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006B1 -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 Google Patents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006B1
KR100768006B1 KR1020050126983A KR20050126983A KR100768006B1 KR 100768006 B1 KR100768006 B1 KR 100768006B1 KR 1020050126983 A KR1020050126983 A KR 1020050126983A KR 20050126983 A KR20050126983 A KR 20050126983A KR 100768006 B1 KR100768006 B1 KR 10076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magnetocaloric material
magnetic
case
excha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155A (ko
Inventor
이동관
신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006B1/ko
Priority to CN2006800419894A priority patent/CN101305250B/zh
Priority to JP2008539927A priority patent/JP4842327B2/ja
Priority to EP06812489.0A priority patent/EP1957890A4/en
Priority to PCT/KR2006/004653 priority patent/WO2007055506A1/en
Publication of KR2007006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006B1/ko
Priority to US12/118,377 priority patent/US76038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using magneto-caloric effects
    • F25B2321/002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using magneto-caloric effects with a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ag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격이 형성되게 자기열량재료편을 배치한 자기열교환유닛과, 이 자기열량유닛과 열교환하는 열전도유체가 별도로 순환하는 분리된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구성된 자기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magnetic heat-exchanging unit and magnetic refrigerator with the magnetic heat-exchanging unit}
도 1은 종래 회전 자석식 자기냉동기 내의 열전도유체 구성요소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파우더형 자기열량재료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자기열교환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냉동기의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자기열교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b 내지 도 6d는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로드형상의 자기열량재료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60,161 : 펌프 6,162 : 고온열교환기(실외기부)
12,163 : 저온열교환기(실내기부) 13 : 자기열교환실
17aa,17ab : 제1열전도유체 17bb,17bc : 제2열전도유체
112,212,312,412a,412b : 자기열량재료편(Gd)
113,213,313,413 : 자기열교환유닛 113a :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
113b : 저온측 자기열교환유닛 114,214,314,414 : 간격(공극)
115 : 케이스 115a : 깔때기부
115b : 받침편 130,131,132,133 : 파이프
118 : 회전판 140 : 영구자석(전자석)
144 : 모터 148 : 샤프트
160,161 : 펌프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62989호
미국특허공보 제6,668,560호
일본공표특허공보 특표2005-513393호
본 발명은 간격이 형성되게 자기재료열량편을 배치한 자기열교환유닛과, 이 자기열량유닛과 열교환하는 열전도유체가 별도로 순환하는 분리된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구성된 자기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기냉동기로서, 예컨대 위에서 기술된 공보들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자기냉동기는 1번으로 투입된 열전도유체는 2번으로 흐르는 동안, 자장이 인가된 자기열량재료가 가진 자기발열효과에 의해 가열되어진 열을 열전도유체가 흡수하여 2번 출구를 통해 파이프로 빠져나가므로 자기 열량재료를 냉각시킨다. 고온부는 3번 파이프를 지나 분배기(4)를 통해 펌프(5)를 거쳐 실외기부(고온열교환기)(6)를 통과한 후 자기열교환실(7)로 투입된다. 7번 파이프에서 고온부는 8번 파이프와 9번 파이프로 나뉘어 이동하며 10번에서 저온부로 만나 분배기(11)로 진행한다. 고온부가 7번에서 8번, 또한 9번에서 10번으로 이동할 때는 이미 고온부에 의해 차가워진 자기열량재료를 지나면서 냉각된다. 분배기(11)를 통과한 저온부는 실내기부(저온열교환기)(12)를 지나 13, 14, 15번 파이프로 이동하면서 똑같은 사이클이 지속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기냉동기는 12개의 자기열교환실과 4개의 분배기, 또한 24개 이상의 파이프 등을 사용함으로써 복잡하여 제조화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하나의 열전도유체가 순환하여 고온부와 저온부의 역할을 병행하므로 도 1을 보면 7번(고온부 입구)에서 고온부가 들어가, 냉각되어 있는 자기열량재료를 거치면서(도 2 참조) 저온부로 냉각되어 8번 출구로 나가기 때문에, 열교환의 효율이 떨어진다. 이때, 만약 7번에 투입되는 고온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열전도유체가 7번으로 들어가서, 냉각되어 있는 자기열량재료를 지나면 8번 출구에서는 더욱 낮은 온도의 열전도유체를 흘려 보낼 수 있으므로 열교환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온부를 통과하는 열전도유체의 양을 컨트롤할 수 없어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빠른 시간 안에 최대한 냉각시킬 수 없어, 열교환의 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파우더형의 자기열량재료가 열전도유체(냉각수)에 휩쓸려 유실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미세한 메쉬를 출입구에 사용해야 하므로 냉각수의 원 활한 순환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각수가 자기열량재료를 한번 뚫고 지나간 자리만 계속 지나가기 때문에 원만한 열교환이 어렵다.
또한, 냉각수가 자기열교환유닛으로 흘러들어가거나 나갈 때 미세한 크기의 가돌리늄 재료가 유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도우면서 열전도유체와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는 자기열교환유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부와 저온부를 분리 순환시켜 구조가 간소화되고 높은 열효율 및 열전도유체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는 자기냉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열교환유닛은 상하로 관통하는 케이스;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기열량재료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자기열량재료편은 서로 접촉하지 않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관통하는 케이스;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기열량재료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자기열량재료편은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이 일정한 로드형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도우면서 열전도유체와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자기냉동기는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자기열교환유닛;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자석;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의 고온측에 배치되는 고온열교환부재;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의 저온측에 배치되는 저온열교환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열전도유체는 상기 고온열교환부재에서 순환하는 제1열전도유체와, 상기 저온열교환부재에서 순환하는 제1열전도유체로 분리되고,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은 상하로 관통하는 케이스와,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기열량재료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고온부와 저온부를 분리 순환시켜 구조가 간소화되고 높은 열효율 및 열전도유체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장착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돌출된 케이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부는 깔때기 형상이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을 받치는 받침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자기열량재료편은 서로 접촉하지 않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판형상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이 일정한 로드형상이고, 상기 자기열 량재료는 가돌리늄(Gd)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형상의 자기열량재료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면, 열전도유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냉동기의 구성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자기열교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기냉동기는 복수개의 자기열교환유닛(113)과,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회전판(118)과,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자석(140)과,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의 고온측(113a)에 배치되는 고온열교환부재와,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의 저온측(113b)에 배치되는 저온열교환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전도유체(17a)(17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와 같은 액상의 열전도유체이며 상기 고온열교환부재에서 순환하는 제1열전도유체(17a)와, 상기 저온열교환부재에서 순환하는 제2열전도유체(17b)로 분리되어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고온열교환부재는 고온열교환기(162)와, 상기 고온열교환기(162)의 저온측 출구의 제1열전도유체(17aa)를 상기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a)으로 유동 시키는 제1파이프(130)와, 상기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a)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112)의 열을 흡수 가열된 제1열전도유체(17ab)를 상기 고온열교환기(162)의 고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2파이프(131)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저온열교환부재는 저온열교환기(163)와, 상기 저온열교환기(163)의 고온측 출구의 제2열전도유체(17bb)를 상기 저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b)으로 유동시키는 제3파이프(132)와, 상기 저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b)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112)로 열을 방출 냉각된 제2열전도유체(17bc)를 상기 저온열교환기(163)의 저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4파이프(1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은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자기열량재료편(11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 자기열량재료편(112)은 자장이 인가될 때 온도가 변화는 특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로는 미세한 크기의 분말인 가돌리늄(Gd)이 있다. 이 가돌리늄은 열전도유체의 흐름에 대해 침투성이 우수한 공극을 가지고 있고, 열의 흡수 및 방출이 우수하다.
제1실시예 : 자기열교환유닛(113)
도 5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자기열교환유닛(113)은 상하로 관통하는 케이스(115)와, 간격(114)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115)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기열량재료편(1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5)의 상부는 깔때기 형상이고, 상기 케이스(115)의 하부에는 상기 자기열량재료편(112)을 받치는 받침편(115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 침편(115b)은 가장자리에서 내측을 향하는 플랜지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때기 형상의 상부케이스(115a)는 상기 회전판(118)의 장착공에 걸려 지지되는 기능뿐만 아니라, 열전도체유체를 케이스 내부로 안내 집속하는 기능을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11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11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된 케이스(115)는 그 양측으로 자석(140)을 배치할 수 있어, 자장이 인가된 상태하에서 열전도유체가 흐르기 때문에, 열전도유체의 열교환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자기열량재료편(112)은 파우더형 가돌리늄을 판 형상으로 만든 뒤 케이스에 , 서로 접촉되지 않는 간격(114)으로 형성되게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 판형 자기열량재료편은, 열전도유체의 유동속도와 열교환율에 따라, 두께가 얇은 포일(foil)로부터 두꺼운 시트(sheet)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접촉 간격(114)을 갖는 판형 자기열량재료편(112)은 메쉬를 사용하지 않아도 재료손실이 없고, 열전도유체가 간격(114)을 통해 유동하기 때문에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뿐 아니라, 복수의 자기열량재료편(112) 전체에 골고루 접촉할 수 있고, 그리고 판의 넓은 면적과 접촉하기 때문에 기존의 열교환보다 높은 열교환효율을 얻을 수 있다.
제2실시예 : 자기열교환유닛(213)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자기열교환유닛(213)은 제1실시예의 판형 자기열량재료편(112) 대신에 로드형상의 자기열량재료편(21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즉, 원형단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로드 형상이다.
이같은 로드형상 자기열량재료편(212)은 랜덤하게 배치되더라도, 원형단면이라는 형상으로 인해 접촉 또는 비접촉시 그 사이마다 공극과 같은 간격(214)이 형성되어, 이 간격(214)을 통해 열전도유체를 유동시키면, 전술한 실시예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로드형상 자기열량재료편(212)은 줄(도면에서 볼 때 세로)에 배치되는 각각의 로드를 하나로 묶어(batch) 삽입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로드형상 자기열량재료편(212)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홈(213)이 형성되는 것이, 열전도유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열교환효율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 자기열교환유닛(313)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자기열교환유닛(313)은 제2실시예의 로드형 자기열량재료편(212)의 랜덤 배열 대신에, 제1실시예의 판형 자기열량재료편(112)과 같은 형태로 배열하여 간격(314)을 형성한 로드형 자기열량재료편(31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로드형 자기열량재료편(312)도 줄(도면에서 볼 때 세로)에 배치되는 각각의 로드를 하나로 묶어(batch) 삽입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로드형상 자기열량재료편(312)에서도, 도 7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 자기열교환유닛(413)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의 자기열교환유닛(413)은 로드형 자기열량재료편(412a)과 판형 자기열량재료편(412b)을 간격(414)이 형성되게 조합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회전판(118)은 그 중심에 결합된 샤프트(148)를 회전시키는 모터(144)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판(118)의 원주방향에는 전술한 자기열교환유닛(113, 213, 313 또는 413)이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판(118)에는 장착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천공 설치되고, 이 장착공에는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 자기열교환유닛(113, 213, 313 또는 413)이 장착되게 된다.
이하, 본 제1실시예의 자기열교환유닛(113)이 채택된 자기냉동기의 사이클을 설명하는데, 실외기부(162)와 열교환하는 대기온도와 실내기부(163)와 열교환하는 실내온도는 26℃로 하고, 자기열량재료의 특성을 실험한 결과, 평상시 자기열량재료가 자화되면 대기온도보다 3℃ 정도 올라가며, 또한 열전도유체로 냉각시키면 대기온도보다 3℃ 정도 내려가는 특징을 가만해서 숫자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4)에 의해 회전판(118)이 회전하며 그에 따라 자기열교환유닛(113)들은 차례로 자석(140), 고온열교환부 및 저온열 교환부을 통과한다.
자석(140)을 통과한 자기열교환유닛(113a)은 자기열량재료편이 가진 자기발열효과로 뜨거워지고(29℃), 이 열은 자기열량재료편(112)을 지나는 제1파이프(130)의 제1열전도유체(17aa)에 의해 26℃로 냉각됨과 동시에 제1열전도유체(17ab)는 29℃로 가열된다. 가열된 제1열전유체(17ab)는 제2파이프(131)를 통해 고온열교환기(162)를 통과하여 열을 방출하고, 26℃의 온도로 냉각된 제1열전도유체(17aa)는 제1파이프(130)를 통해 다시 자기열교환유닛(113)을 통과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제1열전도유체에 의해 열을 빼앗긴 자기열량재료편(26℃)은 저온열교환부로 이동하는 동안 온도는 23℃로 내려간다. 이 23℃의 자기열량재료편(113b)은 제3파이프(132)의 제2열전도유체(17bb)(26℃)를 거치면서 잃었던 자신의 열을 26℃로 다시 회복한 반면에 그 제2열전도유체의 온도는 23℃로 내려간다. 냉각된 제2열전도유체(17bc)는 제4파이프(133)를 통해 저온열교환기(163)를 통과하여 차가운 공기(23℃)를 방출하고, 26℃의 온도로 가열된 제2열전도유체(17bb)는 제3파이프(132)를 통해 다시 자기열교환유닛(113)을 통과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때, 제2파이프(131)와 제4파이프(133)에는 각각 펌프(160,161)가 설치되어, 제1열전도유체(17aa,17ab)와 제2열전도유체(17bb,17bc)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전도유체의 순환을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하여 2개의 사이클로 만들고 원형의 회전판(118)에 자기열교환유닛(113)을 장착하여 고온 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 사이에서 회전시켜 열교환시킴으로써 자기냉동사이클의 구조를 크게 간단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대기온도의 열전도유체가 자기열량재료편에 투입되므로 재료의 상태에 따라 열전도유체가 기존보다 더욱 가열되며 또한 더욱 냉각되기에 열교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되어 있어, 제1열전도유체와 제2열전도유체의 양을 서로 다르게 유동시킬 수 있는 컨트롤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에 많은 양의 제1열전도유체를 흘려 보내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빠른시간 안에 최대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자석(140)은 대향하는 영구자석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자석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자기열교환유닛이 상하로 관통하는 케이스와,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기열량재료편으로 구성됨으로써, 간격 사이로 열전도유체가 유동할 수 있어, 한번 지나간 자리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의 자기열량재료편과 열전도유체간의 균일한 접촉을 통한 열교환효율을 높이고, 메쉬의 사용 이 불필요하여 열전도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다.
또한, 상기 로드형상의 자기열량재료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면, 열전도유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이 판형 또는 로드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유실 우려가 거의 없다.
또한, 열전도유체의 순환을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하여 2개의 사이클로 만들고 원형의 회전판에 자기열량재료를 장착하여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 사이에서 회전시켜 열교환시킴으로써 자기냉동사이클의 구조를 크게 간단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되어 있어, 제1열전도유체와 제2열전도유체의 양을 서로 다르게 유동시킬 수 있는 컨트롤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에 많은 양의 제1열전도유체를 흘려 보내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빠른시간 안에 최대한 냉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상하로 관통하고 곧게 뻗은 케이스;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기열량재료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자기열량재료편은, 그 길이방향이 액상 열전도유체의 흐름과 평행하도록, 서로 접촉하지 않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판형상이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을 받치는 받침편이 상기 액상 열전도유체의 흐름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용 자기열교환유닛.
  2. 상하로 관통하고 곧게 뻗은 케이스;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기열량재료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자기열량재료편은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이 일정한 로드형상으로서, 그 길이방향이 액상 열전도유체의 흐름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을 받치는 받침편이 상기 액상 열전도유체의 흐름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용 자기열교환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형상의 자기열량재료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용 자기열교환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는 깔때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용 자기열교환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은 가돌리늄(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용 자기열교환유닛.
  6. 삭제
  7.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자기열교환유닛;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자석;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의 고온측에 배치되는 고온열교환부재;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의 저온측에 배치되는 저온열교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은 상하로 관통하는 케이스와,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기열량재료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판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채 장착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돌출된 케이스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는 깔때기 형상이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을 받치는 받침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기열량재료편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판형상이고,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은 가돌리늄(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기열량재료편은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단면이 일정한 로드 형상이고,
    상기 자기열량재료편은 가돌리늄(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KR1020050126983A 2005-11-10 2005-12-21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KR10076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83A KR100768006B1 (ko) 2005-12-21 2005-12-21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CN2006800419894A CN101305250B (zh) 2005-11-10 2006-11-09 磁致冷器
JP2008539927A JP4842327B2 (ja) 2005-11-10 2006-11-09 磁気冷凍機
EP06812489.0A EP1957890A4 (en) 2005-11-10 2006-11-09 MAGNETIC COOLING DEVICE
PCT/KR2006/004653 WO2007055506A1 (en) 2005-11-10 2006-11-09 Magnetic refrigerator
US12/118,377 US7603865B2 (en) 2005-11-10 2008-05-09 Magnetic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83A KR100768006B1 (ko) 2005-12-21 2005-12-21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155A KR20070066155A (ko) 2007-06-27
KR100768006B1 true KR100768006B1 (ko) 2007-10-18

Family

ID=3836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983A KR100768006B1 (ko) 2005-11-10 2005-12-21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399B1 (ko) 2016-10-05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 냉각 시스템
KR101866840B1 (ko) * 2012-03-26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냉각장치
KR20190004626A (ko) * 2017-07-04 2019-01-14 신승현 자냉식 쿨링팬을 이용한 냉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325A (en) * 1981-11-27 1984-04-10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Refrigerating or heat pumping process and apparatus
JPH0370944A (ja) * 1989-08-08 1991-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冷凍機を使用した空気調和装置
KR20020068488A (ko) * 2002-08-01 2002-08-27 주식회사 케이엔솔텍 통신장비 및 기계장치 함체의 냉각용 복합 열교환장치
KR20050047796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기냉동을 이용한 에어컨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325A (en) * 1981-11-27 1984-04-10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Refrigerating or heat pumping process and apparatus
JPH0370944A (ja) * 1989-08-08 1991-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冷凍機を使用した空気調和装置
KR20020068488A (ko) * 2002-08-01 2002-08-27 주식회사 케이엔솔텍 통신장비 및 기계장치 함체의 냉각용 복합 열교환장치
KR20050047796A (ko) * 2003-11-18 2005-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기냉동을 이용한 에어컨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840B1 (ko) * 2012-03-26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냉각장치
KR101814399B1 (ko) 2016-10-05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 냉각 시스템
KR20190004626A (ko) * 2017-07-04 2019-01-14 신승현 자냉식 쿨링팬을 이용한 냉각 장치
KR101961122B1 (ko) 2017-07-04 2019-03-25 신승현 자냉식 쿨링팬을 이용한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155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521B1 (ko) 자기냉동기
KR100761666B1 (ko) 능동자기냉동기
JP4842327B2 (ja) 磁気冷凍機
JP2009524796A (ja) 能動磁気冷凍機
US9677792B2 (en) Magnetic refrigeration system with separated inlet and outlet flow
RU2436022C2 (ru) Генератор тепла, содержащий магнитокалор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KR100647854B1 (ko) 자기냉동기
RU2092753C1 (ru) Холодильный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блок
KR100647852B1 (ko) 자기냉동기
KR100716007B1 (ko) 능동자기냉동기
CN105310358A (zh) 一种固态风扇耦合半导体恒温恒湿文物陈展柜
KR100768006B1 (ko)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KR10153070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이동식 온냉 겸용 에어컨
KR100684527B1 (ko) 자기냉동기용 자기열교환유닛
JP4618529B2 (ja) 氷蓄熱式空気調和装置
KR100728495B1 (ko)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KR100806716B1 (ko) 자석 회전식 자기냉동기
KR20130108765A (ko) 자기냉각장치
KR100768010B1 (ko) 왕복식 자기냉동기
KR100306513B1 (ko) 열전소자의냉각효율을증진시키는냉각관과이냉각관을이용한냉방장치
JP2004270997A (ja) ドレン水蒸発装置
KR101819522B1 (ko) 자기 냉각 시스템
KR20040042482A (ko) 냉방시스템
KR20020010330A (ko) 냉열소자를 이용한 보일러장치
KR200209727Y1 (ko) 냉열소자를 이용한 보일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