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388B1 -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388B1
KR100766388B1 KR1020050058531A KR20050058531A KR100766388B1 KR 100766388 B1 KR100766388 B1 KR 100766388B1 KR 1020050058531 A KR1020050058531 A KR 1020050058531A KR 20050058531 A KR20050058531 A KR 20050058531A KR 100766388 B1 KR100766388 B1 KR 10076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cells
3iic
extrac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846A (ko
Inventor
황종현
유광원
이경행
이순례
김문경
Original Assignee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5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3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9Polygonatum (Solomon's 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적으로 알려져 있는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써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을 보이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A) (31~39):(31~39):(12~17):(12~17) 중량비의 건조된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 분쇄 혼합물로부터 열수-가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열수-가용성 추출물로부터 메탄올-가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메탄올-가용성 추출물로부터 에탄올-불용성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오랫동안 이용되어 온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안전성이 우수한 다양한 면역활성을 보이는 조성물을 추출해 낼 수 있게 된다.
면역, 약용식물, 생약제재, 항암, 조성물, 추출

Description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anti-cancer and immune enhance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출 조성물을 얻는 공정 흐름도.
도 2는 파이어 판을 매개로한 장관면역 활성 측정법의 개념도.
도 3은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 측정법의 개념도.
도 4는 항종양전이 활성 측정법의 개념도.
도 5는 리소좀 효소를 이용한 마크로파지 활성 측정법의 개념도.
도 6은 개별 약용식물 열수추출물의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 그래프.
도 7은 개별 약용식물 열수추출의 마이토젠 효과 그래프.
도 8은 개별 약용식물 열수추출물의 마크로파지 활성 그래프.
도 9는 4종의 혼합 약용식물 열수추출물의 장관면역활성 그래프.
도 10은 4종의 혼합 약용식물 열수추출물의 자연살해세포 독성활성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DB2로부터의 분획들의 장관면역 활성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DB2로부터의 분획들의 자연살해세포 독성활성 그래 프.
도 13은 음이온교환수지에서 본 발명에 의한 DB2-3의 용출 양태 그래프.
도 14는 음이온교환수지에 의한 분획들의 자연살해세포 독성활성 그래프.
도 15는 겔크로마토그래피에서 본 발명에 의한 DB2-3IIc의 용출 양태 그래프.
도 16은 베타-글루코오실 야리브 항원과 면역활성 분획과의 반응성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한 장관면역 활성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한 마크로파지 활성 그래프.
본 발명은 혼합 생약재로부터 추출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통적으로 알려져 있는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써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을 보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산업은 소득 수준의 향상과 식생활 방식의 변화로 여러 형태의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며 건강 증 진 기능이 있는 식품소재를 찾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약용식물들이 나타내는 생리활성을 조사하는 것은 식품소재로서 약용식물들의 적극적 활용을 위한 연구도 활발하다.(Kweon, MH. et al. 1995. Food Biotechnol., 4: 101-107)
가시오가피(또는 가시오갈피)는 전국의 산지에서 자라며 한국·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미나리목 오갈피나무과의 낙엽관목식물이다. 가시오가피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을 오가피(또는 오가피)라 하여 한방에서 각기·신경통·관절염·요통·음위 및 방사선병 예방치료 등의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오가피와 기타 한약을 섞어 빚은 것이 오가피주이며, 예로부터 강장자양주로서 이용되고 있다.
감초(甘草)는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 동북부·몽골이 원산지이며 그밖에 시베리아산 G. glabra var. glandulifera, 에스파냐산 G. glabra 등이 있으며, 세계 각지에서 약초로 재배된다.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자라는 뿌리는 맛이 달아 감미료·약재로 사용되며 한방에서는 모든 처방에 골고루 사용되고 있다.
둥굴레는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폭넓게 분포하는 백합목 백합과의 외떡잎식물이다. 둥글레의 뿌리·잎은 약용 또는 음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린잎은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뿌리줄기는 식용 및 자양강장제로 사용되고 있다.
치커리(chicory)는 유럽 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톱니가 있고 줄기 아래쪽에 있으며 민들레 잎과 비슷하게 생긴 잎을 채소 또는 샐러드로 먹으며 뿌리는 구운 뒤 갈아서 조미첨가제를 만들거나 커피 대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작물들은 단위조합 또는 작목반의 형태로 대량 생산되고 있거나 농가에서 중·소규모로 재배되고 있으나, 그 효능·효과가 널리 알려져 있지 아니하다. 또한 이들은 개별적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들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기능 및 용법, 추출 조성물의 간편한 제조방법 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혼합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면역활성 및 항암활성이 가장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추출방법을 확립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조성물에 존재하는 면역활성 및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다당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31~39):(31~39):(12~17):(12~17) 중량비의 건조된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 분쇄 혼합물로부터 열수-가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열수-가용성 추출물로부터 메탄올-가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메탄올-가용성 추출물로부터 에탄올-불용성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불용성 침전물'이라 함은 용매첨가에 의한 침전물을 '가용성 추출물'이라 함은 용매첨가에 의한 상등액을 농축 또는 건조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건조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A)에서,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의 혼합비는 중량대비 (31~39):(31~39):(12~17):(12~17)인데, 이는 통상 약용으로 사용되는 정도의 건조상태의 것을 기준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의 혼합비는 (34~36):(34~36):(14~16):(14~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생약은 사전 또는 혼합후에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쇄"라 함은 통상 약용으로 유통되는 상태의 것 또는 통상 약을 달일 때 정도의 크기로 세절된 것, 또는 미세한 가루로 분쇄된 것을 포함한다. 혼합 생약재에 적절한 부피의 물(예컨데, 혼합 생약재 부피의 3~5배의 물)을 가하고 90~110℃에서 2~5시간 열수처리한 후, 상등액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분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얻게 된다(하기 도 1에서 DB2). 열수처리 온도가 이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 오히려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실시예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열수처리하기 전에 약재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90~110℃에서 3~8분간 가열하는 전처리(데치기)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단계(B)에서는, 단계(A)에서 열수-가용성 추출물(DB2)을 건조(동결건조, 열풍건조, 감압농축 등 농축 또는 건조방법에 제한이 없음)하여 얻은 다음, 추출물을 추출물 중량대비 약 5~20배의 메탄올에 용해하여 상등액(메탄올-가용성)을 취하였다(메탄올-불용성은 DB2-1 분획).
단계(C)에서, 상기 메탄올-가용성 상등액을 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을 약 5~20배의 에탄올에 용해하여 용해되지 않는 침전물(에탄올-불용성; DB2-3 분획)을 얻었다(에탄올-가용성은 DB2-2). 이렇게 얻어진 에탄올-불용성 침전물(DB2-3)은 하기 실시예에서 밝혀지듯이 조다당(粗多糖)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게 얻은 분획들의 파이어 판(Peyer's patch)을 경유한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DB2-1과 DB2-2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DB2-3은 100 ㎍/㎖의 높은 농도에서 뿐만 아니라 10 ㎍/㎖의 낮은 농도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보인다.
또한 상기 수득한 본 발명에 의한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 조성물 DB2-3에서 유효성분을 추가적으로 분리·정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계(C)에서 수득한 에탄올-불용성 침전물을 물에 용해한 다음, 1가 음이온교환수지에 흡착시킨 후 0~0.15N 염 수용액으로 사전용출시킨 다음, 0.2~0.4N 염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조성물(DB2-3IIc)을 수득하는 단계(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D)에서 분획된 분획물들의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DB2-3IIc 분획이 대조군이나 다른 분획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단계(D)에서 얻어진 분획물들의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도에서도, 조성물 DB2-3IIc가 대조군 및 다른 분획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5.0~6.5배) 활성을 보인다.
또한 상기 단계(D)에서 수득한 본 발명에 의한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 조성물 DB2-3IIc에서 유효성분을 추가적으로 분리·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계(D)에서 수득한 용출 조성물을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여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분획하여,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내용물의 용출이 개시된 분획부터, 내용물의 용출이 감지되지 않는 분획을 순서대로 3분하여 중간에 해당하는 분획물 조성물(DB2-3IIc-2)을 수득하는 단계(F)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DB2-3IIc-2는 대조군 및 다른 분획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장관면역 활성과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실험방법론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체 단계에서, 추출용매는 증발·제거되는 것이므로 추출용매를 어느 정도의 양으로 첨가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용매의 첨가량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첨가량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닌 경우, 용매의 첨가량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추출단계는 상온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적절한 온도에서 환류추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등액과 침전물의 분리는 원심분리, 여과분리 등 어떠한 방법도 가능할 것이며, 상등액과 침전물의 건조도 동결건조, 감압건조 등 다양한 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출조건 등은 당업자라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한다.
<실험방법론>
(1) 생약재로부터 조성물의 계통 추출
생약재 단독 또는 혼합물을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분리하는 단계를 거쳐 조성물을 얻었다.
계통 추출은 [약재( 또는 그 추출물)와 용매의 혼합]→[침전물과 상등액의 분리]→[분리된 침전물과 상등액의 농축 또는 건조를 통한 추출물 획득]→[침전물 또는 추출물과 다른 용매의 혼합]의 소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처 이루어진다.
(2) 추출된 조성물의 성분분석
① 일반 구성 성분
약용식물 추출 조성물의 총당, 산성당 및 단백질 함량은 각각 페놀황산법(Dubois, M. et al. 1956. Anal. Chem. 28: 350-356), m-하이드록시다이페놀법(Blumenkrantz, N and Asboe-Hansen, G. 1973. Anal. Biochem., 54: 484-489) 및 바이오라드 시약을 이용한 브래드포드법(Bradford, MM. 1976. Anal. Biochem., 72: 248-254)으로 분석하였다. 표준물질은 각각 갈락토오즈, 갈락튜로닉산과 소의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를 사용하였다.
② 구성당 분석
약용식물 추출 조성물의 구성당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활성분획의 시료를 121℃에서 2M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으로 1.5시 간 처리하여 가수분해하고 각각의 알디톨아세테이트(alditol acetate) 유도체(Johnes, TM and Albersheim, P. 1972. Plant Physiol., 49: 926-936)로 전환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Zhao, JF. et al. 1991. Carbohydr. Res., 219: 149-172). 가스크로마토그래피는 SP-2380 캐피러리 컬럼이(0.2 ㎛ film, 0.25 ㎜ i.d.ㅧ30 m) 장착된 휴렛펙커드 6890 II를 사용하였다. 온도변화는 60℃, 1분; 60℃→220℃(30℃/분); 220℃, 8분; 220℃→250℃(8℃/분); 250℃, 15분으로 진행하였다.
구성당의 몰 비율은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FID에서의 피크면적과 반응계수로부터 계산하였다.
(3) 추출된 조성물 성분의 규명을 위한 효소 및 화학적 처리
① 과요오드산염 산화
약용식물 추출 조성물에 고분자 다당류가 있다면 과요오드산염에 의해 산화되어 산화물을 만들게 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에 25mM 과요오드산염(NaIO4, periodate)이 함유된 50밀리몰 아세테이트 완충액(pH 4.5)을 첨가하고 암실, 4℃에서 96시간 교반하였다. 잔여 과요오드산염을 제거하기 위해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을 행하여 얻은 비투석액에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을 첨가하여 환원시키고 초산으로 중화하였다. 중화 반응액을 투석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 분획의 과요오드산염 산화물을 조제하였다(Yamada, H. et al. 1990. Planta Med., 56: 386-391).
② 아염소산나트륨 처리
약용식물 추출 조성물에 탄닌과 같은 고분자 페놀화합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고부낮 페놀화합물의 수식에 작용하는 아염소산나트륨(NaClO2, chlorite)을 처리하였다. 추출 조성물(잔사)를 4% 초산에 용해시킨 후 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하고 이 혼합액을 70℃에서 색깔이 변할 때까지 반응시킨 후 3몰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키고 투석, 동결건조하여 활성 분획의 아염소산나트륨 처리물로 조제하였다(Oka, H. et al. 1995. Biol. Pharm. Bull., 18: 757-765).
③ 프로나아제 분해
약용식물 추출 조성물의 생리활성 물질이 단백질인지 여부는, 단백질 가수분해시 생리활성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추출 조성물을 단백질 분해효소인 Actinase E가 포함된 염화칼슘(CaCl2) 함유-50mM 트리스-염산 완충액(pH 7.9)에 가하고 37℃에서 48시간 소화시킨 후 반응을 0.1N 염산으로 중지시키고 투석·동결건조하여 추출 조성물의 단백질 분해물로 조제하였다(Yamada, H. et al. 1990. Planta Med., 56: 386-391).
(4) 파이어 판을 통한 장관면역 활성 측정
파이어 판(Peyer's patch)은 장관의 중요한 림프조직 기관으로서, 항원과 처음 접한 조직 내부의 림포사이트(lymphocyte)가 후 성숙, 분화된 후 점막에서 나와 장관막 림프절(MLN)을 거쳐 순환계에 진입하여 순환됨으로써 전신에 활성화된 림포사이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Kraehenbuhl, JP and Neutra, MR. 1992. Physiol. Rev., 72: 853-879). 이러한 파이어 판을 포함하는 장관 면역계는 점막에서의 항원의 방어차원에서 기여할 뿐만 아니라 순환계 염증을 조절하여 알러지와 자가면역질환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James, SP and Zeitz, M. 1994. In Handbook of Mucosal Immunology, Pearay, LO. et al (eds.)., pp.275-285).
본 발명에 의한 추출 조성물의 장관면역 활성성분 존재 여부의 검색은, 관면역계를 구성하는 소장의 파이어 판으로부터 얻은 세포를 활성화하여 골수세포 증식인자의 생산을 촉진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Hong, T. et al. 1998. Phytomed., 5: 353-360)에 따라 행하였다(도 2)
① 파이어 판 세포 배양 상등액의 조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비의존성인 C3H/He 마우스의 소장을 채취하고 소장벽의 파이어 판을 잘라 차가운 RPMI-1640 배지가 있는 페트리디시에 옮겼다. 금속체(메쉬 #100)를 파이어 판 위에 놓고 주사기 고무마개로 가압하여 파이어 판으로부터 세포를 방출시킨다. 방출된 세포의 현탁액을 금속체(메쉬 #200)로 여과하고 상기 배지로 세 번 세정한다. 세포농도를 2×106 cells/㎖ RPMI-1640으로 조정한 후, 200 ㎕씩을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37℃에서 5일간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골수세포 증식활성측정용 세포배양액으로 사용한다.
② 골수세포의 조제
위와 동일 마우스의 정강이뼈에 RPMI-1640 배지를 주입하면서 골수세포를 회수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 세정하고 2.5×105 cells/㎖ RPMI-1640으로 조정한다.
③ 골수세포 증식도의 측정
골수세포의 증식도 측정은 알라마블루(Alamar Blue) 환원측정법(Page, B. et al. 1993. Int. J. Oncol., 3: 473-476)을 활용하였다. 상기 골수세포액 100 ㎕씩을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파이어 판 세포로부터 얻은 세포배양 상등액 및 RPMI-1640 배지 50 ㎕와 함께 37℃에서 6일간 배양한다. 배양 종료 5시간 전에 알라마블루 용액 20㎕를 첨가하고 Fluoroskan II를 이용하여 형광세기를 여기(excitation) 544 nm와 방사(emission) 590 nm에서 측정한다. 시료의 골수세포 증식촉진활성은 대조구와의 차이로부터 골수세포의 증식도를 정량한다.
(5) 자연살해세포의 Yac-1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 측정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NK cell)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 촉진 활성성분의 검색은, 비장으로부터 비장세포(splenocyte)를 분리한 후 비장세포를 자연살해세포로 이용하여 51크롬-방출량 측정방법(Yoon, TJ. et al. 1998. Int. J. Immunopharm., 20: 163-172)으로 자연살해세포의 Yac-1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을 측정하였다(도 3).
① 비장세포 분리
본 발명에 의한 추출 조성물 100 ㎍/마우스를 Balb/c 마우스에 정맥주사로 투여한 후 다음날 비장을 적출하여 잘 마쇄하여 적혈구를 용혈시킨 후 비장세포를 분리한다.
② 비장세포와 암세포의 혼합배양
효능(Effector, E) 세포인 비장세포의 세포 수를 조절하여 표적(Target, T) 세포인 51크롬-라벨된 Yac-1 암세포(1×104 cells/100 ㎕/well)와 E/T 비율이 100 : 1과 25 : 1이 되도록 U-bottomed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37℃에서 5% CO2-95% 공기 배양기에서 6시간 배양한다.
③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 측정
배양이 끝난 후 플레이트를 10분간 원심분리하고(900×g) 각 웰의 상등액 100 ㎕를 면봉(cotton swab)에 흡착시킨 후 감마카운터(gamma counter)로 방사능(count/분)을 측정하여 자연살해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독성활성의 백분율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한다.
독성활성(%)=[(실험에의한방출량-자연방출량)/(최고방출량-자연방출량]×100
(6) 비장세포 증식효과 분석
6-8주령의 Balb/c 마우스로부터 멸균적으로 비장세포를 회수하여 2.5×106/ ㎖의 농도로 조정 후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씩 분주하였다. 그 후 여러 농도로 조정된 시료를 동량 첨가하고 3일간 배양하여 정상세포에 미치는 시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T 세포의 마이코젠(mitogen)인 콘카나발린-A(concanavalin-A, Con-A)를 최종농도가 10 ㎕/mL이 되도록 처리하였으며, 시료에 대한 비장세포의 증식활성은 MTT법으로 수행하였다.
(7) 항종양 전이 활성 측정
시료의 항종양 효과는 결장(Colon) 26-M3.1 폐(lung) 암종(carcinoma) 전이 모델로 확인하였다(Yoon, TJ. et al. 1998. Int. J. Immunopharm., 20: 163-172)(도 4). 실험동물로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2.7×104의 결장 26-M3.1 폐 암종 세포를 정맥주사하는 방식으로 종양을 접종하였다. 14일 후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종양의 표적기관인 폐를 적출하여 Bouin's 용액에 전이된 종양을 고정시킨 후 종양의 군집 수를 측정하였다. 한편, 시료에 의한 항종양 전이효과는 종양만 접종한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조사하였고 시료 단독의 활성은 종양접종 2일 전 혹은 1일 후에 정맥주사하였다.
(8) 마크로파지 활성 측정
마크로파지 활성도는 마크로파지의 리소좀의 포스파타아제의 활성측정을 이용하는 방법(Conrad, RE. 1981. In Manual of Macrophage Methodology, Herscowitz, BH. et al (eds.)., pp.5-11)으로 진행하였다(도 5). 즉, 5-10주령 웅성 ICR 마우스의 복강에 1 ㎖의 티오글리콜(thioglycollate) 배지를 주입한 뒤 48-72시간 후에 RPMI-1640 배지로 마우스의 복강을 세척한 다음 마크로파지를 복강으로부터 분리하였다. 회수된 마크로파지를 RPMI-1640 배지로 두 번 세척하고 세포수가 1×106 cells/㎖ RPMI-1640이 되도록 RPMI-1640 배지에 재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을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80 ㎕씩 분주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마크로파지 세포가 각각의 웰 플레이트의 기벽에 부착된 단일층(monolayer)를 형성시켰다. 두 시간 후, 비부착 세포들은 세척하여 제거하고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RPMI-1640 배지를 각 웰에 180 ㎕씩 분주하고 시료 20 ㎕을 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재배양하여 마크로파지를 활성화시켰다. 이렇게 활성화된 마크로파지의 단일층에 0.1% 트리톤(triton) X-100(25 ㎕)을 가하여 마크로파지의 세포막을 용해시키고, 이 때 분비되는 리소좀의 포스파타아제에 기질로서 100mM 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150 ㎕) 및 0.1M 시트레이트 완충액(50 ㎕)과 같이 넣어주어 1시간 동안 산성상태에서 반응시킨 후 0.2M 보레이트 완충액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켜 엘라이자 측정기(ELISA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포스파타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9) 통계 분석 방법
본 발명에 관련된 활성실험에서 수행된 모든 결과를 평균 ±S.D.로 표현하였고, 실험에서 대조군과 시료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에 의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검정을 실시하여 p<0.05의 수치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임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 열수추출 단계에서의 가압, 가열, 추출시간 등의 결정
생약재(혼합물)를 121℃의 가압가열 조건으로 추출하였을 경우에는 수율은 증가하였으나(23.7~33.2%) 활성은 오히려 100℃의 열수 조건으로 추출한 경우보다 감소(1.35~1.61배)하는 결과를 얻었다(표 1; 장관면역 활성에 대한 열수추출 온도의 영향). 이는 활성물질, 즉 다당류 등의 고분자 화합물이 높은 온도에서 파괴되거나 분해되어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1
1)시료의 최종농도 - 100 ㎍/㎖. 2)활성 - 알라마블루 환원법으로 측정. 3)대조군 - 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4)*, p<0.05 - 대조군과 시료와의 유의차.
열수추출 시간대별로 추출된 분획의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실험실적 추출조건과 비교·검토한 결과, 2시간까지는 활성이 증가하였다가 그 수준에서 유지되었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열수추출 시간은 2시간으로 파악되었다(표 2; 장관면역 활성에 대한 열수추출 시간의 영향).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받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2
1)시료의 최종농도 - 100 ㎍/㎖. 2)활성 - 알라마블루 환원법으로 측정. 3)대조군 - 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4)*, p<0.05 - 대조군과 시료와의 유의차.
실시예 2 : 열수추출물이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보이는 약용식물의 선별
다양한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로부터 골수세포 증식활성(장관면역 활성) 여부를 분석하였다(표 3). 참고가 되도록, 약용식물을 냉수추출한 경우, 직접 헥산 또는 메탄올로 추출한 경우에 활성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함께 분석하였다.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3
1)시료의 최종농도 - 100 ㎍/㎖. 2)활성 - 알라마블루 환원법으로 측정. 3)대조군 - 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4)*, p<0.05 - 대조군과 시료와의 유의차. 5)대조군보다 수치가 낮기 때문에 유의차를 계산하지 않았음.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 냉수추출과 열수추출 결과물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약용식물 중에서는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치커리(Cichorium intybus) 등이 냉수추출과 열수추출 모두에서, 특히 열수추출물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1.5배 이상)을 가진다. 한편, 유기용매 추출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그 활성이 미약하거나 저하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는 유기용매 추출물이 면역세포에 독성을 일으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약용식물을 열수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를 단독으로 하여 추출하거나, 이들의 혼합 약재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 선별된 4종의 약용식물 열수추출물의 면역활성 측정
실시예 2에서 가장 우수한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보이는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 등의 4종의 약용식물로부터의 열수추출물이 다양한 면역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1)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 등의 4종의 약용식물로부터 조제된 열수추출물의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장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한 후 비장세포를 자연살해세포로 이용하여, 각 추출물 [100㎍/마우스]를 처리하고, 51Cr-방출량 측정방법으로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을 측정한 결과(도 6), 대조군에 비해 2.68~5.77배 정도의 활성(E/T 비율; 100:1)을 나타내어 상기 4종의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 모두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열수추출물은 암세포에 대한 높은 독성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6에서, 각 표시는 다음과 같다: 1)독성활성 - 효과세포(비장세포)/표적세포(Yac-1 암세포) 비율=100 : 1에서 측정. 2)*, p<0.05 - 대조군과의 유의적인 차. □; 대조군 (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 열수추출물 (정맥주사).
(2) 암전이 억제활성
① 예방적 효과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 등의 4종의 약용식물로부터 조제된 열수추출물의 선천적 면역(innate immunity) 증진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결장 26-M3.1 폐 암종을 이용한 동물실험 모델에서 종양전이에 미치는 활성을 측정하였다. 종양 접종 2일 전에 [50 ㎍/마우스]의 열수추출물을 각각 1회 정맥투여한 결과, 37.9~82.1%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예방적 전이억제 활성을 보였다(표 4).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4
② 치료적 효과
종양 접종 1일 후에 상기 4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을 동일한 농도로 투여한 결과는 예방적 투여의 결과에 비하여는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17.9~55.7%의 높은 치료적 활성을 보여주었다(표 5). 이러한 결과로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의 투여가 동물의 항원 비특이적인 면역 자극활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험에 적용한 농도에서 외형상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5
표 4 및 5에서, 1)시료의 최종농도 - 50 ㎍/마우스(정맥주사). 2)억제율(%) - [(암 대조군의 폐의 전이 수 - 시료의 폐의 전이 수)/암 대조군의 폐의 전이 수] ×100. 3)암 대조군 - 시료의 주사 없이 암을 보유하는 군. 4)*, p<0.05 - 대조군과 시료의 유의차.
(3) 약용식물 열수추출물의 마이토젠 활성
마우스로부터 회수된 비장세포에 4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을 첨가하여 3일간 동시배양한 후에 비장세포의 증식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도 7). 대조군으로는 T 세포 마이토젠인 콘에이(Con-A, 10 ㎍/㎖)를 사용하였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4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은 생체 외(in vitro)에서 비장세포를 직접 자극하여 증식활성을 높이는 마이토젠 효과가 있으며, 특히 가시오가피와 감초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흡광도 - MTT방법으로 측정, 2)대조군 - 음성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3)콘에이(Con-A, 콘카나발린 A) - 양성대조군(10 ㎍/㎖), 4)모든 실험결과에서 대조군과 유의차 있음, □; 음성대조군, ▨; 열수추출물, ▩; 양성대조군.
(4) 약용식물 열수추출물의 마크로파지 활성
상기 4종의 약용식물로부터의 열수추출물이 마크로파지 리소좀의 포스파타아제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도 8).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상대활성 - 대조군과 비교한 마크로파지 리소좀 효소활성으로 표시, 2)대조군 - 음성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3)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 - 양성대조군(10 ㎍/㎖), □; 음성대조군, ▨; 열수추출물, ▩; 양성대조군.
추출물 시료농도 100 ㎍/㎖에서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열수추출물이 다른 2종의 열수추출물보다 더 높은 활성을(대조군의 2.15배 및 1.87배)보였으며, 특히 가시오가피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10 ㎍/㎖, 대조군의 2.15배)와 유사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치커리와 둥글레의 경우에도 대조군보다는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대조군의 1.53배 및 1.37배).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4종의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이 선천성 면역계(대식세포 탐식능 증가 및 NK 세포 활성)와 후천성 면역계(림프구 증식)의 증강작용 등 다양한 면역작용을 나타내어 인체의 전체 면역계 활성화에 중요한 기여를 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 최적의 면역활성을 보이는 혼합 약용식물의 조성비 결정
높은 면역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가시오가피, 감초, 둥글레 및 치커리 등 4종의 약용식물로부터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혼합비를 얻기 위하여 표 6과 같은 조성의 약용식물 혼합물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얻고 각각의 장관면역 활성 및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도를 분석하였다. 즉, 모든 활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던 가시오가피와 감초를 주성분으로 하고 둥굴레와 치커리를 보조성분으로 하는 최적의 혼합비를 탐색하였다. 표의 수치는 중량%를 나타낸다.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6
혼합물 중에서 DB2가 각각의 약용식물 단독 열수추출물이나 다른 비율의 혼합물에 비해 우수한 장관면역 활성 및 자연살해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활성을 나타내었다.
① 장관면역 활성에서 가시오가피 단독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1.76배의 활성을 보인 반면, DB2의 경우 1.63배(시료농도 10 ㎍/㎖)~2.15배(시료농도 100 ㎍/㎖)의 증강된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9).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가시오가피 - 열수추출물, 3)* p<0.05 - 대조군과 레시피의 유의차, □; 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 시료(10 ㎍/㎖), ▩; 시료(100 ㎍/㎖).
②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의 경우에서도 DB2의 열수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5.85배의 독성활성을 보였던 가시오가피의 열수추출물보다 증강된 3.53배(E/T 비율 25:1)~6.35배(E/T 비율; 100:1)의 독성활성을 나타내어, 단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10).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독성활성 - 시료 [100 ㎍/마우스] 정맥주사, 2)E/T 비율 - 효과세포(비장세포)/표적세포(Yac-1 암세포), 3)*, p<0.05 - 각 E/T 비율에서 대조군과,의 유의차, □; 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 가시오가피 열수추출물, ▧; DB1, ▩; DB2, ▤; DB3, ▥; DB4, ▦; DB5.
DB2를 기준으로 이러한 비율보다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비율이 감소하는 DB1(100 ㎍/㎖; 대조군의 1.76배, E/T 비율=100:1; 대조군의 5.47배)의 경우에는 DB2에 비하여 활성이 현저히 저하되면서 가시오가피 또는 감초의 열수추출물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시오가피와 치커리의 함량이 증가된 DB3 경우에는(100 ㎍/㎖; 1.89배, E/T 비율=100:1; 5.77배) 단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보다는 높았으나 DB2 보다는 낮았다. 주성분인 가시오가피와 감초의 함량이 증가한 DB4(100 ㎍/㎖; 2.09배, E/T 비율=100:1; 6.57배) 또는 DB5(100 ㎍/㎖; 2.20배, E/T 비율=100:1; 6.48배)의 경우에는 DB2와 거의 유사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주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추가적인 활성의 상승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DB2를 중심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5 : DB2 열수추출물로부터 면역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
(1) DB2 열수추출물의 분획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DB2의 열수추출물(DB2-0)을 도 1에 도시된 메탄올 추출 및 에탄올 추출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분획하여 메탄올-불용성(DB2-1), 메탄올-가용성/에탄올-가용성(DB2-2) 및 메탄올-가용성/에탄올-불용성(DB2-3) 분획을 얻었다. 이들 분획에 대하여 파이어 판을 경유한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DB2-1과 DB2-2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DB2-3은 대조군에 비해 1.65배(10 ㎍/㎖)~2.30배(100 ㎍/㎖)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11).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리포폴리사카라이드 - 양성대조군(10 ㎍/㎖), 2)* p<0.05 - 대조군과 시료의 유의차, □; 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 시료(10 ㎍/㎖), ▧; 시료(100 ㎍/㎖).
한편, 상기 분획들을 대상으로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DB2-3가 E/T 비율에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른 분획은 100:1의 E/T 비율에서 거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도 12).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E/T 비율 - 효과세포(비장세포)/표적세포(Yac-1 암세포), 시료농도 - [100 ㎍/마우스(정맥주사)], 2)* p<0.05 - 각 E/T 비율에서 대조군과의 유의차, □; 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 DB2-0, ▧; DB2-1, ▩; DB2-2, ▤; DB2-3.
(2) DB2-3 분획의 활성성분의 동정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DB2-3 분획의 성분을 개략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수한 활성의 DB2-3을 다당류의 화학적 수식에 관여하는 과요오드산염 산화, 탄닌과 같은 고분자 페놀화합물의 수식에 작용하는 아염소산나트륨 처리 및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유도하는 프로나아제 소화로 처리하여 면역활성에 관여하는 성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표 7).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7
1)시료의 최종농도 - 100 ㎍/㎖. 2)E/T 비율 - 100:1, 시료농도 - [100 ㎍/마우스](정맥주사). 3)*, p<0.05 - 대조군과 시료와의 유의차.
표 7에 나타나 있듯이, 아염소산나트륨 처리와 프로나아제 소화는 활성에 거의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 반면에 과요오드산염 산화는 DB2-3의 장관면역 활성을 100 ㎍/㎖에서 52.7%를,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을 100:1의 E/T 비율에서 63.7%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B2-3에서 면역활성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물질은 고분자 다당류임을 추정할 수 있다.
(3) DB2-3 분획의 활성성분 분리 및 활성측정
① DB2-3 분획으로부터 활성성분을 추가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음이온교환수지 처리를 수행하였다.
DB2-3을 DEAE-Sepharose CL-6B(Cl-형)의 음이온 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컬럼 4.0×40 cm)에 흡착시킨 후, 증류수로 용출(DB2-3I), 각각 0.1, 0.2, 0.3, 0.4, 0.5, 1.0 및 2.0M 염화나트륨으로 용출(DB2-3IIa~3IIg)시켜 모두 7종의 흡착분획을 얻었다(도. 13).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 UV-흡광도(280 nm), □; 총당(490 nm), ▲; 산성당(520 nm).
② 이들 각 분획들의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표 8), DB2-3IIc 분획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시료농도 100 ㎍/㎖, 대조군의 2.23배)을, DB2-3IIb 및DB2-3IId가 대조군보다 다소 높은 활성(각각 1.84배, 1.66배)을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분획(DB2-3I, 3IIa, 3IIe, 3IIf와 3IIg)은 대조군과 유사하거나 낮은 활성을 보였다.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8
1)대조군 - 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시료의 최종농도 100 ㎍/㎖. 2)p<0.05 - 대조군과 분획간의 유의차.
③ 이들 각 분획들의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도를 측정하였다(도 14).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 p<0.05 - 대조군과의 유의차, □(첫번째); 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첫번째); DB2-3, ▧(첫번째); DB2-3I, ▩; DB2-3IIa, ▤; DB2-3IIb, ▥; DB2-3IIc, ▦; DB2-3IId, □(두번째); DB2-3IIe, ▨(두번째); DB2-3IIf, ▧(두번째); DB2-3IIg(모든 시료; [100 ㎍/mouse] 정맥주사).
E/T 비율 100:1에서 장관면역 활성과 유사하게 DB2-3IIb(대조군의 5.87배) 또는 DB2-3IId(5.23배)에 비하여 DB2-3IIc의 분획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활성(6.32배)을 나타내었고, 다른 분획은 유의적인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4) DB2-3IIc 분획의 활성성분 분리 및 활성측정
DB2-3IIc 분획에 주요 면역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기에 DB2-3IIc 분획으로부터 활성성분을 추가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 처리를 수행하였다.
Sepharose CL-6B의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컬럼 3.0×90 cm)에 상기 DB2-3IIc 분획을 로딩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2-3IIc-1, 3IIc-2 및 3IIc-3 등 3개의 분획을 얻고, 각각의 분획에 대해 장관면역 활성을 분석하였다(표 9).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 UV-흡광도(280 nm), □; 총당(490 nm), ▲; 산성당(520 nm).
Figure 112005035620522-pat00009
1)시료의 최종농도 - 100 ㎍/㎖. 2)시료의 최종농도 - [100 ㎍/마우스], E/T 비율 - 100:1. 3)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4)p<0.05 - 대조군과 분획간의 유의차.
그 결과, DB2-3IIc-2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장관면역 활성(100 ㎍/㎖; 대조군의 2.14배)과 암세포에 대한 자연살해세포의 독성활성(E/T 비율=100:1; 대조군의 6.25배)을, DB2-3IIc-1가 DB2-3IIc-2보다는 약하지만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활성(100 ㎍/㎖; 대조군의 1.76배의 장관면역 활성, E/T 비율=100:1; 대조군의 5.44배)을, DB2-3IIc-3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6 : DB2-3IIc-2에 존재하는 활성 성분의 구성 분석
실시예 5에서 얻어진 DB2-3IIc-2의 주요 구성성분을 분석한 바, 42.5%의 중성당, 46.1%의 산성당 및 7.6%의 단백질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표 10).
DB2-3IIc-2은 주로 산성당과 중성당을 구성당으로 포함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DB2-3IIc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구성분이 공통적으로 함유되어져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표 10).
Figure 112005035620522-pat00010
1)총당 함량 - 페놀-황산법(표준물질, 갈락토오즈). 2)산성당 함량 - m-하이드록시다이페닐법(표준물질, 갈락튜로닉산). 3)단백질 함량 - 브래드포드법(표준물질, 소의 혈청 알부민)
DB2-3IIc에는 아라비노오즈, 갈락토오즈, 글루코오즈의 중성당과 갈락튜로닉산 및 클루큐로닉산의 산성당이 주요한 구성당(몰 비율 0.50 : 0.63 : 0.29 : 1.00 : 0.19)으로 함유되어있으며, 최종 활성분획으로 분리한 DB2-3IIc-2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성당의 함량을 보여 아라비노오즈, 갈락토오즈의 중성당과 갈락튜로닉산의 산성당이 주로 함유(몰 비율; 0.59 : 0.58 : 1.00)되어 있다. 한편 DB2-3IIc-2에서는 람노오즈의 함량이 높고 자일노오즈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이제까지의 결과를 분석하면, DB2의 혼합 약용식물 추출물의 면역활성 성분은 탄수화물이 다량으로 함유된 고분자, 특히 다당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화학적인 규명 결과 갈락튜로닉산(산성당)과 아라비노오즈, 갈락토오즈 및 람노오즈 등 중성당 함량이 높았다. 펙틴 다당은 중합 또는 올리고화된 알파-(1→4)-갈락튜로닉산의 갈락튜로난(galacturonan) 부위와 측쇄를 갖는 람노-갈락튜로난(rhamno-galacturonan) 핵을 갖는 라미파이드(ramified) 영역을 갖는 독특한 구조를 갖는 다당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생리활성 성분은 펙틴 다당류을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아라비노오즈 및 갈락토오즈가 다량으로 함유되는 것으로 보아 펙틴 아라비노갈락탄(pectic arabinogalactan)의 다당류로 간주되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화학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아라비노갈락탄은 갈락토오즈와 아라비노오즈 잔기가 풍부한 다당으로서 단백다당의 형태로 단백질과 공유결합하고 있는 것(arabinogalactan-단백질)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단백질을 소량 함유하는 DB2-3IIc-2의 유효 성분이 아라비노갈락탄인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종류 II의 아라비노갈락탄의 존재를 암시하는 베타-글루코오실 야리브(glucosyl Yariv) 항원과의 반응성을 검토하였으나 DB2-3IIc-1이 반응성을 나타내는 것에 비하여 DB2-3IIc-2는 전혀 반응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6).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1)아카시아 AG - 아카시아 아라비노-3,6-갈락탄(양성대조군), □; 대조군(시료 없이 증류수, 음성대조군), ▨; 활성분획, ▩; 양성대조군.
즉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당은, 아라비노갈락탄의 다당류((1→3)-베타-D-갈락탄을 주쇄로하여 주쇄의 갈락토오즈 6번 위치에 (1→6)-베타-D-갈락토오즈 또는 아라비노오즈가 측쇄로 결합하고 있는 구조)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DB2-3IIc-2의 유효성분은 펙틴 다당류일 가능성이 높다.
실시예 7 :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한 면역 및 항암활성 분석
(1) DB2-3IIc의 장관면역활성 분석
전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DB2-3IIc-2의 경구투여를 통한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DB2-3IIc의 활성분획을 0.5 g/kg마우스, 1.0 g/kg마우스 및 2.0 g/kg마우스의 농도로 1주일간 C3H/He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후 파이어 판을 적출하여 세포를 분리하고 이를 배양하였다. 5일이 지난 후 배양상등액을 골수세포와 반응하여 골수세포의 증식도를 측정한 결과 DB2-3IIc의 활성분획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골수세포 증식활성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시료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17).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파이어 판 세포 - 7일간 다른 농도로 경구투여된 C3H/He 마우스로부터 얻어져 5일간 배양. 수치 - 4반복에 의한 평균±표준편차. * p<0.05 - 대조군과 시료와의 유의차. □; 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경구투여), ▨; DB2-3IIc의 경구투여량.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DB2-3IIc는 경구투여를 통해 소장점막에서 파이어 판을 자극하고 이로부터 전신순환계 면역기관을 자극하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 DB2-3IIc의 암전이 억제활성 분석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한 비특이적 면역자극활성의 조사를 위해 결장 26-M3.1 폐 암세포주를 이용하는 실험동물 종양전이 모델에서의 항종양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동물로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종양의 전이를 위한 접종은 2.7×104의 결장 26-M3.1 폐 암종양을 정맥주사 하였다. 14일 후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종양의 표적기관인 폐를 적출하여 Bouin's 용액에서 전이된 종양을 고정시킨 후 종양의 군집 수를 측정하였다. 항종양 전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종양접종 5, 3, 1일 전에 1 mg/마우스/일의 DB2-3, DB2-3IIb 및 DB2-3IIc를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DB2-3 및 DB2-3IIc의 경우는 각각 30.6% 및 43.8%의 유의한 항종양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DB2-3IIb의 경우는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표 11;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한 항종양 활성). 이러한 결과로부터 앞에서 시료를 정맥주사에 의해 투여한 활성보다는 역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본 연구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던 분획인 DB2-3IIc의 경우에는 경구투여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도 DB2-3의 경구투여에 의한 전신적 비특이적 면역자극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5035620522-pat00011
(3) DB2-3IIc의 마크로파지 활성능 분석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한 마크로파지 활성능력을 조사하였다.
7일간 [1.5 g/kg마우스]의 DB2-3IIc를 경구투여한 경우(대조군의 1.65배)에는 마크로파지 리소좀 효소의 활성에 있어서 [2.0 g/kg마우스] 투여군(대조군의 1.54배)보다도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도 18;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한 마크로파지 활성). 도에서 각 기호는 다음과 같다: 마크로파지 세포-7일간 다른 농도로 DB2-3IIc를 경구투여한 ICR 마우스로부터 얻어 2일간 배양. 수치-4반복에 의한 평균±표준편차. * p<0.05 - 대조군과 시료와의 유의차. □; 대조군(시료 없이 생리식염수 단독 경구투여), ▨; DB2-3IIc의 경구투여량.
이러한 결과는 [1.5 g/kg마우스] 농도의 DB2-3IIc를 경구투여하는 경우 마크로파지를 자극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추출 조성물 DB2-3IIc의 경구투여는 파이어 판 세포의 자극을 통하여 골수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결국 시료가 파이어 판의 조혈세포 증식인자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파이어 판이 주로 T와 B 세포로 구성되어져 있고, 특히 T 세포는 마크로파지와 함께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콜로니-자극 인자(colony-stimulating factor, CSF)의 급원으로서 알려져 있기 때문(Mosmann, TR and Coffman, RL. 1989. Annu. Rev. Immunol. 7: 145-173)에 DB2-3IIc의 경구투여에 의해 파이어 판 내의 T 세포가 활성화되고 이러한 세포들이 인터루킨-6와 같은 조혈세포 성장인자들의 분비에 관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IL-6와 같은 cytokine은 전신면역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Lotz, M. et al. 1988. J. Exp. Med., 167: 1253-1258)에, DB2-3IIc의 경구투여는 파이어 판을 경유하는 메카니즘에 의해 전신순환 면역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오랫동안 이용되어 온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다양한 면역활성을 보이는 조성물을 추출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들을 함유하는 다양한 면역활성제,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등이 실용적으로 개발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A) (31~39):(31~39):(12~17):(12~17) 중량비의 건조된 가시오가피, 감초, 둥굴레 및 치커리 분쇄 혼합물로부터 열수-가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열수-가용성 추출물로부터 메탄올-가용성 추출물을 얻는 단계;
    (C) 상기 메탄올-가용성 추출물로부터 에탄올-불용성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분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90~110℃에서 3~8분간 가열하는 전처리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KR1020050058531A 2005-06-30 2005-06-30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KR10076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31A KR100766388B1 (ko) 2005-06-30 2005-06-30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531A KR100766388B1 (ko) 2005-06-30 2005-06-30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846A KR20070002846A (ko) 2007-01-05
KR100766388B1 true KR100766388B1 (ko) 2007-10-11

Family

ID=3786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531A KR100766388B1 (ko) 2005-06-30 2005-06-30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220B1 (ko) * 2020-07-06 2020-11-23 주식회사 얼라셀바이오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A (ja) * 1984-06-20 1990-01-05 Tomio Konno 真空フアイバー電子通信の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78312A (ko) * 2001-04-09 2002-10-18 이종선 동충하초와 오가피를 주재로한 건강음료
KR20030091760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신규한 오가피 및 오가피 열매, 가시오가피 다당체, 그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A (ja) * 1984-06-20 1990-01-05 Tomio Konno 真空フアイバー電子通信の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78312A (ko) * 2001-04-09 2002-10-18 이종선 동충하초와 오가피를 주재로한 건강음료
KR20030091760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신규한 오가피 및 오가피 열매, 가시오가피 다당체, 그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국내산 감초의 생리활성 탐색 및 활용에 관한 연구'(정우택저, 20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846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ie et al. Advances on bioactive polysaccharides from medicinal plants
Boh Ganoderma lucidum: a potential for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drugs
Huang et al. The structure of mushroom polysaccharides and their beneficial role in health
KR100605292B1 (ko) 신규한 오가피 및 오가피 열매, 가시오가피 다당체, 그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Xu et al. The contribution of side chains to antitumor activity of a polysaccharide from Codonopsis pilosula
Popov et al.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ectic polysaccharide from Bergenia crassifolia (L.) Fritsch
Shu et al. Extrac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tumor effect of the polysaccharides from star anise (Illicium verum Hook. f.)
Dawood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assia fistula polysaccharide (CFP)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as a prebiotic in synbiotic preparation
Li et al. An antioxidative galactomannan extracted from Chinese Sesbania cannabina enhances immune activation of macrophage cells
KR100676869B1 (ko)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KR101967073B1 (ko)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발효생강추출물과 진공건조 홍삼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JP2006070217A (ja) オウギ属植物地上部由来の多糖および生体防御機能賦活化剤
KR100766388B1 (ko) 약용식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면역증강 및 항암용 조성물
KR20120019311A (ko) 면역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조제한 인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활성용 조성물
Choi et al. Korean Ginseng Berry Polysaccharide Enhances Immunomodulation Activities of Peritoneal Macrophages in Mice with Cyclophosphamide-Induced Immunosuppression
KR102470657B1 (ko) 보리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magase Antioxidants in Goji Berry juice (Lycium barbarum) and effects of processing steps
KR20030043191A (ko) 한국산 가시오갈피에서 추출한 한국산 가시오갈피추출물,단백질추출물, 조단백다당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상기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함유한식품 또는 식품첨가제 및 약제조성물
KR100729213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WO2007113646A2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ful as an immunomodulating agent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Hwang et al.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nd Glycyrrhiza uralensis
KR20050100718A (ko) 상황버섯 자실체로부터 수득한 베타글루칸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20180090197A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488434B1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R102470655B1 (ko) 보리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강 및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