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073B1 -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 - Google Patents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073B1
KR100768073B1 KR1020060032340A KR20060032340A KR100768073B1 KR 100768073 B1 KR100768073 B1 KR 100768073B1 KR 1020060032340 A KR1020060032340 A KR 1020060032340A KR 20060032340 A KR20060032340 A KR 20060032340A KR 100768073 B1 KR100768073 B1 KR 10076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hat
mulberry
mold
ble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052A (ko
Inventor
장성우
장갑진
Original Assignee
장성우
장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우, 장갑진 filed Critical 장성우
Priority to KR102006003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07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8Hat-finishing, e.g. polishing, ironing, smoothing, brushing, impregnating, stiffen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는 제지 원료서만 사용되는 닥나무 껍질을 가공한 후 섬유질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모자 형상을 갖는 몰드에 한겹씩 풀을 도포하여 제작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면서 가볍고 통풍성 및 흡수성이 매우 우수한 친환경적인 모자를 특징으로 한다.
닥나무 껍질, 모자

Description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Th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of cap which using the paper mulberr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 모자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a, b, c는 본 발명 모자를 도시해 보인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모자 2: 박음질
3: 닥나무 껍질
본 발명은 주로 제지 원료서만 사용되는 닥나무 껍질을 가공하여 섬유질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소정의 모자 형상을 갖는 몰드에 한겹씩 풀을 붙혀 제작한 모자는 가볍고 통풍성 및 흡수성이 매우 우수한 친환경적인 모자를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랜전부터 닥나무에서 채취되는 껍질(수피(樹皮))을 한지, 문풍 지, 벽지 등으로 주로 사용하여 왔다.
닥나무 껍질은 겉껍질(흑피)과 속껍질(백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흑피를 제거한 백피를 닥방망이로 일정시간 두들겨서 닥섬유를 찧는 방법으로 섬유를 풀어주거나 또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섬유를 풀어주어 섬유질을 걸러낸 다음 섬유질과 기타 약제들을 적당량 물에 혼합하여 분사시킨 액으로 한지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닥나무 껍질을 사용하여 주로 사용되는 곳이 한지 등 일부에만 사용처가 국한되어 있어 현대에는 그 수요가 예전 같이 많지 않기때문에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닥나무 껍질을 현대의 흐름에 맞게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는 현실이다.
따라서 출원인은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를 자연친환경적인 모자를 제안하는 바이다.
한편 모자의 용도는 얼굴에 비추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멋을 내기위해 착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자를 장시간 머리에 착용하다보면 재질에 상관없이 모자를 착용한 머리는 외부와 통풍이 안되고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운 열기가 발생하면서 땀이 흘러내려 모자 내부가 금방 오염되어 더러워지고, 열을 식히기 위해 자꾸 모자를 벗어다 다시 쓰는 것을 반복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한지 등으로 국한 되는게 아니라 가볍고, 흡수 및 건조성이 매우 우수한 닥나무 껍질의 특성을 살려 가볍고 통풍성을 요구하는 모자에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요즘 우리사회에서 추구하고 있는 웰빙문화와 서로 맞물려 자연 친화적인 모자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질이 가볍고 통풍성 및 흡수성, 건조성이 우수한 닥나무 껍질을 사용하여 미리 제작된 모자 형태의 몰드를 따라 풀로 부착하여 완성한 모자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통풍성 및 흡수성, 건조성 등이 우수하나 섬유질이 비교적 약하고 섬유장이 짧아 주로 한지 등에 이용되는 닥나무 껍질(3)을 가볍고 통풍성을 요구하는 모자(1)와 결합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닥나무 껍질(3)을 가지고 모자(1)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닥나무를 채취한 후 껍질을 벗긴다.
상기 닥나무에서 벗겨진 껍질을 전부 다 사용하는게 아니라 겉껍질(흑피)과 속껍질(백피)로 분리하는 공정을 거쳐 섬유질인 속껍질(3)만 사용하고, 겁껍질은 폐기한다.
상기 분리된 닥나무 껍질(3)의 속껍질(백피)(3)을 용기에 넣고 150℃ ∼ 200℃ 에서 1시간 30분정도 삶은후 1시간 정도 뜸을 들이면 닥나무 속껍질(3)은 보다 유연해지고 섬유결속물질 및 비섬유질이 어느 정도 제거되면 겉껍질은 완전히 제거된다.
상기 겉껍질이 완전히 제거된 닥나무 속껍질(3)을 냉수로 3회 세척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세척된 닥나무 속껍질(3)을 하얗게 백피가 되도록 표백제를 사용하여 약 5 ∼ 6시간 정도 표백한다.
이때 표백제는 차염산 나트륨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표백한 닥나무 속껍질(3)을 찬물에 넣고 3회이상 세척하여 표백제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친다.
상기 표백제가 제거된 닥나무 속껍질(3)을 한겹씩 펼친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모자 형상을 갖는 몰드에 붙일 수 있도록 미리 밀가루나 찹쌀을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풀을 만들어 놓는다.
한편 닥나무 속껍질(3)을 붙여서 모자(1)를 만들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을 갖는 모자 몰드를 제작한다.
따라서 미리 제작된 모자 몰드에 작업자가 밀가루나 찹쌀로 만든 풀을 닥나무 속껍질(3)에 한겹씩 도포하여 적층하도록 붙인다.
이때 모자 몰드를 따라 닥나무 속껍질(3)을 한겹씩 붙일때 풀칠된 닥나무 속껍질(3)이 뭉친 것을 송곳등으로 넓게 펴주어 상온에서 모자를 건조시켜 모자 몰드에서 분리한 후 세척시 풀에 의해 부착된 닥나무 속껍질(3)이 풀어지지않고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자(1) 전체 또는 챙부분에 박음질(2)로 마무리하여 완성하 는 것이다.
또한 백피된 닥나무 속껍질(3)이 흰색 계통만 갖는게 아니라 착용자의 의류와 취향에 따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닥나무 속껍질(3)에서 표백제를 제거한 다음에 천연염료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공정단계를 거친다.
도 2는 본 발명 모자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닥나무 속껍질(백피)(3)을 한겹씩 미리 제작된 몰드에 따라 풀을 도포하여 적층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닥나무 속껍질(3)의 섬유질이 그대로 노출되어 가볍고 우수한 통풍성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상기 닥나무 속껍질(3)로 만든 모자(1)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될 경우 세척이 가능하며 풀에 의해 접착되었어도 물에 의해 접착력이 전혀 약해지지 않으며 풀어지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혹시라도 한겹씩 접착된 닥나무 속껍질(3)이 풀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내구성을 보강하는 차원에서 모자(1) 챙을 따라 박음질(2)을 하였다.
도 3a, b는 본 발명 모자를 도시해 보인 사진으로 도 3a는 백피상태의 닥나무 껍질을 한겹씩 붙여서 제조한 것을 도시해 보인 것이고, 도 3b는 백피상태의 닥나무 껍질을 한겹씩 붙여서 제조한 것을 확대해 보인 것이고, 도 3c는 백피상태의 닥나무 껍질을 천염염색한 것을 도시해 보인 것으로 섬유질에 따라 자연스럽게 통공되도록 기공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인 닥나무 껍질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모자를 제작하였을때 가볍고 통풍성 및 흡수성과 건조성이 우수하여 사용자에게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닥나무 속껍질의 섬유질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기존의 모자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닥나무를 채취한 후 껍질을 벗기는 공정과;
    상기 닥나무 껍질을 겉껍질(흑피)과 속껍질(백피)로 분리하는 공정과;
    상기 분리된 닥나무 껍질의 속껍질(백피)을 150℃ ∼ 200℃ 에서 1시간 30분삶은 후 1시간 뜸을 들이는 공정과;
    상기 삶아서 뜸을 들인 닥나무 속껍질을 냉수로 3회 세척하는 공정과;
    상기 세척된 닥나무 속껍질을 표백제를 사용하여 5 ∼ 6시간 표백하는 공정단계와;
    상기 표백한 닥나무 속껍질을 찬물에 넣고 3회 이상 세척하여 표백제를 제거하는 공정단계와;
    상기 표백제가 제거된 닥나무 속껍질을 미리 제작된 모자 형상의 몰드에 밀가루나 찹쌀로 만든 풀을 발라 한겹씩 적층되도록 붙이는 공정단계와;
    상기 모자 몰드를 따라 붙일때 뭉쳐진 닥나무 속껍질을 송곳으로 넓게 펴주는 공정단계와;
    상기 몰드를 따라 풀로 붙여서 완성된 모자가 풀어지지않고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박음질을 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닥나무 껍질의 표백제를 제거한 다음에 천연염료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공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3. 모자에 있어서,
    미리 제작된 모자 형상의 몰드를 따라 닥나무 껍질의 속껍질(백피)에 풀을 도포하여 한겹씩 적층하면 속 껍질의 섬유질에 의해 통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풀에 의해 접착된 닥나무 속껍질의 모자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챙부분에 박음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KR1020060032340A 2006-04-10 2006-04-10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 KR10076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340A KR100768073B1 (ko) 2006-04-10 2006-04-10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340A KR100768073B1 (ko) 2006-04-10 2006-04-10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052A KR20070101052A (ko) 2007-10-16
KR100768073B1 true KR100768073B1 (ko) 2007-10-18

Family

ID=3881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40A KR100768073B1 (ko) 2006-04-10 2006-04-10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915B1 (ko) * 2009-06-30 2012-05-08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닥섬유 몰딩성형물의 고견뢰염색방법
KR20240061326A (ko) 2022-10-31 2024-05-08 김남식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두피보호기능을 갖는 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42B1 (ko) * 2010-11-22 2013-03-29 (주)샤뽀 한지 모자의 제조 방법
KR101391032B1 (ko) * 2012-08-02 2014-04-30 한국니트산업연구원 인피섬유로부터 펄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47796B1 (ko) * 2012-10-31 2014-01-07 (주)샤뽀 갓형 모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71A (ko) * 2000-10-12 2001-01-05 안영상 광역 브이오디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0481713B1 (ko) * 2003-01-30 2005-04-11 김표영 배접지용 한지의 제조방법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671A (ko) * 2000-10-12 2001-01-05 안영상 광역 브이오디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0481713B1 (ko) * 2003-01-30 2005-04-11 김표영 배접지용 한지의 제조방법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817130000
2001671060000
201998005926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915B1 (ko) * 2009-06-30 2012-05-08 (재)한국섬유소재연구소 닥섬유 몰딩성형물의 고견뢰염색방법
KR20240061326A (ko) 2022-10-31 2024-05-08 김남식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두피보호기능을 갖는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052A (ko) 200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073B1 (ko) 닥나무 껍질을 이용한 모자 제조방법 및 모자
CN103494395A (zh) 一种以棕为主要材料的鞋子及其制作方法
TWI400376B (zh) Sun light can cloth
CN210390339U (zh) 一种服装用透气排汗面料
CN205682604U (zh) 一次性使用的吸汗鞋垫
KR101032226B1 (ko) 승화전사 자수물이 부착된 모자와 그 제조 방법
CN101099606A (zh) 可更换汗带式吸湿排汗帽子
CN103465532A (zh) 一种多功能香薰面料
KR102064943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가발 보조부재
KR101800206B1 (ko) 기능성 탈부착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모자
KR20120038061A (ko) 닥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스타킹
KR101893935B1 (ko) 운동용 덧신 및 그 제조방법
CN207747488U (zh) 一种可防发霉的防晒服
KR20060001890A (ko) 대나무섬유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0601076B1 (ko) 코코넛섬유질로 모자챙이 이루어진 모자
KR102250620B1 (ko) 대나무를 이용한 대나무 모자 제조방법
KR102667892B1 (ko)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두피보호기능을 갖는 모자
CN213675790U (zh) 一种防臭干爽型热风无纺布面料
KR20140065062A (ko) 한지실을 이용하여 직조된 직물지로 신발을 제조하는 방법
CN108968196A (zh) 一种透气性好的服装面料
CN215473666U (zh) 一种抗老化效果好的松紧带
JP3123470U (ja) カバー又はシーツ
TWI633223B (zh) Sunscreen light energy cloth (2)
CN216545195U (zh) 一种便于防晒的牛仔弹性面料
CN210821194U (zh) 一种高牢度不掉绒梭织植绒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