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207B1 -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207B1
KR100771207B1 KR1020070078572A KR20070078572A KR100771207B1 KR 100771207 B1 KR100771207 B1 KR 100771207B1 KR 1020070078572 A KR1020070078572 A KR 1020070078572A KR 20070078572 A KR20070078572 A KR 20070078572A KR 100771207 B1 KR100771207 B1 KR 10077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ack gear
case
le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학
Original Assignee
(주)오성디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디이씨 filed Critical (주)오성디이씨
Priority to KR102007007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2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having ejec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내부 바닥면(110)에 레그삽입구(120)가 형성된 플러그삽입홈(130)이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전원선(W)이 연결되며, 레그삽입구(120)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레그(L)와 접속되어 플러그(P)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200)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에 있어서, 상기 레그(L)의 둘레면에는 전극(200)이 결합되는 홈(L1)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200)의 상면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후퇴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레그(L)의 홈(L1)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향 연장형성된 가이드(140)와; 상기 가이드(140)에 승강되게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랙기어(310)를 갖춘 블럭(300)과; 상기 블럭(300)에 연결되어 블럭(300)을 상승가압하는 압축스프링(S)과, 상기 제1 랙기어(310)에 일면이 치합되고, 케이스(100)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제1 랙기어(310)의 승강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400)과; 상기 가이드(140)에 블럭(300)의 승강방향과 평행하게 승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400)의 타측면에 치합되어 제1 랙기어(310)의 승강시 제1 랙기어(310)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제2 랙기어(500)와; 상기 제2 랙기어(500)의 상면에 상향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전극(200)이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바이메탈편(600)과; 일단은 상기 바이메탈편(600) 또는 전극(200)에 연결되는 케이블(C)과; 중간부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케이블(C)이 연결되어 회동시 케이블(C)과 함께 상기 바이메탈편(600) 또는 전극(200)을 후방으로 당겨 전극(200)과 홈(L1)의 결합을 해제하는 회동판(700)과; 상기 케이스(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케이스(100) 내부로 연장된 단부는 상기 회동판(7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상기 회동판(700)을 회동시키는 푸쉬스위치(800)가 더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플러그(P)의 레그(L)가 콘센트 박스의 전극(200)에 쉽게 접속되고, 스파크로 인한 열이 발생되면 바이메탈편(600)이 후방으로 휘어지게 되어 콘센트 박스의 전극(200)이 플러그(P)의 레그(L)의 홈(L1)에서 빠지게 되므로 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화재가 예방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Layed Type Outlet Box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제품 플러그의 레그가 콘센트 박스의 전극에 불완전하게 연결되어 발생되는 스파크와 열을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박스는 내부 바닥면에 레그삽입구가 형성된 플러그삽입홈이 전면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전원선이 연결되며, 레그삽입구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레그와 접속되어 플러그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의 플러그삽입홈에 플러그를 결합하면, 플러그의 레그가 레그삽입구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극에 접속되어, 플러그가 연결된 가전제품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센트 박스는 상기 전극이 단순이 레그의 둘레부에 접촉되 어 전극과 레그가 상호 불완전하게 접촉되며, 이에 따라, 전극과 레그의 접속부에 스파크 또는 열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극을 지름이 좁은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레그의 단부가 전극의 내부로 장제로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경우, 플러그를 콘센트 박스에 결합하거나 빼내는 것이 힘들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센트 박스에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으며, 레그와 전극의 접속불량에 의한 화재가 방지되는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 바닥면에 레그삽입구가 형성된 플러그삽입홈이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전원선이 연결되며, 레그삽입구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레그와 접속되어 플러그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둘레면에는 전극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의 상면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후퇴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레그의 홈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향 연장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승강되게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랙기어를 갖춘 블럭과; 상기 블럭에 연결되어 블럭을 상승가압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제1 랙기어에 일면이 치합되고, 케이스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제1 랙기어의 승강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과; 상기 가이드에 블럭의 승강방향과 평행하게 승강도록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의 타측면에 치합되어 제1 랙기어의 승강시 제1 랙기어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제2 랙기어와; 상기 제2 랙기어의 상면에 상향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전극이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바이메탈편과; 일단 은 상기 바이메탈편 또는 전극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중간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회동시 케이블과 함께 상기 바이메탈편 또는 전극을 후방으로 당겨 전극과 홈의 결합을 해제하는 회동판과; 상기 케이스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케이스 내부로 연장된 단부는 상기 회동판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푸쉬스위치가 더 포함된 구조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레그가 콘센트 박스의 전극에 쉽게 접속되고, 스파크로 인한 열이 발생되면 바이메탈이 후방으로 휘어지게되어 콘센트 박스의 전극이 플러그 레그의 홈에서 빠지게 되므로 전자제품으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화재가 예방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인 도 1 및 도 4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정단면도로서, 내부 바닥면(110)에 레그삽입구(120)가 형성된 플러그삽입홈(130)이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전원선(W)이 연결되며, 레그삽입구(120)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레그(L)와 접속되어 플러그(P)에 전원을 인가 하는 전극(200)으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의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레그(L)의 둘레면에는 전극이 결합되는 홈(L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극(200)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홈(L1)에 맞물려 접속면(210)을 넓힐 수 있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면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후퇴되는 경사면(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140)와; 상기 가이드(14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랙기어(310)를 갖춘 블럭(300)과; 상기 블럭(300)에 연결되어 블럭(300)을 상승가압하는 압축스프링(S)과, 상기 제1 랙기어(310)에 일면이 치합되는 피니언(400)과; 상기 가이드(14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400)의 타측면에 치합되는 제2 랙기어(500)와; 상기 제2 랙기어(500)의 상면에 상향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전극(200)이 결합되는 바이메탈편(600)과; 일단은 상기 바이메탈편(600)에 연결되는 케이블(C)과; 중간부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케이블(C)이 연결되는 회동판(700)과; 상기 케이스(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된 푸쉬스위치(8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140)는 케이스(100) 내부의 하측 벽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그 측면이 상기 블럭(300)의 측면에 밀착되어, 블럭(300)이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 한다..
상기 블럭(300)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가이드(140)를 따라 케이스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삽입홈(130)에 플러그(P)를 꽂으면, 레그삽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레그(L)의 선단부가 블럭(3000의 상면에 닿아 블럭(300)을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제1 랙기어(310)는 블럭(300)의 외주면에 블럭(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향으로 연장되어 블럭(300)의 승강시 함께 승강된다.
상기 압축스프링(S)은 케이스(100) 내부의 하측 벽면과 블럭(300)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블럭(300)이 하강될 때 압축되면서 블럭(300)이 상승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피니언(400)은 케이스(100)의 내부, 특히, 상기 가이드(140)에 구비된 힌지축(H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랙기어(310)가 승강 될 때, 위치이동 하지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상기 제2 랙기어(500)는 제1 랙기어(310)와 평행하게 가이드(140)에 승강되게 결합되어, 제1 랙기어(310) 및 블럭(300)의 승강방향과 평행하게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피니언(400)의 타측면에 치합되어 제1 랙기어(310)의 승강시 제1 랙기어(310)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40)에는 장공(141)이 형성되어 제2 랙기어(500)가 승강되면 전원선(W) 또한 승강된다.
상기 바이메탈편(600)은 상호 열팽창률이 다른 2개의 금속편을 접합하여, 온도가 상승되면 하측으로 휘어지도록 된 것으로, 상기 제2 랙기어(500)에 결합된 상 태에서 온도가 상승되면 휘어지면서 선단에 결합된 전극(200)을 후퇴시키므로써, 레그(L)의 홈(L1)과 전극(200)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바이메탈편(600)은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200)이 레그(L)의 홈(L1) 쪽으로 전진되어 홈(L1)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탄성가압하며, 상기 플러그삽입홈(130)에 플러그(P)를 꽂음에 따라 레그(L)의 단부가 전극(200)의 경사면(220)을 가압하면, 탄력적으로 휘어져서 전극(200)이 후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편(600)에 전원선(W)을 연결하였으나, 전극(200)에 전원선(W)을 연결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케이블(C)은 일단이 바이메탈편(60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전극(200)이 후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그 중간부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롤러(R)에 의해 방향전환되어 타단이 케이스(100)의 상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롤러(R)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힌지축(H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이메탈편(600)의 선단부에서 전극(200)이 후퇴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바이메탈편(600)에 연결된 케이블(C)이 롤러(R)의 둘레를 경유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회동판(700)은 도 3에 도시한 디긋자형상으로 구성되며 중간부에 구비된 힌지축(H3)에 의해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상방으로 연장된 케이블(C)의 타단부가 일단에 연결되어, 회동시 케이블(C)을 상방으로 당김으로써, 케이블(C)이 바이메탈편(600)의 선단부를 강제로 후퇴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푸쉬스위치(800)는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150)에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100) 내부로 연장된 단부가 상기 회동판(7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800)푸쉬스위치의 노출된 부분을 누르면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동판(700)을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5 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상기 블럭(300)과 제2 랙기어(500), 바이메탈편(600) 및 전극(200)이 초기위치로 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러그삽입홈(130)에 플러그(P)를 꽂으면, 레그(L)가 레그삽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극(200)의 경사면(220)을 가압하며, 이에 따라 전극(200)이 후퇴된다. 그리고, 레그(L)가 더욱 하강되면 레그(L)에 의해 블록(300)이 가압되어 하강되면서 압축스프링(S)이 압축되며, 랙과 피니언의 작용에 의해 제2 랙기어(500)와 바이메탈편(600) 및 전극(200)이 승강된다. 또한, 플러그(P)가 완전히 꽂혀지면, 상기 바이메탈편(600)의 탄성에 의해 전극(200)이 전진되어 레그(L)의 홈(L1)에 끼워지고, 압축된 압축스프링(S)이 신장되려는 힘에 의해 전극(200)의 접속면(210)이 레그(L)의 홈(L1)에 더욱 긴밀하게 결합되어 레그(L)에 전원이 인가된다(도 4).
그리고, 플러그(P)를 빼내기 위해서, 푸쉬스위치(800)를 누르면 푸쉬스위치(800) 단부가 회동판(700)을 눌러 회동판(700)이 회전된다(도 2). 이때, 상기 회동판(700)이 회전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에 의해 바이메탈 편(600)의 선단부가 강제로 전진되어 레그(L)의 홈(L1)에 끼워져 결합된 전극(200)이 빠지면서 레그(L)와 전극(20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레그(L)와 전극(20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압축된 압축스프링(S)에 의해 블럭(300)이 상승되어 플러그(P)를 밀어내며, 이에 따라, 플러그(P)는 플러그삽입홈에서 이탈되며, 이와 동시에, 제2 랙기어와 바이메탈편 및 전극이 하강되어 초기상태로 복귀된다(도 3).
한편, 상기 레그(L)와 전극(200)의 접속이 불완전하여 스파크와 열이 발생되면 전극(200)의 온도가 상승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상기 바이메탈편(600)이 전극(20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로 인해 전방으로 휘어지게 되면서 선단에 결합된 전극(200)이 후방으로 휘어져서, 레그(L)의 홈(L1)과 전극(200)의 결합이 해제되어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는, 사용자가 플러그삽입홈(130)에 플러그(P)를 꽂으면, 레그(L)가 레그삽입구(120)를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레그(L)에 전원을 인가하며, 특히, 상기 블럭(300)이 압축스프링(S)에 의해 압축가압되어 레그(L)를 밀어냄으로써, 레그(L)의 홈에 밀착가압되어 전극(200)과 레그(L)가 더욱 강하게 밀착되므로, 전원 공급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져 스파크나 열이 발생되거나, 이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는, 푸쉬스위치(800) 를 누르면 푸쉬스위치(800)를 눌러 전극(200)을 후퇴시킴으로써, 레그(L)의 홈(L1)과 전극(200)의 결합을 해제하면, 압축스프링(S)에 의해 플러그(P)의 레그(L)가 밀려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플러그(P)를 빼내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는, 전력소모가 증가하여 전극(200)의 온도가 상승되면, 상기 바이메탈편(600)이 전극(20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로 인해 후방으로 휘어지게 되어 선단에 결합된 전극(200)이 후퇴되어, 레그(L)의 홈(L1)과 전극(200)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전자제품의 전원이 차단되어 화재로부터 예방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작용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의 다른 작용을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의 설명 *
100:케이스, 110:바닥면,
120:레그삽입구, 130:플러그삽입홈,
140:가이드, 141:장공,
150:관통공, 200:전극,
210:접속면, 220:경사면,
300:블럭, 310:제1 랙기어,
400:피니언, 500:제2 랙기어,
600:바이메탈편, 700:회동판,
800:푸쉬스위치, C:케이블,
H1,H2,H3:힌지축, L:레그,
L1:홈, P:플러그,
W:전원선.

Claims (1)

  1. 내부 바닥면(110)에 레그삽입구(120)가 형성된 플러그삽입홈(130)이 상면에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전원선(W)이 연결되며, 레그삽입구(120)에 삽입되는 플러그(P)의 레그(L)와 접속되어 플러그(P)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극(200)으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에 있어서,
    상기 레그(L)의 둘레면에는 전극(200)이 결합되는 홈(L1)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200)의 상면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후퇴되는 경사면(220)이 형성되어 상기 레그(L)의 홈(L1)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향 연장형성된 가이드(140)와;
    상기 가이드(140)에 승강되게 결합되며,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랙기어(310)를 갖춘 블럭(300)과;
    상기 블럭(300)에 연결되어 블럭(300)을 상승가압하는 압축스프링(S)과,
    상기 제1 랙기어(310)에 일면이 치합되고, 케이스(100)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제1 랙기어(310)의 승강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400)과;
    상기 가이드(140)에 블럭(300)의 승강방향과 평행하게 승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400)의 타측면에 치합되어 제1 랙기어(310)의 승강시 제1 랙기어(310)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제2 랙기어(500)와;
    상기 제2 랙기어(500)의 상면에 상향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전극(200)이 결합 되는 탄성재질의 바이메탈편(600)과;
    일단은 상기 바이메탈편(600) 또는 전극(200)에 연결되는 케이블(C)과;
    중간부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일단에는 케이블(C)이 연결되어 회동시 케이블(C)과 함께 상기 바이메탈편(600) 또는 전극(200)을 후방으로 당겨 전극(200)과 홈(L1)의 결합을 해제하는 회동판(700)과;
    상기 케이스(100)에 출몰가능하게 장착되며 케이스(100) 내부로 연장된 단부는 상기 회동판(7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상기 회동판(700)을 회동시키는 푸쉬스위치(8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KR1020070078572A 2007-08-06 2007-08-06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KR10077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572A KR100771207B1 (ko) 2007-08-06 2007-08-06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572A KR100771207B1 (ko) 2007-08-06 2007-08-06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207B1 true KR100771207B1 (ko) 2007-10-29

Family

ID=3881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572A KR100771207B1 (ko) 2007-08-06 2007-08-06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2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50Y1 (ko) 2010-09-20 2012-05-21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KR200462098Y1 (ko) 2009-09-11 2012-08-27 박래복 누름접촉식 누전차단기
CN113839243A (zh) * 2021-08-20 2021-12-24 侯秀梅 一种防电火花防过载的墙上插座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38Y1 (ko) 2001-06-16 2001-10-31 장덕곤 플러그 이탈장치가 부착된 콘센트
JP2003308916A (ja) 2002-04-16 2003-10-31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セント
KR20050024530A (ko) * 2003-09-03 2005-03-10 위정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050034209A (ko) * 2003-10-08 2005-04-14 (주)첨단엔프라 콘센트
JP2006228707A (ja) 2005-01-18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ンセン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38Y1 (ko) 2001-06-16 2001-10-31 장덕곤 플러그 이탈장치가 부착된 콘센트
JP2003308916A (ja) 2002-04-16 2003-10-31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ンセント
KR20050024530A (ko) * 2003-09-03 2005-03-10 위정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050034209A (ko) * 2003-10-08 2005-04-14 (주)첨단엔프라 콘센트
JP2006228707A (ja) 2005-01-18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ンセン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98Y1 (ko) 2009-09-11 2012-08-27 박래복 누름접촉식 누전차단기
KR200460350Y1 (ko) 2010-09-20 2012-05-21 이규순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CN113839243A (zh) * 2021-08-20 2021-12-24 侯秀梅 一种防电火花防过载的墙上插座
CN113839243B (zh) * 2021-08-20 2024-04-05 侯秀梅 一种防电火花防过载的墙上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45512U (zh) 改良结构的电源插座
KR100771207B1 (ko)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 박스
CN2906991Y (zh) 单头套入式插头、插座开关
WO2015109960A1 (zh) 插座防触电方法及其防触电插座
US7002108B1 (en) Electric frying apparatus
KR100633363B1 (ko)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CN114050079A (zh) 一种具有可更换的开关件组件的开关装置
KR20080001837U (ko) 콘센트로부터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100786289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단자
KR10075095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101635391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0950600B1 (ko) 콘센트
CN104157496B (zh) 电子烟的开关机构
CN207910163U (zh) 一种电连接结构和带有该电连接结构的灯具
CN111786160A (zh) 具有防松脱功能的智能插线板
CN101136519A (zh) 安全插座及插头
CN218215807U (zh) 一种拼接式暖菜板的插座防触电结构
CN213782345U (zh) 具有保护结构的大电流耦合器
CN110544593A (zh) 联动开关装置、电源转换器、电源线和设备
CN217719982U (zh) 一种具有操作臂的pcb接线端子
CN220291181U (zh) 一种快装插头
CN210111223U (zh) 电源插座
CN215497323U (zh) 电源插头快速插拔结构及其喷枪
CN213366941U (zh) 一种防脱落接插组件
CN114447700A (zh) 一种助力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