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624B1 - 센터필러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센터필러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624B1
KR100765624B1 KR1020050123454A KR20050123454A KR100765624B1 KR 100765624 B1 KR100765624 B1 KR 100765624B1 KR 1020050123454 A KR1020050123454 A KR 1020050123454A KR 20050123454 A KR20050123454 A KR 20050123454A KR 100765624 B1 KR100765624 B1 KR 100765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illar
outer pipe
vehicle
pipe
in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337A (ko
Inventor
김철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6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필러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와 전복사고 발생시에 각각 센터필러의 하부 강성과 상부 강성을 증대시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면서 차량의 중량 증대 부담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가 절곡되어 경사진 센터필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부착된 외측 파이프와, 이 외측 파이프 속에 삽입되어 외측 파이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내측 파이프, 상기 내측 파이프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외측 파이프를 관통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톱퍼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센터필러 보강구조{Center piller reinforc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보강파이프를 매개로 센터필러가 보강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보강파이프를 매개로 센터필러가 보강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보강파이프를 매개로 센터필러가 보강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복된 경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센터필러 12-보강부재
13-스톱퍼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필러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파이프에 내부 파이프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와 전복사고 발생시에 센터필러의 구조적인 강성을 보강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센터필러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센터필러는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와 전복사고 발생시에 차체를 지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센터필러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부재를 센터필러의 내부에 장착하여 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라 보강부재(1)가 센터필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상기 보강부재(1)는 통상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을 하고서 차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센터필러(2)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센터필러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센터필러의 하부 강성을 증대시켜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반면에 차량의 전복사고 발생시에는 센터필러의 상부 강성을 증대시켜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데, 종래에는 단순히 균일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를 매개로 센터필러의 강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보강부재로 인해 차량의 중량이 증대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 전복사고 발생시에 각각 센터필러의 하부 강성과 상부 강성을 증대시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면서 차량의 중량 증대 부담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센터필러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가 절곡되어 경사진 센터필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부착된 외측 파이프와, 이 외측 파이프 속에 삽입되어 외측 파이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내측 파이프, 상기 내측 파이프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외측 파이프를 관통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톱퍼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외측 파이프 및 내측 파이프는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는 ㄷ자 형상을 하고서 상기 외측 파이프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끼워져서 외측 파이프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보강부재가 센터필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센터필러(11)는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이 서로 접합되면서 이들 사이에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게 만들어지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보강부재(12)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센터필러는 차량의 측면에서 보아서 그 하부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반면에 상부는 하부에 대해 대략 10도 정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2)는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장착되는 외측 파이프(12a)와, 이 외측 파이프(12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파이프(12b)를 구비한 2중 파이프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내측 파이프(12b)의 길이는 대략 외측 파이프의 길이의 절반 정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12)는 상기 센터필러의 높이 방향에 대해 센터필러의 상부 일부와 하부 일부에 걸쳐지도록 연장되게 배치되면서 지면에 대해 대략 20도의 각도를 가지고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외측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부위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홀에는 대략 ㄷ자 형상을 한 스톱퍼(13)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상태로서, 상기 내측 파이프가 외측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내측 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외측 파이프의 내부로 돌출한 스톱퍼(13)에 의해 걸려져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톱퍼는 지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외측 파이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스톱퍼가 자중에 의해 외측 파이프의 내측으로 돌출해서 내측 파이프의 상단부와 맞닿아서 내측 파이프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 상기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의 2중 파이프 구조로 센터 필러의 하부 강성을 보강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가 2중 파이프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외측 파이프의 두께를 종래의 균일한 직경을 가진 보강부재에 비해 약 절반 정도로 하여도 동일 내지는 우수한 강성 보강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고, 보강부재의 전체 중량은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는 차량이 전복사고 발생시에 보강부재의 배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바, 차량이 전복되기 시작하여 약 20도 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지면, 상기 스톱퍼가 그 자중에 의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내측 파이프는 외측 파이프를 따라서 센터필러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차량이 완전히 전복되면 상기 내측 파이프가 외측 파이프의 상단부로 이동해서 일체를 형성함에 따라 센터필러의 상부 강성이 내측 파이프와 외측 파이프에 의해 보강되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터필러 보강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중량은 종래의 단일 파이프 보강구조에 비해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 차량의 측면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센터필러의 하부 강성을 보강함과 더불어 차량의 전복사고 발생시에는 센터필러의 상부 강성을 보강해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3)

  1. 센터필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부착되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소정 부위가 절곡된 외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 속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파이프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파이프와;
    상기 내측 파이프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상기 외측 파이프를 관통해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톱퍼를 구비한 센터필러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는 지면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필러 보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평행한 2개의 수평부와 상기 평행한 2개의 수평부의 일측 끝단을 연결한 하나의 수직부를 가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상기 ㄷ자 형상의 수평부가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020050123454A 2005-12-14 2005-12-14 센터필러 보강구조 KR100765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454A KR100765624B1 (ko) 2005-12-14 2005-12-14 센터필러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454A KR100765624B1 (ko) 2005-12-14 2005-12-14 센터필러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337A KR20070063337A (ko) 2007-06-19
KR100765624B1 true KR100765624B1 (ko) 2007-10-09

Family

ID=3836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454A KR100765624B1 (ko) 2005-12-14 2005-12-14 센터필러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075B1 (ko) * 2013-12-18 2015-06-04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센터필러 조립체
KR20230174033A (ko) 2022-06-20 2023-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이 향상된 차량의 센터필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045U (ko) * 1995-11-13 1997-06-18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19980038033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JP2000355258A (ja) * 1999-06-11 2000-12-2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ピラー構造
JP2001278112A (ja) * 2000-03-30 2001-10-10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ピラー部補強構造
JP2005319846A (ja) * 2004-05-06 2005-11-17 Mazda Motor Corp 車両のピラー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045U (ko) * 1995-11-13 1997-06-18 자동차의 센터필러구조
KR19980038033U (ko) * 1996-12-18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JP2000355258A (ja) * 1999-06-11 2000-12-2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ピラー構造
JP2001278112A (ja) * 2000-03-30 2001-10-10 Fuji Heavy Ind Ltd 車両のピラー部補強構造
JP2005319846A (ja) * 2004-05-06 2005-11-17 Mazda Motor Corp 車両のピラ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337A (ko) 200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6721B (zh) 车身结构
US7448674B2 (en) Device for absorbing lateral forces in a side impact in a motor vehicle
KR101327121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지지 구조
CN109292007A (zh) 车辆下部构造
EP3050782B1 (en) Structure for rear part of vehicle
JPWO2013187112A1 (ja) 車体後部構造
CN102963436A (zh) 车辆用滑柱塔形支承加强结构
KR101371458B1 (ko) 오픈카의 배플구조
JP2007283884A (ja) 自動車の下部構造
JP2007038717A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KR100765624B1 (ko) 센터필러 보강구조
CN109562774B (zh) 用于车辆的转向柱的支承组件和带有这样的支承组件的车辆
KR10097821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2009126419A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7276623A (ja) 自動車の下部構造
JP2009127188A (ja) 作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9280106A (ja) 車両用フレーム構造
JP5515956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JP2009255857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4450172B2 (ja) 自動車のペリメータフレーム構造
KR20110050995A (ko) 차체 사이드 보강구조
JP2020075630A (ja) 車体前部構造
JP5509546B2 (ja) 車両のドア構造
KR20200129270A (ko) 차량의 센터필러 보강장치
CN212950850U (zh) 车辆前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