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273B1 -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 - Google Patents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273B1
KR100769273B1 KR1020060115570A KR20060115570A KR100769273B1 KR 100769273 B1 KR100769273 B1 KR 100769273B1 KR 1020060115570 A KR1020060115570 A KR 1020060115570A KR 20060115570 A KR20060115570 A KR 20060115570A KR 100769273 B1 KR100769273 B1 KR 10076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aper body
paper
forming step
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이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환 filed Critical 이주환
Priority to KR102006011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에 관한 것이다. 이중, 살모란 지화제조방법은, 다수의 종이를 포개어 원형으로 오리고 중심에 몸체구멍(10a)을 뚫어서 종이몸체(10)를 형성하는 종이몸체형성단계(S10); 종이몸체(10)에 4개의 절개단(11)을 형성하는 절개단형성단계(S12); 절개단(11)이 형성된 종이몸체(10)를 수분이 함유될 수 있도록 적시는 수분함습단계(S13)와; 절개단(11)에 그 종이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접혀진 촘촘한 접힘단(11a)을 형성하는 접힘단형성단계(S14); 4 개의 절개단(11)에 형성된 접힘단(11a)의 상부면을 몸체구멍(10a)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나이프로 눌러 촘촘한 나이프(11b')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접힘단(11a)을 둥글게 말아진 말음단(11b)으로 형성하는 말음단형성단계(S15); 말음단(11b)이 형성된 종이몸체(10)를 각각 분리한 후, 분리된 종이몸체(10)의 접힘단(11a)과 말음단(11b)을 펼침으로써 끝단이 둥글게 말아지며 전체적으로 부채살 형상을 가지는 꽃잎(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꽃잎형성단계(S16); 상단에 머리(21)가 형성된 봉(20)에 꽃잎(12)이 형성된 4 장의 종이몸체(10)를 차례대로 포개어 끼어넣음으로써 꽃봉우리(110)를 형성하는 꽃봉우리형성단계(S17); 및 꽃봉우리(110)가 형성된 봉(20)에 그 꽃봉우리(110)를 지지하는 꽃봉우리받침(30)을 끼어넣는 꽃봉우리받침끼움단계(S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A method for formation paper flower and paper flower forme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모란 지화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종이몸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종이몸체를 4 방향으로 절개하여 절개단을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절개단이 나이프에 의하여 접힘단으로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접힘단이 말아져서 말음단이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접힘단 및 말음단이 펼쳐져서 꽃잎이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꽃잎이 형성된 종이몸체가 4 개의 봉에 차례대로 끼어져서 4 송이의 살모란 지화가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살모란 지화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종이몸체 10a ... 몸체구멍
11 ... 절개단 11a ... 접힘단
11b ... 말음단 11b' ... 나이프흠
12 ... 꽃잎 20 ... 봉
21 ... 머리 30 ... 꽃봉우리받침
40 ... 고깔 50 ... 잎사귀종이
본 발명은 종이로 구현할 수 있는 살모란 지화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화는 주로 신앙용, 의례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더 나아가 잔칫상, 혼례상등 경사스러운 곳에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옷이나 모자(벙거지)에 장식을 하기도 하고, 장례(꽃상여)할 때도 사용되고 있다. 이렇듯 지화는 그 쓰임이 다양하여 우리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자연적 환경은 사계절이 뚜렷하여 계절마다 가지 각색의 꽃이 반발하는데, 한민족에 있어서 사시사철 피는 꽃은 윤회사상과 맞물려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따라서 윤회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불교의식중에 지화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지화는 손으로 일일이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또한 손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꽃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기가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음과 동시에, 살모란과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살모란 지화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은,
다수의 종이를 포개어 원형으로 오리고 중심에 몸체구멍(10a)을 뚫어서 종이몸체(10)를 형성하는 종이몸체형성단계(S10); 상기 종이몸체(10)를 4 방향에서 절개하여 4개의 절개단(11)을 형성하는 절개단형성단계(S12); 상기 절개단(11)이 형성된 상기 종이몸체(10)를 수분이 함유될 수 있도록 적시는 수분함습단계(S13)와; 상기 절개단(11)을 나이프를 이용하여 그 몸체구멍(10a) 방향으로 다수회 접어서 촘촘한 접힘단(11a)을 형성하는 접힘단형성단계(S14); 4 개의 상기 절개단(11)에 형성된 접힘단(11a)의 상부면을 상기 몸체구멍(10a)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나이프로 눌러 촘촘한 나이프(11b')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접힘단(11a)을 둥글게 말아진 말음단(11b)으로 형성하는 말음단형성단계(S15); 상기 말음단(11b)이 형성된 상기 종이몸체(10)를 각각 분리한 후, 분리된 상기 종이몸체(10)의 접힘단(11a)과 말음단(11b)을 펼침으로써 끝단이 둥글게 말아지며 전체적으로 부채살 형상을 가지는 꽃잎(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꽃잎형성단계(S16); 상단에 머리(21)가 형성된 봉(20)에 꽃잎(12)이 형성된 4 장의 종이몸체(10)를 차례대로 포개어 끼어넣음으로써 꽃봉우리(110)를 형성하는 꽃봉우리형성단계(S17); 및 상기 꽃봉우리(110)가 형성된 봉(20)에 그 꽃봉우리(110)를 지지하는 꽃봉우리받침(30)을 끼어넣는 꽃봉우리받침끼움단계(S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모란 지화는 상기한지화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살모란 지화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모란 지화를 제조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종이몸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종이몸체를 4 방향으로 절개하여 절개단을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절개단이 나이프에 의하여 접힘단으로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접힘단이 말아져서 말음단이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접힘단 및 말음단이 펼쳐져서 꽃잎이 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꽃잎이 형성된 종이몸체가 4 개의 봉에 차례대로 끼어져서 4 송이의 살모란 지화가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의 살모란 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살모란 지화제조방법은, 다수의 종이, 바람직하게는 16장의 종이를 포개어 원형으로 오리고 중심에 몸체구멍(10a)을 뚫어서 종이몸체(10)를 형성하는 종이몸체형성단계(S10)와; 종이몸체(10)를 4 방향에서 절개하여 4개의 절개단(11)을 형성하는 절개단형성단계(S12)와; 절개단(11)이 형성된 종이몸체(10)를 수분이 함유될 수 있도록 적시는 수분함습단계(S13)와; 절개단(11)을 나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몸체구멍(10a) 방향으로 다수회 접어서 촘촘한 접힘단(11a)을 형성하는 접힘단형성단계(S14)와; 4 개의 절개단(11)에 형성된 접힘단(11a)의 상부면을 상기 몸체구멍(10a)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나이프로 눌러 촘촘한 나이프흠(11b')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접힘단(11a)을 둥글게 말아진 말음단(11b)으로 형성하는 말음단형성단계(S15)와; 말음단(11b)이 형성된 종이몸체(10)를 각각 분리 한 후, 분리된 종이몸체(10)의 접힘단(11a)과 말음단(11b)을 펼침으로써 꽃잎(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꽃잎형성단계(S16)와; 상단에 머리(21)가 형성된 봉(20)에 꽃잎(12)이 형성된 4 장의 종이몸체(10)를 차례대로 포개어 끼어넣음으로써 꽃봉우리(110)를 형성하는 꽃봉우리형성단계(S17)와; 꽃봉우리(110)가 형성된 봉(20)에 그 꽃봉우리(110)를 지지하는 꽃봉우리받침(30)을 끼어넣는 꽃봉우리받침끼움단계(S18)와; 봉(20)에 꽃봉우리받침(30)을 지지하는 고깔(40)을 끼어넣는 고깔끼움단계(S19)와; 봉(20)에 종이를 잎사귀 형상으로 오려 구현된 잎사귀종이(50)를 붙이는 잎사귀종이부착단계(S20);를 포함한다. 이때, 종이몸체형성단계(S10)의 전 또는 후에는 종이몸체(10)의 가장자리 또는 전부를 염색하는 염색단계(S11)를 수행할 수도 있다.
종이몸체형성단계(S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예를 들면 창호지나 화선지 16 장을 포갠 후, 원형으로 오려서 종이몸체(10)를 형성하고, 이후 중앙에 몸체구멍(10a)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염색단계(S11)는, 피나무, 배나무 등을 이용하는 천연염색법을 사용하거나, 화학 물감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물을 끊여서 물감을 희석시킨 후, 빙초산(식초)이나 백반을 넣은 후 종이를 염색하고, 이후 염색된 종이를 응달에서 말린다. 이러한 염색단계는, 설명된 방법과는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개단형성단계(S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종이몸체(10)를 가장자리로부터 대략 몸체구멍(10a)이 근접된 위치까지 오리는 단계이며, 이 절개 단형성단계(S12)를 통하여 4 개의 절개단(11)을 형성한다.
수분함습단계(S13)는, 종이몸체(10)가 수분을 함습하게 함으로써, 후술할 접힘단형성단계(S14) 및 말음단형성단계(S15)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처리 단계이다.
접힘단형성단계(S14)는, 절개단(11)을 쿠션(미도시)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나이프를 몸체구멍(10a) 측을 향하도록 하고 촘촘하게 눌러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힘단(11a)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말음단형성단계(S15)는, 접힘단(11a)을 쿠션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접힘단(11a)의 상부를 그 접힘단의 형성 방향과 직각되도록 나이프로 촘촘하게 눌러 다수의 나이프흠(11b')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하여 접힘단(11a)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말리면서 말음단(11b)이 형성된다.
꽃잎형성단계(S16)는, 말음단형성단계(S15)에 의하여 접힘단(11a)과 말음단(11b)이 형성된 종이몸체(10)를 각각 분리한 후, 접힘단(11a)과 말음단(11b)을 펼치는 단계이다. 이 꽃잎형성단계(S16)를 통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둥글게 말아지며 전체적으로 부채살 형상을 가지는 꽃잎(12) 4 장이 형성된다.
꽃봉우리형성단계(S17)는, 꽃잎(12)이 형성된 종이몸체(10) 4장을, 머리(21)가 형성된 봉(20)에 차례대로 끼어넣는 단계이다.
여기서, 꽃봉우리를 형성하는 순서는, 꽃잎(12)이 형성된 종이몸체(10)를 상부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분리한 후, 미리 준비된 4 개의 봉(20)(20')(20'')(20''')에 차례대로 끼어넣는다. 여기서, 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4 개의 봉을 제1 봉(20), 제2봉(20'), 제3봉(20''), 제4봉(20''')이라 정의한다. 또한, 꽃잎(12)이 형성된 16 장의 포개어진 종이몸체(10)에서, 맨 상단으로부터 분리되는 종이몸체를 순서대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다섯번째, 여섯번째등으로 정의한 후 설명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종이몸체(10)를 제1봉(20)에 끼어넣고, 두번째 종이몸체(10')를 제2봉(20')에 끼어넣고, 세번째 종이몸체(10'')를 제3봉(20'')에 끼어넣고, 네번째 종이몸체(10''')를 제4봉(20''')에 끼어넣는다. 이후, 다섯번째 종이몸체(10)를 다시 제1봉(20)에 끼어넣고, 여섯번째 종이몸체(10')를 제2봉(20')에 끼어넣고, 일곱 번째 종이몸체(10'')를 제3봉(20'')에 끼어넣고, 여덟 번째 종이몸체(10''')는 제4봉(20''')에 끼어넣는다. 이후, 아홉번째 종이몸체(10)를 제1봉(20)에 끼어넣고, 열번째 종이몸체(10')를 제2봉(20')에 끼어넣고, 열한번째 종이몸체(10'')를 제3봉(20'')에 끼어넣고, 열두번째 종이몸체(10''')를 제4봉(20''')에 끼어넣는다. 그리고, 열세번째 종이몸체(10)를 다시 제1봉(20)에 끼어넣고, 열네번째 종이몸체(10')를 제2봉(20')에 끼어넣고, 열다섯번째 종이몸체(10''')를 제3봉(20'')에 끼어넣고, 열여섯번째 종이몸체(10''')를 제4봉(20''')에 끼어넣는다.
이때, 각각의 봉의 머리(21)에 가까운 종이몸체로부터 먼 종이몸체의 꽃잎들이 포개어질 수 있도록, 상부측의 꽃잎을 가장 좁게 오므리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바로 상부측의 꽃잎에 포개어지도록 오므리면 꽃봉우리(110)가 형성된다.
이후, 꽃봉우리(110)가 형성된 봉(20)에 꽃봉우리받침(30) 및 고깔(40)을 끼 어넣는 꽃봉우리받침끼움단계(S18) 및 고깔끼움단계(S19)와, 봉(20)에 잎사귀 형상으로 오린 잎사귀종이(50)를 붙이는 잎사귀종이부착단계(S20)를 수행하면,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살모란 지화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살모란 지화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종이를 포개어 원형으로 오려 4 개의 절개단을 형성한 후, 그 절개단을 나이프로 가공하여 접힘단과 말음단을 형성하고, 이후 종이몸체를 차례대로 분리한 후 접힘단과 말음단을 펼침으로써 끝단이 말아지고 전체적으로 부채살처럼 펼쳐진 꽃잎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꽃잎이 형성된 종이몸체를 4 개의 봉에 순서대로 끼우고, 꽃봉우리받침, 고깔을 끼움 후 종이잎사귀를 붙이면, 아름답고 매우 정교한 4 송이의 살모란 지화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즉,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손으로 직접 살모란 지화를 제조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다수의 종이를 포개어 원형으로 오리고 중심에 몸체구멍(10a)을 뚫어서 종이몸체(10)를 형성하는 종이몸체형성단계(S10);
    상기 종이몸체(10)를 4 방향에서 절개하여 4개의 절개단(11)을 형성하는 절개단형성단계(S12);
    상기 절개단(11)이 형성된 상기 종이몸체(10)를 수분이 함유될 수 있도록 적시는 수분함습단계(S13)와;
    상기 절개단(11)을 나이프를 이용하여 그 몸체구멍(10a) 방향으로 다수회 접어서 촘촘한 접힘단(11a)을 형성하는 접힘단형성단계(S14);
    4 개의 상기 절개단(11)에 형성된 접힘단(11a)의 상부면을 상기 몸체구멍(10a)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나이프로 눌러 촘촘한 나이프(11b')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접힘단(11a)을 둥글게 말아진 말음단(11b)으로 형성하는 말음단형성단계(S15);
    상기 말음단(11b)이 형성된 상기 종이몸체(10)를 각각 분리한 후, 분리된 상기 종이몸체(10)의 접힘단(11a)과 말음단(11b)을 펼침으로써, 끝단이 둥글게 말아지며 전체적으로 부채살 형상을 가지는 꽃잎(12)이 형성되도록 하는 꽃잎형성단계(S16);
    상단에 머리(21)가 형성된 봉(20)에 꽃잎(12)이 형성된 4 장의 종이몸체(10)를 차례대로 포개어 끼어넣음으로써 꽃봉우리(110)를 형성하는 꽃봉우리형성단 계(S17); 및
    상기 꽃봉우리(110)가 형성된 봉(20)에 그 꽃봉우리(110)를 지지하는 꽃봉우리받침(30)을 끼어넣는 꽃봉우리받침끼움단계(S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몸체(10)의 가장자리 또는 전부를 염색하는 염색단계(S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몸체형성단계(S10)는, 16 장의 종이를 포갠 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을 제1봉(20), 제2봉(20'), 제3봉(20'') 및 제4봉(20''')이라 정의하고, 상기 꽃잎(12)이 형성된 16장의 포개어진 종이몸체(10)에서, 맨 상단으로부터 분리되는 종이몸체를 순서대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다섯번째, 여섯번째등으로 정의할 때;
    첫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1봉(20)에 끼어넣고, 두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2봉(20')에 끼어넣고, 세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3봉(20'')에 끼어넣 고, 네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4봉(20''')에 끼어넣고, 다섯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1봉(20)에 끼어넣고, 여섯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2봉(20')에 끼어넣고, 일곱 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3봉(20'')에 끼어넣고, 여덟 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4봉(20''')에 끼어넣고, 아홉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1봉(20)에 끼어넣고, 열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2봉(20')에 끼어넣고, 열한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3봉(20'')에 끼어넣고, 열두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4봉(20''')에 끼어넣고, 열세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1봉(20)에 끼어넣고, 열네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2봉(20')에 끼어넣고, 열다섯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3봉(20'')에 끼어넣고, 열여섯번째 종이몸체(10''')는 상기 제4봉(20''')에 끼어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살모란 지화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모란 지화.
KR1020060115570A 2006-11-22 2006-11-22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 KR10076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70A KR100769273B1 (ko) 2006-11-22 2006-11-22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70A KR100769273B1 (ko) 2006-11-22 2006-11-22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273B1 true KR100769273B1 (ko) 2007-10-23

Family

ID=3881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570A KR100769273B1 (ko) 2006-11-22 2006-11-22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2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5024A (en) 1988-01-11 1989-05-30 Hallay Gary K Decorative article for a magnetizable surface
US5281452A (en) 1992-10-13 1994-01-25 Cheng Peter S C Artificial flow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00006915A (ko) * 1999-11-12 2000-02-07 조정환 종이를 이용한 조화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5024A (en) 1988-01-11 1989-05-30 Hallay Gary K Decorative article for a magnetizable surface
US5281452A (en) 1992-10-13 1994-01-25 Cheng Peter S C Artificial flow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00006915A (ko) * 1999-11-12 2000-02-07 조정환 종이를 이용한 조화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273B1 (ko) 살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모란 지화
KR100769282B1 (ko) 연꽃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연꽃 지화
US360000A (en) daknall
KR100769274B1 (ko) 모란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모란 지화
KR100769275B1 (ko) 수국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수국 지화
KR100769271B1 (ko) 살겹작약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살겹작약지화
JP3162444U (ja) 造花
KR100769276B1 (ko) 소국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소국 지화
KR101007502B1 (ko) 수국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수국 지화
KR100769279B1 (ko) 실국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실국 지화
US8122631B2 (en) Funeral flower
KR101066702B1 (ko) 국화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국화 지화
KR101007450B1 (ko) 작약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작약 지화
KR100769277B1 (ko) 국화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국화 지화
JP5830073B2 (ja) 葬祭用祭壇
KR101066774B1 (ko) 국화 지화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국화 지화
KR101492333B1 (ko) 양초 심지
CN106891657B (zh) 一种压花装饰品的制作保色方法
US5741562A (en) Artificial flower
JP7452912B1 (ja) 造花用の紙のグラデーションカラーリング方法
KR20150042517A (ko) 한지꽃 공예품 및 한지꽃 제작방법
CN209869562U (zh) 一种制作纸巾花的工具
JP6298751B2 (ja) 造花の製造方法および造花
JP3181388U (ja) 水引花
Yamazaki Japanese Paper Flowers: Elegant Kirigami Blossoms, Bouquets, Wreaths and M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