 기준으로 정 팔면체의 단위 격자를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결합 형태를 보여주는 다양한 구조도 들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하는 반복 단위 내의 산소와 탄소의 결합을 통하여 인접 반복 단위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하여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가 성장되어 있다.
상기 중심금속(M)인 아연(Zn)은 인접하는 아연과 하기 화학식(2)에 표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24491099-pat00005
상기 화학식(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소를 기준으로 각각의 아연과 수소는 정삼각형의 분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소 원자는 sp2 혼성 오비탈을 갖는다.
도 5는 단결정 분석 결과에 따른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유기금속 공유 결정체는 규칙적인 다공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공 내부에는 광 에너지에 의해 구조적 변형을 일으킨 용매물질들이 유동적으로 들어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유기금속 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공유 결정화 방법에 의하면, 화합물을 결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결정화시킬 시료 화합물을 용액에 용해시켜야 한다. 용해과정은 시료화합물의 특성에 따라 온도조건, 용매 등을 적절하게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용해된 용액은 일정시간 교반과정을 거친다. 상기 교반 과정을 마친 용액을 일정시간 안정화시킨다. 이후, 상기 안정상태의 용액에 광 에너지를 조사한다. 상기 광은 레이저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광은 상기 용액을 완전히 투과하지 못하고 용액에 흡수된다. 상기 레이저광에 의한 용액 내부에서의 반응 여부는 내부의 광-용액 접촉부위에서의 기포 발생 여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레이저광이 조사된 용액은 70℃에서 80℃ 온도에서 열풍건조를 통하여 결정화된다.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 내의 유기원소로는, 탄소, 산소, 질소 등이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 내의 금속은 다양한 산화수 값을 갖는 전이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광을 통한 광 에너지의 전달을 통하여 유기금속 화합물의 결정체를 용이하게 생성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레이저광의 파장변화를 통하여 다양한 유기금속 공유 결정체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유기금속 공유 결정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단위결정으로서의 유기금속화합물 내의 중심금속인 아연(Zn)을 포함하는 질산아연 6수화물(Zn(NO3)2 ·6H2O)을 용 매에 용해시킨다. 상기 용매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클로로벤젠, 메탄올, 에탄올,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톤 등을 들 수 있다. 용해가 완료되면 테레프탈산을 첨가하고 재차 용해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용매를 첨가해도 된다. 이후, 상기 용액을 약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교반이 어느 정도 완료되면, 상기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CH3CH2)3N)을 소량 첨가한다. 이때, 흰색의 고체가 생성되었다가 사라지게 된다. 상기 용액을 다시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상기 교반된 용액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용액을 안정화 시킨다. 상기 안정화 단계를 거친 상기 용액에 자외선영역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을 용액을 향하여 조사한다. 특히, 본 발명자는 248 nm의 특정 파장 및 170 mJ의 파워를 갖는 레이저를 사용하였다.
레이저광의 조사가 완료되면, 상기 레이저광의 조사단계를 마친 용액을 70℃ 내지 80℃ 온도에서 약 50 내지 70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켜 통하여 결정을 생성시킨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도 5에 도시된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장치 설명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를 생성하기 위 한 실험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펄스 엑시머 레이저(1)로부터 레이저광이 방사된다. 엑시머 레이저(1)는 콘트롤 컴퓨터에(2)에 의하여 레이저광의 성질을 사전 조절 될 수 있다. 방사된 레이저광은 제 1 반사미러(3)에 45°의 각도로 입사하여 반사되고 반사된 레이저광은 나이프 에지(knife edge)(4)를 통과하여 공간적으로 필터링 되어진다. 상기 반사미러는 입사하는 레이저광의 각도가 45°일 때 반사도가 99.9%인 미러이다. 상기 나이프 에지(4)는 레이저광의 가장자리부분의 잔상을 제거하여 레이저광의 품질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링된 레이저 광은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 투과:반사=7:3)(5)에 의하여 두개의 레이저광으로 분리되어 반사된 레이저광의 에너지는 파워미터(6)에서 측정되어 진다. 또한 투과된 레이저광은 구면렌즈(7)(초점거리:150 mm)에 의하여 디포커싱(defocusing)되어 레이저광의 크기가 확장된다. 크기가 확장되어진 레이저광은 제 2 반사미러(8)에 45°의 각도로 입사하여 반사되고, 반사된 레이저광은 자외선 영역에서 투과효율이 좋은 석영셀(Qqartz Cell)(9)로 입사되어 석영셀(9) 내에 담겨있는 시료에 조사된다. 이때 시료는 교반기(10)에 의하여 교반된다. 장치 11은 248nm의 파장의 광을 차단해주는 필터(11)이며, 상기 필터는 CCD카메라(12)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CCD 카메라는 석영셀(12) 안에서 일어나는 광반응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장치 13은 상기 CCD카메라(12)의 데이터를 받기위한 측정 장치(13)이다. 장치 14는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14)이다.
실시예 1
Zn(NO3)2·6H2O 20n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 40ml와 클로로벤젠 20ml에 첨가하여 용해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추가로 테레프탈산(C8H6O4, H2BDC)을 첨가해서 DMF를 60ml로 하여 용해한 다음 24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무색투명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CH3CH2)3N)을 소량 첨가하면 흰색의 고체가 생성되었다 사라지는데, 이 용액을 다시 24시간 교반한 후 마지막 단계에 과산화수소를 소량 첨가하여 투명한 용액으로 만들고 약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안정화 시켰다. 이후, 상기 용액에 248nm의 파장 및 320 mJ의 최대 파워를 갖는 펄스 엑시머(pulsed excimer) 레이저 (LAMBDA PHYSIK사 제조, 모델명:COMPEX 150T)를 1Hz의 진동수로 하여 한 시간 동안 용액에 조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레이저의 최대 파워는 320 mJ이나 미러와 필터, 랜즈를 통과하면서 레이저의 파워가 소실되기 때문에 실제로 용액에 입사된 레이저의 파워는 170 mJ이었다. 이때, 입사면적은 2.7㎠이었으며 출력밀도는 3.5MW/㎠이었다. 레이저광은 용액을 완전히 투과하지 못하고 용액에 흡수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한 수 다시 64시간 동안 70℃의 오븐에서 열풍건조시켜 무색의 결정과 흰색의 결정성 있는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진동수 2Hz의 레이저광을 조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진동수 3Hz의 레이저광을 조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진동수 5Hz의 레이저광을 조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진동수 10Hz의 레이저광을 조사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레이저광 조사과정을 생략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실험 1
실시예 1 내지 5의 결정체에 대하여 퓨리에-변환(Fourier-Transform) 분광분석법에 의한 FT-IR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를 각각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하여 수득된 구조체의 스펙트럼 결과이고 도 8는 실시예 5에 의하여 수득된 구조체의 스펙트럼 결과이다.
FT-IR 분석결과 비교예의 경우, C=O stretch 1632cm-1, C-O stretch 1392cm-1(free ligand; C=O stretch 1730-1700cm-1, C-O stretch 1320-1210cm-1)로 1Hz~5Hz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 O-H stretch H bonded 3434cm-1, C-H stretch 3061-2791cm-1, C=O stretch 1597cm-1, C-O stretch 1361cm-1에서 나타났다. 각각의 피크는 결정 구조를 이루는 작용기들과 결정표면에 있는 용매 혹은 광에너지에 의해 변형(disorder)된 분자들의 작용기 인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2
비교예 1, 실시예 1, 4 및 5에서 수득된 구조체를 X선 분말 회절법 (X-ray Powder Diffraction; XRPD)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된 광에너지에 따른 결정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상기용액에 조사한 광에너지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2θ에 나타나는 피크의 회절 패턴이 변화 하는것을 통해 결정구조의 변형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
비교예 1, 실시예 1, 4 및 5에서 수득된 구조체의 온도에 변화에 따른 질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실험 4
실시예 1에 따른 결정체 수득과정 중에 레이저 조사 전 및 레이저 조사 후의 시료성분 원소의 질량 백분율을 측정하여, 양 시료 내의 각 성분 원소의 질량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 료 (%) C H O
레이저 조사 전 시료 23.91 ±0.05 4.07 ±0.02 25.57 ±0.24
레이저 조사 후 시료 23.54 ±0.05 4.13 ±0.01 36.62 ±0.35
실험예 5
실시예 5에 의해 수득된 물질의 물성치를 X-선 결정 회절법(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Rigaku사 제조)으로 분석하여 결정의 특성치(a, b, c, α, β, γ값, 부피, 밀도, 원자들 사이의 결합길이와 결합각)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에 개시하였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4에서 합성된 결정은 다공질을 갖는 평면상의 결정이었으며, 실시예 5에서 합성된 결정이 본 발명의 입체 구조를 갖는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는 내부가 다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소 등의 미세 분자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기 금속 결정체를 적절히 응용하면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로서 기능 할 수도 있다. 기타 흡착제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정체의 안정한 다공 구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발한 응용이 예상된다.
또한, 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단계에서 용액 상태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입체 결정체를 생산할 수 있고 결정체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아연을 중심 금속으로 하고, 여섯 개의 산소와 결합되어 아연을 중심으로 정팔면체 구조를(Zn-6O간의 구조) 이루며 상기 여섯 개의 산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로서 인접하는 여섯 개의 아연 중심 금속과 결합된 산소들과 각각 C-H를 공유하며 연결됨으로써,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고,
    상기 반복 단위는 상기 아연 금속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하는 여섯 개의 반 복 단위들의 중식 금속들과 다시 정 팔면체 구조(Zn간의 구조)를 이루고,
    상기 반복 단위들로 둘러싸인 다수의 기공들을 포함하는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Figure 112007046506675-pat00019
    (1)
    Figure 112007046506675-pat00020
    (2)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결정체의 단위 격자는 하기 수학식 (1) 내지 (8)로 표시되는 특성 값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a = 8.7975 Å (1) b = 8.1988 Å (2)
    c = 12.0287 Å (3) α = 90° (4)
    β= 95.550° (5) γ = 90° (6)
    d = 9.344 mg/m3 (7) v = 863.55 Å3 (8)
    (단 a, b, c는 단위격자의 각 변의 길이이고, α,β,γ는 각각 변 b 와 변 c사이의 각, 변 a 와 변 c 사이의 각 및 변 a 와 변 b 사이의 각의 크기이고, d는 단위격자의 밀도이며 v는 단위격자의 부피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금속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네 개의 산소와 상기 평면과 수직인 두 개의 산소와 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기 금속 결정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 내에는 용매 성분이 무질서하게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기 금속 결정체.
  7. 질산아연 6 수화물(Zn(NO3)2·6H2O)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제 1 용해단계;
    상기 용액에 테레프탈산(C8H6O4)을 첨가하여 용해하는 제 2 용해단계;
    상기 용액을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는 제 1 교반단계;
    상기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CH3CH2)3N)을 첨가하고 다시 12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하는 제 2 교반단계;
    상기 제 2 교반된 용액에 과산화수소(H2O2)를 가하고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단계;
    상기 안정화 단계를 거친 상기 용액에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광으로 조사하는 레이저광 조사단계; 및
    상기 레이저광 조사단계를 마친 용액을 70℃에서 110℃ 온도에서 결정을 생성시키는 결정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1항의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클로로벤젠, 메탄올, 에탄올,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은 248 nm의 파장 및 170 mJ의 파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031981A 2005-04-29 2006-04-07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금속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 KR100773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35828 2005-04-29
KR1020050035828 2005-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93A KR20060113393A (ko) 2006-11-02
KR100773859B1 true KR100773859B1 (ko) 2007-11-06

Family

ID=3765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981A KR100773859B1 (ko) 2005-04-29 2006-04-07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금속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18B1 (ko) * 2008-08-11 2010-10-0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수소 저장물질로써 아릴 또는 알킬을 포함하는 유기-전이 금속 하이드라이드의 보다 개선된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m. Chem. Soc., 2004, 126, 566-67.
J. Am. Chem. Soc., 2006, 128, 726-7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18B1 (ko) * 2008-08-11 2010-10-01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수소 저장물질로써 아릴 또는 알킬을 포함하는 유기-전이 금속 하이드라이드의 보다 개선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393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ele et al. Direct laser writing of δ-to α-phase transformation in formamidinium lead iodide
Szeto et al. A thermally stable Pt/Y-based metal− organic framework: exploring the accessibility of the metal centers with spectroscopic methods using H2O, CH3OH, and CH3CN as probes
Dhanuskodi et al. Structural and thermal characterization of a semiorganic NLO material: l-alanine cadmium chloride
Schmitz et al. Large cation engineering in two-dimensional silver–bismuth bromide double perovskites
Deng et al. Homochiral Cu (I) coordination polymers based on a double-stranded helical building block from achiral ligands: symmetry-breaking crystallization, photophysic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Suvitha et al. Synthesis, growth, structural, spectroscopic and optical studies of a semiorganic NLO crystal: Zinc guanidinium phosphate
Mongey Photophysics of mixed-ligand polypyridyl ruthenium (II) complexesimmobilised in silica sol–gel monoliths
Gupta et al. Impact of the structural modification of diamondoid Cd (II) MOFs on the nonlinear optical properties
KR100773859B1 (ko) 다공성 유기금속 결정체,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금속화합물의 공유 결정화 방법
Wang et al. In situ thermal solvent-free synthesis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s with high crystallinity and porosity for effective adsorption and catalytic applications
CN111607102B (zh) 共价有机框架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ananakumar et al. Synthesis,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L-valine zinc hydrochloride—A novel semi-organic nonlinear optical single crystal
CN114409919B (zh) 一种超四面体簇基配位聚合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110821A (zh) 一种含锰无机有机杂化光致发光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10407734B (zh) 一种2,3,3-三甲基吲哚体系非线性光学晶体及其制法和用途
CN115246933A (zh) 一种多功能稀土金属有机框架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000201B (zh) K4(hc3n3s3)2·h2o化合物、晶体及其制法和用途
Kalaiselvi et al. Growth, optical and thermal studies of nonlinear optical L‐arginine perchlorate single crystals
Sheelarani et al. Growth and spectral properties of NLO single crystals: L-tyrosine and L-tyrosine succinate hydrobromide
Mazzariol et al. Effective Space Confinement by Inverse Miniemulsion for the Controlled Synthesis of Undoped and Eu3+-Doped Calcium Molybdate Nanophosphors: A Systematic Comparison with Batch Synthesis
Logan Design, synthesis, stability, and photocatalytic studies of sustainable metal-organic frameworks
Vijayakumari et al. Grow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pure and manganese doped strontium tartrate tri hydrate single crystals
Romero-Ángel et al. Vapor-Assisted Conversion of Heterobimetallic Titanium–Organic Framework Thin Films
CN115010885B (zh) 一种铜基金属共价有机框架的制备方法及其在光催化解毒硫芥模拟物中的应用
Shayan The Synthesis of Shape-Persistent Macrocycles Towards the Rational Design of Stable Large-Pore Metal-Organic Frame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