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852B1 - 자기냉동기 - Google Patents

자기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852B1
KR100647852B1 KR1020050107306A KR20050107306A KR100647852B1 KR 100647852 B1 KR100647852 B1 KR 100647852B1 KR 1020050107306 A KR1020050107306 A KR 1020050107306A KR 20050107306 A KR20050107306 A KR 20050107306A KR 100647852 B1 KR100647852 B1 KR 100647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t
heat exchange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훈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0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852B1/ko
Priority to CN2006800419894A priority patent/CN101305250B/zh
Priority to JP2008539927A priority patent/JP4842327B2/ja
Priority to EP06812489.0A priority patent/EP1957890A4/en
Priority to PCT/KR2006/004653 priority patent/WO200705550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852B1/ko
Priority to US12/118,377 priority patent/US76038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using magneto-caloric effects
    • F25B2321/0021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using magneto-caloric effects with a static fixed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using magneto-caloric effects
    • F25B2321/002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using magneto-caloric effects with a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ag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가 분리 독립되어 별개의 열전도유체가 순환하는 자기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 사이에 중간순환부가 배치된 자기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냉동기{magnetic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회전 자석식 자기냉동기 내의 열전도유체 구성요소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자기열량재료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자기열교환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냉동기의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자기열교환유닛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냉동기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60,161 : 펌프 6,162 : 고온열교환기(실외기부)
12,163 : 저온열교환기(실내기부) 13 : 자기열교환실
17aa,17ab : 제1열전도유체 17bb,17bc : 제2열전도유체
112 : 자기열량재료(Gd) 113 : 자기열교환유닛
113a :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 113b : 저온측 자기열교환유닛
115 : 장착통 116,117 : 메쉬
118 : 회전판 130,131,132,133 : 파이프
140 : 자석 144 : 모터
148 : 샤프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62989호
미국특허공보 제6,668,560호
일본공표특허공보 특표2005-513393호
본 발명은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가 분리 독립되어 별개의 열전도유체가 순환하는 자기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 사이에 중간순환부가 배치된 자기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기냉동기로서, 예컨대 위에서 기술된 공보들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자기냉동기는 1번으로 투입된 열전도유체는 2번으로 흐르는 동안, 자장이 인가된 자기열량재료가 가진 자기발열효과에 의해 가열되어진 열을 열전도유체가 흡수하여 2번 출구를 통해 파이프로 빠져나가므로 자기열량재료를 냉각시킨다. 고온부는 3번파이프를 지나 분배기(4)을 통해 펌프(5)을 거쳐 실외기부(고온열교환기)(6)을 통과한 후 자기열교환실(7)로 투입된다. 7번파이프에서 고온부는 8번파이프와 9번파이프로 나뉘어 이동하며 10번에서 저온부로 만나 분배기(11)로 진행한다. 고온부가 7번에서 8번, 또한 9번에서 10번으로 이동할 때는 이미 고온부에 의해 차가워진 자기열량재료를 지나면서 냉각된다. 분배기(11)을 통과한 저온부는 실내기부(저온열교환기)(12)을 지나 13, 14, 15번파이프로 이동하면서 똑 같은 사이클이 지속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기냉동기는 12개의 자기열교환실과 4개의 분배기, 또한 24개 이상의 파이프 등을 사용하므로써 복잡하여 제조화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하나의 열전도유체가 순환하여 고온부와 저온부의 역할을 병행하므로 도 1을 보면 7번(고온부 입구)에서 고온부가 들어가, 냉각되어 있는 자기열량재료를 거치면서(도 2 참조) 저온부로 냉각되어 8번 출구로 나가기 때문에, 열교환의 효율이 떨어진다. 이때, 만약 7번에 투입되는 고온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열전도유체가 7번으로 들어가서, 냉각되어 있는 자기열량재료를 지나면 8번 출구에서는 더욱 낮은 온도의 열전도유체를 흘려 보낼 수 있으므로 열교환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온부를 통과하는 열전도유체의 양을 컨트롤할 수 없어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빠른 시간안에 최대한 냉각시킬 수 없어, 열교환의 효율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전도유체의 온도 변화를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부와 저온부를 분리 순환시켜 구조가 간소화되고 높은 열효율 및 열전도유체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는 자기냉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냉동기는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자기열량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자기열교환유닛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제1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1자석;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의 고온측에 배치되는 고온열교환부재;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자기열량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자기열교환유닛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제2회전판; 상기 제2회전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자기열교환유닛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2자석;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의 저온측에 배치되는 저온열교환부재;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의 저온측과 상기 제2자기열교환유닛의 고온측을 순환하는 중간순환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전도유체의 온도 변화를 넓힐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부와 저온부를 분리 순환시켜 구조가 간소화되고 높은 열효율 및 열전도유체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고온열교환부재는 고온열교환기와, 상기 고온열교환기의 저온측 출구의 제1열전도유체를 상기 고온측 제1자기열교환유닛으로 유동시키는 제1파이프와, 상기 고온측 제1자기열교환유닛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흡수 가열된 제1열전도유체를 상기 고온열교환기의 고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2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저온열교환부재는 저온열교환기와, 상기 저온열교환기의 고온측 출구의 제2열전도유체를 상기 저온측 제2자기열교환유닛으로 유동시키는 제3파이프와,
상기 저온측 제2자기열교환유닛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로 열을 방 출 냉각된 제2열전도유체를 상기 저온열교환기의 저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4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은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는 장착통; 상기 장착통의 양단에 설치되는 메쉬; 상기 메쉬 사이의 장착통 내에 포함되는 상기 자기열량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기열량재료는 가돌리늄(Gd)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냉동기의 구성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자기열교환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기냉동기는 복수개의 자기열교환유닛(113)과,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회전판(118)과, 상기 회전판(118)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자석(140)과,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의 고온측(113a)에 배치되는 고온열교환부재와,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의 저온측(113b)에 배치되는 저온열교환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전도유체는 상기 고온열교환부재에서 순환하는 제1열전도유체(17a)와, 상기 저온열교환부재에서 순환하는 제2열전도유체(17b)로 분리되어 사이클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고온열교환부재는 고온열교환기(162)와, 상기 고온열교환기(162)의 저온측 출구의 제1열전도유체(17aa)를 상기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a)으로 유동시키는 제1파이프(130)와, 상기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a)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112)의 열을 흡수 가열된 제1열전도유체(17ab)를 상기 고온열교환기(162)의 고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2파이프(131)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저온열교환부재는 저온열교환기(163)와, 상기 저온열교환기(163)의 고온측 출구의 제2열전도유체(17bb)를 상기 저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b)으로 유동시키는 제3파이프(132)와, 상기 저온측 자기열교환유닛(113b)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112)로 열을 방출 냉각된 제2열전도유체(17bc)를 상기 저온열교환기(163)의 저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4파이프(1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은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자기열량재료(11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 자기열량재료(112)는 자장이 인가될 때 온도가 변화는 특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특성이 우수한 재료로는 가돌리늄(Gd)이 있다. 이 가돌리늄은 열전도유체의 흐름에 대해 침투성이 우수한 공극을 가지고 있고, 열의 흡수 및 방출이 우수하다.
회전판(118)은 그 중심에 결합된 샤프트(148)를 회전시키는 모터(144)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판(118)의 원주방향에는 자기열량재료(112)가 소정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즉, 회전판(118)에는 장착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천공 설치되고, 이 장착공에는 도 5에 도시한 자기열교환유닛(113)이 장착되게 된다.
자기열교환유닛(113)은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는 장착통(115)과, 상기 장착통(115)의 양단에 설치되는 메쉬(116,117)와, 상기 메쉬(116,117) 사이의 장착통(115) 내에 포함되는 상기 자기열량재료(112)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118)에 장착하기 용이하다.
자석(140)은 제1파이프(130)와 제2파이프(131)의 직전의 회전판(118) 상하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자기열교환유닛(113)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구성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자기냉동기의 사이클을 설명하는데, 실외기부(162)와 열교환하는 대기온도와 실내기부(163)와 열교환하는 실내온도는 26℃로 하고, 자기열량재료의 특성을 실험한 결과, 평상시 자기열량재료가 자화되면 대기온도보다 3℃ 정도 올라가며, 또한 열전도유체로 냉각시키면 대기온도보다 3℃ 정도 내려가는 특징을 가만해서 숫자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44)에 의해 회전판(118)이 회전하며 그에 따라 자기열교환유닛(113)들은 차례로 자석(140), 고온열교환부 및 저온열교환부을 통과한다.
자석(140)을 통과한 자기열교환유닛(113a)은 자기열량재료(112)가 가진 자기발열효과로 뜨거워지고(29℃), 이 열은 자기열량재료(112)를 지나는 제1파이프(130)의 제1열전도유체(17aa)에 의해 26℃로 냉각됨과 동시에 제1열전도유체(17ab)는 29℃로 가열된다. 가열된 제1열전유체(17ab)는 제2파이프(131)를 통해 고온열교환기(162)를 통과하여 열을 방출하고, 26℃의 온도로 냉각된 제1열전도유체(17aa) 는 제1파이프(130)를 통해 다시 자기열교환유닛(113)을 통과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제1열전도유체에 의해 열을 빼앗긴 자기열량재료(26℃)는 저온열교환부로 이동하는 동안 온도는 23℃로 내려간다. 이 23℃의 자기열량재료(113b)는 제3파이프(132)의 제2열전도유체(17bb)(26℃)를 거치면서 잃었던 자신의 열을 26℃로 다시 회복한 반면에 그 제2열전도유체의 온도는 23℃로 내려간다. 냉각된 제2열전도유체(17bc)는 제4파이프(133)를 통해 저온열교환기(163)를 통과하여 차가운 공기(23℃)를 방출하고, 26℃의 온도로 가열된 제2열전도유체(17bb)는 제3파이프(132)를 통해 다시 자기열교환유닛(113)을 통과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때, 제2파이프(131)와 제4파이프(133)에는 각각 펌프(160,161)가 설치되어, 제1열전도유체(17aa,17ab)와 제2열전도유체(17bb,17bc)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전도유체의 순환을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하여 2개의 사이클로 만들고 원형의 회전판(118)에 자기열량재료(112)를 장착하여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사이에서 회전시켜 열교환시킴으로써 자기냉동사이클의 구조를 크게 간단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대기온도의 열전도유체가 자기열량재료에 투입되므로 재료의 상태에 따라 열전도유체가 기존보다 더욱 가열되며 또한 더욱 냉각되기에 열교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되어 있어, 제1열전도유체와 제2 열전도유체의 양을 서로 다르게 유동시킬 수 있는 컨트롤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에 많은 양의 제1열전도유체를 흘려 보내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빠른시간 안에 최대한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 사이클을 구현함으로써, 열전도유체의 온도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즉, 도 6의 자기냉동기는 모터, 자석, 실내외기, 자기열량재료가 삽입된 자기열교환유닛이 장착된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으로 구성된다. 모터에 의해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이 동시에 회전하며 그에 따라 제1자기열교환유닛과 제2자기열교환유닛들은 차례로 자석, 고온부 및 저온부을 통과한다.
제1회전판을 보면, 제1자석을 통과한 제1자기열교환유닛은 자기열량재료가 가진 자기발열효과에 의해 뜨거워지고 이 열은 자기열량재료를 지나는 제1열전도유체에 의해 냉각됨과 동시에 제1열전도유체는 가열된다.
가열된 제1열전도유체는 실외기부를 통과하여 열을 방출하며 다시 제1자기열교환유닛을 통과하는 싸이클을 반복한다.
첫번째 고온부의 제1열전도유체에 의해 열을 빼앗긴(1차 냉각) 자기열량재료는 중간 저온부 열전도유체를 거치면서 다시 잃었던 자신의 열을 되찾는 반면에 그 중간열전도유체의 온도는 23℃로 내려간다.
2차 냉각된 중간열전도유체는 제2회전판의 제2자석에서 자화되어 29℃로 발열된 자기열량재료를 지나가면서(3차 냉각) 자신의 본래 온도로 되돌아가며 다시 2차 냉각으로 되돌아가면서 사이클이 반복된다.
3차 냉각에서 1,2차냉각 때보다 낮은 온도의 중간열전도유체로 냉각됨으로써 자기열량재료의 온도는 더욱 떨어지며, 비로써 4차 냉각을 통하여서 최저의 냉각온도인 20℃로 실내기에 들어가 실내온도를 내린다.
이를 숫자로 간단히 정리하면, 대기온도가 26℃일 때 제1회전판(윗판)의 제1자석에 의해 가열된 자기열량재료온도가 29℃로 올라가며 대기온도인 26℃의 제1열전도유체(17aa)로 1차 냉각시킬 때 자기열량재료는 23℃로 냉각되는 반면에 제1열전도유체(17ab)의 온도는 29℃로 올라가 실외부기를 통과하여 열을 방출하고 다시 대기온도로 제1자기열교환유닛을 통과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대기온도인 26℃의 중간열전도유체가 23℃인 자기열량재료를 만나 2차 냉각되면, 자기열량재료는 원래 자신의 온도인 대기온도로 돌아가는 반면에 중간열전도유체는 23℃로 내려간다.
23℃인 중간열전도유체가 제2회전판(아랫판)에서 자화되어 발열된 자기열량재료(29℃)를 3차 냉각하면서 자신의 본래 온도인 26℃가 되며 다시 2차 냉각으로 되돌아가면서 사이클이 반복된다.
자기열량재료는 3차 냉각에서 23℃의 중간열전도유체로 냉각됨으로써 23℃로 떨어지며, 비로써 4차 냉각을 통하여서 20℃의 냉각온도로 실내기에 들어가 실내온도를 20℃로 유지한다.
제1자기열량유닛의 저온측과 제2자기열량유닛의 고온측 사이을 순환하는 중간열전도유체를 안내하는 중간순환부재에 의해, 2차 냉각에서 4차 냉각으로 더 많은 냉각의 기회를 통하여 열전도유체의 온도 변화를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냉동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자기냉동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2단 사이클로 구현함으로써 2차냉각에서 4차냉각으로 더 많은 냉각의 기회를 통하여 열전도유체의 온도 변화를 넓힐 수 있어, 자기냉동의 분야나 자기열교환냉동장치의 응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열전도유체의 순환을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하여 2개의 사이클로 만들고 원형의 회전판에 자기열량재료를 장착하여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사이에서 회전시켜 열교환시킴으로써 자기냉동사이클의 구조를 크게 간단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대기온도의 열전도유체가 자기열량재료에 투입되므로 재료의 상태에 따라 열전도유체가 기존보다 더욱 가열되며 또한 더욱 냉각되기에 열교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온열교환부와 저온열교환부로 분리되어 있어, 제1열전도유체와 제2열전도유체의 양을 서로 다르게 유동시킬 수 있는 컨트롤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온측 자기열교환유닛에 많은 양의 제1열전도유체를 흘려 보내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빠른시간 안에 최대한 냉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자기열량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1자기열교환유닛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제1회전판;
    상기 제1회전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1자석;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의 고온측에 배치되는 고온열교환부재;
    열전도유체의 흐름을 통과시키는 자기열량재료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2자기열교환유닛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제2회전판;
    상기 제2회전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자기열교환유닛이 통과할 때 자장을 인가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제2자석;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의 저온측에 배치되는 저온열교환부재;
    상기 제1자기열교환유닛의 저온측과 상기 제2자기열교환유닛의 고온측을 순환하는 중간순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열교환부재는 고온열교환기와, 상기 고온열교환기의 저온측 출구의 제1열전도유체를 상기 고온측 제1자기열교환유닛으로 유동시키는 제1파이프와, 상 기 고온측 제1자기열교환유닛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의 열을 흡수 가열된 제1열전도유체를 상기 고온열교환기의 고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2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저온열교환부재는 저온열교환기와, 상기 저온열교환기의 고온측 출구의 제2열전도유체를 상기 저온측 제2자기열교환유닛으로 유동시키는 제3파이프와,
    상기 저온측 제2자기열교환유닛을 통과하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로 열을 방출 냉각된 제2열전도유체를 상기 저온열교환기의 저온측 입구로 유동시키는 제4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열교환유닛은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는 장착통; 상기 장착통의 양단에 설치되는 메쉬; 상기 메쉬 사이의 장착통 내에 포함되는 상기 자기열량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열량재료는 가돌리늄(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냉동기.
KR1020050107306A 2005-11-10 2005-11-10 자기냉동기 KR100647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306A KR100647852B1 (ko) 2005-11-10 2005-11-10 자기냉동기
CN2006800419894A CN101305250B (zh) 2005-11-10 2006-11-09 磁致冷器
JP2008539927A JP4842327B2 (ja) 2005-11-10 2006-11-09 磁気冷凍機
EP06812489.0A EP1957890A4 (en) 2005-11-10 2006-11-09 MAGNETIC COOLING DEVICE
PCT/KR2006/004653 WO2007055506A1 (en) 2005-11-10 2006-11-09 Magnetic refrigerator
US12/118,377 US7603865B2 (en) 2005-11-10 2008-05-09 Magnetic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306A KR100647852B1 (ko) 2005-11-10 2005-11-10 자기냉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7852B1 true KR100647852B1 (ko) 2006-11-23

Family

ID=37712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306A KR100647852B1 (ko) 2005-11-10 2005-11-10 자기냉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8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29A1 (en) * 2012-01-16 201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96725A (ko) * 2012-12-17 2015-08-25 애스트로노틱스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자기 냉각 시스템들의 단방향 흐름 모드들의 사용
KR20150107235A (ko) * 2014-03-13 201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냉각장치
KR101634293B1 (ko) 2015-04-28 2016-07-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ce 소재 및 imce 소재를 이용한 자기 냉각 장치
KR101866840B1 (ko) * 2012-03-26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냉각장치
KR20190004626A (ko) * 2017-07-04 2019-01-14 신승현 자냉식 쿨링팬을 이용한 냉각 장치
CN114251866A (zh) * 2022-03-01 2022-03-29 南通市海门雪盾冷冻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磁制冷机的传动机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29A1 (en) * 2012-01-16 201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17588B2 (en) 2012-01-16 201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6840B1 (ko) * 2012-03-26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냉각장치
KR20150096725A (ko) * 2012-12-17 2015-08-25 애스트로노틱스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자기 냉각 시스템들의 단방향 흐름 모드들의 사용
KR101639544B1 (ko) 2012-12-17 2016-07-13 애스트로노틱스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자기 냉각 시스템들의 단방향 흐름 모드들의 사용
KR20150107235A (ko) * 2014-03-13 2015-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냉각장치
KR102149720B1 (ko) 2014-03-13 202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냉각장치
KR101634293B1 (ko) 2015-04-28 2016-07-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ce 소재 및 imce 소재를 이용한 자기 냉각 장치
KR20190004626A (ko) * 2017-07-04 2019-01-14 신승현 자냉식 쿨링팬을 이용한 냉각 장치
KR101961122B1 (ko) 2017-07-04 2019-03-25 신승현 자냉식 쿨링팬을 이용한 냉각 장치
CN114251866A (zh) * 2022-03-01 2022-03-29 南通市海门雪盾冷冻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磁制冷机的传动机构
CN114251866B (zh) * 2022-03-01 2022-06-07 南通市海门雪盾冷冻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磁制冷机的传动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521B1 (ko) 자기냉동기
CN112437859B (zh) 具有旋转热交换器的磁热热二极管组件
JP4842327B2 (ja) 磁気冷凍機
KR100647852B1 (ko) 자기냉동기
KR100761666B1 (ko) 능동자기냉동기
KR100647854B1 (ko) 자기냉동기
JP2009524796A (ja) 能動磁気冷凍機
CN107726663B (zh) 磁热交换系统、磁热式制冷装置及热弹性冷却设备
CN103307658A (zh) 一种热交换器及一种机柜
KR100716007B1 (ko) 능동자기냉동기
CN110345681A (zh) 一种蓄冷器和磁制冷系统和控制方法
RU2435110C2 (ru) Блок охлаждения
KR101954538B1 (ko) 자기 냉각 시스템
KR100684527B1 (ko) 자기냉동기용 자기열교환유닛
KR10153070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이동식 온냉 겸용 에어컨
CN102317710B (zh) 磁热热发生器
KR100728495B1 (ko)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KR100768006B1 (ko) 자기열교환유닛 및 이를 채택한 자기냉동기
KR101819522B1 (ko) 자기 냉각 시스템
KR101060512B1 (ko) 냉·온수 생성장치
CN112424543B (zh) 具有传热流体回路的磁热热二极管组件
KR20120043916A (ko) 열교환 장치
KR100306513B1 (ko) 열전소자의냉각효율을증진시키는냉각관과이냉각관을이용한냉방장치
CN217685503U (zh) 空调室外机及空调器
JP4767207B2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