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7577B1 -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7577B1
KR100767577B1 KR1020060099099A KR20060099099A KR100767577B1 KR 100767577 B1 KR100767577 B1 KR 100767577B1 KR 1020060099099 A KR1020060099099 A KR 1020060099099A KR 20060099099 A KR20060099099 A KR 20060099099A KR 100767577 B1 KR100767577 B1 KR 100767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ocket
shelf
main body
show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5014A (ko
Inventor
쯔또무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integral with starter hold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정된 소켓의 설치 및 조명등의 교환 작업을 실현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쇼케이스(1)는 양단부에 각각 단자(14A)를 갖는 조명등(14)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조명등(14)을 본체의 전원(37)에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소켓(22)을 구비하고, 각 소켓(22)은 적어도 조명등측이 되는 면이 개방된 하우징(25)과, 단자(14A)의 진입을 허용한 상태에서 하우징(25)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6)로 이루어지고, 하우징(25)은 내부에 단자(14A)가 접속되는 급전부(35)가 수납된 접속부(29)와, 조명등(14)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선반(8)의 하면에 결합되는 유지 돌기(33)를 갖고, 덮개 부재(26)는 유지 돌기(33)가 선반(8) 하면에 결합된 하우징(25)의 개구를 폐색한 상태에서 나사(53)에 의해 선반(8) 하면에 고정된다.
쇼케이스, 하우징, 소켓, 선반, 급전부

Description

쇼케이스 {SHOWCASE}
도1은 저온 쇼케이스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저온 쇼케이스의 개략 종단 측면도.
도3은 소켓 및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의 선반의 하면 사시도.
도4는 선반 하면의 후방 사시도.
도5는 도4의 원(A)의 부분 확대도.
도6은 도4의 원(B)의 부분 확대도.
도7은 선반 하면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8은 소켓이 선반 단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
도9는 선반 하면의 부분 사시도.
도10은 진열실의 일측에 설치되는 소켓의 측면도.
도11은 도10의 소켓의 부분 투시 단면도.
도12는 본체측 소켓 부재의 사시도.
도13은 본체측 소켓 부재의 측면도.
도14는 본체측 소켓 부재의 하우징의 측면도.
도15는 본체측 소켓 부재의 덮개 부재의 측면도.
도16은 도13을 하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17은 본체측 소켓 부재의 정면도.
도18은 도16에 급전선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의 사시도.
도20은 조명등측 소켓 부재의 측면도.
도21은 도20을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22는 도20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23은 도20을 하부로부터 본 도면.
도24는 커버부의 확대 단면도.
도25는 소켓에 급전선 및 조명등을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26은 도25의 전기 배선도.
도27은 소켓이 선반 하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본 일부 절결 사시도.
도28은 도27의 부분 확대도.
도29는 소켓이 선반 하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
도30은 선반 하면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31은 도30의 부분 종단 측면도.
도32는 도30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33은 소켓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케이스
2 : 단열벽
5 : 진열실
8 : 선반
14 : 조명등(선반 하부용)
14A : 단자(수전용)
16 : 조명등(천정용)
22 : 소켓
23 : 본체측 소켓 부재
24 : 조명등측 소켓 부재
25 : 하우징
26 : 덮개 부재
28 : 본체측 설치면
29 : 접속부
30 : 콘덴서 수용부
31 : 보조 결합부
31A : 벽
32 : 보강판
32A : 전방벽
32B : 후방벽
32C : 접촉면
33 : 유지 돌기
33A : 절입부
35 : 급전 접편
36 : 급전선
40, 41 : 결합 갈고리
45 : 덮개측 콘덴서 수용부
46 : 고정부
47 : 나사 구멍
48 : 접지용 단자 고정부
50 : 설치편
51 : 결합 구멍
53 : 나사
55 : 장착부
56 : 수용부
64 : 지지 기둥
65 : 브래킷
67 : 단부 설치편
69 : 접지용 단자
80 : 선반판
81A, 81B, 81C : 고정 스폿
82 : 전방판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143928호 공보
[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69892호 공보
본 발명은 진열실 내부 또는 쇼케이스 전방을 조명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명등, 특히 단부에 단자를 갖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 설치되는 쇼케이스는, 본체 내에 형성되는 진열실 내에 상기 진열실 내부 또는 쇼케이스 전방 등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명등은 진열실의 천정면 전방부에 위치하는 캐노피 하면이나 선반이 복수단 가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반 하면 전방부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명등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형광등 등이 이용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에 수반하여 교환 작업이 필요해진다.
진열실 내에 설치되는 각 조명등은 기계실 내에 설치한 전원에 접속된 급전선이 접속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조명등은 진열실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 으므로, 급전선은 상기 조명등의 설치 위치까지 인출되어 배선되어 있고 모두 선반의 하면이나 천정면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급전선의 단부에는 소켓이 설치되어 있고, 조명등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자를 상기 소켓에 장착함으로써 조명등과 급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급전선을 거쳐서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급전선이 접속된 소켓에의 조명등의 탈착 작업성을 고려하여, 급전선에 소정의 헐거움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소켓 근방의 급전선이 조명등의 설치 부위의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조명등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급전선이 선반 하부나 천정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헐거워짐으로써 진열실의 전방면에 급전선이 노출하여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켓을 거쳐서 급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명등은 선반 하면이나 진열실 천정면에 고정된 클립 등 끼움 지지시킴으로써 고정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쇼케이스의 좌우에 걸쳐 길게 설치되는 조명등은 교환 작업시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 설치되는 클립으로부터 탈착하는 작업이나 각 소켓에의 탈착 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등의 교환 작업을 간소화 및 급전선의 노출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광등의 설치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형광등의 설치 장치는, 선반의 하면에 고정되는 소켓 본체와 상기 소켓 본체에 장착 고정되는 형광등 홀더로 구성된다. 형광등 홀더는 수전용 단자 핀이 설치되는 형광등의 양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형광등 홀더를 소켓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급전선이 선반 하면으로부터 헐거워진 상태에서 노출하는 일 없이, 또한 형광등 홀더와 소켓 본체의 결합만으로 선반 하면에 형광등이 설치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14392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6989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 문헌 2에 있어서의 소켓 구성에서는, 선반 하면에 설치되는 소켓 본체는 수평부의 상면에 돌출하는 돌기에 의해 설치 위치에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 나사에 의해 선반 하면에 설치된다. 이 때, 나사의 고정 방향은 형광등의 착탈 방향에 대해 평행, 즉 선반 하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광등의 착탈이 행해지는 것에 대해, 나사의 고정 방향도 마찬가지로 선반 하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로 인해, 형광등의 착탈 작업이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소켓 본체를 고정하는 나사가 헐거워져 소켓 본체가 선반 하면으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있다. 특히, 형광등을 떼어낼 때에는, 형광등을 형광등 홀더와 함께 하측을 향해 인발함으로써 형광등 홀더와 소켓 본체의 결합을 해방하고 형광등을 떼어내고 있었다. 따라서, 형광등을 떼어낼 때에는 바로 아래측으로 인발할 때에 형광등 홀더와 소켓 본체의 결합을 이탈시키는 힘만이 소켓 본체에 가해진다. 그로 인해, 소켓 본체를 선반 하면에 고정하는 나사가 헐거워지기 쉬워져 떼어냄 작업 중에 소켓 본체도 탈락해 버리는 일이 초래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안정된 소켓의 설치 및 조명등의 교환 작업을 실현할 수 있는 쇼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쇼케이스는 양단부에 각각 단자를 갖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조명등을 쇼케이스의 본체의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소켓을 구비하고, 각 소켓은 적어도 조명등측이 되는 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단자의 진입을 허용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은 내부에 단자가 접속되는 급전부가 수납된 접속부와, 조명등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쇼케이스의 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에 결합된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상기 덮개 부재가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는 고정구에 의해 상기 쇼케이스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쇼케이스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위치에 본체에 결합하는 보조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쇼케이스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보조 결합부는 조명등의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에 결합하는 동시에, 조명등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상기 이동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쇼케이스는, 상기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소켓은 하우징 및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측 소켓 부재와, 조명등에 장착 되고 본체측 소켓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로 구성되고, 하우징의 접속부는 개구와 직교하는 면에 단자가 통과 가능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의 방향으로부터 조명등측 소켓 부재를 본체측 소켓 부재에 설치함으로써 단자는 삽입부를 통과하여 급전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실시예로서의 저온 쇼케이스(1)의 사시도, 도2는 저온 쇼케이스(1)의 개략 종단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저온 쇼케이스(1)는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의 점포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면 대략 역ㄷ자 형상의 단열벽(2)의 양측에 측판(3, 3)을 설치하여 본체(4)가 구성된다. 이 단열벽(2)의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구획판(6) 및 바닥판(7)이 설치되고, 이들 내측에 전방면으로 개방된 진열실(5)이 구성되는 동시에, 이들과 단열벽(2) 사이에 일련의 덕트(9)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덕트(9)는 진열실(5)의 개구 상부 모서리에서 개방되는 토출구(10)와 개구 하부 모서리에서 개방되는 흡입구(11)에 연통되는 동시에, 배면의 덕트(9)에는 냉각 장치(R)에 포함되는 냉각기(12)가 세로 설치되고 바닥판(7) 하방의 덕트(9) 내에는 송풍기(13)가 설치된다. 진열실(5) 내에는 상하에 걸쳐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복수단의 선반(8 ‥)이 가설된다.
한편, 단열벽(2)의 하방에는 기계실(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계실(17) 내에는 유닛 베이스(18)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유닛 베이스(18) 상에는 상기 냉각 장치(R)에 포함되는 압축기(19), 응축기(20) 및 응축기용 송풍기(21)가 설치되 고 기계실(17) 내에 배치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송풍기(13)가 운전되면 냉각기(12)와 열교환된 냉기는 덕트(9) 내를 상승시키고, 상기 토출구(10)로부터 진열실(5) 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1)로부터 흡입된 냉기는 다시 송풍기(13)에 의해 가속되고, 진열실(5) 내로 냉기가 순환되어 진열실(5) 내는 소정 온도로 냉각된다.
다음에,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선반(8)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3은 선반(8) 하면의 사시도, 도4는 선반(8) 하면의 후방 사시도, 도5는 도4의 원(A)의 부분 확대도, 도6은 도4의 원(B)의 부분 확대도, 도7은 선반(8) 하면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8은 소켓(22)이 선반 단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 도9는 선반(8) 하면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7은 소켓(22)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단부측 및 내측에 각각 소켓(22) 및 조명등(14)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선반(8)은 좌우에 설치되는 브래킷(65, 65)에 의해 진열실(5) 내에 설치되는 지지 기둥(64)에 유지된다. 이 선반(8)은 강판제 재료로 구성되는 선반판(80)과, 상기 선반판(80)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여 하면에 설치되는 선반 측판(68, 68)과, 선반판(80)의 좌우에 걸쳐 하면에 설치되는 보강판(32, 32)으로 구성된다.
선반판(80)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는 하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전방벽 및 후방벽이 형성되어 있다. 선반 측판(68)은 단면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측면이 선반판(68)의 측단부와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상면을 선반판(80)의 하면에 접촉시켜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강판(32)은 선반 하부 전방부와 선반 하부 후방부의 2군데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선반판(68)의 보강 부재이다. 이 보강 부재(32)는 상변이 하변보다도 긴 단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판형 부재이다. 보강 부재(32)의 전방벽(32A)은 선반판(80)의 하면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후방벽(32B)은 선반판(80)의 하면에 대해 대략 수직 내지 약간 둔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보강 부재(32)의 전방측 상단부 및 후방측 상단부는 모두 외측을 향해 선반판(80) 하면을 따라 절곡 형성된 접촉면(32C)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접촉면(32C)은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보강 부재(32)의 양단부는 선반 측판(68)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보강 부재(32)와 선반 측판(68) 사이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65)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반 측판(68)의 상면은 보강 부재(32, 32)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 부재(32, 32)와 중합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6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보강 부재(32, 32)는 단부가 선반 측판(68) 상면에 형성되는 절결부(68A)에 둘러싸이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것이 된다.
이 때, 이들 보강 부재(32) 및 선반 측판(68)의 선반판(80)에의 스폿 용접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32)의 선반판(80) 접촉면(32C) 단부에의 보강 부재 고정 스폿(81A)과, 상기 보강 부재 고정 스폿(81A)보다도 내측, 즉 선반 측판(68) 상면 내방측 단부에 위치하여 선반 측판(68)의 선반판(80) 접촉면에의 선 반 측판 고정 스폿(81B)과, 상기 보강 부재 고정 스폿(81A)보다도 외측, 즉 선반 측판(68) 상면 외방측 단부에 위치하여 선반 측판(68)의 선반판(80)과의 접촉면에의 선반 측판 고정 스폿(81C)의 적어도 3군데에 행해진다. 이 때, 선반 측판 고정 스폿(81B)은 선반 측판(68)의 절결부(68A)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부에 위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이들 보강 부재 고정 스폿(81A)과 선반 측판 고정 스폿(81B, 81C)은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반판(80) 상면에 상품 등이 진열되어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선반판(80) 자체가 변형하여 보강 부재(32)나 선반 측판(68)이 박리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접촉면을 용착하는 고정 스폿(81A, 81B, 81C)은 삼각형을 형성하므로 1군데가 박리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다른 2군데에 있어서 스폿 용접이 행해지므로 이들 고정 스폿의 작용에 의해 박리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부위에 대해 선반판(80)측에 접촉하는 쪽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스폿 용접이라도 선반판(80)으로부터 보강 부재(32)나 선반 측판(68)이 박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적으로 선반(8) 상면에 상품을 진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반(8)에 설치되는 보강판(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선반(8) 자체의 두께 치수를 얇아지도록 구성한 경우라도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선반(8) 상면에 상품이 적재된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상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선반(8)의 하면에는 보강판(32)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좌우에 걸쳐 하 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설치편(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편(50)은 강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소정 각도로 전방 하방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치편(50)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5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결부(50A)는 길이 방향에 걸쳐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선반(8) 하면에는 보강판(32)의 전방벽(32A)(후방측 반사판)과 설치편(50)(전방측 반사판)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8) 하면(천정면 반사판)(80A)에 의해 일련의 반사판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우 양측 단부에는 상기 설치편(5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편(50)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선반(8)을 구성하는 선반판의 일부를 상기 설치편(50)과 동일한 각도로 하방으로 잘라 세워 단부 설치편(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반(8) 전방벽에는 투명판 재료로 구성되는 전방판(82)이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판(82)의 전방면에 위치하여 선반(8)의 전방벽에는 전방판(82)을 선반(8)에 고정하는 동시에, 전방면에 프라이스 카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프라이스 레일(8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라이스 레일(8A)의 하단부는 전방판(82)의 하면 및 선반판(80)의 전방벽 하면을 둘러싸도록 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선반판(8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라이스 레일(8A)은 선반(8)의 하단부보다도 약간 하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어 있어, 이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선반(8)을 보았을 때에 선반(8) 자체가 얇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그로 인해, 쇼케이스(1) 전체적으로 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선반(8)의 하면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소켓(22)을 거쳐서 하측에 가설되는 선반(8) 상의 상품이나 진열실(5)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14)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열벽(2)의 전방면 개구의 상부 모서리에는 토출구(1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캐노피(15)가 설치되고, 상기 캐노피(15)의 하부에는 진열실(8) 내부 또는 진열실(8) 주변을 상부로부터 조명하기 위한 조명등(16)이 소켓(22)을 거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14, 16)은 단부에 수전용 단자를 구비하고 급전부로부터의 급전에 의해 점등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형광등, LED 등인 것으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간 거리가 5 mm 정도인 가는 관 타입의 소위 T5관을 사용한다.
다음에, 도10 내지 도24를 참조하여 소켓(2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진열실(5)의 일측에 설치되는 소켓(22)의 측면도, 도11은 도10의 소켓(22)의 부분 투시 단면도, 도12는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사시도, 도13은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측면도, 도14는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하우징(25)의 측면도, 도15는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덮개 부재(26)의 측면도, 도16은 도13을 하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17은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정면도, 도18은 도16에 급전선(36)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사시도, 도20은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측면도, 도21은 도20을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22는 도20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23은 도20을 하부로부터 본 도면, 도24는 커버부(57)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켓(22)은 단부에 수전용 단자(14A)를 갖는 조명등(14)을 걸림 이탈 가능하게 쇼케이스(1)의 본체측,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8) 하면에 고정하는 것이다. 소켓(22)은 본체측 소켓 부재(23)와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로 구성된다.
본체측 소켓 부재(23)는 조명등(14)측이 되는 면이 개방되는 하우징(25)과, 상기 하우징(25)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6)로 구성된다. 하우징(25)은 선반(8) 하면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본체측 부착면(28)과, 상기 본체측 부착면(28)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접속부(29)와, 상기 본체측 설치면(28)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콘덴서 수용부(30)가 경질 합성 수지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접속부(29)와 콘덴서 수용부(30)는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모두 진열실(5) 내측을 향해, 즉 조명등(14)측이 되는 면이 개방된다.
그리고, 조명등(14)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소켓(22) 중 한쪽 소켓(22)의 콘덴서 수용부(30) 내에만 콘덴서(34)가 수용된다.
하우징(25)에 형성되는 접속부(29)에는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벽(2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벽(29A)을 사이에 두고 수직 하강한 상태로 2개의 급전 접편(급전부)(35, 35)이 수용된다. 이들 급전 접편(35)의 상단부에는 각각 급전선(36)이 접속되어 있다. 도26에는 각 급전 접편(35)의 급전선(36)의 접속 관계가 도시된다. 즉, 상기 하우징(25)에 콘덴서(34)가 수용되어 있는 소켓(22)에 대해서는 한쪽 급전선(36)은 상기 콘덴서(34)에 접속된다. 다른 쪽 급전선(36)은 덮개 부재(26)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되고, 쇼케이스(1)의 기계실(17) 내에 설치되는 전원(37)에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25)에 콘덴서(34)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소켓(22)에 대해서는 어느 쪽의 급전선(36)도 덮개 부재(26)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된 후, 한쪽은 상기 콘덴서(34)가 수용된 소켓(22) 내의 콘덴서(34)에 접속되고, 다른 쪽 급전선(36)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원(37)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종래 소켓과는 별도로 진열실 내부 또는 쇼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었던 콘덴서(34)를 소켓(22)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명등(14)과는 급전선(36)을 거쳐서 배선 접속되는 콘덴서(34)를 별도 쇼케이스(1) 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로 인해, 급전선(36)의 배선 처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급전 접편(35)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도11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29)의 중앙을 향해 만곡하고 양쪽 급전 접편(35, 35)이 근접한 후 접속부(29)의 측방, 즉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전방측에 수용되는 급전 접편(35)에 대해서는 전방(도11에서는 좌측), 후방측에 수용되는 급전 접편(35)에 대해서는 후방(도11에서는 우측)을 향해 꺾이고, 또한 접속부(29)의 내벽을 향해 근접하도록 내벽측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부(29)의 하면에는 구획벽(29A)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조명등(14)의 수전용 단자(14A)를 하단부로부터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접속부(29)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9)로부터 삽입되는 단자(14A)는 급전 접편(35)이 설치되는 접속부(29) 내로 진입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접속부(29)의 전후면에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로부터 소정 높이, 구체적으로는 접속부(29) 내에 수용되는 급전 접편(35)이 꺾인 단부면이 상기 접속부(29)의 내벽에 근접되어 있는 높이에까지 걸쳐 절결부(29B, 29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접속부(29)의 전후(도14에서는 좌우에 도시됨)에는 수직 하강한 후, 하단부가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결합 갈고리(결합부)(40, 40)가 하우징(25)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갈고리(40, 40)는 후술하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1, 41)와 걸림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상기 결합 갈고리(40)와 접속부(29)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우징(25)의 본체측 부착면(28)의 전방 단부에는 선반(8) 하면의 설치편(50) 또는 단부 설치편(67)에 걸림 이탈 가능하게 계지되는 보조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 결합부(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편(50 또는 67)과 대략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동시에, 상기 설치편(50 또는 67)을 향해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보조 결합부(31)가 설치편(50 또는 6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결합부(31)의 상단부 하면은 각 설치편(50 또는 67)의 하단부에 의해 수직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보조 결합부(31)가 설치편(50 또는 67)에 계지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부(31)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선반(8) 하면에 형성되는 각 설치편(50 또는 67) 등의 결합부에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좋고, 상기 보조 결합부(31)가 본체측, 즉 선반(8)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에 의해 수직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면 좋다.
또한, 이 보조 결합부(31)는 조명등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벽(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벽(31A)은 상기 보조 결합부(31)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25)의 콘덴서 수용부(30)는 본체측 부착면(28)에 대해 하부 후방을 향해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콘덴서 수용부(30)의 후방면은 선반(8) 하면에 형성되는 단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보강판(32)의 전방벽(32A)에 따라 설치 가능하게 하므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형성된다. 보강판(32)에는 상기 소켓(22)의 설치 위치에,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구멍(51) 및 나사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콘덴서 수용부(30)의 후방면에는 보강판(32) 전방벽(32A)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는 유지 돌기(33)(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지 돌기(33)는 접속부(29)를 사이에 두고 보조 결합부(31)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유지 돌기(33)는 콘덴서 수용부(30)의 후방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는 절입부(33A)(도27 및 도28만 도시함)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치수만큼 형성되어 있고, 보강판(32)에 형성된 결합 구멍(51)에 삽입한 후 상기 소켓(22)을 절입 방향, 즉 조명등(14)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강판(32)의 결합 구멍(51)에 결합된다(도28). 상기 이동에 의해, 후술하는 덮개 부재(26)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47)과 상기 보강판(32)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52) 을 중합시킴에 의해 이들을 나사(53)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소켓(22)을 확실하게 보강판(32)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콘덴서 수용부(30)의 전방면은 상기 접속부(29)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결합 갈고리(40)의 외측에(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측에)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결합 갈고리(40)와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결합 갈고리(41)의 결합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면서 이격하는 경사면(30A)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경사면(30A)과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결합 갈고리(41) 사이에는 손가락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손가락 삽입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덮개 부재(26)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5)의 접속부(29) 및 콘덴서 수용부(30)의 개구와 외형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5)의 접속부(29)의 덮개 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하우징(25)에 형성되는 삽입부(39) 및 구획벽(29A)에 대응하여 단자 삽입용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29)의 상부에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상부 모서리에 접촉하는 플랜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6)는 하우징(25)의 본체측 부착면(28)의 후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급전선 인출구(2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 수용부(30)의 덮개 부재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 수용부(30) 내를 향해 개방되는 덮개측 콘덴서 수용부(45)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덮개측 콘덴서 수용부(45)의 후방 단부에는 하우징(25)의 콘덴서 수용부(30)의 후방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는 고정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4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8) 하면에 설치되는 보강판(32)과 접촉하여, 상기 보강판(32)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52)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47) 및 접지용 단자 고정부(48)(도16 및 도17에 도시함)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선(36)과 함께 전원(37)으로부터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인출된 접지용 단자(69)는, 도18 및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접지용 단자 고정부(48)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접지용 단자(69)를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접지용 단자(69)의 배선 처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19 내지 도24를 참조하여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에 대해 설명한다.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는 상기 본체측 소켓 부재(23)와 마찬가지로 경질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조명등(14)의 단부에 장착되는 장착부(55)와 상기 장착부(55)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용부(56)로 구성된다.
장착부(55)는 조명등(14)의 단부를 둘러싸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커버부(57)와, 상기 커버부(57)의 내벽에 내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조명등 지지부(5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명등 지지부(58)는 상기 커버부(57) 내에 삽입되는 조명등(14) 외주를 대략 정확하게 유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조명등 지지부(58)는 진열실(5)측, 즉 조명등(14)의 삽입측 단부는 외측을 향해 확대 개방하여 형성되어 있어 조명등(14)의 단부를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커버부(57)의 외주면에는 도21 및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4)의 삽입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조로 이루어지는 보온통 지지부(59)가 형성되어 있다(또한, 도23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음). 보온통(43)은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에 걸쳐 주위를 둘러싸는 경질 합성 수지제의 투명한 원통 부재이며, 조명등(14)과 진열실(5) 내의 단열 기능을 갖는 것이며, 조명등(14)의 열이 진열실(5) 내의 상품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진열실(5) 내의 냉기에 의해 조명등(14) 자체가 냉각되어 조도가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로 인해, 장착부(55)의 커버부(57)의 외형 치수는 보온통(43)의 내경 치수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커버부(57)의 외형 치수와, 보온통(43)의 내경 치수의 차이를 보온통 지지부(59)의 돌조에 의해 보충함으로써 대략 정확하게 보온통(43)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커버부(57)를 구성하는 원통 바닥면, 즉 커버부(57)의 외측 단부면에는 조명등(14) 단부에 설치되는 수전용 단자(14A, 14A)를 삽통 가능하게 하는 단자 삽통 구멍(60, 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삽통 구멍(60)은 중앙 부분을 일방향만 코킹하여 형성함으로써 다른 방향보다도 짧게 형성된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단자(14A)가 삽통된 상태에서 단자 삽통 구멍(60)의 내연은 단자(14A)에 압접된다. 이에 의해, 일단 단자 삽통 구멍(60)에 삽통된 단자(14A)가 용이하게 떨어지지는 않는 것이 된다.
한편, 장착부(55)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용부(56)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접속부(29)를 삽입 탈거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 즉 수용부(56) 내는 상기 커버부(57)의 단자 삽통 구멍(60)을 거쳐서 삽통된 조명등(14)의 단자(14A)가 진입된다.
또한, 이 수용부(56) 중 하부 코너에는 각각 내부 상방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는 압박부(61, 61)가 수용부(5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수용부(56)의 하면에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물 빠짐 구멍(62, 62)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56)의 전후(도22에서는 좌우에 도시됨)에는, 수용부(56)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치수만큼 외측, 즉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후, 대략 직각으로 기립한 상태가 되는 결합 갈고리(41, 41)가 수용부(56)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결합 갈고리(41, 41)는 각각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압박 가능하게 하는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단부가 외측, 즉 전방측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1)는 전방을 향해, 후방측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1)는 후방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갈고리(41, 41)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0, 40)와 걸림 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켓(22)의 설치 방법 및 상기 소켓(22)에 의한 조명등(14)의 설치 방법에 대해 도25 내지 도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5는 소켓(22)에 급전선(36) 및 조명등(14)을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26은 전기 배선도, 도27은 소켓(22)이 선반(8) 하면에 설치된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본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도28은 도27의 부분 확대도, 도29는 소켓(22)이 선반(8) 하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하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 도30은 소켓(22)이 선반(8) 하면에 설치된 상태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31은 도30의 부분 종단 측면도, 도32는 도30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33은 소켓(22)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처음에, 소켓(22)을 구성하는 본체측 소켓 부재(23)를 선반(8) 하면에 고정한다. 도8, 도30 및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8) 하면의 단부에 본체측 소켓 부재(23)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보조 결합부(31)를 단부 설치편(67)에 계지시킨다. 이 때, 보조 결합부(31)에 형성되는 벽(31A)이 단부 설치편(67)의 조명등(14)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을 둘러싸도록 보조 결합부(31)를 계지시킨다. 그리고,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콘덴서 수용부(30)의 후방면에 형성된 유지 돌기(33)를 선반(8) 하면에 설치되는 보강판(32)과 선반 측면을 구성하는 선반 측판(68) 사이에 상기 선반 측판(68)에 따라 삽입하고, 보조 결합부(31)를 단부 설치편(67)에 계지시킨다. 그리고,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고정부(46)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47)을 보강판(32) 전방벽(32A)에 미리 뚫어 설치되는 나사 구멍과 중합시켜 나사(53)에 의해 나사 결합한다.
이에 의해, 본체측 소켓 부재(23)는 하우징(25)과 덮개 부재(26)의 2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하우징(25)은 유지 돌기(33)가 보강판(32) 전방벽(32A)과 선반 측판(68) 사이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25)을 나사(53)에 의해 직접 선반(8) 하면에 고정되는 덮개 부재(26)와 선반 측판(68)에 의해 끼움 지지된다. 그로 인해, 하우징(25)을 선반 측판(68)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5)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덮개 부재(26)가 고정구로서의 나사(53)에 의해 본체측, 즉 보강판(32) 전방벽(32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5)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0, 40)에 하방으로 인장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덮 개 부재(26)와 하우징(25)이 분리되어 소켓(22)에 설치되는 조명등(14)이 낙하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유지 돌기(33)에 의한 보강판(32)에의 고정 및 나사(83)에 의한 덮개 부재(26)의 보강판(32)에의 고정은, 조명등(14)의 떼어냄 방향에 대해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므로,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에 의해 소켓(22)이 제거되기 어려워져 보다 안정적으로 소켓(22)을 본체, 즉 선반(8)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25)에는 접속부(29)를 사이에 두고 유지 돌기(3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보조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결합부(31)는 선반(8) 하면에 설치되는 단부 설치편(67)에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하기 때문에 접속부(29)를 사이에 두고 유지 돌기(33)와 보조 결합부(31)에 의해 소켓(22)을 구성하는 하우징(25)을 선반(8) 하면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본체측 소켓 부재(23)를 구성하는 하우징(25)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이 행해질 때에, 조명등(14)이 선반(8) 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소켓(22) 자체에도 선반(8) 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25)에 형성되는 유지 돌기(33)와, 보조 결합부(31)에 의한 선반(8) 하면에의 결합에 의해 소켓(22) 자체가 선반(8) 하면으로부터 제거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부(31)의 단부 설치편(67)에의 결합은 보조 결합부(31)의 상단부 하면이 단부 설치편(67)의 하단부에 의해 수직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므로, 조명등(14)의 떼어냄 방향에 대해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에 의해 상기 보조 결합부(31)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상기 유지 돌기(33)에 의한 결합과 함께 선반(8) 하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계지되므로, 소켓(22)이 제거되기 어려워져 보다 안정적으로 소켓(22)을 본체, 즉 선반(8)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조 결합부(31)는 조명등(14)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이동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벽(31A)을 갖고 있으므로,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소켓(22)의 외측에 선반 측판(68)에 접촉하여, 이에 의해 소켓(22) 자체가 쓰러지거나 설치 위치가 어긋나 버림으로써 본체측 소켓 부재(23) 자체의 설치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보조 결합부(31)에 형성된 벽(31A)이 상기 소켓(22)의 외측에 위치하는 벽면, 이 경우 선반 측판(68)의 내벽과 접촉함으로써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을 향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해져, 한층 더 소켓(22)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쇼케이스(1)의 폭 치수에 대해 정격이 되는 조명등(14)의 길이 치수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4)의 길이 치수에 맞추어 쇼케이스(1)에 설치되는 것 이 된다. 그로 인해, 조명등(14)을 설치하기 위한 소켓(22)은 선반(8)의 단부가 아닌 상기 단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하여 소켓(22)을 설치하는 것이 된다.
이 경우에는 도27, 도29,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보조 결합부(31)를 설치편(50)에 계지시킨다. 이 때, 보조 결합부(31)에 형성되는 벽(31A)은 상기 설치편(50)에 형성되는 절결부(50A) 내에 삽입함으로써 벽(31A)이 방해가 되는 일 없이 상기 보조 결합부(31)가 설치편(50)에 계지된다. 그리고,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콘덴서 수용부(30)의 후방면에 형성된 유지 돌기(33)를 보강판(32)에 미리 뚫어 설치된 결합 구멍(51)에 삽입한다. 그 후, 유지 돌기(33)를 결합 구멍(51)에 삽입한 상태에서 본체측 소켓 부재(23)를 외측을 향해, 즉 조명등(14)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지 돌기(33)에 형성되는 절입부(33A)를 결합 구멍(51)의 단부면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고정부(46)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47)은 보강판(32)에 미리 뚫어 설치되는 나사 구멍(52)과 중합하여 나사(53)에 의해 나사 결합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조금 전에 절결부(50A)에 벽(31A)을 삽입하여 설치편(50)에 결합된 보조 결합부(31)는 상기 절결부(50A)보다도 폭 치수가 크기 때문에 조명등(14)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라도 보조 결합부(31)는 설치편(50)에 계지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이동에 의해 보조 결합부(31)에 형성된 벽(31A)은 절결부(50A)에 의해 형성된 외방측, 즉 조명등(14)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설치편(50)의 단부면에 접촉한다(도9 및 도29).
이에 의해, 하우징(25)은 보조 결합부(31)가 설치편(50)에 계지되고, 상기 벽(31A)이 설치편(50)의 단부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유지 돌기(33)가 결합 구멍(51)의 단부면에 압박된 상태에서 하우징(25)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6)가 보강판(32)에 직접 나사 고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본체측 소켓 부재(23)는 하우징(25)과 덮개 부재(26)의 2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하우징(25)은 유지 돌기(33)가 보강판(32)의 결합 구멍(51)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25)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덮개 부재(26)가 고정구로서의 나사(53)에 의해 본체측, 즉 보강판(32) 전방벽(32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25)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0, 40)에 하방으로 인장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덮개 부재(26)와 하우징(25)이 분리되어 소켓(22)에 설치되는 조명등(14)이 낙하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유지 돌기(33)에 의한 보강판(32)에의 고정 및 나사(53)에 의한 덮개 부재(26)의 보강판(32)에의 고정은 조명등(14)의 떼어냄 방향에 대해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므로,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에 의해 소켓(22)이 제거되어 어려워져 보다 안정적으로 소켓(22)을 본체, 즉 선반(8)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25)에는 접속부(29)를 사이에 두고 유지 돌기(3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보조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결합부(31)는 선반(8) 하면에 설치되는 설치편(50)에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하기 때문에 접속부(29)를 사이에 두고 유지 돌기(33)와 보조 결합부(31)에 의 해 소켓(22)을 구성하는 하우징(25)을 선반(8) 하면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본체측 소켓 부재(23)를 구성하는 하우징(25)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이 행해질 때에 조명등(14)이 선반(8) 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소켓(22) 자체에도 선반(8) 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5)에 형성되는 유지 돌기(33)와, 보조 결합부(31)에 의한 선반(8) 하면에의 결합에 의해 소켓(22) 자체가 선반(8) 하면으로부터 제거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부(31)의 단부 설치편(67)에의 결합은, 보조 결합부(31)의 상단부 하면이 단부 설치편(67)의 하단부에 의해 수직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므로 조명등(14)의 떼어냄 방향에 대해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루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에 의해 상기 보조 결합부(31)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상기 유지 돌기(33)에 의한 결합과 함께, 선반(8) 하면에 대해 안정적으로 계지되므로 소켓(22)이 제거되기 어려워져 보다 안정적으로 소켓(22)을 본체, 즉 선반(8)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보조 결합부(31)는 조명등(14)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벽(31A)을 갖고 있으므로,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즉 절결부(50A)에 의해 형성되 는 설치편(50)의 단부면에 접촉하여, 이에 의해 소켓(22) 자체가 쓰러지거나 설치 위치가 어긋나 버림으로써 본체측 소켓 부재(23) 자체의 설치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보조 결합부(31)에 형성된 벽(31A)이 상기 소켓(22)의 외측에 위치하는 벽면, 이 경우 설치편(50)의 절결 부분의 외방측에 위치하는 단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을 향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해져 한층 더 소켓(22)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소켓(22)을 구성하는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조명등(14) 및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조명등(14)의 양단부에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를 장착한다. 이 때, 조명등(14)의 수전용 단자(14A)는 커버부(57)에 형성되는 단자 삽통 구멍(60, 60)에 삽통되는 동시에, 상기 단자(14A)가 커버부(57)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용부(56) 내를 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부(57)의 내벽에는 조명등 지지부(5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57) 내에 조명등(14)이 대략 정확하게 유지된다. 또한, 조명등(14)에 설치되는 단자(14A)는 단자 삽통 구멍(60)에 삽통되는 점으로부터 중앙부가 코킹된 형상이 되는 단자 삽통 구멍(60)에 의해서도 대략 정확하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조명등(14)의 단부에 조명등측 소켓 부재(24)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명등(14)은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설치 작업에 있어서 용이하게 조명등측 소켓 부재(24)가 조명등(14)으로부터 제거되어 버리는 문제 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쪽 조명등측 소켓 부재(2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등(14)에는 보온통(43)을 설치해도 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보온통(43)의 단부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커버부(57)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보온통 지지부(59)에 의해 대략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조명등(14)의 교환 작업시에 있어서 보온통(43)이 탈락하는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어, 용이하게 조명등(14)과 함께 보온통(43)을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명등(14)의 양단부에 조명등측 소켓 부재(24)가 장착된 상태에서, 각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를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설치한다. 즉,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접속부(29)를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수용부(56)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 때, 수용부(56) 내에는 조명등(14)의 수전용 단자(14A)를 향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자(14A)는 접속부(29)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9)로부터 내측으로 진입하고 상기 접속부(29) 내부에 수용되는 급전 접편(35)과 접촉한다.
여기서, 급전 접편(35)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에 의해 접속부(29)의 중앙을 향해 만곡하고, 양쪽 급전 접편(35)이 근접한 후 접속부(29)의 측방을 향해 꺾인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전 접편(35)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39)로부터 삽입된 단자(14A)를 향해 가압된다. 이에 의해, 이들 단자(14A)와 급전 접편(35)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수용부(56) 내에는 하부 코너부에 압박부(61, 6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박부(61, 61)는 접속 부(29)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절결부(29B)로부터 접속부(29)의 내부에 진입한다. 이에 의해, 압박부(61)는 접속부(29) 내의 급전 접편(35, 35)에 접촉한 후 상기 급전 접편(35)을 내측으로, 즉 단자(14A)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급전 접편(35, 35)은 도6에 있어서 점선의 상태로부터 실선의 상태로 변형되어, 확실하게 급전 접편(35)을 단자(14A)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종래의 구조에 비해 안정적으로 급전 접편(35)과 조명등(14)의 단자(14A)의 전기적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소켓(22)에 의해 선반(8)에 설치되는 조명등(14)의 단자(14A)가 조명등(14)의 자중에 의해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접속부(29) 내에 수용되는 급전 접편(35)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수용부(56)에 형성되는 압박부(61)가 확실하게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설치되는 급전 접편(35)을 조명등(14)의 단자(14A)에 압박할 수 있고, 접촉 불량에 의해 점등 불완전이나 온도가 이상하게 상승하는 것에 의한 단자(14A)나 소켓(22)의 소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어 소켓(22) 자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수용부(56) 내에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접속부(29)를 삽입하고, 또한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를 상방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수용부(56)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1, 41)가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접속부(29)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 갈고리(40, 40)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안정적으로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를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설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와 같이 클립에 조명등을 유지시키는 구성에 비 해, 용이하게 조명등(14)을 선반(8)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설치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정적으로 조명등측 소켓 부재(24)를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계지시킴으로써 조명등(14)의 단자(14A)를 안정적으로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수용되는 급전 접편(35)과 접촉시킬 수 있어, 안정적이고 또한 안전하게 조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각 소켓(22)에 조명등(14)이 설치됨으로써 조명등(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각 소켓(22)에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 방향은, 본체측 소켓 부재(23)에 형성되는 유지 돌기(33)와 보강판(32)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51)의 결합 방향이므로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하우징(25)의 덮개 부재(26)에 의한 폐색을 유지하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하우징(25)의 결합 및 덮개 부재(26)의 고정, 및 하우징(25)과 덮개 부재(26)의 결합 유지가 양호하게 행해지는 것이 된다. 이에 의해, 한층 더 안정적으로 소켓(22)을 선반(8) 하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경우에 있어서, 소켓(22)은 선반(8) 하면에 구성되는 보강판(32)의 전방벽(32A)과 설치편(50)과 이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8) 하면에 고정되는 것이 된다. 보강판(32)의 전방벽(32A)은 조명등(14)의 후방측 반사판을 구성하고, 설치편(50)은 조명등(14)의 전방측 반사판을 구성하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8) 하면은 조명등(14)의 천정면 반사판(80A)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소켓(22)은 이들 일련의 반사판에 설치되는 것이 된다. 그로 인해, 조명등(14)의 반사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각 부재에 의해 소켓(22)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종래의 소켓의 설치 구조에 비해 보다 유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되는 조명등(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간 거리가 5 mm 정도인 가는 관 타입의 소위 T5관이므로, 조명등(14) 자체를 종래의 조명등과 비교하여 정면으로부터 보아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조명등(14)과 상기 조명등(14)의 후방에 형성되는 반사판,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 기능을 갖는 보강판(32)과의 거리를 종래에 비해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보강판(32)의 전방벽(32A)에 반사한 조명등(14)의 광을 조명등(14) 자체에 방해되는 일 없이, 효과적으로 진열실(5) 전방부나 전방에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명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조명등(14) 자체가 종래와 비교하여 가는 관이 됨으로써 조명등(14)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설치편(50)이나, 설치편(50)과 보강판(32) 사이에 위치하는 선반(8) 하면도 반사판으로서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이들 설치편(50)이나 선반(8) 하면에 반사된 조명등(14)의 광을 효과적으로 진열실(5) 내, 특히 상기 선반(8)의 하방에 설치되는 선반(8) 상의 상품 등이나 이러한 선반(8)의 내측에 진열되는 상품 등에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진열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선반(8) 하면에는 전방부 뿐만 아니라 후방부에 있어서도 보강판(32)이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선반(8) 하면에 전후에 위치하여 조명등(14)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이에 의해 한층 더 효과적으로 진열실(5) 내, 특히 상기 선반(8)의 하방에 설치되는 선반(8) 상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는 관 타입의 조명등(14)을 상술한 바와 같은 소켓(22)으로 선반(8) 하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명등(14)의 하단부는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8) 하단부와 대략 동일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선반(8)을 정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조명등(14)이 하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한층 더 선반(8) 자체를 얇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각 선반(8)이 슬림하게 구성됨으로써 쇼케이스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체측 소켓 부재(23)와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결합을 이탈시킬 때에, 본체측 소켓 부재(23)의 콘덴서 수용부(30)의 전방면에 형성된 경사면(30A)과,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에 형성된 후방측의 결합 갈고리(41) 사이에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 공간에 검지나 중지를 삽입하고, 전방측의 결합 갈고리(41)에 엄지를 댄다. 그리고, 손가락에 의해 결합 갈고리(41)를 내측으로 압박함으로써 결합 갈고리(41)가 내측을 향해 변형하여 결합 갈고리(40)와의 결합이 이탈된다.
이 때, 손가락 삽입 공간에 삽입된 검지나 중지는, 예를 들어 제1 관절이 경사면(30A)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접촉점을 축으로 한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에 의해 결합 갈고리(41)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결합을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본체측 소켓 부재(23)와 조명등측 소켓 부재(24)의 결합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조명등(14)의 설치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에 각각 단자를 갖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조명등을 본체의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소켓을 구비하고, 각 소켓은 적어도 조명등측이 되는 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단자의 진입을 허용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은 내부에 단자가 접속되는 급전부가 수납된 접속부와, 조명등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고, 덮개 부재는 결합부가 본체에 결합된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한 상태에서 고정구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므로 하우징의 결합부의 결합이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그로 인해, 각 소켓은 조명등을 설치함으로써 조명등의 길이 방향을 향한 가압력을 받게 되지만, 그 방향이 결합부의 결합 및 덮개 부재에 의한 폐색을 유지하는 방향이 되므로 소켓의 하우징의 결합 및 덮개 부재의 고정, 및 하우징과 덮개 부재의 결합 유지를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우징의 결합부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결합의 개방을 금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덮개 부재가 고정구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명등이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이들 하우징과 덮개 부재가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안정된 소켓의 설치 및 조명등의 교환 작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위치에 본체에 결합하는 보조 결합부를 가지므로,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결합부와 보조 결합부에 의해 소켓을 구성하는 하우징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하우징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조명등의 교환 작업이 행해질 때에 조명등이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소켓 자체에도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보조 결합부에 의한 본체에의 결합에 의해 소켓 자체가 본체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명에 있어서 보조 결합부는 조명등의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에 결합하는 동시에, 조명등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이동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벽을 갖고 있으므로, 조명등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즉 소켓의 외측에 벽면이 있는 경우에 보조 결합부의 폐색된 쪽의 면의 벽이 상기 벽면에 접촉되므로 소켓 자체가 쓰러지거나, 설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문제점을 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보조 결합부에 형성된 벽이 상기 소켓의 외측에 위치하는 벽면과 접촉함으로써 조명등의 길이 방향을 향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해져 한층 더 소켓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소켓은 하우징 및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측 소켓 부재와, 조명등에 장착되고 본체측 소켓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로 구성되고, 하우 징의 접속부는 개구와 직교하는 면에 단자가 통과 가능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의 방향으로부터 조명등측 소켓 부재를 본체측 소켓 부재에 설치함으로써 단자는 삽입부를 통과하여 급전부에 접속되므로 조명등측 소켓 부재가 조명등의 단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명등측 소켓 부재를 본체측 소켓 부재에 부착함으로써, 조명등의 단자는 본체측 소켓 부재의 급전부에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소켓에 의해 본체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단자가, 조명등의 자중에 의해 소켓의 급전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조명등측 소켓 부재와 본체측 소켓 부재에 설치됨으로써 조명등의 단자는 확실하게 본체측 소켓 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급전부와 접속되므로, 접촉 불량에 의해 점등 불완전이나 온도가 이상하게 상승하는 것에 의한 단자나 소켓의 소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클립으로 조명등을 유지시키는 구성에 비해 용이하게 조명등을 본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명등측 소켓 부재의 착탈 방향은 결합부 및 보조 결합부가 본체에 결합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므로, 조명등 착탈시의 힘에 대해 소켓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소켓을 안정적으로 본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명등의 착탈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양단부에 각각 단자를 갖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을 쇼케이스의 본체의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한 쌍의 소켓을 구비하고,
    각 소켓은 적어도 상기 조명등측이 되는 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단자의 진입을 허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단자가 접속되는 급전부가 수납된 접속부와, 상기 조명등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에 결합된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상기 덮개 부재가 폐색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 부재는 고정구에 의해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속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위치에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에 결합하는 보조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결합부는 상기 조명등의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에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조명등과는 반대측이 되는 면에 상기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하우징 및 덮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의 본체측 소켓 부재에 부가하여, 상기 조명등에 장착되고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측 소켓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등측 소켓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접속부는 상기 개구와 직교하는 면에 상기 단자가 통과 가능한 삽입부를 갖고, 상기 삽입부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조명등측 소켓 부재를 상기 쇼케이스의 본체측 소켓 부재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단자는 상기 삽입부를 통과하고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KR1020060099099A 2006-02-22 2006-10-12 쇼케이스 KR100767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5309A JP4902223B2 (ja) 2006-02-22 2006-02-22 ショーケース
JPJP-P-2006-00045309 2006-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14A KR20070085014A (ko) 2007-08-27
KR100767577B1 true KR100767577B1 (ko) 2007-10-17

Family

ID=3805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099A KR100767577B1 (ko) 2006-02-22 2006-10-12 쇼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14761B2 (ko)
EP (1) EP1825794B1 (ko)
JP (1) JP4902223B2 (ko)
KR (1) KR100767577B1 (ko)
CN (1) CN100542459C (ko)
DE (1) DE60200700973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3646A1 (en) * 2006-10-10 2008-04-10 Dixon Thomas J Secure modular dislay system
JP5186875B2 (ja) * 2007-10-12 2013-04-2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ユニット
TW201144662A (en) * 2010-04-27 2011-12-16 Toshiba Lighting & Amp Technology Corp Luminous element lamp of fluorescent lamp shape and illumination tool
US8979296B2 (en) 2011-03-08 2015-03-17 Dci Marketing, Inc. Illuminated shelving
US9784437B2 (en) 2014-02-14 2017-10-10 Hussmann Corporation Adjustable light mechanism for a merchandiser
GB2528963B (en) 2014-08-07 2018-07-25 Artform Int Ltd Product display shelf, system and method
US9635958B2 (en) * 2015-06-19 2017-05-02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Weldless shelf assemblies for merchandising display cases
USD803671S1 (en) 2015-06-19 2017-11-28 Heatcraft Refrigeration Products Llc Shelf bracket for merchandising display cases
WO2017127456A1 (en) 2016-01-18 2017-07-27 Dci Marketing, Inc. Dba Dci - Artform Sensors, devices, adapters and mating structures for merchandisers and related methods
US10588427B2 (en) 2016-03-23 2020-03-17 Retail Space Solutions Llc Low product indicator for self facing merchandiser and related methods
US10952548B2 (en) 2016-10-18 2021-03-23 Retail Space Solutions Llc Illuminated merchandiser, retrofit kit and related methods
US10851984B2 (en) * 2018-07-02 2020-12-01 Wanjiong Lin Showcase lamp
CN111568127B (zh) * 2020-05-20 2021-04-16 苏州煊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展示柜
US12022964B1 (en) 2023-01-31 2024-07-02 Carter-Hoffmann LLC Heated display cabin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660U (ko) * 1995-11-30 1997-06-18 대우전자주식회사 쇼케이스의 형광등 커버구조
KR19980061977U (ko) * 1997-03-29 1998-11-16 배순훈 쇼케이스의 형광등커버설치구조
KR20060054941A (ko) * 2004-11-17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쇼케이스의 형광등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7130A (en) * 1975-11-06 1977-04-12 Structural Concepts Corporation Display case
JPS5322584A (en) * 1976-08-13 1978-03-02 Mitsui Toatsu Chem Inc Preparation of vinyl chloride polymer
JPH056786A (ja) * 1991-04-23 1993-01-14 Denkooshiya:Kk 放電灯用ソケツト
JPH0569892U (ja) 1991-08-31 1993-09-21 三洋電機株式会社 蛍光灯の取付装置
JPH0569892A (ja) 1991-09-11 1993-03-23 Suzuki Motor Corp 小型推進艇用エンジンの吸気冷却装置
JPH07143928A (ja) 1993-11-24 1995-06-06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US5471372A (en) * 1993-12-06 1995-11-28 Ardco, Inc. Lighting system for commercial refrigerator do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660U (ko) * 1995-11-30 1997-06-18 대우전자주식회사 쇼케이스의 형광등 커버구조
KR19980061977U (ko) * 1997-03-29 1998-11-16 배순훈 쇼케이스의 형광등커버설치구조
KR20060054941A (ko) * 2004-11-17 2006-05-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쇼케이스의 형광등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14A (ko) 2007-08-27
CN100542459C (zh) 2009-09-23
US7614761B2 (en) 2009-11-10
JP4902223B2 (ja) 2012-03-21
EP1825794A1 (en) 2007-08-29
DE602007009735D1 (de) 2010-11-25
JP2007222294A (ja) 2007-09-06
US20070195518A1 (en) 2007-08-23
CN101023834A (zh) 2007-08-29
EP1825794B1 (en)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577B1 (ko) 쇼케이스
JP4739983B2 (ja) ショーケース
US8437120B2 (en) Image display device
RU2399834C1 (ru) Ламповое гнездо и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с таким гнездом
JP5013980B2 (ja) 照明装置及び誘導灯
US20130242556A1 (en) Lighting apparatus
JP5311890B2 (ja) ショーケース
JP3888041B2 (ja) 表示用照明器具
JP2007215572A (ja) ショーケース
JP5216884B2 (ja) ショーケース
JP5211186B2 (ja) ショーケース
JP2011119274A (ja) ショーケース
JP2011134721A (ja) ショーケース
JP2014139953A (ja) 照明装置及び誘導灯
JP2011172936A (ja) ショーケース
JP2011119275A (ja) ショーケース
JP2011156368A (ja) ショーケース
US200601096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task light
JP4742814B2 (ja) 表示用照明器具
JP7464908B2 (ja) 誘導灯
JPH05205837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照明装置
KR100610205B1 (ko) 쇼케이스의 형광등 장착구조
JP2009259625A (ja) 照明器具
JP5788060B2 (ja) 照明装置及び誘導灯
JPH11290165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電照板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