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638B1 -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638B1
KR100772638B1 KR20060036458A KR20060036458A KR100772638B1 KR 100772638 B1 KR100772638 B1 KR 100772638B1 KR 20060036458 A KR20060036458 A KR 20060036458A KR 20060036458 A KR20060036458 A KR 20060036458A KR 100772638 B1 KR100772638 B1 KR 10077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ified
weight
backfill material
composition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3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179A (ko
Inventor
이대수
김대홍
조화경
김경열
홍성연
오기대
정상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060036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63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8Aluminium compounds, e.g. alumin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applied in a physical form other than a solution or a grout, e.g. as granules or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6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 C04B2111/00706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around pipelin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2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in mining operations, e.g. for backfilling; in making tunnels or gall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Calcium Sulpho Aluminate)계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속경성 클링커에 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및 수화촉진제를 첨가한 것으로 구성되는 지중 송전관로 및 전력구의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는 굴착시 발생된 잔토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동성이 높은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를 굴착 부분에 채우고 양생하여 되메움 공사를 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화재를 사용하여 되메움 공사를 한 후에는 1시간 만에 보행이 가능하고 4시간 만에 장비의 진입이 가능한 충분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빠른 시간 안에 지중 송전관로 및 전력구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좁은 공간을 완전히 충전함으로서 굴착 복구 후 지속적인 하중에 의한 부등침하가 방지되며, 굴착시 발생한 잔토를 사토시키지 않고 재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며, 토사처리 및 모래 구입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지중 송전관로, 유동화 되메움재, 고화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Description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Composition for solidifying of slurry backfill material to apply to underground cable duct and structure}
본 발명은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Calcium Sulpho Aluminate)계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속경성 클링커에 석고, 고로 슬래그 미분말 및 수화촉진제를 첨가한 것으로 구성되는 지중 송전관로 및 전력구의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개착식 공법, 즉 지반을 굴착하여 송전관로 및 전력구를 설치하는 공사 등에서 발생된 현장발생 잔토를 지중화공사에 재이용하기 보다는 거의 사토(死土) 처리함으로써 사토장으로의 운반 비용과 양질의 모래 구입비용이 발생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양질의 토사 및 모래로 되메움하는 경우에도 지중 송전관로 하부와 좁은 공간의 되메움은 다짐 작업이 어렵고, 다짐을 하더라도 토사의 특성상 굴착부위를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추가침하의 문제점과 균열부위를 통해서 수분이 침투하여 포장 및 지중 송전관로 및 전력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부적절한 다짐을 개선하기 위해 물다짐공법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다짐의 품질관리 및 관 주변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에서는 모래, 시멘트, 플라이애쉬 (fly ash), 물, 혼화제로 구성된 유동성 되메움재, CLSM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을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동성 되메움재는 저강도 흙-시멘트로 지반을 보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진다. 하지만 국내 특성상 지중화 공사가 도심지에서 주로 차량소통이 적은 야간시간을 이용하여 단 시간에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므로 기존에 개발되어진 일반적인 유동성 되메움재로는 경화시간이 매우 길어, 실제 시공에 활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지중화 공사를 하는데 있어서, 굴삭된 풍화토, 사질토와 같은 현장 발생토와 물과 함께 혼합하여 유동성이 양호하며, 조기강도 발현이 매우 우수하고, 장기강도는 유지관리시 재굴착이 가능할 정도의 강도를 발현하게 되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은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클링커 분말 25~45 중량%, 고로 슬래그 미분말 40~60중량%, 석고 3~20중량% 및 수화촉진제로서 탄산칼슘 0.1~3.0% 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화재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은 통상적으로 석회석 약 20~40중량%, 저품위 보오크사이트 약 30~50중량% 및 석고 약 10~30중량 %의 원료를 혼합하고 로타리 킬른에서 1300℃ 온도로 소성하고 냉각하여서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을 조성적으로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아윈 (4CaO.3Al2O3.SO3)이 70중량%, 벨라이트 (2CaO.SiO2)가 10~20중량%, 페라이트(4CaO.Al2O3.Fe2O3)가 5~10중량%, 이외에 철 및 마그네슘을 함유한 규산염이 약 5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은 수화시에 석고와 반응하여 에트링자이트 또는 모노설페이트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고화재 조성물이 속경성을 갖게 하고, 빠른 시간에 강도발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에트링자이트 수화물은 결합수가 많고 고강도 특성을 가지며, 유기물의 존재하에서도 생성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특히 적합하다.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의 분말도는 블레인 비표면적으로 3,000~8,000cm2/g 정도이며 5,000cm2/g이 가장 바람직 하다. 이러한 블레인 비표면적은 초기의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며, 비표면적이 높을 수록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고화재 조성물에서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클링커 분말은 25~45중량%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클링커분말을 25중량% 미만으로 배합하면 초기에 형성되는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량이 적 어, 초기강도가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45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초기강도 뿐만 아니라 장기강도 또한 높아져서 재굴착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석고로서는 무수석고, 반수석고, 이수석고 및 천연산 석고, 인산석고, 배연탈황석고 및 불산석고 등의 화학석고와 이들을 열처리해서 얻어진 석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천연 무수석고는 반수석고나 이수석고에 비해서 용해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과의 반응성에 적합하며, 고강도를 나타내며 유동화 되메움재의 안정성에도 기여한다. 본 발명의 고화재 조성물에서 상기 석고를 3 ~ 20중량%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석고를 3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충분한 강도증진 효과를 얻기 힘든 경우가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팽창량이 커져 장기내구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용광로에서 선철과 함께 생성되는 용융슬래그를 급냉시켜 얻은 입상의 수쇄슬래그를 건조하여 미분화한 것으로 잠재 수경성이 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반응성은 일반적으로 염기도 및 유리화율이 높을수록 크고 비중은 2.88~2.95 범위이며, 분말도는 블레인 비표면적으로 4,000~8,000cm2/g 정도이며 6,000cm2/g이 가장 바람직 하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함에 따라 표면활성도가 증가하며 Al2O3의 용출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에트링자이트의 생성이 촉진되며 또한 C-S-H계 수화물의 겔화를 촉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미반응 부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 고로슬래그를 40 ~ 60 중량%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일 고로슬래그를 40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상대적인 CSA클링커 분말 및 무수석고의 양이 증가함으로서 장기강도가 증가하여, 재굴착 가능한 6kgf/cm2 이상의 강도가 발현될 수 있으며, 60중량% 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CSA클링커 분말 및 무수석고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대상지반의 종류에 따라 강도발현성이 크게 변동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화촉진제로서는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 등의 알카리금속탄산염,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의 알카리금속중탄산염, 황산리튬, 황산나트륨 및 황산칼륨 등의 알카리금속황산염, 규산리튬, 규산나트륨 및 규산칼륨 등의 알카리금속규산염,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등의 알카리금속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과의 수화반응을 촉진시키고 토양으로부터 장기적으로 용출되는 실리카와 알루미나 성분의 용출속도를 촉진시켜 주는 탄산칼륨의 사용이 가장 바람직 하고, 그 배합량은 0.1 ~ 3.0중량%로 하는 것이 좋은데, 만일 탄산칼륨을 0.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수화촉진효과가 매우 적어지게 되며,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초기에 수화반응이 너무 촉진되어, 되메움재의 유동성이 급격하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한 구성성분을 갖는 본 발명의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에서 발생되는 특징적인 반응은 다음과 같다.
1) 에트링자이트의 생성
에트링자이트는 3C3A.CaSO4.32H2O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서 다량의 수분을 결합수로 고정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물비를 저하시켜 흙입자의 이동을 구속하고 흙입자간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또한 발명의 고화재에서는 수화촉진제인 탄산칼륨을 포함하고 있어 에트링자이트의 생성반응이 촉진되고 조기강도의 발현이 우수하다.
2) 포졸란 반응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SiO2, Al2O3 등의 가용성분이 Ca(OH)2와 불용성 화합물을 생성하며 경화한다.
이와 같은 고화재를 굴착시 발생된 잔토와 혼합하여 유동화 되메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강도발현은 토양에 대한 물성개량과 포졸란반응에 의한 경화현상이 발생하여 충분한 강도 발현, 함수비 저하, 이온교환의 중단, 수화물생성에 의한 경화, 에트링자이트 생성 (토양의 네트워킹) 등 각종 화학적 물리적 반응을 통해 조기에 강도증진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를 사용한 유동화 되메움재로 굴착 복구하는 경우, 1시간 정도 양생하면 0.5kgf/cm2 의 강도를 보여 작업인원의 보행이 가능하며, 4시간 정도 양생하면 1.5kgf/cm2의 강도가 발현되어 시공장비 및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오랜시간 동안 일정 수준이하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강도는 약 6kgf/cm2 이상으로는 증가하지 않아, 삽 또는 굴착장비로 손쉽게 재굴착이 가능하므로 지중 송전관로 및 전력구를 설치한 후 유지 보수도 용이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를 사용한 유동화 되메움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는 굴착된 잔토 및 배합수와 함께 혼합되어 유동화 되메움재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고화재 사용량은 고화대상 흙의 특성, 고화처리 후의 요구강도 등에 따라 결정되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유동화 되메움재 1m3 당 150~250kg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급결형 고화재를 첨가,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각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굴착된 잔토에 첨가, 혼합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이때 균질하게 혼합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대량 시공을 위해 전용 현장 배치플랜트의 혼합설비를 이용하여 굴착된 잔토와 고화재를 혼합한 후 펌프카 등으로 이송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를 사용하는 경우, 처리 대상 잔토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유동화제, 고성능감수제 등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화재를 사용한 유동화 되메움재에 사용되는 잔토는 국내 표토층을 주로 구성하는 화강풍화토계열이 유리하고, 일부 점토 및 자갈이 포함된 굴착 잔토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자갈의 최대골재치수는 13mm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배합수는 기름, 산, 유기물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어 유동화 되메움재의 품질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되며 지하수, 공업용수, 하천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음용수로 사용가능한 수질의 배합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화재 조성물을 사용한 유동화 되메움재의 강도발현 메커니 즘은 토양 자체의 개량효과, 고화재 조성물에 의한 수화반응, 토양의 가용성분과 고화재 조성물과의 반응 3단계로 분류되는 바, 고화재 조성물을 사용한 유동화 되메움재의 강도발현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은 물과 반응하여 3CaO.3Al2O3.CaSO4~2{3CaO.Al2O3. Ca(OH)2.12H2O}의 고용체를 형성하며, 이때 무수석고에서 용해된 SO3가 존재할 때에는 에트링자이트 (3CaO.Al2O3.3CaSO4.32H2O)가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에트링자이트는 다량의 물과 결합된 침상 결정으로 안정성이 매우 높은 수화물상이며, 에트링자이트의 급속한 생성에 따라 토양중의 수분을 빠르게 고정화하여 함수비를 저감화하는데 기여하며, 빠른 시간에 보행 및 시공장비가 충분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강도를 발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실시예 1 내지 4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 무수석고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급결형 고화재의 기본조성으로 배합하였고 여기에 수화촉진제로서 탄산칼륨을 각각, 0, 0.3, 0.5, 1.0중량%를 첨가하여 고화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고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건조된 풍화토 590중량부 및 물 280중량부를 믹서에 투입하여 3분간 혼합하여 초기 플로우치가 220mm인 슬러리상 의 뒤메움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뒤메움재의 유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5분후의 플로우치 및 1시간, 4시간 1일, 28일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한 플로우치는 23℃, 80% 항온항습실에서 혼합하여 높이 80mm, 내경 80mm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일 압축강도는 KS F 2314 "흙의 일축압축시험방법"에 의해 제조한 슬러리상의 뒷채움재를 Φ5X10cm의 몰드에 성형하여 재령별 강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다음 표 1에서와 같이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만을 사용하여 고화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 ~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측정방법도 실시예 1 ~ 4와 동일하게 하였다.
[표 1] (단위 : 중량%)
실험번호 칼슘설포 알루미네이트계 무수석고 고로슬래그 미분말 수화촉진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비고
1 40 10 50.0 - - 실시예 1
2 40 10 49.7 0.3 - 실시예 2
3 40 10 49.5 0.5 - 실시예 3
4 40 10 49.0 1.0 - 실시예 4
5 - - - - 100 비교예 1
[표 2]
실험번호 유동성(mm) 일축 압축강도(kgf/cm2) 비고
1시간 4시간 1일 28일
1 210 0.2 0.8 1.8 6.4 실시예 1
2 210 0.3 1.0 1.9 6.2 실시예 2
3 200 0.4 1.2 2.0 6.0 실시예 3
4 200 0.5 1.6 2.1 5.8 실시예 4
5 210 - 0.2 3.4 16.3 비교예 1
지중 송전관로 및 전력구의 지중화 공사 시 발생되는 굴착토와 본 발명에 의한 급결형 고화재를 사용하여 유동화 되메움재로 활용하면, 현장에서 굴착 공사시 발생되는 잔토의 재활용율이 높아지며, 사토장으로 처분해야 하는 사토량이 감소하고 모래 구입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얻어진 슬러리상의 유동화 되메움재가 충분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굴착된 부위를 충전할 때에 간극으로의 침투성이 우수하고 지반 중에 빈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 공사를 할 수 있다. 특히 유동화 되메움재로 굴착된 부위를 충전한 후에 다짐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지중송전관로 하부까지 밀실하게 채워준다. 또한 일반 급결형 고화재로 처리하기 힘든 굴착토를 사용하더라도 1시간 만에 보행이 가능하고, 4시간 만에 시공 장비 및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충분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어 빠른 시간 안에 지중송전관로 및 전력구 설치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클링커 분말 25 ~ 45중량%, 고로 슬래그 미분말 40~60중량%, 석고 3~20중량% 및 수화촉진제로서 탄산칼륨을 0.1~3.0중량%로 혼합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
KR20060036458A 2006-04-22 2006-04-22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KR10077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6458A KR100772638B1 (ko) 2006-04-22 2006-04-22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6458A KR100772638B1 (ko) 2006-04-22 2006-04-22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79A KR20070104179A (ko) 2007-10-25
KR100772638B1 true KR100772638B1 (ko) 2007-11-02

Family

ID=3881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36458A KR100772638B1 (ko) 2006-04-22 2006-04-22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6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59B1 (ko) 2008-07-15 2009-07-08 쌍용양회공업(주) 수화 속도를 조절한 시멘트 그라우트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1723B1 (ko) * 2009-08-07 2012-03-28 한국전력공사 강관압입 전력구의 내부 충진재
KR20130020348A (ko) * 2011-08-19 2013-02-27 한국전력공사 지중 송배전관로 되메움재용 순환골재
KR101380326B1 (ko) 2012-04-30 2014-05-22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저강도 및 초속경성을 갖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
KR20230003785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대웅 순환자원을 이용한 유동화 채움재 조성물
KR20230068544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대웅 유동화 채움재 조성물
KR20240025862A (ko) 2022-08-19 2024-02-27 주식회사 대웅 순환자원을 이용한 유동화 채움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7995B (zh) * 2021-01-11 2023-07-25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原状盾构渣土免烧制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817A (ko) * 2000-12-20 2002-06-26 정환진 토질안정 처리재의 제조방법
KR20050087029A (ko) * 2004-02-24 2005-08-31 (주) 지오시스 단열성능이 우수한 현장 타설용 조강형 기포 콘크리트 및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817A (ko) * 2000-12-20 2002-06-26 정환진 토질안정 처리재의 제조방법
KR20050087029A (ko) * 2004-02-24 2005-08-31 (주) 지오시스 단열성능이 우수한 현장 타설용 조강형 기포 콘크리트 및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59B1 (ko) 2008-07-15 2009-07-08 쌍용양회공업(주) 수화 속도를 조절한 시멘트 그라우트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1723B1 (ko) * 2009-08-07 2012-03-28 한국전력공사 강관압입 전력구의 내부 충진재
KR20130020348A (ko) * 2011-08-19 2013-02-27 한국전력공사 지중 송배전관로 되메움재용 순환골재
KR101380326B1 (ko) 2012-04-30 2014-05-22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저강도 및 초속경성을 갖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
KR20230003785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대웅 순환자원을 이용한 유동화 채움재 조성물
KR20230068544A (ko)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대웅 유동화 채움재 조성물
KR20240025862A (ko) 2022-08-19 2024-02-27 주식회사 대웅 순환자원을 이용한 유동화 채움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79A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638B1 (ko)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성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JP6230883B2 (ja) 遅延硬化型流動化処理土及び地下空洞の充填方法
KR100570958B1 (ko) 환경친화적이며, 속경성 및 고강도 특성을 가지는 흙포장용 조성물
KR100772637B1 (ko) 지중 송전관로 및 개착식 전력구의 유동화 되메움재용고화재 조성물
KR101242568B1 (ko) 산업용 부산물인 바텀애쉬와 인산석고를 재활용하여 육상 또는 해상용으로 사용되는 블록 조성물
KR20130122162A (ko) 광산 폐기물 및 친환경고화재를 활용한 저강도, 고유동성 광산 채굴적 충진재 조성물
KR102057984B1 (ko) 속경성 뒷채움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뒷채움재
JP2017122203A (ja) 泥土含有固化体の製造方法
JP2012193079A (ja) 高強度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組成物および高強度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硬化体
KR102503145B1 (ko) 현장 경화 말뚝용 팽창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경화 말뚝 시공공법
KR101356620B1 (ko) 광산 폐기물 및 친환경고화재를 활용한 저강도, 고유동성 광산 채굴적 충진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시스템
JP3185460B2 (ja) 急速流動化埋戻工法用固化材組成物
KR0125466B1 (ko) 토양고화제
KR20130122170A (ko) 저강도 및 초속경성을 갖는 유동화 되메움재용 고화재 조성물
WO2001004426A1 (fr) Mortier de terre amelioree par de la chaux, procede de production et de fluidification de celui-ci
KR101482329B1 (ko) 철강슬래그를 이용한 성토재
JP3560665B2 (ja) 地盤改良用固化材組成物
JP3552302B2 (ja) 流動化埋戻工法用固化材
KR20230068544A (ko) 유동화 채움재 조성물
JP4437628B2 (ja) コンクリート組成物
JP4112667B2 (ja) 流動化埋め戻し用固化材
JPH11228197A (ja) セメント系充填材
KR101950812B1 (ko) Bp 부산물을 활용한 공동 충전용 팽창 슬러지 조성물
JP4683702B2 (ja) 吹き付け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急結性吹き付け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吹き付け工法
KR100521848B1 (ko) 폐콘크리트 슬러지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토양고화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