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883B1 - 핸드형 스캐너 - Google Patents

핸드형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883B1
KR100763883B1 KR1020060047363A KR20060047363A KR100763883B1 KR 100763883 B1 KR100763883 B1 KR 100763883B1 KR 1020060047363 A KR1020060047363 A KR 1020060047363A KR 20060047363 A KR20060047363 A KR 20060047363A KR 100763883 B1 KR100763883 B1 KR 10076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scanner
light
light source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Priority to KR102006004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6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or a combination of such arrays, e.g. an LED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two-dimensional arrays
    • H04N1/19505Scanning picture element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 H04N1/19521Arrangements for moving the elements of the array relative to the scanned image or vice versa
    • H04N1/19526Optical means
    • H04N1/19531Refl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스캐너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장착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직경이 작은 제 1 원통형 부재가 직경이 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스캐너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 스캐너 본체;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캐너용 카메라; 스캐닝 대상 물체에 직접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원; 및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제 2 원통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다수의 광원을 동시에 사용함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도, 동시에 스캐닝 대상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재료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충분한 수준의 스캐닝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스캐너, 직접광, 간접광, 높이 조절, 반사

Description

핸드형 스캐너 {Hand scanner}
도 1은 종래의 핸드형 스캐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C-C 단면을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절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 단면을 절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가 조립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핸드형 스캐너,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중광원을 이용한 핸드형 스캐너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바코드, 특히 이차원 바코드가 널리 보급되면서 개인 명함, 신분증, 각종 공과금 고지서, 상품 카달로그 등에 이차원 코드를 인쇄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스캐닝한 후 디코딩하기 위한 스캐너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저장기술이 발달하고, 스캐닝한 이미지를 문서로 해석하는 문자 인식 기술이 발달하면서, 종래에는 책자에 삽입된 형태로 보관하거나 일일이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던 명함, 고지서 등의 각종 문서도 이를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다시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 파일 등의 형태로 보관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캐너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캐너로서 스캐닝 대상 물체는 바닥에 배치한 채, 사용자가 스캐너를 손에 들고 대상 물체 위에 스캐너를 배치하여 스캐닝 작업을 수행하는 소위, 핸드형 스캐너가 다수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핸드형 스캐너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의 C-C 면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종래의 핸드형 스캐너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료로 형성되는 스캐너 본체(200)와 스캐너 본체(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스캐너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실장된 제어부(100)와 제어장치(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캐너용 카메라(500)와 스캐너 본체의 측면 및 상면에 걸쳐서 형성되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스캐너는 스캐닝 대상인 물체에 스캐닝을 하기에 충분한 광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캐너 상부에 복수의 LED 광원(400)을 형성한 후, 광원(400)에서 스캐닝 대상 물체로 직접 빛을 조사(이하 직접광)하고,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대상 물체를 밝힌 후 이를 스캐닝하였다.
그런데, LED 광원을 직접 대상 물체에 조사하는 종래의 방식은 스캐닝 대상 물체가 반사가 되지 않는 종류의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는 큰 문제가 없으나, 스캐닝 대상인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코팅 등이 된 경우는 스캐닝할 물체의 표면에서 빛의 반사가 일어나서 카메라가 대상 물체에 기록된 문자 및 이미지 등을 정확하게 스캐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캐너 본체(20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후 스캐닝 대상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재료로 형성된 경우 광원(400)의 조명을 끈 상태에서 외부에서 스캐너 본체(200)를 통과하는 빛을 이용하여 스캐닝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작업자가 특정한 장소에서 작업을 하다가 스캐닝 작업을 위하여 일일이 외부의 조명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일 뿐만 아니라 스캐닝 작업마다 충분한 정도의 광원을 확보하는 것도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광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빛을 스캐닝 대상 물체에 직접 조사하지 않고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소정 물체에 반사 또는 투과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스캐너가 일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간접광을 이용한 스캐너의 경우 빛의 강도가 약하므로 직접광과 유사한 수준의 광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훨씬 많은 수의 LED 광원을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캐너는 광원에서 스캐닝 대상인 물체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반면, 스캐닝될 대상인 바코드 등 이미지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카메라의 촛점을 맞추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면, 스캐닝 대상인 이미지가 크기가 작고 정밀한 형상을 갖는 경우 카메라와 대상 물체의 간격을 최대한 좁게 유지해야 하고, 반대로 스캐닝 대상인 이미지가 크기는 크고 정밀하지 않은 형상을 갖는 경우라면 카메라가 스캐닝하고자 하는 대상 물체가 전부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대상 물체의 간격을 최대한 넓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스캐너는 광원에서 스캐닝 대상인 물체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최초 스캐너 제작 시 예정된 것과 다른 크기 또는 정밀도를 갖는 이미지 등은 스캐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핸드형 스캐너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캐닝 대상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재료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충분한 수준의 스캐닝 능력을 갖는 핸드형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캐닝 대상 물체의 이미지가 통상적인 경우보다 크게 형성되어 카메라와 대상 물체의 간격을 길게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 및 스캐닝 대상 물체의 이미지가 통상적인 경우보다 정밀하게 형성되어 카메라와 대상 물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 모두에 적절하게 사용가능한 핸드형 스캐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스캐너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장착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직경이 작은 제 1 원통형 부재가 직경이 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스캐너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 스캐너 본체;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캐너용 카메라; 스캐닝 대상 물체로 직접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원; 및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제 2 원통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광원에서 조사된 빛은 제 2 원통형 부재의 경사진 하단에서 반사되어 스캐너의 중앙부로 진행하여 스캐닝 대상 물체에 간접광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면 및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면은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원통형 부재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은 LED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 중 하나의 조명을 끈 상태에서 스캐닝할 수도 있고, 두 개의 조명을 모두 켠 상태에서 스캐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스캐너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장착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직경이 작은 제 1 원통형 부재가 직경이 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스캐너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 스캐너 본체; 상기 스캐너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캐너용 카메라; 스캐닝 대상 물체로 직접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원;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제 2 원통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원;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캐너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 및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외면에는 높이 조절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홈과 상기 복수의 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이동을 제공하는 이동로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홈과 상기 복수의 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공하는 이동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트위스트캡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 기 트위스트 캡이 형성된 높이 조절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스캐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2 광원에서 조사된 빛은 제 2 원통형 부재의 경사진 하단에서 반사되어 스캐너의 중앙부로 진행하여 스캐닝 대상 물체에 간접광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면 및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면은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원통형 부재는 갈색의 반투명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은 LED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 중 하나의 조명을 끈 상태에서 스캐닝할 수도 있고, 두 개의 조명을 모두 켠 상태에서 스캐닝할 수도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단면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상부에 위치한 제어부(10), 제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컨트롤 버튼(20), 제어부(1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본 체부(30), 제어부(10)의 중앙 하단에 형성된 스캔용 카메라(50), 제어부(10)의 하단부에서 스캔용 카메라(50) 주위로 형성되는 제 1 광원(60), 본체부(30)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원통형 부재(31, 32) 사이에 형성된 제 2 광원(70), 및 본체부(30)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커버부(4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카메라(50)에서 스캐닝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파일을 그 종류에 따라 디코딩하거나 문자로 변환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이미지 파일 또는 디코딩되거나 문자로 변환된 파일을 저장하는 등 통상적인 스캐너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컨트롤 버튼(20)은 1개 또는 복수로 제어부(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스캐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컨트롤 버튼(20)을 이용하여 카메라(50)의 해상도를 조정하거나, 스캐닝된 이미지 파일 등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거나, 스캐닝 모드를 변경하거나, 뒤에서 설명하듯이 제 1 또는 제 2 광원을 선택하는 등 효과적인 스캐닝 및 디코딩 작업을 위하여 스캐너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0)는 제 1 원통형 부재(31)와 제 2 원통형 부재(32)를 포함하고 두 개의 부재(31, 32)가 소정의 간극을 갖도록 구성되며, 각 부재(31, 32)는 부재(31)의 하단부(도 4의 부재(31)에서 흰색으로 표시된 부분)를 제외하면, 굴절 또는 반사율은 높고 투과율은 낮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부재(31, 32)는 부재(31)에서 흰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제외하면 반투명의 아크릴로 형성되고, 상기 흰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흰색의 반사판을 덧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재(31, 32)를 상기 흰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제외하고 갈색의 반투명 필름으로 코팅하고 제외된 부분에 흰색의 반사 판을 덧대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경계 부재의 구조는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LED 램프인 제 1 광원(60)은 카메라(50) 주위에 복수로 형성되며, 아래쪽으로 빛을 조사한다. 역시, LED 램프인 제 2 광원(70)은 제 1 원통형 부재(31)와 제 2 원통형 부재(32) 사이에 배치되며, 부재(31, 32) 사이의 아래로 빛을 조사한다. 따라서 제 2 광원에서 조사된 빛은 부재(31, 32) 사이에서 굴절 및 반사되다가 부재(32) 하단의 경사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굴절되어 직진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부재(31, 32)는 최종적으로 투명 재질을 사용하여 빛이 일부는 외부로 투과되지만, 많은 부분의 빛이 다시 내부로 반사되어, 제 2 부재(32)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굴절 또는 반사된 빛이 제 1 부재(31)의 경사면에서 외부에 설치된 흰색 계통의 반사판이나 반사 용지에 의해서 원통형 부재의 내부로 많은 양이 비치게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을 갖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직접광과 간접광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작동 시에는 직접광을 이용하기 위하여 제 2 광원(70)은 작동시키지 않고, 제 1 광원(60)만 작동시킨다. 따라서, 스캐닝할 대상 물체를 바닥에 두고 사용자가 핸드형 스캐너를 대상 물체 위로 이동시키면 제 1 광원(60)은 하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스캐닝할 대상 물체에 조명을 가하게 되므로 카메라(50)는 제 1 광원(60)에 의하여 밝아진 대상 물체를 스캐닝할 수 있다.
한편, 스캐닝할 대상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재료이거나, 빛을 반사하는 재료 로 코팅된 경우 대상 물체에 제 1 광원(60)에 의한 빛이 직접 조사되면 대상 물체는 조사된 빛을 반사하게 되고, 따라서 카메라(50)는 대상 물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스캐닝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 1 광원(60)을 끄고, 제 2 광원(70)을 작동하여 간접광을 이용한 스캐닝을 진행하게 된다. 즉, 제 2 광원(70)에서 조사된 빛은 제 1 부재(31)와 제 2 부재(32) 사이에서 굴절 또는 반사를 반복하면서 스캐너 본체(30)의 바닥부에 도달하게 되는데, 제 2 부재의 바닥부는 스캐너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2 부재의 바닥부에 도달한 빛은 스캐너의 중앙을 향하여 굴절 또는 반사되어 대상 물체에 제공된다. 따라서 대상 물체는 간접광에 의한 조명을 받게 되므로 빛에 의한 반사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카메라도 대상 물체를 정확하게 스캐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를 카메라와 스캐닝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멀게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카메라와 스캐닝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높이 조절 수단인 커버부(40)와 본체부(30)가 별도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커버부(40)와 본체부(30)의 결합 방법에 따라서 스캔용 카메 라와 스캐닝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제 2 실시예에서 커버부(40)는 아래쪽이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본체부(30)는 커버부(40)에 삽입하여 끼워맞춤이 가능한 크기로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30)는 제 1 및 제 2 원통형 부재(31, 32)와 원통형 부재(31, 32)의 연결을 제공하는 커버 부재(33)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광원(60) 및 제 2 광원(3)은 본체부(30)의 커버 부재(33)의 내면에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부(40)의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본 실시예는 3개)의 돌출부(81)를 형성하고, 본체부(30) 중 제 2 부재(32)의 외면의 돌출부(81)와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홈(83, 84)을 각각 돌출부(81)와 대응하는 갯수로 형성하고, 복수의 홈(83, 84) 사이에는 돌출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로(82)를 설치한다. 따라서, 본체부(30)를 커버부(40)에 삽입하면서, 동시에 돌출부(81)를 복수의 홈(83, 84)의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본체부(30)와 커버부(40)는 결합된다. 또한, 돌출부(81)가 장착되는 홈(83, 8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스캐너의 높이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50)와 스캐닝 대상 물체 사이의 거리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광원(60, 70)이 본체부(30)에 형성되는 구성을 개시하였으나, 광원은 커버부(40) 등 다른 장소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높이 조절 수단으로써 커버부의 돌출부가 본체부의 홈에 체결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체부와 커버부의 기능이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부의 외면과 커버부의 내면에 트위스트 캡을 설치하여 본체부와 커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높 이를 조절하는 구성 등 다른 공지의 방법을 이용한 높이 조절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다수의 광원을 동시에 사용함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도, 동시에 스캐닝 대상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재료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충분한 수준의 스캐닝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드형 스캐너는 스캐닝 대상 물체의 이미지가 통상적인 경우보다 크게 형성되어 카메라와 대상 물체의 간격을 길게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 및 스캐닝 대상 물체의 이미지가 통상적인 경우보다 정밀하게 형성되어 카메라와 대상 물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 모두에 적절하게 사용가능하다.

Claims (9)

  1. 스캐너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장착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직경이 작은 제 1 원통형 부재가 직경이 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스캐너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 스캐너 본체;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스캐너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캐너용 카메라;
    스캐닝 대상 물체로 직접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원;
    및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제 2 원통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원에서 조사된 빛은 제 2 원통형 부재의 경사진 하부에서 스캐닝 대상 물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스캐너의 중앙부로 진행하여 스캐닝 대상 물체에 간접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2. 스캐너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장착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부재로서 직경이 작은 제 1 원통형 부재가 직경이 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하부는 스캐너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 스캐너 본체;
    상기 스캐너의 일면에 형성되는 스캐너용 카메라;
    스캐닝 대상 물체로 직접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광원;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와 제 2 원통형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주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광원; 및
    상기 제어부와 상기 스캐너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캐너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 및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외면에는 높이 조절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홈과 상기 복수의 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공하는 이동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원통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홈과 상기 복수의 홈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공하는 이동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5.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원에서 조사된 빛은 제 2 원통형 부재의 경사진 하부에서 스캐닝 대상 물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스캐너의 중앙부로 진행하여 스캐닝 대상 물체에 간접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은 LED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면 및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빛의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통형 부재의 외면 및 제 2 원통형 부재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흰색의 반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 중 적어도 하나는 조명을 끈 상태에서 스캐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형 스캐너.
KR1020060047363A 2006-05-26 2006-05-26 핸드형 스캐너 KR10076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363A KR100763883B1 (ko) 2006-05-26 2006-05-26 핸드형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363A KR100763883B1 (ko) 2006-05-26 2006-05-26 핸드형 스캐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883B1 true KR100763883B1 (ko) 2007-10-05

Family

ID=3941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363A KR100763883B1 (ko) 2006-05-26 2006-05-26 핸드형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8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301A (ja) * 1999-05-26 2001-02-16 Denso Corp 二次元コード読取装置
JP2003337920A (ja) * 2002-05-21 2003-11-28 Tsubakimoto Chain Co コード読取システム、保持装置及び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301A (ja) * 1999-05-26 2001-02-16 Denso Corp 二次元コード読取装置
JP2003337920A (ja) * 2002-05-21 2003-11-28 Tsubakimoto Chain Co コード読取システム、保持装置及び読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143B2 (en) Compound curved concentrator based illuminator
JP5102215B2 (ja) シンボロジーリーダ用の組み込み型照明アセンブリ
US71631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nd reading optical codes imprinted or displayed on reflective surfaces
US9070031B2 (en) Integrated illumination assembly for symbology reader
JP5843438B2 (ja) センシングアレイを用いたマルチタッチおよび近接するオブジェクトセンシング装置
JP2010511347A (ja) デジタルカメラを用いた本スキャナ
US5796088A (en) Hand held portable bar code dataform reader having a rotatable reader module portion
JP2011511347A (ja) 情報をデジタル記録するデジタルペンおよび方法
US7755811B2 (en) Document illuminator
US7017817B2 (en) Apparatus for reading information code
US7139136B2 (en) Handheld illuminating magnifier
US7441905B2 (en) Optical scanner
US6612730B1 (en) Rod-shaped light guide and illuminating device incorporating rod-shaped light guide
JP2006042016A (ja) 原稿照明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読取装置
US20060144949A1 (en) Asymmetrical scanner
US9538036B2 (en) Scan area indication
KR100763883B1 (ko) 핸드형 스캐너
US7715063B2 (en) CVT integrated illuminator
WO2009029396A1 (en) Optical scanner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7746520B2 (en) Document illuminator
KR200423657Y1 (ko) 핸드형 스캐너
KR100763880B1 (ko) 탁상형 스캐너
JP2009077005A (ja) 照明装置、及び該照明装置を有する画像読取装置
JP2015088977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428212B2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