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098B1 -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098B1
KR100773098B1 KR1020040080634A KR20040080634A KR100773098B1 KR 100773098 B1 KR100773098 B1 KR 100773098B1 KR 1020040080634 A KR1020040080634 A KR 1020040080634A KR 20040080634 A KR20040080634 A KR 20040080634A KR 100773098 B1 KR100773098 B1 KR 10077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commercial
advertisemen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554A (ko
Inventor
고재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프로텍
Priority to KR102004008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0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파 또는 위성파 방송에서 시청자에게는 관심이 있는 재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광고주가 의도하는 구매자를 선별하여 광고목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방송신호 및 광고로 표출하기 위한 표출부; 상기 광고 표출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통신망 접속부; 및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공중파 또는 위성파 방송에서 시청자에게는 관심이 있는 재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광고주가 의도하는 구매자를 선별하여 광고목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성방송, 광고, 수신 단말기, PVR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therein }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표출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송광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과 광고방송을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모델을 위성방송을 예로들어 설명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신기의 광고방송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국소광고와 정규방송 간의 전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파 또는 위성파 방송에서 시청자에게는 관심이 있는 재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광고주가 의도하는 구매자를 선별하여 광고목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란 다중을 대상으로 상품을 홍보하는 수단이다. 특히, 방송광고는 동시에 많은 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가장 짧은 시간에 전파하는 특징이 있고, 시청자가 시선을 집중하고 있는 TV를 통하여 인상적인 동영상을 이용하여 알리는 방법이므로 벽보나 입간판 등의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매체를 이용한 광고나 움직임이 없는 광고에 비하여 우월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느끼듯이 관심이 없는 분야의 광고가 계속해서 반복된다면 광고의 효과는 많지 않은 반면에 시청자의 불만은 가중되게 된다.
또한, 광고는 상품 또는 기업의 이미지를 각인함으로써 상품의 구매를 유발하는 수단이다. 현대의 경제활동기업은 기업의 활동 즉, 제품의 생산 판매 및 서비스 등에서 다수의 다른 기업과 경쟁해야 한다. 기업은 자사의 상품을 차별화 하고, 그 차별성 및 우월성을 소비자에게 알림으로써 자사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불러 일으킨다. 이때, 기업의 광고는 자사상품의 가치를 소비자에게 알리는 유일무이한 수단이라 할 것이다.
기업의 상품판매전략의 핵심이 되는 광고는 그 특성에 따라 직접광고 및 간접광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광고가 전파되는 매체에 따라 인쇄매체, 방송매체 및 옥외광고 등 무수히 많은 분류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매체에 따른 방송의 분류에서 방송매체로 분류되는 광고기법은 그 세분류의 여하를 떠나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광고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TV 방송은 방송매체를 이용한 광고기법 중에서 그 파급효과가 가장 크면서도 비싼 경비로 인하여 손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광고형태이다. TV를 이용한 광고 중에서 케이블 TV를 이용한 광고는 방송매체 중에서 비교적 가장 저렴한 형태의 광고가 될 수 있다. 케이블 TV는 방송을 수신하는 대상이 지역에 국한된 사유로 인해 단위 그룹이 작으므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에 적합하다.
그러나 단위 케이블 TV가 일정 지역에 한정되어 있지만, 케이블 TV 방송국이 공급하는 방송은 전국이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PP(Program Provider)라고 부르는 채널 운영자가 지역에 국한되지 않는 전국방송을 제작하여 SO(System Operator)라고 구분된 지역 방송사업자에게 프로그램을 공급하면 SO는 자사의 케이블망이 도달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전국방송 프로그램을 지역에 공급하게된다. 이때 SO는 지역방송채널을 대상으로 광고를 수주하고 방영하여 수익을 창출하는데 비록 지역방송대상이나 그 광고의 내용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SO, PP가 연대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방송을 수주하여 프로그램 공급자의 공급 프로그램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지역 SO가 직접 수주한 광고의 경우에는 PP가 전송하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시간을 할당받아 PP에서 전송하는 영상과 대체하여 전송하게 된다. 흔히 이 과정을 광고삽입이라고 하는 데, PP가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 광고가 시작되는 시간에 특별히 약속된 음향을 삽입하여 전송하면 SO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자사의 광고영상을 방영하게 된다. 광고시간이 끝나는 경우에도 같은 신호로 광고시간을 감지하여 원래의 방송프로그램으로 환원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방송(SO)와 전국방송(PP)가 협의하에 지역마다 서로 다른 광고의 방영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공중파 방송 및 위성방송을 통하여 방송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선택의 여지가 전혀 없다.
지역 케이블 방송사업자가 방송의 배급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방송광고의 지역대상이 뚜렷하게 구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공중파 방송도 지역별로 재송신하는 환경이라면 지역별로 다른 방송과 광고를 편성하여 보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중파 방송, 특히 위성방송은 방송사업자가 보내는 전파신호가 시청자가 보유한 수신기에 논리적으로 직접 도달하므로 중간에 방송의 내용을 제어할 SO와 같은 주체가 없다. 이러한 특징은 공중파 또는 위성파 방송매체가 일거에 많은 시청자에게 광고할 수 있는 확산성과 파괴력에서 광고시장에서의 최상의 서비스로 군림하게 해 주는 요소인 반면에, 시청자에게는 원하지 않는 정보의 공해에 노출되게 하고, 광고주에게는 보다 구매력 높은 소비계층에 접근할 수 있는 정확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중파나 위성파 방송매체에 있어서도 케이블 TV에서와 같이 광고대상을 선별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SO의 입장에서도 가입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인기있는 채널과 보다 다양한 채널의 확보가 불가피하다. SO는 이들 채널을 유치하기 위해서 경비를 지불하는 경우, 그 비용은 시청자의 몫이 된다. 현실적으로 서비스의 경쟁관계에서 일방적으로 시청자에게 많은 부담을 지울 수 없는 환경에서 SO는 광고를 통한 수익을 창출하려 하지만, 채널사업자와 지역방송사가 서로 다른 광고를 제한된 광고시간으로 나누는 것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난시청지역 또는 전파음영지역에서 시청자들이 보편적으로 당연한 권리라고 생각되는 공중파방송의 수신에서 선의의 재전송 사업자가 시청자의 부담없이 공중파를 재전송한다면 시청자는 그 비용을 부담하지 않을 것이므로 재전송 사업자는 광고를 수주하여 그 비용을 충당하여야 하나 본래의 방송에 있는 광고를 대체하여 재전송사업자가 지역적인광고를 송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본래 방송의 저작권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광고를 송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비록 시청자가 관심이 있는 프로그램의 공급에 대한 대가로써 방송광고를 의무적으로 시청하여야 하지만 관심이 없는 분야의 스쳐가는 광고보다는 관심이 있는 분야의 광고에 더 많은 비중을 둘 수 있는 선택의 폭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공중파 또는 위성파 방송에서 시청자에게는 관심이 있는 재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광고주가 의도하는 구매자를 선별하여 광고목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파 또는 위성파 방송에서 시청자에게는 관심이 있는 재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광고주가 의도하는 구매자를 선별하여 광고목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표출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0);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20);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30);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방송신호 및 광고로 표출하기 위한 표출부(40); 상기 광고 표출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통신망 접속부(50); 및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장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장치는 외장형 또는 TV나 라디오 등의 기존의 방송 수신장치에 내장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방송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전파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데, 주요 구성부분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수신부(10)는 방송국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고, 방송국의 방송신호와 더불어 광고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데 광고방송 신호는 방송신호의 일부일 수 있으며, 별도의 채널에 할당된 전송신호일 수 있다. 상기 튜너는 사용자의 선국에 의해 불특정 방송채널을 수신할 수 있는 공용 튜너와 광고알림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특정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전용 튜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0)는 수신에 있어 전파 수신장치를 사용되는 데, 아나로그 장치 또는 디지털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수신신호가 TV 방송인 경우에는 영상 출력장치로 전송되고, 음향신호인 경우에는 증폭기(amplifier)나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0)에서 입력된 방송신호는 데이터 처리부(20)를 거쳐 표출부(40)로 전송된다.
데이터 처리부(20)는 중앙처리장치(CPU), 아나로그형 복조기(demodulator) 또는 디지털형 복호기(de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0)는 광고전송자의 국소광고, 정규방송의 버퍼링 데이터 및 수신기 보유자의 인구통계학적 자료(주소, 성별, 나이, 수입, 학력, 취미, 관심사, 가족관계, 자동차 보유, 주거형태, 재산 및 납세액)를 저장할 수 있다.
방송사 또는 광고방송 전송자(이하, 전송자라 한다.)는 상기의 광고방송 전송과 함께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야 할 수신기를 지정할 수 있는 데, 상기 지정된 수신기는 수신기가 보유한 일련번호 또는 수신기에 내장된 수신기 보유자의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근거로 수신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송광고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장치에서 방송 프로그램과 광고방송을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모델을 위성방송을 예로들어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은 방송사업자가 TV 수신기에 방송광고 영상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가 되는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저장하는 제1단계; 방송사업자가 방송광고의 영상을 사전에 전송하는 제2단계; 수신기가 상기 전송된 방송광고 영상 중 상기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맞는 방송광고 영상을 저장하는 제3단계; 방송사업자가 방송광고시간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제4단계; 방송수신 단말기가 수신 중인 정규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5단계; 방송수신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방송광고의 영상을 표출하는 제6단계; 방송수신 단말기가 방송 중인 정규방송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제7단계; 방송수신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정규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제8단계; 및 방송수신 단말기가 상기 방송광고의 영상 표출결과를 방송국에 보고하는 제9단계;를 포함한다.
위성방송으로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CM(GROBAL)"으로 표현된 광고방송은 각 프로그램 사이에 보내지게 된다. 방송사업자는 프로그램 외에 "CM(LOCAL)"으로 표현된 국소광고를 별도로 전송하게 된다. 국소광고는 그림의 STB에 저장되어 있다가 "Q"로 표현된 광고시간 알림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기존의 방송프로그램에 국소광고를 삽입하게 되며, 시청자는 프로그램에 연속된 국소광고를 시청하게 된다. 국소광고는 STB 마다 개별적으로 보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광고의 시청이 가능하다.
또한, 국소광고가 삽입되는 정규방송 프로그램은 국소광고로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국소광고가 방영되는 시간 만큼 버퍼에 저장되므로 국소광고가 끝나면 중단된 시간부터 버퍼에 저장된 방송이 재생되므로 내용의 손실이 없이 계속해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정규방송이 계속 저장되므로 국소 광고시간은 방송사업자가 의도하는 시간만큼 연장되어도 정규방송의 수신에 지장이 없으며, 시청자가 원할 경우에는 광고의 반복시청이나 광고와 연관된 상세정보의 검색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신기의 광고방송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수신기는 전송자가 별도의 신호를 하지 않을 경우에 시청자의 조작에 의해 방송국을 선국함으로써 정규방송을 튜닝하여 표출처리한다(S10). 이때, 상기 장치는 일반적인 방송수신기와 같이 동작하고, 수신기는 전송자가 보낸 제어명령이 전송되는 가를 감지한다(S20).
전송자는 전송하여야 할 광고방송이 있을 경우에 수신대상을 지정하여 수신기에 광고방송의 수신을 명령한다. 수신대상의 지정은 수신기의 일련번호 또는 저장된 가입자 정보의 각 요소별 합집합 또는 교집합으로 지정한다. 수신대상이 지정된 수신기는 광고방송이 전송되는 채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저장장치에 위치한 광고테이블에 등록한다. 전송자는 광고방송이 표출되어야 하는 시간이 도래하면 광고시간 알림 제어명령을 전송한다(S30). 여기서, 상기 제어명령이 광고시간 알림이면 상기 방송중인 정규방송을 저장장치로 저장하고 동시에 미리 저장장치에 저장된 국소광고를 표출하며(S40), 파일수신 명령인가를 판단하여(S100), 그렇다면 수신한 파일을 저장한다(S110). 수신기는 국소광고 표출과정에서(S40)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세정보가 선택되었다면 ,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세광고방송 프로그램을 표출장치로 전송한다(S60). 상기 제어명령은 전송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고, 특정한 시간을 수신장치에 입력하여 자동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수신기는 전송자의 광고시간 종료신호 또는 미리 입력된 광고종료 타이머에 따라 광고방송의 종료 및 정규방송으로의 환원을 수행한다(S90). 여기서, 광고방송의 종료는 전송자의 실시간 종료신호, 입력된 타이머에 의한 시간설정 또는 사전에 방영되기로 한 광고편수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광고방송이 종료되면 수신기는 표출된 광고의 종류에 따라 광고표출 실적을 저장장치에 기록한다. 수신기는 정규방송이 전환된 시점에서 재시작한다. 즉, 광고방송이 5분간 지속되었다면 저장장치에는 5분간의 정규방송을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되고, 광고방송이 표출되는 동안 정규방송은 수신되는 즉시 저장장치로 저장된다. 광고가 종료된 후에는 저장된 시점에서 재생되고, 이후 수신되는 정규방송은 기존에 저장된 정규방송의 뒤에 연결되어 저장되며, 방송수신 및 표출에는 5분간의 시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타임 쉬프트(time shift)기능이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국소광고와 정규방송 간의 전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정규방송은 1, 2, 3…과 같은 형태로 전송된다. 수신부(10)로 입력되는 방송은 처리부 (20)에서 표출부(40)로 전달되어 출력된다. 중앙의 방송 5에서 광고시간 알림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수신기는 "방송 5"에서부터 방송 버퍼에 수신되는 방송의 저장을 시작하고, 저장된 국소광고 "A, B…"를 재생한다. 이때, 표출부(40)는 방송 3, 4를 이어 A, B…의 광고가 표출된다. 하단부에서와 같이 광고가 끝나면 방송버퍼에 저장된 방송 5, 6…을 재생한다. 따라서, 표출부(40)의 출력은 "1, 2, 3, 4, A, B, C, D, 5, 6,…"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수신장치는 정규방송에 편성된 광고를 훼손하지 않고 수신기에 저장된 광고를 표출할 수 있고, 저장장치의 방송버퍼에 저장되는 방송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녹화기능), 빨리감기(Fast Forward) 기능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본 업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송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공중파 또는 위성파 방송에서 시청자에게는 관심이 있는 재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광고주가 의도하는 구매자를 선별하여 광고목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방송국으로부터의 수신대상 지정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광고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광고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광고방송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는 특정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광고방송 신호에 포함된 수신대상 지정명령 신호의 내용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정보와 맞는 광고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별도 채널의 정규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여 서로 다른 채널로 전송되는 정규방송 신호 및 광고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표출하기 위한 표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정규방송 신호를 표출하는 중 광고방송 알림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알림 신호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방송 신호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광고방송 신호를 표출하는 동안에 수신된 정규방송 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광고방송 신호의 표출이 끝난 후 저장된 정규방송 신호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수신된 정규방송 신호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저장된 광고방송 신호의 표출시간만큼 지연되게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의 내용에는 알림 신호의 검색과 동시에 광고방송을 표출하는 것 또는 미리 입력된 타이머를 구동시켜 정해진 시간에 광고방송을 표출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에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 보유자에 대한 주소, 성별, 나이, 수입, 학력, 취미, 관심사, 가족관계, 자동차보유, 주거형태, 재산, 납세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8.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의 수신대상 지정명령 신호를 포함한 광고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대상 지정명령 신호의 내용이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정보와 맞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특정 정보와 맞는 광고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의 정규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표출하는 중 광고방송 알림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저장된 광고방송 신호를 표출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광고방송 신호의 표출 동안 수신된 정규방송 신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방송의 표출이 완료되면 상기 저장된 정규방송 신호를 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에는 상기 광고방송 수신 장치 보유자에 대한 주소, 성별, 나이, 수입, 학력, 취미, 관심사, 가족관계, 자동차보유, 주거형태, 재산, 납세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1020040080634A 2004-10-08 2004-10-08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100773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634A KR100773098B1 (ko) 2004-10-08 2004-10-08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634A KR100773098B1 (ko) 2004-10-08 2004-10-08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54A KR20060031554A (ko) 2006-04-12
KR100773098B1 true KR100773098B1 (ko) 2007-11-02

Family

ID=3714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634A KR100773098B1 (ko) 2004-10-08 2004-10-08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1746A2 (en) * 2009-10-01 2011-04-07 Michael Robert Beatty Multi-channel digital targeted video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7738A2 (en) * 1982-06-25 1984-01-11 Hoshino Gakki Company, Ltd. Holder for a pair of tom-tom drums, or the like
KR20030040602A (ko) * 2001-11-15 200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탈 티브이 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재생장치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7738A2 (en) * 1982-06-25 1984-01-11 Hoshino Gakki Company, Ltd. Holder for a pair of tom-tom drums, or the like
KR20030040602A (ko) * 2001-11-15 200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탈 티브이 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재생장치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 제2003-0040602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1746A2 (en) * 2009-10-01 2011-04-07 Michael Robert Beatty Multi-channel digital targeted video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WO2011041746A3 (en) * 2009-10-01 2011-07-21 Michael Robert Beatty Multi-channel digital targeted video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554A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92251B (en) System for personal advertising
US69861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ontent to be presented to a user
CN101529909B (zh) 一种用于向多媒体设备分配广告和/或内容的方法及设备
US805144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based on a location of a presentation device
US89347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emental content in association with recorded content
US2011019722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For Output By A Television Receiver Based on Social Network Profile Data
US20090304358A1 (en) Providing Content Interruptions
US20080040768A1 (en) Approach for associating advertising supplemental information with video programming
US20080195458A1 (en) Dynamic Selection and Incorporation of Advertisements
CA26536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ement placement in a user dialog on a set-top box
US20090019474A1 (en) Alternative mechanism to associate supplemental/advertising information with multimedia programs
JP2010508688A (ja) プロダクト・プレイスメント
JP4123805B2 (ja) サーバ及び広告配信方法
US201101197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data to user terminals
WO2012060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bject substitution in video
US8032072B2 (en) System for downloading audio content
AU9002398A (en) Digital broadcasting selective receiv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773098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장치에서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100637270B1 (ko) 방송을 이용하여 대화형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1931A (ko) 인터넷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JP7261773B2 (ja) 受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00533B1 (ko) 데이터 방송을 이용한 티-쿠폰 서비스 방법
JP2004213340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JP2021190745A (ja) 放送受信装置、番組配信装置、番組配信システム、番組再生方法および番組配信方法
JP2004246205A (ja) 広告依頼方法、付加情報提供方法、放送受信機及び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