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625B1 -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나노 섬유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나노 섬유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625B1
KR100764625B1 KR1020060128541A KR20060128541A KR100764625B1 KR 100764625 B1 KR100764625 B1 KR 100764625B1 KR 1020060128541 A KR1020060128541 A KR 1020060128541A KR 20060128541 A KR20060128541 A KR 20060128541A KR 100764625 B1 KR100764625 B1 KR 10076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polymer
polyvinyl alcohol
silver nanoparticles
nano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식
공혜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60128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 섬유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이 존재하는 수용액 상에 일정량의 은 이온을 전단력(shear force) 하에 녹인 후, 라디칼 개시제(radical initiator)를 도입하여 은 이온의 환원을 유도한 뒤, 단량체를 주입하여 적정 온도와 시간에서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radical mediated dispersion polymerization)을 이용하여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을 이용하여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 섬유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은 나노 입자를 고분자 매트릭스(matrix) 내에 포함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개질 공정이나 개질제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는 은 나노 입자의 선처리 공정이 필요없을 뿐 아니라, 은 이온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과정이 단순하며, 고분자 매트릭스의 종류 및 두께에 제한없이 제조가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제조될 수 있는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 섬유는 고분자 나노 섬유의 회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Figure 112006093019989-pat00001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

Description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 제조 방법 {Method of preparing silver nanoparticle embedded polymer nanofiber using radical mediated dispersion polymer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수용액 상에서의 확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항균 효과를 위한 최소저지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ration) 테스트도표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항균 효과를 위한 커비바우어(Kirby-Bauer) 테스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하여 은 나노 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 나노 섬유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1~100 나노미터 정도의 크기를 갖는 입자를 나노입자라 부르며, 크기 면에서는 분자와 커다란 덩어리 고체의 중간 상태에 해당하는 물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나노 크기의 은 입자는 표면 반응성의 증가로 인해 촉매로 사용될 수 있으며, 높은 전기 전도도를 이용하여 전기 재료의 제조에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박테리아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은 나노 입자가 탁월한 항균 능력 (antimicrobial activity)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상업적으로 은 나노 입자를 항균 물질(antimicrobial agent)로써 이용하려는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은 이온의 경우, 매우 오래전부터 항균 능력에 대한 보고들이 많았으며 은 이온이 박테리아 물질의 유전자 변형(DNA denaturation)에 관여하여 박테리아를 죽음으로 몰고가는 항균 능력을 띄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이용하여 은 이온은 화상(burn wound) 치료와 같은 다양한 살균 과정에 적극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은 이온을 치료제로 활용하면서, 은 이온이 매개 물질에서 할로겐과 같은 다른 음이온(anion) 물질과 반응하여 검은색의 침전물을 만들어 항균 능력을 감소시키는 점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은 이온을 고분자와 같은 안정제를 사용하여 컴플렉스(complex) 물질을 만들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은 나노 입자를 제조하여 은 이온의 안정성은 높이면서 항균 효과를 지니도록 하는 연구들도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은 나노 입자는 은 나노 입자 자체로 항균 능력을 띄기도 하지만 수용액 상에서는 은 이온으로도 항균 능력을 나타낼 수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해 알려졌다. 은 이온과 마찬가지로 은 나노 입자의 효과적인 항균 능력을 위해서는 고분자와 컴플렉스를 이루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화상 치료제로 은 나노 입자를 이용할 경우, 고분자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치료의 간편성 및 효율성,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고분자 섬유를 만드는 여러 방법 중에서도 템플레이트(template)를 이용하는 방법과 전기 방적(electrospinning) 방법이 널리 쓰인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나중에 템플레이트를 제거하거나 전기방적을 위해 추가적인 전기적 힘을 가해야 하는 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값비싼 템플레이트 사용으로 인한 고비용도 상업화에 제약을 주고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저렴한 공정에 의한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고분자 나노 섬유에 대한 새로운 제조 방법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새로운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은 나노 입자를 함 유한 고분자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은 나노 입자의 항균 물질로서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복잡한 공정 과정을 줄임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를 도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수많은 실험과 심도있는 연구를 거듭한 끝에, 폴리비닐알코올이 녹아있는 수용액 상에 강한 전단력을 가하여 은 이온을 녹이고, 은이온 용액 상에 라디칼 개시제와 단량체를 주입하여 은 이온의 환원과 동시에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유도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환원 반응에 의해 형성된 은 나노 입자 표면에서 고분자의 중합을 강한 전단력을 통해 유도함으로써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를 합성하고,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항균 테스트결과를 통해 제조된 나노 섬유의 항균 능력이 기존에 사용되는 항균 물질들에 비해 항균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과 은 이온을 이용하여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통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polyglycidyl methacrylat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나노 섬유의 매트릭스 내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은,
(A)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상에 강한 전단력을 이용하여 은 이온을 녹이는 단계;
(B) 상기 수용액에 라디칼 개시제를 넣어 전단력 하에서 은 이온을 환원하는 단계;
(C) 상기 수용액에 단량체를 첨가하여 은 나노 입자의 표면에서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통해 전단력 하에서 나노 섬유로의 중합이 일어나도록 하는 단계;
(D) 상기 얻어진 은 나노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를 침전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은 이온은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질산은(silver nitrate)과 같은 수용액 상에서 은 이온을 만들 수 있는 염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폴리비닐알코올은 모든 분자량에 대해 사용가능하며 그 양도 특별한 양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특히, 분자량이 작은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하면 얻어지는 나노 섬유의 굵기가 굵어지며, 많은 양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할수록 가늘어진 나노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수용액을 만들기 위해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단계 (B)에서 사용되는 개시제는 특정 종류로 한정된 것이 아니라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고 은 이온이 환원될 수 있으며, 환원되어 만들어진 은 나노 입자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는 라디칼 개시제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특히, 일반적인 라디칼 개시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이나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크로라이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부가량은 통상의 중합반응에 필요한 량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량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단량체의 100분의 1에서 10분의 1의 무게비로 첨가될 수 있지만, 이들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단계 (C)에서, 단량체의 종류는 특정 단량체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제조하고자 하는 목적에 적합한 단량체를 선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비닐계 단량체, 스타이렌, 디비닐벤젠,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비닐카바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이미드의 단량체로 사용될 수 있는 파이로멜리틱 디안하이드리드(PMDA)와 4,4-옥시디아닐린(ODA), 열경화성 수지 계열의 단량체인 에폭시, 페놀, 포름알데히드, 멜라민, 우레아, 우레탄수지도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인 피롤, 아닐린, 아세틸렌, 씨오펜 등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을 이용하여 공중합체 제조가 가능한 공단량체(comonomer)들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단계 (C)에서 단량체를 첨가 시, 소량씩 주입하는 방법과 일시에 주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두 방법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중합에 필요한 반응 시간은 보통 고분자 중합 반응 시간과 비슷하게 1-24 시간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범위보다 짧거나 길 수도 있다.
상기 중합에 필요한 온도로는 5-100 도가 가능하나 단량체의 종류나 용매의 끓는점, 개세제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 범위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단계 (D)에서 침전 방법은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제조된 나노 섬유가 미반응 물질과 흡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액 상에서 희석 후 침전시킨 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험실의 습도와 온도, 다양한 침전 기기의 사용 등에 따라 적당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항균 테스트는 항균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질산은과 실버설파다이아진(silver sulfadiazine)을 비교 물질로 하여, 그램음성균인 대장균(E. coli)과 그램양성균인 포도상구균(S. aureus)을 대상으로 항균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제조 결과는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FT-IR)장치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를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나노 섬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투과 전자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을 가지고 관찰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증류수 200 ㎖에 분자량이 31,000~50,000인 폴리비닐알코올 0.1 g을 녹였다. 빠른 교반을 통해 강한 전단력을 적용하면서 질산은 0.01 g을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에 녹인 후, 라디칼 개시제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반응용액에 넣었다. 단량체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0.4 g을 주입한 후 60 ℃에서 24 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중합이 끝난 반응 용액을 증류수 상에 희석한 후 4 개의 50 ㎖ 유리병(vial)에 나누어 옮겨 담아 침전을 잡았다. 침전된 나노 섬유를 자연 건조시킨 후, 중합 이 진행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FT-IR)장치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전형적인 피크(peak)인 C=O 피크가 1726 cm-1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형태(morphology)를 확인하기 위해 투사 전자 현미경(도 1)과 주사 전자 현미경(도 2)을 통해 관찰한 결과, 나노 섬유 형태가 만들어진 것과 나노 섬유에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수용액 상에서 은 나노 입자의 확산 및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UV-VIS spectroscopy)를 측정하였다.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를 통한 스펙트럼을 통해 흡수(absorbance) 피크가 400 nm 근방에서 나타나고 그 피트의 강도(intensity)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스펙트럼 분석으로부터, 은 나노 입자가 수용액 상에서 확산이 되며, 시간에 따라 그 양 또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3).
[실시예 2]
개시제 주입 방법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서 실시예 1과 개시제 주입 방법만 다르게 하여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시제 주입 방법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라디칼 개시제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 용매 1 ㎖에 녹여 반응용액에 넣어 실험하였다.
중합이 완결된 용액은 증류수 상에서 희석하여 상온에서 천천히 침전시킨 후 침전물만 걸러내어 건조하였다. 건조된 실험결과물을 투사 전자 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된 고분자 나노 섬유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최소저지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최소저지농도 테스트는 항균 효과를 가지기 위한 최저 농도를 제시하는 테스트로써, 최소저지농도 테스트를 통해 다른 물질에 비한 제조 물질의 항균 테스트를 비교하여 얻을 수 있다. 최소저지농도 테스트를 위해 질산은과 실버설파다이아진을 비교물질로 사용하였으며, 그램음성균인 대장균과 그램양성균인 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는 질산은에 비해 약 3배, 실버설파다이아진에 비해서는 약 9배 높은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실시예 3]
폴리비닐알코올 양에 따른 실험결과 고찰을 위해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의 양을 10배 감소시켜 폴리비닐알코올 0.01 g을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실험결과물을 투사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폴리비닐알코올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고분자 나노 섬유의 굵기가 굵어지고 함유된 은 나노 입자의 크기도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나노 섬유의 고분자 중합이 진행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FT-IR)장치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전형적인 피크(peak)인 C=O 피크가 1730 cm-1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반응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실험결과 고찰을 위해 실시예 1에서의 반응물들의 양을 모두 2배씩 증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합이 모두 끝난 후, 반응용액은 증류수를 이용해 희석하였으며, 유리병에 담아 침전시킨 후, 침전물만 걸러내어 상온에서 자연 건조시켰다. 실험결과물을 투사 전자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해 본 결과,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된 고분자 나노 섬유를 얻을 수 있지만 고분자 나노 섬유끼리 엉김 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건조가 끝난 입자들은 커비바우어(Kirby-Bauer) 항균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일정량을 압축기를 통해 펠렛(pellet)으로 만들었다. 비교를 위해 실버설파다이아진 역시 펠렛으로 만들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만들어진 펠렛들을 대장균이 자라고 있는 고체배지 접시에 각각 접촉시킨 후, 37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각기 접시에서, 접촉된 펠렛으로부터의 박테리아 억제 범위(inhibition zone)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실버설파다이아진은 16 mm의 억제범위를 갖는 것에 비해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는 45 mm의 매우 큰 박테리아 억제 범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5). 이로써 제조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는 매우 띄어난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결론 맺을 수 있다.
[실시예 5]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자량에 따른 실험결과 고찰을 위해 분자량이 110,000~120,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투사 전자 현미경을 통한 실험결과물 고찰을 통해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고분자 나노 섬유의 굵기가 가늘어지고 은 나노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나노 섬유를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FT-IR)장치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전형적인 피크(peak)인 C=O 피크가 1721 cm-1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은 이온의 양을 0.1 g으로 10배 증가시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물을 투사 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은 이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은 나노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고 나노 입자끼리의 엉김 현상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나노 섬유들은 항균 테스트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향상된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침전된 나노 섬유를 자연 건조시킨 후, 중합이 진행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FT-IR)장치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전형적인 피크(peak)인 0H peak가 3100 cm-1 근처에 넓게 분포하고 C=O 피크가 1726 cm-1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투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역시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된 고분자 나노 섬유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스타이렌 단량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합이 완결된 용액은 상온에서 천천히 침전, 건조하여 투사 전자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된 고분자 나노 섬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하여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된 고분자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제껏 보고된 바가 없는 전혀 새로운 방법으로서, 은 나노 입자의 선처리 공정이나 추가적인 다단계의 공정 없이 한 번의 과정으로 은 나노 입자를 만들면서 동시에 고분자 나노 섬유를 제조하여 은 나노 입자가 고분자 나노 섬유 내에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 야기되던 복잡성과 고비용의 공정상의 문제점을 현저히 줄이며,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되어 띄어난 항균 효과를 지니면서도, 나노 입자들이 고분자에 의해 안정화 되어 보다 향상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용이하고 간편한 제조방법을 통해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은 나노 입자가 고분자 나노 섬유로부터 수용액상에서 확산되어 항균 효과를 지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서도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고분자 매트릭스 자체로도 띄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지녀 항균 물질로써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9)

  1. 폴리비닐알코올수용액 상에서 강한 자성 교반을 통해 은 이온을 녹이는 단계;
    상기 수용액에 라디칼 개시제를 넣어 은 이온의 환원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액에 단량체를 도입하여 은 나노 입자 표면에서 단량체가 중합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중합물에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 나노 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의 분자량은 500~200,000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양은 0.001~10 무게퍼센트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이온의 양은 0.001~10 무게퍼센트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이나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크로라이드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
  6. 제1항에서, 고분자는 단량체가 상기 개시제에 의해 중합이 가능한 선형, 가교형 고분자 및 이들로 구성된 공중합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온도는 섭씨 1도에서 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중합 시간은 1분에서 24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중합물은 2~100 nm의 은 나노 입자가 함유된 직경이 2~1000 nm, 길이가 0.01~1000 μm인 고분자 나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60128541A 2006-12-15 2006-12-15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나노 섬유 제조 방법 KR10076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41A KR100764625B1 (ko) 2006-12-15 2006-12-15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나노 섬유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41A KR100764625B1 (ko) 2006-12-15 2006-12-15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나노 섬유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625B1 true KR100764625B1 (ko) 2007-10-08

Family

ID=3941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541A KR100764625B1 (ko) 2006-12-15 2006-12-15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나노 섬유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6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406B1 (ko) 2008-10-22 2011-07-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화학적 산화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폴리로다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CN103031614A (zh) * 2012-12-19 2013-04-10 罗莱家纺股份有限公司 一种珍珠颗粒分散液、珍珠纤维及其制备方法
KR101377337B1 (ko) 2011-12-19 2014-03-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양이온성 고분자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US20200332040A1 (en) * 2018-01-05 2020-10-22 Toppan Printing Co., Ltd. Composite particles, method of producing composite particles, dry powder, and molding resin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521A (ko) * 2004-11-08 2006-05-19 (주)바이오드림스 항균 섬유 제품
KR20060102619A (ko) * 2005-03-24 2006-09-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씨드 중합을 이용한 무기 나노 입자/고분자 코어-셀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KR20060109295A (ko) * 2005-04-14 2006-10-19 (주)바이오드림스 나노 고분자-실리카-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521A (ko) * 2004-11-08 2006-05-19 (주)바이오드림스 항균 섬유 제품
KR20060102619A (ko) * 2005-03-24 2006-09-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씨드 중합을 이용한 무기 나노 입자/고분자 코어-셀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KR20060109295A (ko) * 2005-04-14 2006-10-19 (주)바이오드림스 나노 고분자-실리카-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406B1 (ko) 2008-10-22 2011-07-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화학적 산화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폴리로다닌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KR101377337B1 (ko) 2011-12-19 2014-03-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은 나노 입자를 함유한 양이온성 고분자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CN103031614A (zh) * 2012-12-19 2013-04-10 罗莱家纺股份有限公司 一种珍珠颗粒分散液、珍珠纤维及其制备方法
US20200332040A1 (en) * 2018-01-05 2020-10-22 Toppan Printing Co., Ltd. Composite particles, method of producing composite particles, dry powder, and molding resin composition
US11685799B2 (en) * 2018-01-05 2023-06-27 Toppan Printing Co., Ltd. Composite particles, method of producing composite particles, dry powder, and molding resin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a et al. Cellulose/polyaniline hybrid nanocomposites: Design, fabrication, and emerging multidimensional applications
Imaz et al. N‐vinylcaprolactam‐based mic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Xiong et al. Polydopamine particles for next-generation multifunctional biocomposites
Hebeish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g-poly acrylonitrile/silver nanocomposite
Li et al. Prepar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β-cyclodextrin derivative copolymers/cellulose acetate nanofibers
Han et al. Dual functional biocomposites based on polydopamine modified cellulose nanocrystal for Fe3+-pollutant detecting and autoblocking
Yancheva et al. Polyelectrolyte complexes between (cross-linked) N-carboxyethylchitosan and (quaternized) poly [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Kawaguchi Thermoresponsive microhydrogels: prepar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Dai et al. Microgel particles: the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and their biomedical applications
KR100764625B1 (ko) 라디칼 매개 분산 중합을 이용한 은 나노 입자 함유 고분자나노 섬유 제조 방법
Mohan et al. Polyampholytic hydrogels: Poly (N-isopropylacrylamide)-based stimuli-responsive networks with poly (ethyleneimine)
Minami et al. Preparation of poly (acrylic acid) particles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in an ionic liquid
CN111944232B (zh) 一种抗菌塑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045778A (zh) 一种多面体低聚倍半硅氧烷为核具有ucst的星形杂化材料的制备方法
JPH11222402A (ja) 抗菌性ポリマー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ang et al. Antimicrobial cationic acrylate-based hybrid coatings against microorganism contamination
KR100643211B1 (ko) 씨드 중합을 이용한 무기 나노 입자/고분자 코어-셀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Tsuji et al. Effect of graft chain length and structure design on temperature-sensitive hairy particles
CN110028614B (zh) 具有蛋白吸附功能的抗菌微纳米凝胶与纤维及其制备方法
Stawski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oly (N, 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obtained at different initiator concentrations in solution polymerization
Barleany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polyvinyl alcohol crosslinked poly (N-isopropylacrylamide) smart hydrogels via γ-radiation
Zhong et al. Smart DEA–QCGM–CNT hydrogels with temperature-and NIR-responsive behavior achieved by the synergy between CNT and QCGM for wound dressing
Irfa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sensitive Poly (IA‐co‐AAc‐co‐AAm) Hydrogels via Frontal Polymerization
Cho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ouble‐network agarose/polyacrylamide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Shalibor et al. Optically active poly [2-(sec-butyl) aniline] nanofibers prepared via enantioselective polym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