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959B1 - 차 거름용 컵 - Google Patents

차 거름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959B1
KR100771959B1 KR1020060054544A KR20060054544A KR100771959B1 KR 100771959 B1 KR100771959 B1 KR 100771959B1 KR 1020060054544 A KR1020060054544 A KR 1020060054544A KR 20060054544 A KR20060054544 A KR 20060054544A KR 100771959 B1 KR100771959 B1 KR 10077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cup body
cup
open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0200A (ko
Inventor
공윤옥
Original Assignee
공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윤옥 filed Critical 공윤옥
Priority to KR102006005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9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Abstract

본 발명은 차 거름용 컵에 관한 것으로, 차잎이나 차티백이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차잎이나 티백에서 차성분이 제대로 우러나게 하고, 차잎이나 차티백에서 차성분을 우린 다음 차를 음용하기 위해 거름망이나 차티백을 빼내지 않아도 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차잎이나 차티백을 우릴 수 있는 컵에 있어서, 관형상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한 쪽 끝을 착탈가능하게 폐쇄시키는 제1뚜껑;과 상기 컵본체의 다른 쪽 끝을 착탈가능하게 폐쇄시키는 제2뚜껑;과 상기 컵본체의 한 쪽 내측에 위치되는 거름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 거름용 컵 {CUP FOR FILTERING TEA}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1실시예에 있어 제1,2뚜껑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1실시예에 있어 제1,2뚜껑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2실시예에 있어 뚜껑과 마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2실시예에 있어 뚜껑과 마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 컵본체 211,212. 제1,2뚜껑
30. 거름망 40. 차잎이나 차티백
본 발명은 차잎이나 차티백을 거를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잎이나 차티백을 컵본체의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차잎이나 차티백에서 차성분이 지속적으로 잘 우러나며 거름망을 빼지 않고 차를 음용할 수 있는 차 거름용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를 마시는 방법은 차잎을 우려 마시는 방법과 차티백을 우려 마시는 방법이 있다.
차잎을 우려 마시는 경우 간단한 다기로써 컵본체, 거름망 및 뚜껑으로 이루어진 다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다기를 사용할 때, 컵본체에 거름망을 설치한 후 거름망에 차잎을 넣는다. 그리고 컵본체에 물을 부은 후 뚜껑을 덮는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뚜껑을 개방시키고 거름망을 빼낸 후 차를 음용한다.
차티백을 우려 마시는 경우 통상적인 컵에 티백과 물을 넣는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다음 티백을 빼내고 차를 음용한다.
그러나 차잎을 우려 마실 때 사용되는 종래의 다기는 거름망이 컵본체의 상측에 위치하여 차잎이 물 위에 뜸으로써 차잎이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아 차잎에서 차성분이 제대로 우러나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차잎에서 차성분을 우린 다음 차를 음용하기 위해 거름망을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우려낸 차를 다 마신 후 차잎을 더 우려서 마시기 위해서 다시 거름망을 컵본체에 넣었다가 차를 우린 후 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차티백을 우려 마시는 경우 차티백이 컵 속에 완전히 잠기다가 물 위로 뜸으 로써 차성분이 제대로 우러나는 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차티백에서 차성분을 우린 다음 차를 음용하기 위해 차티백을 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려낸 차를 다 마신 후 차티백을 더 우려서 마시기 위해서 다시 차티백을 컵본체에 넣었다가 차를 우린 후 빼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차티백을 빼내지 않고 음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를 음용하기 위해 컵을 기울이면서 차티백이 움직여 떨어지는 등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컵본체의 용량이 통상적인 컵의 용량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컵본체의 용량만큼 음용하기를 원하지 않더라도 차잎을 담는 거름망을 물에 잠기게 하기위해 컵본체의 용량만큼 물을 넣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상기의 컵의 용량이 통상적인 경우보다 크고 컵의 깊이가 통상적인 경우보다 깊은 경우 차티백의 줄이 짧아 차를 우려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잎이나 차티백이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차잎이나 티백에서 차성분이 제대로 우러나게 하고, 차잎이나 차티백에서 차성분을 우린 다음 차를 음용하기 위해 거름망이나 차티백을 빼내지 않아도 되는 차 거름용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컵본체의 용량이 통상적인 컵의 용량보다 큰 경우 차잎을 담는 거름망을 물에 잠기게 하기위해 사용자가 음용하기를 원하는 많은 양의 물을 넣지 않아도 되며, 차티백의 줄이 컵본체에 빠져 차티백을 빼내기 어려운 경우를 방지하는 차 거 름용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 거름용 컵은 차잎이나 차티백을 우릴 수 있는 컵에 있어서, 관형상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한쪽에는 차잎이나 차티백을 넣은 후 거를 수 있는 거름망이 삽입되는 제1개방구;와 상기 제1개방구에 차잎이나 차타백을 넣은 후 상기 제1개방구에 삽입되는 거름망;과 상기 컵본체의 다른 한쪽에는 우려진 차를 따를 수 있는 제2개방구;와 상기 제1개방구을 착탈가능하게 막을 수 있는 제1뚜껑;과 상기 제2개방구을 착탈가능하게 막을 수 있는 제2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개방구는 상기 컵본체의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개방구는 상기 컵본체의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제1개방구가 위치한 쪽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름용 컵을 제공한다.
컵본체의 제1,2개방구 외주연에 나사산이 돌출 형성되고 제1,2뚜껑의 내측에 나사산이 돌출 형성되어 뚜껑이 컵본체의 개방구에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름용 컵을 제공한다.
컵본체는 2중구조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보온되고, 상기 제1,2뚜껑의 외주연 일측에 밀실링이 돌출 형성되며, 제1,2뚜껑의 밀실링 형성부위가 상기 제1,2개방구의 내측에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름용 컵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1실시예에 있어 제1,2뚜껑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1실시예에 있어 제1,2뚜껑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이다.
도 1a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은 차잎이나 차티백(40)을 우릴 수 있는 컵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컵본체(11), 제1뚜껑, 제2뚜껑 및 거름망(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컵본체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관형상은 컵형태에서 폐쇄부위가 없이 컵형상의 양측 단부가 관통된 형상을 말한다. 여기서 관통된 컵본체의 양단부는 제1,2개방구와 동일한 표현이다. 컵본체의 양단부는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할 수 있다. 컵본체는 2중구조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보온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컵본체는 2중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컵본체의 양단부 내측에는 후술되는 거름망이 내설될 수 있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된다. 걸림턱은 컵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거름망이 컵본체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내설되도록 한다.
제1뚜껑은 컵본체의 한 쪽 끝을 착탈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제2뚜껑은 컵본체의 다른 쪽 끝을 착탈가능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제1,2뚜껑는 컵본체와 마찬가지로 2중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2뚜껑을 컵본체의 단부에 결합시켜 컵본체의 단 부를 밀폐시키는 제1실시예를 보면,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본체의 제1,2개방구 외주연에 나사산(14)이 돌출 형성되고, 제1,2뚜껑의 내측에 나사산(14)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1,2뚜껑(211,212)은 용기형상으로 수평판(212a)의 가장자리에 수직판(212b)이 연결 형성되어 컵본체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뚜껑에 돌출 형성되는 나사산은 뚜껑의 수직판 내측에 돌출 형성된다. 컵본체에 돌출 형성되는 나사산은, 뚜껑이 컵본체에 덮혔을 때 컵본체의 외주연에 있어서 수직판과 겹치는 부분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다. 컵본체의 개방구에 제1,2뚜껑을 회전 결합시킴으로써 제1,2뚜껑이 컵본체의 개방구를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2뚜껑을 컵본체의 단부에 결합시켜 컵본체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제2실시예를 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의 외주연 일측에 밀실링(213c)이 돌출 형성되고, 뚜껑의 밀실링 형성부위가 컵본체의 개방구 내측에 밀폐된다. 여기서 제1,2뚜껑(213,214)은 크기를 달리 하는 2개의 판이 겹쳐진 형상이다. 제1,2뚜껑에 있어서 1개의 판형상(213a,214a)은 컵본체의 단부와 동일한 크기이고, 다른 1개의 판형상(213b,214b)은 컵본체의 단부 내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컵본체의 내측에 맞는 크기이다. 밀실링(213c)은 컵본체의 내측에 맞는 크기의 판형상(213b,214b) 외측에 설치된다. 밀실링의 설치부위에는 홈이 요홈되어 밀실링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된다. 컵본체의 개방구에 제1,2뚜껑을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제1,2뚜껑이 컵본체의 개방구를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거름망(30)은 컵본체의 한 쪽 내측에 위치된다. 즉, 거름망은 컵본체의 길이방향 중심라인(A-A)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 치우쳐 위치된 다. 거름망은 망구조로 이루어지며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차잎이나 차티백(40)을 담을 수 있다. 거름망의 걸림구(31)는 외측으로 꺾임으로써 컵본체의 걸림턱(13)에 걸린다. 거름망의 단부가 접혀서 걸림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컵본체의 측부 일측에는 손잡이(60)가 일체 형성되고, 손잡이에는 제1,2뚜껑이 연결구(61)에 의해 연결되어 제1,2뚜껑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손잡이는 상하구분이 없이 양단부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2실시예에 있어 제1,2뚜껑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2실시예에 있어 제1,2뚜껑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2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본체(12), 거름망(30), 제1,2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컵본체는 한 쪽 끝이 폐쇄되고 폐쇄되는 쪽의 측부에 차공급공(15)이 관통된다. 여기서 제1개방구는 컵본체의 한쪽 끝에 개방된 부위이고, 제2개방구는 차공급공과 동일한 표현이다. 컵본체의 양단부는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르게 할 수 있다. 컵본체는 2중구조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보온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컵본체는 2중벽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차공급공은 컵본체의 길이방향 중심라인(A-A)을 기준으로 컵본체의 폐쇄되는 쪽에 치우쳐 위치된다.
컵본체의 한쪽의 측부에는 후술되는 거름망이 내설될 수 있도록 걸림턱(13) 이 형성된다. 걸림턱은 컵본체의 길이방향 한쪽 측부에 형성되어 거름망이 착탈 가능하게 내설되도록 한다.
거름망은 차공급공의 내측에 설치된다. 거름망은 망구조로 이루어지며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차잎이나 차티백을 담을 수 있다. 거름망의 걸림구(31)는 외측으로 꺾임으로써 컵본체의 걸림턱에 걸린다. 거름망의 단부가 접혀서 걸림구가 형성된다.
제2뚜껑(51,52)은 차공급공을 착탈가능하게 폐쇄시킨다. 제1뚜껑은 컵본체의 다른 쪽 끝을 착탈가능하게 폐쇄시킨다. 제1,2뚜껑은 컵본체와 마찬가지로 2중구조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컵본체의 제1개방구를 폐쇄시키는 제1뚜껑의 제1실시예를 보면, 컵본체의 제1개방구 외주연에 나사산(14)이 돌출 형성되고, 제1뚜껑(215)의 내측에 나사산(14)이 돌출 형성되어 컵본체의 제1개방구와 제1뚜껑이 밀폐된다.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2뚜껑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차공급공을 폐쇄시키는 제2뚜껑의 제1실시예를 보면, 차공급공(15)의 외주연에 나사산(16)이 돌출 형성되고, 제2뚜껑의 내측에 나사산(16)이 돌출 형성되어 컵본체의 차공급공에 제2뚜껑이 밀폐된다. 여기서 차공급공과 제2뚜껑의 구조는 컵본체의 개방부와 제1뚜껑의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조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컵본체의 제 1개방구를 폐쇄시키는 제1뚜껑의 제2실시예를 보면, 제1뚜껑(216)의 외주연 일측에 밀실링(216c)이 돌출 형성되고, 제1뚜껑의 밀실링 형성부위가 컵본체의 제1개방구 내측에 밀폐된다.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2뚜껑의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차공급공을 폐쇄시키는 제2뚜껑의 제2실시예를 보면, 제2뚜껑(52)의 외주연 일측에 밀실링(52c)이 돌출 형성되고, 제2뚜껑의 밀실링 형성부위가 차공급공(15) 내측에 밀폐된다. 여기서 제2뚜껑은 크기를 달리 하는 2개의 판이 겹쳐진 형상이다. 제2뚜껑에 있어서 1개의 판형상(52a)은 차공급공보다 큰 크기이고, 다른 1개의 판형상(52b)은 차공급공 내측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차공급공의 내측에 맞는 크기이다. 밀실링은 차공급공의 내측에 맞는 크기의 판형상(52b) 외측에 설치된다. 밀실링의 설치부위에는 홈이 요홈되어 밀실링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된다. 차공급공에 제2뚜껑을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제2뚜껑이 차공급공을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컵본체의 측부 일측에는 손잡이(60)가 일체 형성되고, 손잡이에는 제1,2뚜껑이 연결구(61)에 의해 연결되어 제1,2뚜껑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손잡이는 상하구분이 없이 양단부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잎이나 차티백을 우릴 수 있는 컵에 있어서, 관형상의 컵본체(12)가 구비되고, 컵본체의 한쪽에는 개방구가 형성되어 차잎이나 차티백을 넣은 후 거를 수 있는 거름망이 삽입된다. 컵본체의 내측에는 개방구의 중간을 가로질러 망지지구(12a)가 설치된다. 개방구의 내측과 망지지구의 폭방향 양측에는 거름망(30)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3)이 형성된다.
차잎이나 차타백을 넣고 망지지구로 나뉘는 개방구의 한쪽에 삽입되는 거름망(30)이 구비된다. 거름망의 상부 외측에는 걸림구(31)가 형성되어 개방구의 내측과 망지지구의 폭방향 일측에 걸린다. 거름망은 하부가 컵본체의 중심라인(A-A) 이하에 위치될 정도의 길이가 바람직하다.
개방구를 착탈가능하게 막을 수 있는 뚜껑(217)이 구비된다. 뚜껑은 중간의 지지부(217b)와, 지지부 양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217a)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와 개폐부는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되나, 힌지에 의한 연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지부 한쪽의 개폐부는 컵본체에 거름망을 유입시킬때 개폐되고, 지지부 다른쪽의 개폐부는 사용자가 컵본체 내의 차를 음용할 때 개폐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차를 음용하기 위해 컵본체에서 거름망을 빼지 않아도 된다.
컵본체의 측부 일측에는 손잡이(60)가 일체 형성되고, 손잡이에는 뚜껑(217)이 연결구(61)에 의해 연결되어 뚜껑이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손잡이는 상하구분이 없이 양단부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 거름용 컵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면, 컵본체의 일측을 밀폐시키고 컵본체의 타측에 거름망을 설치한 후 차잎이나 차티백 및 물을 넣고 밀폐시킨다. 컵본체를 뒤집음으로써 거름망이 설치된 컵본체의 타측을 바닥에 놓아 차잎이나 차티백이 컵본체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거름망이 설치된 쪽의 반대쪽을 개방시켜 차를 음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컵본체는 상하구분이 없기 때문에 컵본체 개방구의 어느 한쪽에 제1뚜껑을 밀폐시킨다. 컵본체에 있어 제1뚜껑이 밀폐된 쪽을 바닥(하측)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제1뚜껑은 일시적으로 컵본체의 바닥면에 해당된다.
컵본체에 있어 제1뚜껑이 밀폐된 쪽의 반대쪽에 거름망을 설치시킨다. 이때 거름망은 컵본체의 걸림턱에 거름망의 걸림구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컵본체의 내측에 설치시킨다. 거름망에 차잎이나 차티백을 넣고 컵본체 내에 물을 넣는다. 컵본체 내에 담긴 물은 차잎이나 차티백이 잠기게 할 정도의 양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컵본체에 있어 거름망이 설치된 쪽의 단부에 제2뚜껑을 밀폐시킨다.
제1,2뚜껑을 컵본체에 밀폐시키는 방법은 제1,2뚜껑의 제1,2실시예에 따라 달리 밀폐시킨다. 제1,2뚜껑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2뚜껑을 컵본체의 단부에 회전시킴으로써 제1,2뚜껑의 나사산과 컵본체의 나사산이 결합되면서 제1,2뚜껑의 수평판 내측과 컵본체의 단부가 밀착된다.
제1,2뚜껑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2뚜껑을 컵본체의 단부에 압착시킴으로써 제1,2뚜껑의 밀실링과 컵본체의 내측이 끼움 결합되면서 제1,2뚜껑의 밀실링과 컵본체의 단부 내측면이 밀착된다.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제2뚜껑이 상측에 위치되고 제1뚜껑이 하측에 위치되는 컵본체를 뒤집어 놓아 제1뚜껑을 컵본체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제2뚜껑을 컵본체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차잎이나 차티백은 컵본체의 하측에 위치하여 차잎이나 차티백이 물 위로 뜨지 않아 물에서 차성분이 지속적으로 잘 우러난다. 도 1b는 도 1a의 컵본체를 뒤집어 컵본체의 상하위치를 바꾼 상태이다.
차잎이나 차티백의 차성분이 가장 이상적인 맛으로 우러나는 시간이 되면 사용자는 제1뚜껑을 개방하여 차를 음용한다. 사용자는 컵본체에서 차성분이 더 이상 우러나는 것을 원치 않을 경우 다시 제1뚜껑을 밀폐시킨 뒤 컵본체를 뒤집어 제2뚜껑(컵본체에서 거름망이 설치된 쪽)을 개방하여 거름망과 함께 차잎이나 차티백을 제거한 후 컵본체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용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보면, 컵본체의 차공급공에 거름망을 설치한 후 차공급공에 차잎이나 차티백을 공급한 후 차공급공을 밀폐시킨다. 컵본체에 물을 넣고 컵본체의 개방부를 밀폐시킨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컵본체의 개방부를 개방시켜 차를 음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컵본체의 차공급공에 거름망을 설치시킨다. 이때 거름망은 차공급공의 걸림턱에 거름망의 걸림구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차공급공의 내 측에 설치시킨다. 거름망에 차잎이나 차티백을 넣고 컵본체 내에 물을 넣는다.
그 다음 컵본체의 개방부에 제1뚜껑을 밀폐시킨다. 제1뚜껑을 컵본체에 밀폐시키는 방법은 제1뚜껑의 제1,2실시예에 따라 달리 밀폐시킨다. 제1뚜껑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뚜껑을 컵본체의 단부에 회전시킴으로써 제1뚜껑의 나사산과 컵본체의 나사산이 결합되면서 제1뚜껑의 수평판 내측과 컵본체의 단부가 밀착된다. 제1뚜껑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뚜껑을 컵본체의 단부에 압착시킴으로써 제1뚜껑의 밀실링과 컵본체의 내측이 끼움 결합되면서 제1뚜껑의 밀실링과 컵본체의 단부 내측면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차잎이나 차티백이 거름망에 의해 컵본체의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차잎이나 차티백이 물 위로 뜨지 않아 물에서 차성분이 지속적으로 잘 우러난다.
차잎이나 차티백의 차성분이 가장 이상적인 맛으로 우러나는 시간이 되면 사용자는 제1뚜껑을 개방하여 차를 음용한다. 사용자는 컵본체에서 차성분이 더 이상 우러나는 것을 원치 않을 경우 다시 제1뚜껑을 밀폐시킨 뒤 컵본체를 뒤집어 제2뚜껑을 개방하여 거름망과 함께 차잎이나 차티백을 제거한 후 다시 컵본체를 뒤집어 제1뚜껑을 개방시켜 차를 음용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차잎이나 차티백이 담긴 거름망을 개방구와 망지지구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위치시킨다. 물을 담은 후 뚜껑으로 컵본체의 개방구를 밀폐시킨다. 이때 뚜껑의 개폐부는 밀폐된 상태이다. 컵본체 내에 차가 우러날 시간이 되면 사용자는 뚜껑에 있어서 거름망이 위치되지 않은 쪽의 개폐부를 개방시켜 가 컵본체 내의 차를 음용한다. 뚜껑에 있어서 거름망이 위치되는 쪽의 개폐부는 컵본체에서 거름망을 유입 또는 이탈시킬때 개폐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차를 음용하기 위해 컵본체에서 거름망을 빼지 않아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 거름용 컵은 거름망을 컵본체의 하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차잎이나 차티백이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차잎이나 티백에서 차성분이 제대로 우러나게 하고, 차잎이나 차티백에서 차성분을 우린 다음 차를 음용하기 위해 거름망이나 차티백을 빼내지 않아도 되며, 컵본체의 용량이 통상적인 컵의 용량보다 큰 경우 차잎을 담는 거름망을 물에 잠기게 하기위해 사용자가 음용하기를 원하는 많은 양의 물을 넣지 않아도 되며, 차티백의 줄이 컵본체에 빠져 차티백을 빼내기 어려운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차잎이나 차티백을 우릴 수 있는 컵에 있어서,
    관형상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한쪽에는 차잎이나 차티백을 넣은 후 거를 수 있는 거름망이 삽입되는 제1개방구;와
    상기 제1개방구에 차잎이나 차타백을 넣은 후 상기 제1개방구에 삽입되는 거름망;과
    상기 컵본체의 다른 한쪽에는 우려진 차를 따를 수 있는 제2개방구;와
    상기 제1개방구을 착탈가능하게 막을 수 있는 제1뚜껑;과
    상기 제2개방구을 착탈가능하게 막을 수 있는 제2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컵본체는 2중구조로 형성되어 내용물이 보온되고, 상기 제1,2뚜껑의 외주연 일측에 밀실링이 돌출 형성되며, 제1,2뚜껑의 밀실링 형성부위가 상기 제1,2개방구의 내측에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름용 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차잎이나 차티백을 우릴 수 있는 컵에 있어서,
    관형상의 컵본체;와
    상기 컵본체의 한쪽에는 차잎이나 차티백을 넣은 후 거를 수 있는 거름망이 삽입되는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에 설치되는 망지지구;와
    차잎이나 차타백을 넣기 위해 상기 망지지구로 나뉘는 개방구의 한쪽에 삽입되는 거름망;과
    상기 개방구을 착탈가능하게 막을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중간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양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거름용 컵.
KR1020060054544A 2006-06-16 2006-06-16 차 거름용 컵 KR10077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44A KR100771959B1 (ko) 2006-06-16 2006-06-16 차 거름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44A KR100771959B1 (ko) 2006-06-16 2006-06-16 차 거름용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200A KR20060090200A (ko) 2006-08-10
KR100771959B1 true KR100771959B1 (ko) 2007-11-05

Family

ID=3757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544A KR100771959B1 (ko) 2006-06-16 2006-06-16 차 거름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91Y1 (ko) * 2009-11-09 2011-04-01 김한나 다관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462U (ja) * 1992-02-22 1994-05-17 燕江 夏 茶コシ付きカップ
JPH0641634U (ja) * 1992-11-16 1994-06-03 米治 藤田 きゅうす不要ポット
KR20060046092A (ko) * 2004-07-23 2006-05-17 쯔-유안 쉔 차류 제조용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462U (ja) * 1992-02-22 1994-05-17 燕江 夏 茶コシ付きカップ
JPH0641634U (ja) * 1992-11-16 1994-06-03 米治 藤田 きゅうす不要ポット
KR20060046092A (ko) * 2004-07-23 2006-05-17 쯔-유안 쉔 차류 제조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91Y1 (ko) * 2009-11-09 2011-04-01 김한나 다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200A (ko)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9138C (en) Method and system for brewing and chilling a beverage
US20150230639A1 (en) Drinking cup lid
US5171457A (en) Method of handling wet coffee grounds in filter cups
JP4542098B2 (ja) 特に使い捨てカップのための蓋
US20170181565A1 (en) Cup set for drip coffee
CN104853996B (zh) 一次性冲泡装置及一次性冲泡装置的用途
KR100771959B1 (ko) 차 거름용 컵
KR20110092803A (ko) 일회용 지퍼 백
KR200460121Y1 (ko) 거름망을 구비한 음료용기
KR100847063B1 (ko) 찻잎 우림용 다기 구조체
KR20110002519A (ko) 차 거름용기
JPH11253312A (ja) 茶漉し付保温容器
CN209932417U (zh) 一种茶叶可以适时脱离水面的泡茶装置
CN218840318U (zh) 一种自带过滤功能的饮料袋
CN216984416U (zh) 一种双盖泡茶杯盖及泡茶杯
CN208435156U (zh) 一种便携式咖啡冲泡袋
CN208491588U (zh) 一种即滤即饮咖啡杯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CN213882739U (zh) 一种多功能杯盖
CN205131917U (zh) 一种方便实用的茶叶筒
TWM509008U (zh) 沖泡容器、容器蓋及容物匣
JP2001008809A (ja) ドリッパー付カップ
JP2001008623A (ja) ドリップ式ティーバッグ
CN213488216U (zh) 一种可过滤茶叶的双层玻璃杯
CN209644576U (zh) 一种泡茶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