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480B1 -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480B1
KR100769480B1 KR1020067021843A KR20067021843A KR100769480B1 KR 100769480 B1 KR100769480 B1 KR 100769480B1 KR 1020067021843 A KR1020067021843 A KR 1020067021843A KR 20067021843 A KR20067021843 A KR 20067021843A KR 100769480 B1 KR100769480 B1 KR 10076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rm
feeding
bla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153A (ko
Inventor
히로키 스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고오신세이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고오신세이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고오신세이끼
Priority to KR1020067021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48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0Feed racks
    • A01K1/105Movable feed barriers, slides or fe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먹이공급용 통로(5)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체(11)와, 이 주행체(11)의 프레임(13)에 부착된 먹이공급용 통로(5)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와, 주행체(11)의 프레임(13)에 부착되며, 주행체(11)의 이동에 따라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축방(3) 측과 그 반대측 사이에서 왕복 구동하는 제1 유압 실린더(1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유압 실린더(17)에 의해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를 왕복시키면, 축방으로부터 멀어져버린 먹이를 모아서 축방 측으로 돌려보낼 수 있다.
Figure 112006075862211-pct00001
축사, 장치 프레임, 주행체,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 블레이드 구동 기구,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Description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FEED COLLEC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BARN}
본 발명은 축사 내의 가축에게 먹이를 먹기 쉽게 그러모으기 위한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 등의 가축은 축방(101, 畜房) 내에 수용되며, 축방의 먹이공급용 통로(103)에는 소정 폭으로 먹이(105)가 놓여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가축이 먹이(105)를 먹을 때 코 등으로 먹이를 밀게 되어,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먹이(105)가 축방(101)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 결과, 가축이 먹이(105)를 먹을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축방(101)으로부터 멀어져버린 먹이(105)를 사람이 스콥(schop) 등으로 그러모아서 축방(101)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행해지고 있으나, 하루에 4~10회 정도 먹이(105)를 그러모아 돌려보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다.
한편,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 리프트(107)의 선단에 산 모양의 블레이드(109)를 장착하고, 이 포크 리프트(107)를 축방(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시켜 먹이(105)를 그러모아 돌려주는 것도 시도된 바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 16(A)의 화살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먹이(105)는 블레이드(109)의 측면을 미끄러지도록 정렬시켜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허 문헌 1: 실용 신안 등록 제3088813호 공보
그런데, 먹이(105)는 분체와는 달리, 예컨대 약 20~30cm 정도의 목초가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표면은 까칠까칠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엉켜 집합체가 되기 쉽다. 특히 먹이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목초에 수분을 포함시킨 경우에는, 커다란 집합체를 형성하기 쉽다.
따라서, 포크 리프트(107)가 전진하여도 블레이드(109)의 경사면을 따라 잘 미끄러지지 않아 커다란 덩어리가 형성되고, 그 결과,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101) 앞에 먹이(105)가 존재하는 장소와 먹이(105)가 존재하지 않는 장소가 생겨 버려 먹이를 확실하게는 그러모아서 돌려보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먹이는 이른 아침과 밤의 2회로 나누어 가축에게 제공되며, 이에 따라 밤에도 먹이 그러모음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먹이 그러모음 작업의 자동화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가축이 먹다 남긴 먹이는 그 부패를 막기 위하여 하루에 1회 정도 회수하여야 하는데, 이것도 인력 또는 포크 리프트에 의해 행할 필요가 있어 엄청난 노동력을 요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1 목적은 축방으로부터 멀어져버린 먹이를 축방 측으로 확실하게 그러모으는 것이고, 제2 목적은 먹다 남긴 먹이의 회수 작업을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는 축사의 축방을 따라 설치된 먹이공급용 통로를 주행하는 주행체를 설치하고, 그 주행체와 함께 이동하는 장치 프레임에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그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를 축방 측과 그 반대측 사이에서 블레이드 구동 기구에 의해 왕복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를 왕복 구동시킴으로써 축방으로부터 멀어져버린 먹이를 축방 측으로 확실하게 그러모을 수 있게 된다.
장치 프레임은 주행체 프레임과 일체화되어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자주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 프레임의 축방 측의 측부에는 먹이공급용 통로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보조 블레이드를 장치 프레임을 따른 대피 위치와 선단이 축방 측에 거의 접하는 진출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고, 장치 프레임에는 그 보조 블레이드를 진출 위치로 구동하는 보조 실린더 기구를 설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보조 블레이드를 진출 위치로 한 상태에서, 주행체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축이 먹다 남긴 먹이를 긁어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한 경우, 다음과 같은 운전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보조 블레이드를 대피 위치로 한 채로 일 단부에서 타 단부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되돌아온 위치까지 주행시키는 초기 동작(a)과, 그 후, 보조 블레이드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일 단부 측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의 먹이를 일 단부측으로 한데 모으는 한데 모음 동작(b)과, 보조 블레이드를 대피 위치에 대피시켜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남겨진 먹이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 되돌아간 위치까지 타 단부측으로 주행시키는 되돌림 동작(c)을 차례대로 수행하고, 이후, 한데 모음 동작(b) 및 되돌림 동작(c)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소정 거리(Lmax)를, 주행체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보조 블레이드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먹이를 한데 모으는 것이 가능한 최대 거리로 할 수 있다.
가축이 먹다 남긴 먹이를 그 부패를 막기 위하여 하루에 1회 정도 회수하는데, 날에 따라 먹다 남긴 양이 다르다. 따라서 먹다 남긴 양이 많은 날에 한 번에 회수하고자 하면 먹이 그러모음 장치에 과대한 부담이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전술한 운전 방법에 의하면,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보조 블레이드를 대피 위치로 한 채로 일 단부에서 타 단부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되돌아온 위치까지 주행시킨다(초기 동작(a)). 그런 다음, 보조 블레이드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일 단부 측으로 주행시킴으로써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의 먹이를 상기 일 단부측으로 한데 모은다(한데 모음 동작(b)). 다음, 보조 블레이드를 대피 위치로 대피시켜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남겨진 먹이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 되돌아간 위치까지 타 단부 측으로 주행시킨다(되돌림 동작(c)). 이후, 한데 모음 동작(b) 및 되돌림 동작(c)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먹이 그러모음 장치는 운전되는데, 소정 거리(Lmax)는 주행체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보조 블레이드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먹이를 한데 모으는 것이 가능한 최대 거리로 되어 있어, 먹이를 회수할 때 복수 회로 나누어 회수하기 때문에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축방이란 소, 닭, 말 등의 가축을 수용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일부 생략 배면도,
도 6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운전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운전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운전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운전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평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15는 종래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및
도 16은 종래예를 설명하는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축방(3)을 따라 먹이공급용 통로(5)가 설치된 축사에 있어서, 먹이공급용 통로(5)에 공급된 먹이(7)를 축방(3) 측으로 그러모으기 위한 것이다.
이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먹이공급용 통로(5)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체(11)와, 이 주행체(11)의 프레임(13)에 부착된 먹이공급용 통로(5)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와, 주행체(11)의 프레임(13)에 부착되며, 주행체(11)의 이동에 따라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축방(3) 측과 그 반대측 사이에서 왕복 구동하는 제1 유압 실린더(17)(블레이드 구동 기구에 해당)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주행체(11)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견고한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13)(주행체 프레임 및 장치 프레임에 해당)과, 이 프레임(13)의 네 귀퉁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모터(19)에 의해 구동되는 4개의 주행 차륜(21)을 구비한다. 한편, 모터(19)의 동력은 체인(23)에 의해 주행 차륜(21)으로 전달되고 있다. 그리고, 주행체(11)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19)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축방(3)의 측단부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13)에는 그 전단 가까이 그리고 축방 가까운 위치와, 그 후단 가까이 그리고 축방 가까운 위치의 2곳으로부터 상방 쪽으로 연장되어, 도중으로부터 축방 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진 한 쌍의 암 부재(25, 25)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암 부재(25, 25)의 선단에는 세로축 주변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바깥 가이드 롤러(27) 및 안(內) 가이드 롤러(29)(장치 프레임(13)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차륜에 해당)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축방(3)의 측단부에는 먹이공급용 통로(5)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먹이공급용 통로(5)를 따라 연장되는 H형 강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레일(31)이 가설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 가이드 롤러(27)와 안 가이드 롤러(29) 사이에 가이드 레일(31)의 단면 평행변의 한 변(31A)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바깥 가이드 롤러(27)는 가이드 레일(31)의 단면 평행변의 한 변(31A)의 외측을 전동하고, 안 가이드 롤러(29)는 내측을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가이드 레일(31)과 바깥 가이드 롤러(27) 및 안 가이드 롤러(29)는 걸어맞춤되어, 주행체(11)가 축방(3)의 측단부를 확실하게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13)의 전단의 축방(3) 측의 코너부와, 프레임(13)의 후단의 축방(3) 측의 코너부에는 각각 통로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형태의 가드부(33, 33)가 부착되어, 먹이 그러모음 장치(1)가 왕복 이동하였을 때 먹이(7)가 먹이 그러모음 장치(1)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프레임(13)의 앞 부분의 축방(3) 가까이의 코너부 부근에는 먹이공급용 통로(5)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세로축(35)(접속 핀)을 중심으로 선회 암(37)이 부착되고, 이 선회 암(37)의 선단에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 암(37)은, 세로축(35) 측의 기단측 암(39)과, 이 기단측 암(39)의 선단에 있어서 세로축(35)과 직교하는 방향의 가로축(41)(접속 핀)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단측 암(43)으로 이루어진다.
기단측 암(39)은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선단측 암(43)은 기단측 암(39)의 선단부로부터 기단측 암(39)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중간 정도에서 축방(3) 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굴곡진 평면에서 보면 L자형을 이룬다.
기단측 암(39)에는 세로축(35)보다 선단측 암(43) 가까운 위치에 로드 결합부(39A)가 설치되고, 이 로드 결합부(39A)에 프레임(13)에 부착된 제1 유압 실린더(17)의 로드(17A)의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유압 실린더(17)가 기단측 암(39)을 누르면, 선회 암(37)이 세로축(35)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回動)하고,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가 도 1에 도시한 경사 자세에서, 도 2에 도시한 주행체(11)의 진행 방향을 따라, 그리고 축방(3)의 측단부와 소정 거리(예컨대 50cm)까지 근접한 근접 자세가 된다.
기단측 암(43)의 기단 가까운 위치에는 도 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한 로드 결합부(43A)가 설치되고, 이 로드 결합부(43A)에 기단측 암(39) 상에 올려진 제2 유압 실린더(45)(상하 구동 실린더 기구에 해당)의 로드(45A)의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선단측 암(43)의 선단에는 그 선단측의 한 변과 대략 수직이 되도록 판형상의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가 고정 장착되어 있다.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자세로 그 아래 가장자리 부분이 먹이공급용 통로(5)의 바닥면에 슬라이딩 접속 가능한 높이 위치가 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의 축방(3) 측의 일단(15A)이 가로축(41)(접속 핀)의 대략 연장선 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유압 실린더(45)가 수축함으로써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가 가로축(41)을 중심으로 세로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3의 수평 자세에서 도 4의 경사 자세가 되도록 되어 있다.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라운딩 처리되어 굽혀진 형태를 하고 있다.
프레임(13)의 축방(3) 측의 측부에는 판형상의 보조 블레이드(51)가 프레임(13)을 따른 대피 위치(도 1 참조)와 선단이 축방(3)에 대략 접하는 진출 위치(도 6 참조) 사이에서 세로축(53)(접속 핀)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조 블레이드(51)는 그 아래 가장자리 부분이 바닥면에 슬라이딩 접속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
보조 블레이드(51)의 중앙 부근에는 로드 결합부(51A)가 설치되고, 이 로드 결합부(51A)에 프레임(13)에 올려진 제3 유압 실린더(55)(보조 실린더 기구)의 로드(55A)의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3 유압 실린더(55)가 신축함으로써 보조 블레이드(51)가 대피 위치와 진출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보조 블레이드(51)의 길이는 진출 위치에서 그 선단이 축방(3)의 측단부에 근접할 정도로 되어 있다.
프레임(13)의 뒷 부분에는 유압 장치(57)가 배치되고, 이 유압 장치(57)에 의해 각각의 유압 실린더(17, 45, 55)가 신축한다.
<먹이 그러모음 장치(1)의 운전 방법>
그러면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1)의 운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동작)
먼저,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축방(3)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먹이공급용 통로(5)에 대하여 수평한 자세(초기 자세)로 하여(도 1, 3 참조), 도 8의 상태에서 도 9의 상태까지 소정 거리(예컨대 약 80cm) 전진한 후에 정지한다(한편, 보조 블레이드(51)는 대기 위치로 되어 있다). 먹이(7)는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축방(3) 측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동작)
다음,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압 실린더(17)를 신장하여 선회 암(37)을 선회하여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요동시켜,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접근 자세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확실하게 먹이(7)를 축방(3) 측으로 그러모을 수 있다.
(제3 동작)
더욱이, 그 후에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제2 유압 실린더(45)를 수축시켜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수평 자세(도 3 참조)에서 경사 자세(도 4 참조)가 되도록 선회시킨다. 그러면, 먹이(7)가 자중에 의해 낙하한다. 따라서,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에 대한 먹이(7)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에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 초기 자세로 되돌린다.
이후, 제1~제3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1)에 의하면, 먹이공급용 통로(5)에 공급된 먹이(7)를 축방(3) 측으로 확실하게 그러모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1)에 의하면, 축방(3) 측에는 먹이공급용 통로(5)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31)이 설치되고, 프레임(13)에는 가이드 레일(31)과 걸어맞춤되는 가이드 롤러(27, 2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먹이 그러모음 장치(1)의 사행(蛇行)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축방(3)에 대하여 균등 폭으로 먹이(7)를 그러모을 수 있다.
<먹다 남긴 먹이(7)를 한데 모으기 위한 운전 방법>
다음, 가축이 먹다 남긴 먹이(7)를 먹이공급용 통로(5)의 일 단부로 한데 모으기 위한 운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한데 모으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축방(3)의 전단(좌단)에 위치해 있다.
<첫 번째 한데 모음 운전>
(초기 동작(a))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보조 블레이드(51)를 대피 위치로 한 상태에서 전단(좌단)에서 후단(우단) 측으로 소정 거리(L1)만큼 되돌아온 위치까지 주행한다(도 11(A)(B) 참조).
(한데 모음 동작(b))
초기 동작(a) 후,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보조 블레이드(51)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전단 측으로 주행하고,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여기에는 L1-L2)의 먹이(7)를 전단 측으로 그러모은다(도 11(B)(C) 참조).
(되돌림 동작(c))
한데 모음 동작(b) 후,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보조 블레이드(51)를 대피 위치로 대피시키고 남겨진 먹이(7)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여기서는 L1) 되돌아간 위치까지 후단 측으로 주행한다(도 11(C)(D) 참조).
<두 번째 한데 모음 운전>
(한데 모음 동작(b))
첫 번째 한데 모음 운전 후,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보조 블레이드(51)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전단 측으로 주행함으로써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여기서는 L1)의 먹이(7)를 전단 측으로 그러모은다(도 11(D)(E) 참조).
(되돌림 동작(c))
한데 모음 동작(b) 후,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보조 블레이드(51)를 대피 위치로 대피시켜 남겨진 먹이(7)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여기서는 L1) 되돌아간 위치까지 후단 측으로 주행한다(도 11(E)(F) 참조).
이후, 두 번째 한데 모음 운전과 동일한 운전을 반복한다.
한편, 소정 거리(Lmax)는 보조 블레이드(51)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킨 상태에서 먹이 그러모음 장치(1)를 주행시켜 먹이(7)를 한데 모으는 것이 가능한 최대 거리로 되어 있으며, 먹이 그러모음 장치(1)의 능력, 먹이(7)의 남은 상태에 따라 적당히 설정되는 거리이다.
본 실시 형태의 먹다 남긴 먹이(7)의 한데 모음 운전 방법에 의하면, 먹이(7)를 한데 그러모을 때 복수 회로 나누어 한데 모으기 때문에, 먹이 그러모음 장치(1)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먹이 그러모음 장치(1)의 주행 거리는 시간에 의해 제어하여도 좋고, 로터리 인코더에 의해 주행 차륜(21)의 회전 수 신호를 얻고 이 신호에 의해 제어하여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만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다른 구성,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한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먹이공급용 통로(5)를 사이에 두고 2열 축방(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하나의 주행체(11)의 양측에 각각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를 배치한 선회 암(37)과 보조 블레이 드(51)가 구비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먹이(7) 그러모음 장치(1)에 의하면, 2열의 축방(3)의 먹이 그러모음을 한 대의 먹이 그러모음 장치(1)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 보조 블레이드(51)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 등은 한 대만으로 충분하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기구로서 유압 실린더(17, 45, 55)를 사용하였으나, 유압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기압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가 요동 운동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15)는 구동 기구에 의해 축방(3)의 측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이격 위치(도 13(A))와 이격 위치보다 축방(3)의 측단부에 근접한 근접 위치(도 13(B)) 사이에서 평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구동 기구로서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 등이 사용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프레임은 주행체(11)의 프레임(13)과 일체화되어 있고, 먹이 그러모음 장치(1)가 자주식으로 되어 있으나, 장치 프레임과 주행체(11)의 프레임(13)을 별개로 구성하여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 암(37)은 기단측 암(39)과 선단측 암(43)의 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먹이 그러모음 장치(1)는 제1 동작, 제2 동작, 제 3 동작을 차례대로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3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먹이 그러모음 장치(1)에는 가이드 레일(31)과 걸어맞춤되어 주행체(11)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27, 29)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가이드 롤러(27, 29)는 없어도 좋다.
또한 가이드 롤러(27, 29)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11)의 주행 차륜(21)을 플랜지 있는 차륜으로 하고, 먹이공급용 통로(5)에 주행 차륜(21)과 걸어맞춤되는 레일(65)을 부설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주행체(11)를 축방(3)의 측단부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먹이 그러모음 장치(1)에는 보조 블레이드(51)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보조 블레이드(51)는 필수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축사의 축방을 따라 설치된 먹이공급용 통로를 주행하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된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로부터 세워져 올라가는 형태의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와,
    상기 주행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를 상기 축방 측과 그 반대측 사이에서 왕복 구동시키는 블레이드 구동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은 상기 주행체 프레임과 일체화되어 먹이 그러모음 장치가 자주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 암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구동 기구는 상기 선회 암 중 상기 세로축과 상기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 사이를 누르는 실린더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선회 암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구동 기구는 상기 선회 암 중 상기 세로축과 상기 먹이 그러모음 블레이드 사이를 누르는 실린더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암은, 상기 세로축 측의 기단측 암과, 이 기단측 암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가로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단측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단측 암에는 상기 선단측 암을 상기 가로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 실린더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암은, 상기 세로축 측의 기단측 암과, 이 기단측 암의 선단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가로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단측 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단측 암에는 상기 선단측 암을 상기 가로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 실린더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 측에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걸어맞춤되어 장치 프레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 측에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걸어맞춤되어 장치 프레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 측에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걸어맞춤되어 장치 프레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 측에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걸어맞춤되어 장치 프레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 측에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걸어맞춤되어 장치 프레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 측에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를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걸어맞춤되어 장치 프레임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의 상기 축방 측의 측부에는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세로축을 중심으로 보조 블레이드가 상기 장치 프레임을 따른 대피 위치와 선단이 상기 축방 측에 거의 접하는 진출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는 그 보조 블레이드를 상기 진출 위치로 구동하는 보조 실린더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14. 제 13 항에 기재된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먹이공급용 통로에 남겨진 먹이를 그 통로의 일 단부로 한데 모으기 위한 운전 방법으로서,
    상기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상기 보조 블레이드를 상기 대피 위치로 한 채로 상기 일 단부에서 타 단부 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되돌아온 위치까지 주행시키는 초기 동작(a)과,
    그 후, 상기 보조 블레이드를 상기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상기 일 단부측으 로 주행시킴으로써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의 먹이를 상기 일 단부측으로 한데 모으는 한데 모음 동작(b)과,
    상기 보조 블레이드를 상기 대피 위치로 대피시켜 상기 먹이 그러모음 장치를 남겨진 먹이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Lmax) 이하의 거리만큼 되돌아간 위치까지 상기 타 단부 측으로 주행시키는 되돌림 동작(c)을 차례대로 수행하고, 이후 상기 한데 모음 동작(b) 및 되돌림 동작(c)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소정 거리(Lmax)가, 상기 주행체가 상기 먹이 그러모음 장치의 보조 블레이드를 진출 위치로 진출시켜 먹이를 한데 모으는 것이 가능한 최대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방법.
KR1020067021843A 2004-09-28 2005-09-20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076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843A KR100769480B1 (ko) 2004-09-28 2005-09-20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81713 2004-09-28
KR1020067021843A KR100769480B1 (ko) 2004-09-28 2005-09-20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153A KR20070017153A (ko) 2007-02-08
KR100769480B1 true KR100769480B1 (ko) 2007-10-24

Family

ID=4163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843A KR100769480B1 (ko) 2004-09-28 2005-09-20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4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122A (ja) * 2000-04-28 2001-10-30 Ishii Seisakusho:Kk 牛舎用飼料寄集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122A (ja) * 2000-04-28 2001-10-30 Ishii Seisakusho:Kk 牛舎用飼料寄集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153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35627A1 (ja) 畜舎用の餌寄せ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EP3603379A1 (de) Anordnung zur selbsttätigen kontrolle des antriebs eines seitlich an einem erntevorsatz angebrachten elements, das zur aufteilung des ernteguts an der grenze zwischen stehen bleibendem und abzuerntenden bestand dient
CN109588102A (zh) 一种新型高效可调节的割草机、系统及方法
KR100769480B1 (ko) 축사용 먹이 그러모음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CN101326877B (zh) 前悬挂油菜割晒机
CN109716921A (zh) 一种菠萝自动收割机
CN212851851U (zh) 一种带压草器的割草机
JP4802637B2 (ja) コンバイン
CN209659973U (zh) 一种菠萝自动收割机
CN218888998U (zh) 一种高效水浮莲收割机
CN206923289U (zh) 一种大蒜收获机
CN215957258U (zh) 一种畜牧业牧草切割装置
CN210746118U (zh) 手持式采茶机
JPH04603B2 (ko)
RU200023U1 (ru) Агрегат для уборки навоза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одстилки
CN215735825U (zh) 一种修剪绿化用智能割草机
EP3597031B1 (en) Device for separating compacted feed from a bulk feed stock and automatic feeding system using such a device
CN108848882B (zh) 一种农业用手推式割草机
CN114532238B (zh) 一种畜牧用牛圈清洁式高效铺草装置
CN215957195U (zh) 一种畜牧业牧草安全收割装置
CN214385132U (zh) 一种易于草屑处理的草坪修剪机
JP344389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CN209999254U (zh) 阿胶切块机
US10674669B2 (en) Bale unroller
CN116158256A (zh) 一种高效水浮莲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