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154B1 -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 - Google Patents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154B1
KR100773154B1 KR1020070061648A KR20070061648A KR100773154B1 KR 100773154 B1 KR100773154 B1 KR 100773154B1 KR 1020070061648 A KR1020070061648 A KR 1020070061648A KR 20070061648 A KR20070061648 A KR 20070061648A KR 100773154 B1 KR100773154 B1 KR 100773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window
frame
drain trap
d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07/0036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13423A1/en
Priority to CN2007800285019A priority patent/CN101495709B/zh
Priority to US12/309,709 priority patent/US8015764B2/en
Priority to RU2009107078/03A priority patent/RU2402669C1/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2003/623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having extra functions
    • E06B2003/624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having extra functions with drain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유리와, 상기 창유리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면을 갖는 창호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기 창유리의 수직변을 지지하는 중공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창유리의 수평변을 지지하고 상부면에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구간에 결로배수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수평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창호프레임에는 상기 결로배수유로와 연통된 결로유입구와, 상기 결로유입구 하부영역에 형성되며 연통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된 결로체류공간과, 상기 결로유입구 반대측의 결로체류공간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된 결로배출구를 갖는 배수트랩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먼지 얼룩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청소가 용이함과 동시에, 기밀성 및 수밀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결로를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가 제공된다.
창호, 창유리, 결로, 가스켓, 배수트랩, 프레임

Description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Window having dew condensation trap}
도 1은 일반적인 창호의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창호의 요부 단면도로서 종래 창호의 결로 발생 및 로 처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표시부B의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5 및 도 6의 결로처리수단 설치영역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로처리수단의 배수트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결로처리수단 영역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직프레임 13 : 수평프레임
17 : 가스켓 20 : 결로처리구조
21 : 결로배수유로 23 : 배수트랩
25 : 결로유입구 24 : 가스켓결합부
27 : 결로체류공간 27a : 구획벽
27b : 연통구 29 : 결로배출구
110 : 창호프레임 120 : 창유리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측 창유리면에서 발생되어 흐르는 결로의 처리 구조가 개선된 창호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설치되는 창호(101)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형성된 창호개구에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입면을 형성하는 창호프레임(110)과, 창호프레임(110)의 해당 입면에 설치되는 창유리(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창호프레임(110)은 하나의 입면을 형성하도록 틀형상의 단일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프레임이 수직 및/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입면을 형성하고 각각의 입면에 창유리(120)가 창틀(130)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창호의 요부 단면도로서 종래 창호의 결로 발생 및 결로 처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 따른 종래 창호(101)는 창호프레임(110)의 실외측을 향하는 전단부영역과 창틀(130) 사이에 창유리(120)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창유리(120)의 실외측 및 실내측 둘레단부와 창틀(130) 및 창호프레임(110)의 둘레단부에는 기밀가스켓(140) 이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 2의 종래 창호에 있어서는 실외와 실내의 온도차이에 의해 창유리(120)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여 흘러내리면, 실내측에서는 결로가 창호프레임(110)의 표면을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측을 향하는 창호프레임(110)의 경우 인테리어적인 마감재 역할도 병행하는데 결로에 의해 오염되어 실내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창호의 요부 단면도로서 종래 창호의 결로 발생 및 결로 처리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 따른 종래 창호(101)는 전술한 도 2의 종래 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내측 창유리(120) 하단부의 기밀가스켓(140) 후방영역에 결로를 담수하는 결로담수공간(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로담수공간(210)은 창호프레임(110)의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측 창유리(120) 표면에서 발생된 결로가 흘러내리면 결로는 결로담수공간(210)으로 수용되어 자연 건조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거나 창호프레임(110)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 3의 종래 창호에 있어서는 결로담수공간(210)에서 결로가 자연건조되는 과정에서 먼지 얼룩 및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창호의 요부 단면도로서 종래 창호의 결 로 발생 및 결로 처리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 따른 종래 창호(101)는 전술한 도 2의 종래 예와 마찬가지로 실내측 창유리(120) 하단부의 기밀가스켓(140) 후방영역 창호프레임(110)에 결로를 담수하는 결로담수공간(210)과 결로배수구(220)가 형성되어 있고, 결로담수공간(210)의 상향 개구를 차단하도록 창호프레임(110)에 결합된 별도의 커버(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커버(230)에는 결로가 결로담수공간(2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결로유입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결로담수공간(210)에 남는 먼지얼룩이 외부에서 확인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도 4의 종래 창호에 있어서는 창호프레임(110)에 결로담수공간(210)을 형성하고 별도의 커버(230)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결로담수공간(210)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커버(230)를 일일이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로배수구(220)와 커버(230)의 결로유입구(231) 구조에 의해서 창호의 기밀성 및 수밀성과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창호의 결로 처리 구조는 결로를 제거하는 것에 그 기능이 국한 되는 것으로서, 결로를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등의 부가적이 기능이 제공된다면 별도의 실내 습도 유지수단을 마련하지 않고도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 얼룩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청소가 용이함과 동시에, 기밀성 및 수밀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결로를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유리와, 상기 창유리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면을 갖는 창호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기 창유리의 수직변을 지지하는 중공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창유리의 수평변을 지지하고 상부면에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구간에 결로배수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수평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창호프레임에는 상기 결로배수유로와 연통된 결로유입구와, 상기 결로유입구 하부영역에 형성되며 연통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된 결로체류공간과, 상기 결로유입구 반대측의 결로체류공간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된 결로배출구를 갖는 배수트랩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구획벽은 단일의 구획벽으로 마련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구획벽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창호프레임 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상기 창호프레임 내에 결합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결로배수유로는 상기 창유리 하부와 인접한 영역의 상기 수평프 레임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결로유입구가 상기 결로배수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창유리와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는 가스켓이 개재되며, 상기 결로배수유로는 상기 가스켓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가스켓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배수트랩의 외측에는 가스켓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트랩 하부영영역의 상기 창호프레임에는 실외를 향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표시부B의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5 및 도 6의 결로처리수단 설치영역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는 전술한 종래 창호와 마찬가지로 창유리(120)의 설치 입면을 형성하는 창호프레임(110)과, 창호프레임(110)에 마련되는 결로처리수단(20)을 가지고 있다.
창호프레임(110)은 벽체의 창호 개구에 설치되는 틀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측에 창유리(120) 설치입면을 형성하면서 창유리(120)의 수직변과 수평변을 각각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1) 및 수평프레임(13)이 결합되어 있다.
창유리(120)는 창호프레임(110)의 실외측을 향하는 각 프레임의 전단부영역과 창지지틀(130)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때, 실내측을 향하는 창유리(120) 면과 각 프레임 및 실외측을 향하는 창유리(120)면과 창지지틀(130) 사이에는 기밀 및 수밀을 위한 가스켓(17)이 결합된다. 그리고, 창호프레임(110) 내측에는 적어도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3)이 교차하는 영역에 후술할 배수트랩(23)을 설치하기 위한 트랩설치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11)의 하부영역에는 실외를 향해 도시않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배수트랩(23)에서 배출되는 결로수는 수직프레임(11) 내부공간으로 낙하하여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결로처리수단(20)은 실내측의 창유리(120)로 흘러내리는 결로를 수직프레임(11) 측으로 안내하는 결로배수유로(21)와, 결로배수유로(21)로부터 전달되는 결로를 소정의 용량 체류시키면서 수직프레임(11)을 통해 실외로 배수하는 배수트랩(23)으로 이루어진다.
결로배수유로(21)는 창유리(120)의 실내측 하부영역에 인접한 수평프레임(13)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프레임(11)을 향해 홈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 결로배수유로(21)는 수평프레임(13)의 판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유리(120)의 실내측면 하부영역에 개재되는 가스켓(17)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내측 창유리(120)에 형성된 결로수는 자중에 의해 창유리(120)면을 따라 결로배수유로(21)로 낙하한 다음, 결로배수유 로(21)를 따라 흘러 수직프레임(11) 내에 설치된 배수트랩(23)으로 유입된다.
배수트랩(23)은 수평프레임(13)이 접하는 수직프레임(11) 내부에 설치되며, 결로가 유입되는 결로유입구(25)와, 결로유입구(25)로 유입된 결로를 소정의 시간동안 체류시키는 결로체류공간(27)과, 체류된 결로를 수직프레임(11) 내부로 배출시키는 결로배출구(29)를 가지고 있다.
결로유입구(25)는 수평프레임(13)의 결로배수유로(21)와 연통되도록 배수트랩(23)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로배출구(29)는 결로유입구(25) 반대측의 배수트랩(23) 상부영역에 수직프레임(11)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로체류공간(27)은 결로유입구(25)와 결로배출구(29) 하부영역의 배수트랩(23) 내부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결로체류공간(27)의 수위가 결로배출구(29)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결로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이미 유입된 결로수는 결로배출구(29)로 넘치지 않고 결로체류공간(27) 내에서 체류하게 된다.
여기서, 결로체류공간(2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도 7 및 도 8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27a)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 될 수 있다. 이때, 구획벽(27a)의 하부에는 결로수가 U자 형상으로 결로체류공간(27)을 거치도록 연통구(27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과 같이, 복수의 구획벽(27a)을 형성하고 각 구획벽(27a) 상하부에 교호적으로 연통구(27b)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배수트랩(23)의 상하단부 및 수평프레임(13)을 향하는 외측영역에는 가스켓(17)의 단부가 기밀하게 결합되기 외한 가스켓결합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결로배수유로(21)와 배수트랩(23) 사이의 간극 발생에 의한 결로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결로처리수단(20)을 갖는 창호의 결로 처리 과정을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실내측의 창유리(120) 표면에서 발생된 결로가 흘러내리면 결로수는 수평프레임(13)의 가스켓(17)에 형성된 결로배수유로(21)를 따라 수직프레임(11)측으로 흐른 다음, 배수트랩(23)의 결로유입구(25)를 통해 결로체류공간(27)으로 유입된다. 이때, 결로배수유로(21)에는 결로수의 흐름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남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결로배수유로(2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결로체류공간(27)의 수위가 상승하여 결로배출구(29)를 넘으면, 결로수는 수직프레임(11) 내측 하부로 낙하한 뒤, 수직프레임(11)의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배수트랩(23)의 결로체류공간(27)에 결로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결로배출구(29) 높이에 이내에서 결로체류공간(27)에 결로가 체류하게 된다. 배수트랩(23) 내에 체류하는 결로수는 실외와 실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되므로, 창호의 기밀성 및 수밀성과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수트랩(23)의 결로체류공간(27)에 체류하는 결로수는 실내의 습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실내에 별도의 습도조절수단을 마련하지 않고도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결로처리수단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는 결로처리수단(20)인 결로배수유로(21)와 배수트랩(23)이 창호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결로배수유로(21)는 창유리(120)의 실내측 하부영역에 인접한 수평프레임(13)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홈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트랩(23)은 수직프레임(11)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트랩(23)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로가 유입되는 결로유입구(25)와, 결로유입구(25)로 유입된 결로를 소정의 시간동안 체류시키는 결로체류공간(27)과, 체류된 결로를 수직프레임(11) 내부로 배출시키는 결로배출구(29)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로체류공간(27)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단일의 공간이나,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는 실내측 창유리(120)에서 발생한 결로수가 수평프레임(13)에 형성된 결로배수유로(21)를 거쳐 배수트랩(23)으로 유입됨으로써, 결로수의 흐름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결로배수유로(21)나 수평프레임(13)에 남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수평프레임(13)과 결로배수유로(2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수트랩(23)에 유입된 결로수는 결로체류공간(27)에 체류함으로써, 실외와 실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창호의 기밀성 및 수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결로배수유로가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전구간에 걸쳐 마련되고, 배수트랩이 수직프레임 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결로배수유로의 형성영역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배수트랩의 설치영역 역시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에 적절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트랩의 구조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로배수유로와 배수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창호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 얼룩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청소가 용이함과 동시에, 기밀성 및 수밀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가 제공된다.
또한, 결로를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가 제공된다.

Claims (9)

  1. 창유리와, 상기 창유리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면을 갖는 창호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기 창유리의 수직변을 지지하는 중공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창유리의 수평변을 지지하고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구간에 결로배수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수평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창호프레임에는 상기 결로배수유로와 연통된 결로유입구와, 상기 결로유입구 하부영역에 형성되며 연통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된 결로체류공간과, 상기 결로유입구 반대측의 결로체류공간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된 결로배출구를 갖는 배수트랩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단일의 구획벽으로 마련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구획벽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창호프레임 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상기 창호프레임 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배수유로는 상기 창유리 하부와 인접한 영역의 상기 수평프레임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직프레임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결로유입구가 상기 결로배수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와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에는 가스켓이 개재되며, 상기 결로배수유로는 상기 가스켓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길이방향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배수트랩의 외측에는 가스켓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 하부영영역의 상기 창호프레임에는 실외를 향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KR1020070061648A 2006-07-28 2007-06-22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 KR10077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3618 WO2008013423A1 (en) 2006-07-28 2007-07-27 Window having means for treating water generated by dew condensation
CN2007800285019A CN101495709B (zh) 2006-07-28 2007-07-27 具有用于处理由露水冷凝产生的水的装置的窗
US12/309,709 US8015764B2 (en) 2006-07-28 2007-07-27 Window having means for treating water generated by dew condensation
RU2009107078/03A RU2402669C1 (ru) 2006-07-28 2007-07-27 Окно, име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образованной за счет конденсаци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1452 2006-07-28
KR1020060071452 2006-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154B1 true KR100773154B1 (ko) 2007-11-02

Family

ID=3906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48A KR100773154B1 (ko) 2006-07-28 2007-06-22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15764B2 (ko)
KR (1) KR100773154B1 (ko)
CN (1) CN101495709B (ko)
RU (1) RU2402669C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569Y1 (ko) 2009-02-11 2011-12-26 주식회사 신한 지. 앤. 에이 시스템 창호의 결합 구조
KR101302341B1 (ko) * 2009-08-11 2013-08-30 (주)엘지하우시스 방수 가스켓을 갖는 창호
KR101550845B1 (ko) 2009-06-30 2015-09-08 (주) 엘지토스템비엠 커튼 월
KR101591521B1 (ko) * 2009-06-30 2016-02-04 (주) 엘지토스템비엠 배수구조를 갖는 창호 프레임
KR102584596B1 (ko) 2022-10-20 2023-10-05 김병철 내구도가 향상된 단열물막이 창호
KR102584600B1 (ko) 2022-11-15 2023-10-11 김병철 단열물막이 창호 프로젝트창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25B1 (ko) * 2007-12-29 2013-02-27 (주)엘지하우시스 통기구조를 적용한 이중 창호
US8387320B2 (en) 2009-12-29 2013-03-05 Milgard Manufacturing Incorporated Building closure with enhanced moisture barrier properties
KR101472189B1 (ko) * 2012-12-18 2014-12-12 (주)엘지하우시스 고층용 환기구조를 구비한 창호
JP6265635B2 (ja) * 2013-06-25 2018-01-24 三協立山株式会社 開口部建材
CN103343584A (zh) * 2013-06-28 2013-10-09 上海玻机智能幕墙股份有限公司 明框玻璃幕墙横梁防漏水插件
CN103469941A (zh) * 2013-06-28 2013-12-25 上海玻机智能幕墙股份有限公司 明框玻璃幕墙防漏水系统
BE1024266B1 (nl) * 2016-05-24 2018-01-16 Claeys Stephanie Catharina R. Gordijngevel.
USD927017S1 (en) 2019-02-07 2021-08-03 Wws Acquisition Llc Muntin bar assembly
US11739585B1 (en) 2019-02-07 2023-08-29 WWS Acquisition, LLC Simulated steel fenestration system
JP7299814B2 (ja) * 2019-09-30 2023-06-28 不二サッシ株式会社 窓枠用枠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33Y1 (ko) 2004-02-10 200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로수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3495A (en) * 1937-11-15 1941-11-18 Hare George Franks Weatherproofing of windows, doors, and the like
US3362123A (en) * 1965-09-16 1968-01-09 E K Geyser Company Curtain wall with panels of different thicknesses
US3845599A (en) * 1969-08-18 1974-11-05 Comalco Ind Pty Ltd Window drain valve
JPS5322462Y2 (ko) * 1973-12-28 1978-06-10
GB2209787A (en) * 1987-09-17 1989-05-24 Colin Edward Beard Condensation drainage
US5067279A (en) * 1991-02-04 1991-11-26 Rolscreen Company Self draining door threshold
JP2548673B2 (ja) 1993-06-03 1996-10-30 トステム株式会社 戸体装着用の結露水排出部品
DE29509133U1 (de) 1995-06-02 1996-10-02 Niemann Hans Dieter Abstützelemente einer Glasscheibe
US5906083A (en) * 1997-08-04 1999-05-25 Construction Specialties, Inc. Modular louver system
DE19822128C1 (de) * 1998-05-07 1999-08-26 Kolaschnik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Wärmedämmung von Fenstern
CN2427609Y (zh) * 2000-06-11 2001-04-25 姜世久 微型自动排水装置
US6357186B1 (en) * 2000-09-15 2002-03-19 Marzen Artistic Aluminum Ltd. Self-venting window frame
DE20021878U1 (de) * 2000-12-29 2001-06-07 Schueco Int Kg Fassade und/oder Dach mit Dichtungsleiste mit Füllstück
US6823633B2 (en) * 2001-09-10 2004-11-30 Clark Pacific, A General Partnership Secondary moisture drainage system for structures having pre-manufactured exterior cladding systems
KR100628981B1 (ko) 2004-01-03 2006-09-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WO2006076496A2 (en) * 2005-01-12 2006-07-20 Michael Henry Door threshold water return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533Y1 (ko) 2004-02-10 2004-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로수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창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569Y1 (ko) 2009-02-11 2011-12-26 주식회사 신한 지. 앤. 에이 시스템 창호의 결합 구조
KR101550845B1 (ko) 2009-06-30 2015-09-08 (주) 엘지토스템비엠 커튼 월
KR101591521B1 (ko) * 2009-06-30 2016-02-04 (주) 엘지토스템비엠 배수구조를 갖는 창호 프레임
KR101302341B1 (ko) * 2009-08-11 2013-08-30 (주)엘지하우시스 방수 가스켓을 갖는 창호
KR102584596B1 (ko) 2022-10-20 2023-10-05 김병철 내구도가 향상된 단열물막이 창호
KR102584600B1 (ko) 2022-11-15 2023-10-11 김병철 단열물막이 창호 프로젝트창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95709A (zh) 2009-07-29
RU2402669C1 (ru) 2010-10-27
CN101495709B (zh) 2012-02-01
US20090313922A1 (en) 2009-12-24
RU2009107078A (ru) 2010-09-10
US8015764B2 (en) 201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154B1 (ko) 결로처리수단을 갖는 창호
KR101955402B1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KR101421247B1 (ko)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KR101179713B1 (ko) 개량된 배수구조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KR101302341B1 (ko) 방수 가스켓을 갖는 창호
JP2007032158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窓部換気構造
GB2128666A (en) Window drain
WO2008013423A1 (en) Window having means for treating water generated by dew condensation
KR101591521B1 (ko) 배수구조를 갖는 창호 프레임
KR20080000874A (ko) 결로처리가스켓을 갖는 창호
KR20080007759A (ko) 결로수 배수구조를 구비한 건축용 창호
KR200387114Y1 (ko) 유도블록을 이용한 창호의 내부 결로수 배출시스템
KR200168561Y1 (ko) 건축물 외벽의 결로방지구조
KR101203940B1 (ko) 빗물 배수구조가 형성된 창틀
KR20110124671A (ko) 창호의 결로배수용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창호시스템
KR102573981B1 (ko) 건축용 누수방지 창틀
KR0138691Y1 (ko) 창문틀의 배수장치
JP7425671B2 (ja) 建具
JP2866367B1 (ja) 阻集器
JP4043704B2 (ja) 窓ガラス用の構造ガスケットの構造
JP3497385B2 (ja) 開口部の下枠
JP2539112Y2 (ja) 下枠滑車埋込みサッシ
JP4612222B2 (ja) 二重ガラス窓
FI96442B (fi) Ulkoilmaventtiili
JP3795732B2 (ja)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