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316B1 -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 Google Patents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316B1
KR100770316B1 KR1020050053085A KR20050053085A KR100770316B1 KR 100770316 B1 KR100770316 B1 KR 100770316B1 KR 1020050053085 A KR1020050053085 A KR 1020050053085A KR 20050053085 A KR20050053085 A KR 20050053085A KR 100770316 B1 KR100770316 B1 KR 10077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metal mixture
differential
rock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302A (ko
Inventor
김창선
Original Assignee
김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선 filed Critical 김창선
Priority to KR102005005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16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CDETONATING OR PRIMING DEVICES; FUSES; CHEMICAL LIGHTERS; PYROPHORIC COMPOSITIONS
    • C06C9/00Chemical contact igniters; Chemical ligh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CDETONATING OR PRIMING DEVICES; FUSES; CHEMICAL LIGHTERS; PYROPHORIC COMPOSITIONS
    • C06C5/00Fuses, e.g. fuse cord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CDETONATING OR PRIMING DEVICES; FUSES; CHEMICAL LIGHTERS; PYROPHORIC COMPOSITIONS
    • C06C5/00Fuses, e.g. fuse cords
    • C06C5/06Fuse igniting means; Fuse conn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에 고압 전원을 인가하는 시점과 급팽창금속혼합물이 점화하는 시점 사이에 시차를 갖는 급팽창금속혼합물 및 그 것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은 용기에 수용된 급팽창금속혼합물; 상기 용기에 함입되어 급팽창금속혼합물의 점화를 촉발할 수 있는 점화약; 상기 점화약과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구비된 불꽃발생수단; 및 상기 불꽃발생수단으로 부터 상기 점화약까지 연장 배치되어 불꽃발생수단에서 발생한 불꽃을 상기 점화약까지 유도하되, 불꽃의 도화시간(導火時間)를 조절할 수 있는 도화선;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1회의 천공 작업, 캡슐 삽입 및 밀폐 작업, 전원공급선 연결 작업 및 고전압 인가에 의하여 넓은 지역의 암반을 파괴할 수 있으므로, 파암작업의 능률을 제고하고 파암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급팽창금속혼합물, 시차, 파암

Description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METHOD OF CRACKING ROCK USING CAPSULE OF RAPIDLY EXPANDING METALLIC MIXTURE IGNITED WITH TIME GA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차 파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2 자유면을 갖는 암반에 천공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천공에 도 1에 도시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서 천공을 밀폐한 후 전원공급선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차 파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1 자유면을 갖는 암반에 천공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천공에 도 1에 도시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에서 천공을 밀폐한 후 전원공급선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 11b : 도선연결크랩 13 : 미세 저항선
15 : 도화선 17 : 점화약
19 : 급팽창금속혼합물 21 : 용기
23 : 칸막이 25 : 보호관
27 : 절연캡 29 : 전원공급선
100 ~ 104, 111 ~ 120 :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
200, 300 : 암반 201a ~ 204f, 301a ~ 310e : 천공
본 발명은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과 그 것을 이용한 파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에 고압 전원을 인가하는 시점과 급팽창금속혼합물이 점화하는 시점 사이에 시차를 갖는 급팽창금속혼합물 및 그 것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한국 특허 등록 제10-0213577호와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6083호에서 산화제인 금속염과, 상기 금속염에 의해 산화되면서 발열 반응으로 부피가 증가되는 금속 분말과, 상기 금속 염과 금속 분말의 산화 반응을 촉 진시키는 반응 촉진제로 이루어 진 급팽창금속혼합물을 개시하였다. 상기 금속염으로는 금속질산염, 금속산화염, 금속수산염, 금속탄산염, 금속황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금속 분말로는 알루미늄, 망간, 마그네슘 및 기타 환원제로 사용가능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출원인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37707호에서 금속염과 금속분말이 함유된 급팽창금속혼합물에 오일 또는 무기방부제를 첨가한 상온에서의 산화 방지 처리된 급팽창금속혼합물을 개시하였다.
본원 발명에서 급팽창금속혼합물은 상기 한국 특허 등록 제10-0213577호 발명,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6083호 발명 또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37707호 발명에 기재된 급팽창금속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급팽창금속혼합물은 고온의 불꽃(스파크)이 조금이라도 유발되면, 그 불꽃(스파크)에 의해 순식간에 초고온의 산화, 환원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암반내에 금속염등의 순간 초고압의 금속 증기압을 형성하고, 이 금속 증기압에 의하여 암반등을 파쇄하고, 파쇄 직후 순간 압력이 소멸되는 물질이다. 반응 순간 초고온 상태(30,000~100,000℃)에서는 물질등이 이온 상태의 플라즈마 상태에 이르므로 플라즈마 발생재라고도 한다.
본원 출원인은 상기 급팽창금속혼합물의 반응 촉발 방법 및 그 장치를 개발하여 한국 특허 등록 제10-283505호 및 제10-442551호로 특허를 받았다. 한국 특허 등록 제10-283505호 및 제10-442551호 발명은 급팽창금속혼합물에 함몰된 도선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도선이 급열하면서 불꽃(스파크)을 일으키게 하고, 이 불꽃에 의하여 급팽창금속혼합물을 점화시키는 것이다.
출원인은 지금까지 상기 급팽창금속혼합물 및 그 촉발 장치를 이용하여 국내 및 해외에서 많은 파암 작업을 실시해 왔다. 파암 작업에서, 대상 암반에 천공을 4 ~ 10개씩 1열로 형성하고, 급팽창금속혼합물을 함입한 캡슐을 상기 천공에 삽입 및 밀폐하고, 상기 촉발 장치에 의하여 고전압을 인가하여 부분 파암을 실시한 후 다시 동일한 작업 공정을 반복하면서 소량씩 파암 작업을 해 나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할 경우, 소량의 부분 파암시 마다 천공 작업, 캡슐 삽입 및 밀폐 작업, 전원공급선 연결 작업, 고전압 인가 등을 반복해야 하므로, 파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파암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1회의 천공 작업, 캡슐 삽입 및 밀폐 작업, 전원공급선 연결 작업 및 고전압 인가에 의하여 넓은 지역의 암반을 파괴할 수 있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 및 그 것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은
용기에 수용된 급팽창금속혼합물;
상기 용기에 함입되어 급팽창금속혼합물의 점화를 촉발할 수 있는 점화약;
상기 점화약과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구비된 불꽃발생수단; 및
상기 불꽃발생수단으로 부터 상기 점화약까지 연장 배치되어 불꽃발생수단에서 발생한 불꽃을 상기 점화약까지 유도하되, 불꽃의 도화시간(導火時間)를 조절할 수 있는 도화선;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꽃발생수단은 상기 도화선의 선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양단에는 고압의 전압이 투입되는 미세 저항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화선의 도화시간은 도화선의 도화거리(導火距離)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은
천공열(穿孔列)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필요한 수 만큼 형성하는 단계;
최우선으로 발파할 천공열에는 도화시간이 가장 짧게 조절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하여 밀폐하고, 이 후 순 차적으로 발파할 천공열에는 도화시간이 순차적으로 길게 조절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 기재의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하여 밀폐하는 단계;
동일한 천공열에 삽입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의 전원공급선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각 천공열의 전원공급선을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천공열의 전원공급선에 동시에 고압의 전압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급팽창금속혼합물(19)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용기(21)에 함입되어 보관, 운반 및 사용 된다. 전원공급선(29)은 상술한 촉발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압을 투입 받는다.
본 발명의 특징은 투입된 고전압에 의하여 급팽창금속혼합물(19)에 직접 불꽃(스파크)를 일으키지 않고, 고전압 인가 시점과 급팽창금속혼합물(19)의 점화 시 점간에 일정한 시차가 발생하도록 구성한 데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21) 내부에는 급팽창금속혼합물(19) 뿐만 아니라, 급팽창금속혼합물(19)의 점화를 촉발할 수 있는 점화약(17)과, 상기 점화약(17)과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구비되고 고전압 투입시 불꽃(스파크)을 발생할 수 있는 불꽃발생수단과, 상기 불꽃발생수단으로 부터 상기 점화약(17)까지 불꽃을 유도할 수 있는 도화선(15)을 구비하고, 상기 도화선(15)을 이용하여 시차를 조절한다.
시차의 크기는 도화선(15)의 도화시간(導火時間)에 의하여 결정되고, 도화선(15)의 도화시간은 도화선의 도화속도가 일정할 결우 도화선(15)의 도화거리(導火距離)(L)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도화선(15)의 도화거리(導火距離)(L)는 도화선(15)의 선단으로 부터 점화약(17)(도 1에서는 대략 칸막이(23))까지의 거리이다. 따라서, 각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마다 도화선(15)의 도화거리(L)를 같게 하거나 다르게 함으로써, 전압 투입 시점과 급팽창금속혼합물의 점화시점 간의 시차를 같게 하거나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화선은 흑색화약의 분말을 심약으로 하여 삼실, 무명실, 방수지 등으로 싼 다음, 겉에 칠을 하여 긴 줄 모양으로 만들어 진다.
상기 불꽃발생수단으로는 상기 도화선(15)의 선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양단에는 고압의 전압이 투입되는 미세 저항선(도선)(1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세 저항선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급열 및 용해되면서 고전류의 방전을 야기하고, 이 방전에 의하여 불꽃(스파크)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 저항선(13)은 상기 전원공급선(29)의 양극(+,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선연결크랩(11a, 11b)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화약(17), 도화선(15), 미세 저항선(13) 및 도선연결클랩(11a, 11b)은 합성수지등 가연성 소재로 성형되고 바닥이 폐색된 보호관(25)에 수용된 후 상기 급팽창금속혼합물(19)에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관(25)에 수용된 점화약(17)은 상기 보호관(25)의 바닥에 채운 후 칸막이(23)에 의하여 차단되고, 상기 도화선(15)은 상기 칸막이(23)를 관통하여 설치함으로써 도화선(15)의 일부가 점화약(17) 내부에 함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00)은, 도선연결크랩(11a, 11b)으로 순간 전위를 가하면 미세 저항선(13)에 전류가 흐르다 불꽃(스파크)으로 변환하는 시점에 점진 점화약인 도화선(15)에 점화가 시작되면서, 점화는 미리 정해진 속도에 의해 발화촉진재인 점화약(17)으로 전진하여 점화약(17)을 발화하게 되고, 점화약(17)의 발화는 급팽창금속혼합물(19)의 점화를 촉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200mm/sec의 점진 점화속도를 갖는 도화선(15)을 사용하고, 도화거리(L)을 20mm, 30mm, 40mm 또는 50mm 로 조절할 경우, 고전압 투입 시점과 급팽창금속혼합물(19)의 점화 시점간의 시차는 각각 0.초, 0.15초, 0.2초 또는 0. 25초가 되므로, 도화거리(L) 10mm당 50/1000초 단위로 시차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차 파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2 자유면을 갖는 암반에 천공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천공에 도 1에 도시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 2c는 도 2b에서 천공을 밀폐한 후 전원공급선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를,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차 파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1 자유면을 갖는 암반에 천공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천공에 도 1에 도시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 3c는 도 3b에서 천공을 밀폐한 후 전원공급선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실시 예 1 (2 자유면 암반의 시차 파암 방법)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암반은 절벽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소위 2 자유면 암반이다.
우선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2 자유면 암반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우선, 암반의 절벽면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열을 지어 수직 방향의 천공(201a ~ 204f)을 형성한다. 이 때 천공열의 갯수와 각 천공열에 형성되는 천공의 갯수는 필요한 수 만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도 2a 내지 도 2c에는 천공열이 4개(R1, R2, R3, R4)이고 각 천공열에는 6개의 천공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각 천공(201a ~ 204f)에는 시차 파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술이 삽입 및 밀폐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2자유면 암반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절벽면으로 부터 가장 가까운 천공열(R1)에 삽입된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01)부터 점화된 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차 순위 천공열(R2->R3->R4)에 삽입된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02, 103, 104)이 순차적으로 점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최우선으로 발파할 천공열(R1)에는 도화시간(시차)이 가장 짧게 조절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01)을 삽입하여 밀폐하고, 이 후 순차적으로 발파할 천공열(R2, R3, R4)에는 도화시간(시차)이 순차적으로 길게 조절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02, 103, 104)을 삽입하여 밀폐한다. 또한 동일한 열에 속하는 천공에는 동일한 도화시간(시차)를 갖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을 삽입하여 밀폐한다. 예를 들면, R1열의 천공(201a ~ 201f)에는 시차가 5/100초인 캡슐(101)을, R2열의 천공(202a ~ 202f)에는 시차가 10/100초인 캡슐(102)을, R3열의 천공(203a ~ 203f)에는 시차가 15/100초인 캡슐(103)을, R4열의 천공(204a ~ 204f)에는 시차가 20/100초인 캡슐(104)을 각각 삽입하여 밀폐하는 것이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01 ~ 104)을 천공(201a ~ 204f)에 삽입 및 밀폐하고 나서, 동일한 천공열에 삽입된 캡슐의 전원공급선(29)을 직렬로 결선한다. 도면에는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동일한 천공열에 삽입된 캡슐의 전원공급선(29)을 병렬로 결선하여도 무방하다.
다음, 각 천공열(R1, R2, R3, R4)의 최외측 천공(201a, 202a, 203a, 204a, 201f, 202f, 203f, 204f)으로 부터 인출된 전원공급선을 병렬로 결선하여, 고전압의 전원에 대하여 각 천공열(R1, R2, R3, R4)에 삽입된 일련의 캡슐들이 병렬이 되게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각 천공열(R1, R2, R3, R4) 마다 전원의 출력 전압이 그대로 투입되게 된다.
이렇게 결선된 전원공급선에 순간 충격 전원 2,000 ~ 5,000볼트(V)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매설된 캡슐은 일정한 시간 간격(위 예에 의하면 5/100초)으로 R1열->R2열->R3열->R4열 순으로 순차 파암을 실행하게 되며, 한 번의 전원 투입으로 대 규모의 암석을 일정 부분씩 순차적으로 파괴하게 된다.
실시 예 2 (1 자유면 암반의 시차 파암 방법)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암반은 상면만이 개방되어 있는 소위 1 자유면 암반이다.
우선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면, 1 자유면 암반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우선, 암반 중간부로 부터 좌우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천공열(R1 ~ R5)을 형성다. 이때, 암반 중간부로 부터 가장 가까운 좌우측의 천공열(R1)에 속하는 천공(301a ~ 301e, 306a ~ 306e)은, 여기에 매설된 캡슐(111, 116)의 점화시 암반 중간부를 상방으로 퍼 올리면서 파암할 수 있게,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예를 들어 45°의 경사)를 갖게 한다. 또한, 천공열이 암반 중간부로 부터 멀어질수록 더 급격한 경사(예를 들어 R2열:55°, R3열:65°, R4열:75°, R5열:90°)를 갖는 천공을 형성하여, 각 열에서 파암이 이루어 질 때마다 암반에 중간부 상방 또는 중간부를 향한 압력이 작용하게 한다.
이 때도 천공열의 갯수와 각 천공열에 형성되는 천공의 갯수는 필요한 수 만큼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도 3a 내지 도 3c에는 중심부로 부터 좌우측에 대칭인 천공열이 5개(R1, R2, R3, R4, R5)이고 각 천공열에는 5개의 천공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각 천공(301a ~ 310e)에는 시차 파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술이 삽입 및 밀폐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1 자유면 암반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암반 중간부로 부터 가장 가까운 천공열(R1)에 삽입된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11, 116) 부터 점화된 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차 순위 천공열(R2->R3->R4->R5)에 삽입된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12, 117-> 113, 118-> 114, 119-> 115, 120)이 순차적으로 점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최우선으로 발파할 천공열(R1)에는 도화시간(시차)이 가장 짧게 조절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11, 116)을 삽입하여 밀폐하고, 이 후 순차적으로 발파할 천공열(R2->R3->R4->R5)에는 도화시간(시차)이 순차적으로 길게 조절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12, 117-> 113, 118-> 114, 119-> 115, 120)을 삽입하여 밀폐한다. 또한 동일한 열에 속하는 천공에는 동일한 도화시간(시차)를 갖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을 삽입하여 밀폐한다. 예를 들면, 좌우측 R1열의 천공(301a ~ 301e, 306a ~ 306e)에는 시차가 5/100초인 캡슐(111, 116)을, 좌우측 R2열의 천공(302a ~ 302e, 307a ~ 307e)에는 시차가 10/100초인 캡슐(112, 117)을, 좌우측 R3열의 천공(303a ~ 303e, 308a ~ 308)에는 시차가 15/100초인 캡슐(113, 118)을, 좌우측 R4열의 천공(304a ~ 304e, 309a ~309e)에는 시차가 20/100초인 캡슐(114, 119), 좌우측 R5열의 천공(305a ~ 305e, 310a ~ 310e)에는 시차가 25/100초인 캡슐(115, 120)을 각각 삽입하여 밀폐하는 것이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111 ~ 120)을 천공(301a ~ 310e)에 삽입 및 밀폐하고 나서, 동일한 천공열에 삽입된 캡슐의 전원공급선(29)을 직렬로 결선한다. 도면에는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동일한 천공열에 삽입된 캡슐의 전원공급선(29)을 병렬로 결선하여도 무방하다.
다음, 각 천공열(R1, R2, R3, R4, R5)의 최외측 천공(301a, 302a, 303a, 304a, 305a, 306a, 307a, 308a, 309a, 310a, 301e, 302e, 303e, 304e, 305e, 306e, 307e, 308e, 309e, 310e)으로 부터 인출된 전원공급선을 병렬로 결선하여, 고전압의 전원에 대하여 각 천공열(R1, R2, R3, R4, R5)에 삽입된 일련의 캡슐들이 병렬이 되게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각 천공열(R1, R2, R3, R4, R5) 마다 전원의 출력 전압이 그대로 투입되게 된다.
이렇게 결선된 전원공급선에 순간 충격 전원 2,000 ~ 5,000볼트(V)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매설된 캡슐은 일정한 시간 간격(위 예에 의하면 5/100초)으로 좌우측 R1열->좌우측 R2열->좌우측 R3열->좌우측 R4열->좌우측 R5열 순으로 순차 파암을 실행하게 되며, 한 번의 전원 투입으로 대규모의 암석을 일정 부분씩 순차적으로 파괴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1회의 천공 작업, 캡슐 삽입 및 밀폐 작업, 전원공급선 연결 작업 및 고전압 인가에 의하여 넓은 지역의 암반을 파괴할 수 있으므로, 파암작업의 능률을 제고하고 파암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이에 균등한 모든 실시 예에 미친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Claims (4)

  1. 천공열(穿孔列)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필요한 수 만큼 형성하는 단계;
    최우선으로 발파할 천공열에는 도화시간이 가장 짧게 조절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하여 밀폐하고, 이 후 순차적으로 발파할 천공열에는 도화시간이 순차적으로 길게 조절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삽입하여 밀폐하는 단계;
    동일한 천공열에 삽입된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의 전원공급선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각 천공열의 전원공급선을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천공열의 전원공급선에 동시에 고압의 전압을 투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은 용기에 수용된 급팽창금속혼합물; 상기 용기에 함입되어 급팽창금속혼합물의 점화를 촉발할 수 있는 점화약; 상기 점화약과 일정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구비된 불꽃발생수단; 및 상기 불꽃발생수단으로 부터 상기 점화약까지 연장 배치되어 불꽃발생수단에서 발생한 불꽃을 상기 점화약까지 유도하되, 불꽃의 도화시간(導火時間)를 조절할 수 있는 도화선;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발생수단은 상기 도화선의 선단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 양단에는 고압의 전압이 투입되는 미세 저항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화선의 도화시간은 도화선의 도화거리(導火距離)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KR1020050053085A 2005-06-20 2005-06-20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KR10077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85A KR100770316B1 (ko) 2005-06-20 2005-06-20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085A KR100770316B1 (ko) 2005-06-20 2005-06-20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302A KR20060133302A (ko) 2006-12-26
KR100770316B1 true KR100770316B1 (ko) 2007-10-25

Family

ID=3781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085A KR100770316B1 (ko) 2005-06-20 2005-06-20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521A (ko) 2017-12-20 2018-03-30 에나엑스 에스.에이. 파암용 급팽창금속혼합물 및 급촉발금속혼합물
WO2019164027A1 (ko) 2018-02-21 2019-08-29 에나엑스 에스.에이. 금속혼합물 발파 캡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081B1 (ko) * 1989-03-13 1999-01-15 로버트 윌리엄 벡헴 불꽃 재료
KR20030006083A (ko) * 2001-07-11 2003-01-23 김창선 급팽창 금속 혼합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081B1 (ko) * 1989-03-13 1999-01-15 로버트 윌리엄 벡헴 불꽃 재료
KR20030006083A (ko) * 2001-07-11 2003-01-23 김창선 급팽창 금속 혼합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521A (ko) 2017-12-20 2018-03-30 에나엑스 에스.에이. 파암용 급팽창금속혼합물 및 급촉발금속혼합물
WO2019164027A1 (ko) 2018-02-21 2019-08-29 에나엑스 에스.에이. 금속혼합물 발파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302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4818B (zh) 一种高压放电驱动含能电极释放能量产生冲击波的方法
AU704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asting hard rock
US20190284892A1 (en) Tool for severing a downhole tubular by a stream of combustion products
EA000780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обивки и стимуляции подземных формаций
KR100770316B1 (ko) 시차 점화 급팽창금속혼합물 캡슐을 이용한 시차 파암 방법
KR100668432B1 (ko) 화약의 기폭으로 금속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미진동암반파쇄용 조립체
JP4620740B2 (ja) 破岩用金属膨張剤のカートリッジ構造
US20180202277A1 (en) Use of liquid and gel monopropellants for well stimulation
CN104596372B (zh) 提高爆破进尺率并降低爆破振动的隧道掘进方法
KR100442551B1 (ko) 급팽창 혼합물의 반응 촉발장치
KR100877133B1 (ko) 파암장치 및 기폭유니트
EP3659992B1 (en) Metallic mixture blasting capsule
JP5414348B2 (ja) カートリッジ、破壊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キット
JP2011163745A (ja) 岩盤破砕のための発破用カートリッジ組立体{CartridgeAssemblyforCrushingRock}
KR200393741Y1 (ko) 화약의 기폭으로 금속혼합물을 반응시키는 미진동암반파쇄용 조립체
JP6609312B2 (ja) パルスプラズマエンジン及び方法
WO2012150906A1 (en) Thermo-pulse generator
KR100493331B1 (ko) 테르밋 파암장치
ATE230063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gestein
RU2147337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ризабойной зоны пласта скважины и погружной генерато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062403C1 (ru) Зап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178506C1 (ru)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скважин в геологических структурах
US1379637A (en) Cartridge-explosive
RU11835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крытия и газодина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ласта
RU2156946C1 (ru) Электроинициатор с самоотключением от источника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