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53B1 - 기능성 가로 화분 - Google Patents

기능성 가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53B1
KR100769353B1 KR1020060119986A KR20060119986A KR100769353B1 KR 100769353 B1 KR100769353 B1 KR 100769353B1 KR 1020060119986 A KR1020060119986 A KR 1020060119986A KR 20060119986 A KR20060119986 A KR 20060119986A KR 100769353 B1 KR100769353 B1 KR 10076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zeolite
plants
culture soil
str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춘
이창훈
이상석
Original Assignee
고영춘
이창훈
이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춘, 이창훈, 이상석 filed Critical 고영춘
Priority to KR102006011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가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바닥부와 측면부로 구성된 함체형태의 가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측면부는 식재가 가능하도록 격자형태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배수홈이 형성된 배수판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는 부직포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부직포의 중앙에 제오라이트가 채워지며, 상기 제오라이트 내부에 다수개의 수분저장봉이 세워지고, 상기 제오라이트의 주위에 사방으로 배양토가 채워지되, 상기 가로화분의 사방 측면의 배양토에는 초화류가 식재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부만을 제외한 모든 면에 초화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방향에서 잔디 및 초화류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도시녹화를 돋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그 내부에 다수개의 수분저장봉이 제오라이트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장기간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초화류가 고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로 화분, 배수판, 부직포, 수분저장봉, 제오라이트

Description

기능성 가로 화분{The functionality street flowerpot}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로 화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로 화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로 화분에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로 화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로 화분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로 화분의 수평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로 화분의 수직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가로화분 110:바닥부
120:측면부 130:배수판
131:배수홈 140,140':부직포
150:수분저장봉 160:제오라이트
170:배양토 175:초화류
등록실용신안 20-0372683(2005.01.03) 가로용 화분의 도면1
본 발명은 기능성 가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로 화분을 구성하는 바닥부만을 제외한 모든 면에 초화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방향에서 초화류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도시 미관을 돋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그 내부에 다수개의 수분저장봉이 제오라이트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장기간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로 화분에서 자라고 있는 초화류가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화류나 수목 등을 이용하여 가로를 장식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로용 화분이 제공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로용 화분은 통상의 화분과는 달리 도시미관 측면뿐만 아니라 때로는 이동할 수 있는 화분을 적절히 배치하여 보행자나 차량의 흐름과 방향을 유도하거나 차단하며 필요한 수준으로 통행량을 조절하며, 최근에는 화분도 대형화되어 일년초나 다년초 같은 초화류 뿐만 아니라 플랜터에 수목을 심어 가로를 녹화시키거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각종 행사시 분위기를 고양시키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다용도로 사용되어지는 가로용 화분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의 상부에 지지부(1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20) 하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수용부(20)의 내부로 채워진 흙(30)에 초화류(40)가 심어져있다.
이러한 가로용 화분은 독립해서 단독으로 놓여질 때도 있지만 대개 일렬, 지그재그 등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유지관리 측면에서 관수와 배수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게 되고, 다수의 가로용 화분은 개개마다 급수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로용 화분의 식물은 급수가 원활하게 되지 않거나 날씨가 무더운 계절에는 급수만으로는 수분의 공급이 어려워 초화류의 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가로 화분을 구성하는 바닥부만을 제외한 모든 면에 초화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방향에서 초화류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도시 미관을 돋보이도록 하고, 아울러 그 내부에 다수개의 수분저장봉이 제오라이트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장기간 수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가로 화분에서 자라고 있는 초화류가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가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바닥부(110)와 측면부(120)로 구성된 함체형태의 가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 및 측면부(120)는 식재가 가능하도록 격자형태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배수홈(131)이 형성된 배수판(130)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배수판(130)의 상부에는 부직포(14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부직포(140)의 중앙에 제오라이트(160)에 채워지며, 상기 제오라이트(160)의 내부에 다수개의 수분저장 봉(150)이 세워지고, 상기 제오라이트(160)의 주위에 사방으로 배양토(170)가 채워지되, 상기 가로화분의 사방 측면의 상기 배양토(170)에는 초화류(175)가 식재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120)의 내부에 스크린(145)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바닥부(110) 및 측면부(120)의 구성은 연결구(180)에 연결대(182)가 각각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0)의 모서리에 캐스터(19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로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가로 화분(100)은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태로 형성된 바닥부(110)와 측면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바닥부(110)는 전체적인 하중을 지탱하는 것으로 연결구(18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181)에 각각 연결대(182)의 일측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반복하여 격자형태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있으며, 이러한 바닥부(110)의 형태를 격자형태 이외에 하니컴의 형태를 갖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에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전면에 다수개의 배수홈(131)이 형성된 배수판(130)이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배수판(13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오라이트(160) 및 배양토(170)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직포(140)가 덮혀지도록 설치되어있다.
상기 측면부(120)는 바닥부(110)에 결합되어져 바닥부(110)의 상부로 덮혀지는 제오라이트(160) 및 배양토(170)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배양토(170)에 뿌리를 내리고 식생하는 초화류(175)가 뿌리가 뻗어 자랄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부(110)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연결구(18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181)에 각각 연결대(182)의 일측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격자형태 또는 하니컴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측면부(120)의 내측으로는 식생되어지는 초화류의 종류에 따라 토사유출방지구(145)가 선택적으로 개재되어지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토사유출방지구(145)는 부직포 또는 미세공을 갖는 스크린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잔디와 같은 뿌리가 그물형태로 이루어지는 종류의 초화류는 부직포가 필요치 않으나 그 밖에 뿌리가 단순한 형태를 갖는 초화류는 쉽게 뽑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크린이 덮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화류(175)는 시트잔디 및 덩쿨성 식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로화분(100)을 구성하는 바닥부(110)의 상부와 측면부(120)의 내부로 제공되어지는 공간의 중앙에는 다수개의 수분저장봉(150)이 소정 높이로 채워지는 제오라이트(160)에 의하여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오라이트(Zeolite)는 내부에 미세한 나노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물리적 흡착력(질소, 인산가리 등 각 90~95%)과 화학적 양이온 치환작용 (70~140meg /100g)이 높고, 물 및 가스 등을 20배까지 흡수, 흡착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서서히 배출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분저장봉(150)을 세우기 위하여 제오라이트만을 사용하였으나, 제오라이트에 일정량의 리그닌을 혼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저장봉(150)은 외부로부터 가로화분(100)에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되어지는 물의 일부가 저장되어지도록 하여 물을 가로화분(100)에 장기간 주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초화류(175)에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초화류(175)가 고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일정 기간이 경과하는 과정에서 자연분해되어 초화류가 식생되어지는 과정에서 양분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분저장봉(150)은 옥수수대가 분말처리된 파우더를 경화시킨 봉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이외에 솜을 말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화분의 사방 측면에는 일정량의 배양토(170)가 채워지며 이러한 배양토(170)는 화원에서 식물을 기르도록 표준배합한 것으로 밭흙(또는 상토): 부엽토(또는 퇴비): 펄라이트를 4:4:2로 배합해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펄라이트는 인공토양으로 암석을 고열에서 뻥튀기한 것으로 상기 배양토 대신 바로 인공토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인공토양(170)은 시트잔디(175)가 식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0)이 모서리에는 캐스터(190)가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가로 화분(100)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로 화분(100)은 먼저 바닥부(110)의 상부에 배수판(130)이 얹혀지도록 한 후 그 위에 부직포(140)가 덮혀지도록 한다.
다음 측면부(120)의 내부에 토사유출 방지구(145)가 다시 덮혀지도록 한 후 일정량의 제오라이트(160)를 그 내부로 집어 넣되, 제오라이트(160)에 의하여 다수개의 수분저장봉(15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시트잔디가 식재될 경우 토사유출 방지구(145)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그 외에 초화류나 덩쿨식물을 식재할 경우 토사유출 방지구(145)를 사용하도록 한다.
다음 그 상부로 배양토(170)가 덮혀지도록 한 후 초화류를 심거나 씨앗을 뿌려 식생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식생되어지는 초화류는 측면부(120)가 연결구(182)의 결합돌기(181)에 끼워진 연결대(182)에 의하여 격자형태 또는 하니컴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사이를 통해 측면부(120)에서도 초화류가 뿌리를 내리고 식생될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물을 주게 됨과 동시에 물이 배양토(170)와 제오라이트(160) 및 수분저장봉(150)으로 흡수되어지며 특히 배양토(170)에 흡수되어진 물이 초화류의 식생 이나 증발로 인해 소진되어진 후에 제오라이트(160) 및 수분저장봉(150)에 흡수된 수분이 서서히 배양토(170)로 지속되게 공급되어짐에 따라 장기간 물을 주지 않더라고 초화류가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로 화분(100)을 임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가로 화분(100)을 구성하는 측면부(120)의 일측을 손으로 잡아 밀거나 당기게 됨과 동시에 바닥부(110)에 결합된 캐스터(190)에 의하여 이를 임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옮길 수 있 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가로 화분(100)을 설치한 상태만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로 화분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태로 연속되어지도록 연킬 수 있으며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태로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맞닿는 곳에 별도의 연결클립(C)을 이용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부만을 제외한 모든 면에 초화류가 식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방향에서 초화류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도시 녹화를 돋보이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 내부에 다수개의 수분저장봉이 제오라이트에 의하여 지지되어지도록 설치하여 장기간 수분이 초화류에게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초화류가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바닥부(110)와 측면부(120)로 구성된 함체형태의 가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 및 측면부(120)는 식재가 가능하도록 격자형태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바닥부(1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배수홈(131)이 형성된 배수판(130)이 설치되어지며, 상기 배수판(130)의 상부에는 부직포(14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부직포(140)의 중앙에 제오라이트(160)가 채워지며, 상기 제오라이트(160)의 내부에 다수개의 수분저장봉(150)이 세워지고, 상기 제오라이트(160)의 주위에 사방으로 배양토(170)가 채워지되, 상기 가로화분의 사방 측면의 상기 배양토(170)에는 초화류(175)가 식재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로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120)의 내부에 스크린(145)이 설치되어지고, 상기 바닥부(110) 및 측면부(120)의 구성은 연결구(180)에 연결대(182)가 각각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로 화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0)의 모서리에 캐스터(19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가로 화분.
KR1020060119986A 2006-11-30 2006-11-30 기능성 가로 화분 KR10076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986A KR100769353B1 (ko) 2006-11-30 2006-11-30 기능성 가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986A KR100769353B1 (ko) 2006-11-30 2006-11-30 기능성 가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353B1 true KR100769353B1 (ko) 2007-10-24

Family

ID=3881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986A KR100769353B1 (ko) 2006-11-30 2006-11-30 기능성 가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3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65Y1 (ko) 2001-01-29 2001-06-15 문영만 식물재배용기
KR200238741Y1 (ko) 2001-03-27 2001-10-10 조익준 화분 급수장치
JP2002354945A (ja) 2001-05-30 2002-12-10 Akitoshi Osawa 六面体貫通組立培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665Y1 (ko) 2001-01-29 2001-06-15 문영만 식물재배용기
KR200238741Y1 (ko) 2001-03-27 2001-10-10 조익준 화분 급수장치
JP2002354945A (ja) 2001-05-30 2002-12-10 Akitoshi Osawa 六面体貫通組立培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605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стенного цвет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101121032B1 (ko)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077332B1 (ko) 녹화 담장
KR100479212B1 (ko)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CN103250624B (zh) 兰科植物立体多层栽培装置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CN205408824U (zh) 一体式园林绿化环保育苗装置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JP2004173564A (ja) 壁面緑化用植生コンテナ
JP2005323589A (ja) 緑化設備
KR100769353B1 (ko) 기능성 가로 화분
JP2995275B2 (ja) 鉢植え植物のためのかん水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プランター
KR200449765Y1 (ko)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JP2003009687A5 (ko)
JP6981084B2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KR200434801Y1 (ko) 이동식 텃밭
JP2003009687A (ja) 給水マット付植物トレイと貯水タンクの一体型底面給水プランター
JP3823251B2 (ja) 立体型植栽構造物
KR101641680B1 (ko) 식물 재배장치
KR0139530Y1 (ko) 재배장치
KR200388494Y1 (ko) 콘크리트에서도 잔디의 재배관리가 용이한 배수판
CN211458171U (zh) 一种热带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