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641B1 - 포장팩 - Google Patents

포장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641B1
KR100763641B1 KR1020060054522A KR20060054522A KR100763641B1 KR 100763641 B1 KR100763641 B1 KR 100763641B1 KR 1020060054522 A KR1020060054522 A KR 1020060054522A KR 20060054522 A KR20060054522 A KR 20060054522A KR 100763641 B1 KR100763641 B1 KR 100763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lease member
air bag
valve film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이진영
김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영, 김미진 filed Critical 이진영
Priority to KR102006005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641B1/ko
Priority to PCT/KR2006/003099 priority patent/WO20071453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25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2581/051Details of packaging elements for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팩에 관한 것으로, 공기유입용 이형재가 형성되는 밸브필름의 타측으로 공기유입용 이형재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용 이형재가 형성된 길이보다 짧은 공기충진부 이형재와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가 형성되는 밸브필름과 맞닿는 포장필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에 의해 공기를 공급받아 충진되는 중간공기주머니와 상기 밸브필름 사이에 형성되되, 양방향 공기주머니의 중앙으로 공기유입용 이형재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이형로 구성된 공기충진부로 이루어진 포장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장팩은 한번의 공기주입으로 양쪽의 공기주머니와 중아의 공기주머니를 한번에 형성함으로써, 포장팩 중앙공간을 활용하여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한번에 3개의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양방향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에 따라 양방향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포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잘 새는 공기충진부가 중간공기주머니에 의해 막힘으로써, 공기유출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포장팩

Description

포장팩{PACKING PACK}
도 1은 종래 포장팩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완충포장재 정면도.
도 2는 종래 포장팩의 밸브필름을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필름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공기흐름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용 이형재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용 이형재와 공기충진부 이형재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공기주머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에 공기가 만충 되었을 때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포장필름 2.2a. 밸브필름
3. 공기주머니 4. 공기유입구
5. 이형면 6. 구획라인
7. 접착라인 8. 공기주입구
9. 접착부 10. 공기유입용 이형재
12. 내부라인 20. 공기충진부 이형재
30. 중간공기주머니 40. 공기충진부
100. 포장팩
본 발명은 포장필름과 내부에 형성되는 밸브필름을 이용하여 필름내부에 공기를 충진하여 형성되는 공기주머니에 의해 완충포장재의 역할을 하는 포장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완충포장재는 탄성이 좋고, 가벼운 스치로폴이 흔히 사용되어져 왔으나 환경적인 문제에 의하여 사용이 지양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체 제품으로 포장필름과 밸브필름에 구획부를 만들어 공기를 주입한 포장팩이 다수 연구 개발되었으나, 어느 하나의 공기주머니의 파손으로 인하여 공기주입구 부분에 압력이 증가하여 다른 공기주머니가 연속으로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 포장팩은 특허출원 제10-0011704호(출원일자:2005.02.12)에 기재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포장팩을 나타낸 것으로 공기주머니(103)에 유입된 공기의 유출이 적어지도록 공기주머니(103)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공기유입용 이형 재(110)를 형성하여 공기주머니(103)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구획라인(106)과 교차되는 부분은 반원형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중앙에 공기유입용 이형재(110)가 형성되어진 공기주머니(103)를 대칭되게 열용착시키기 위해 형성되어진 내부라인(112)과 상기 밸브필름(102)(102a)의 외측면과 포장필름(101)(101a)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어지게 두개의 선으로 형성된 접착부(10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라인(112)에 의해 양방향 공기주머니(103)의 중간부분에 공기충진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포장팩(200)은 공기주입을 위한 공간인 공기충진부(111)를 형성하여 공기주입구(108)로 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양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머니(103)로 공기가 유입이 되며, 공기주머니(103)에 공기가 만충되었을 때에 공기주입을 중단하게 되면 공기충진부(111)에 존재하던 공기는 공기주입구(108)로 빠져나가게 되지만, 공기주머니(103)의 공기는 밸브필름(102)(102a)에 의하여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고 만충된 상태에서 완충작용을 하게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공기주머니(103)는 똑같은 크기로 제작되는 양방향 공기주머니(103)에 의해 제품의 전, 후면이나 좌, 우측, 상, 하측의 크기가 상이한 제품을 포장을 할 때에는 각기 다른 크기의 공기주머니(103)로 제작된 포장팩을 여러개 제작한 상태에서 제품의 크기에 맞게 연결하여 사용을 함으로써, 작업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공정에 의해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포장팩을 이용하여 제품의 크기에 맞게 여러개의 포장팩을 이용하 여 완충재로 제작되어 졌을 경우, 공기가 충진되지 않은 공기충진부(111)는 제품의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완충재로 제작되어 지는데, 이러한 충진되지 않은 공기충진부(111)에 의해 제품을 포장하였을 때에 제품의 모서리부분에서는 완충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어 제품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아울러 공기주머니(103)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충진부(111)는 일정한 너비로 제작되어야 공기주머니(103)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에 의해 항상 일정한 너비만큼은 공기를 충진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제작되어져 원자재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돌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번의 공기주입으로 양쪽의 공기주머니와 중아의 공기주머니를 한번에 형성함으로써, 포장팩 중앙공간을 활용하여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한번에 3개의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포장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방향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에 따라 양방향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포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잘 새는 공기충진부가 중간공기주머니에 의해 막힘으로써, 공기유출을 줄일 수 있는 포장팩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팩은 공기유입용 이형재가 형성되는 밸브필름의 타측으로 공기유입용 이형재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용 이형재가 형성된 길이보다 짧은 공기충진부 이형재와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가 형성되는 밸브필름과 맞닿는 포장필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에 의해 공기를 공급받아 충진되는 중간공기주머니와 상기 밸브필름 사이에 형성되되, 양방향 공기주머니의 중앙으로 공기유입용 이형재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이형재로 구성된 공기충진부를 그 구성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의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필름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공기흐름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용 이형재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유입용 이형재와 공기충진부 이형재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공기주머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에 공기가 만충 되었을 때를 나타낸 상태 단면도로서 같이 설명한다.
먼저 외곽라인을 갖는 중첩된 포장필름(1,1a)의 사이로 내측면에는 밸브필름(2,2a)이 게재되어 있고, 포장필름(1,1a)의 외곽을 접착하여 형성된 접착라인(7)의 내측으로는 다수열의 구획라인(6)으로 각각의 공기주머니(3)를 형성한다.
또한, 밸브필름(2)(2a)의 외측면과 포장필름(1)(1a)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어지게 하되 밸브필름(2)의 타측면에는 공기유입용 이형재(10)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한다.
상기 공기유입용 이형재(10)는 양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주머니(3)의 공기유입구(4)와 대칭되게 하나의 이형띠로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진다.
또한 공기유입용 이형재(10)가 부착된 밸브필름(2)의 타측면에는 상기 공기유입용 이형재(10)와 같은 형상으로 하되 양방향의 공기주머니(3)중 어느 한쪽의 공기주머니(3)에만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는 공기유입용 이형재(10)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지게 한다.
상기 양방향에 형성된 공기주머니(3)의 공기유입구(4)에는 구획라인(6)과 직교하게 형성된 2줄의 내부라인(12)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라인(6)과 내부라인(12)이 교차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공기주머니(3)의 모서리 부분은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형재로 구성된 공기충진부(40)가 2줄로 이루어진 내부라인(12)에 의해 밸브필름(2)(2a)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중간공기주머니(30)는 상기 공기충진부(40)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는 밸브필름면(2)과 포장필름(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공기주입구(8)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공기주입 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에 과도한 공기로 인해 공기주머니(3)가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기압력을 조절하여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주입구(8)로 공기가 주입되기 시작하면 공기는 양 방향 공기주머니(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이형재로 구성된 공기충진부(40)로 공기가 원활히 유입된다.
이때에 상기 주입되는 공기는 공기주머니(3)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구(4)를 통해 공기주입구(8)와 근접해 있는 공기주머니(3)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머니(3)에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을 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지 않은 공기주머니(3)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입구(4)를 통하여 공기주입구(8)와 가까이에 있는 공기주머니(3)부터 순차적으로 유입되어 지며, 상기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어 만충된 공기주머니(3)는 내부에 형성된 밸브필름(2)(2a)이 포장필름(1a)의 일측으로 붙으면서 만충된 공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주머니(3)가 만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지 않은 공기주머니(3)는 공기주입구(8)와 가장 가까이에 있는 공기주머니(3)부터 순차적으로 충진된다.
또한 상기 공기주머니(3)와 대향되어 있는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된 공기주머니(3)에서도 도 7에서 보여지듯이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지 않은 공기주머니(3)와 동일한 현상으로 공기가 공기주머니(3)로 유입된다.
이때에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된 공기주머니(3)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충진부 이형재(20)에 의해 포장필름(1)과 밸브필름(2) 사이에 형성된 중간공기주머니(30)에도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중간공기주머니(30)에 유입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머니(3)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주머니(3) 내에서 순환하여 공기주머니(3)를 충진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밸브필름(2)의 외측에 형성된 공기충진부 이형재(20)에 의해 공기가 밸브필름(2)과 포장필름(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공기주머니(30)로 유입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머니(3)와 중간공기주머니(30)는 완전하게 공기가 만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주입구(8)와 가장 멀리에 위치한 공기주머니(3)와 중간공기주머니(30)까지 공기의 충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머니(3)는 공기충진부 이형재(20)에 의해 중간공기주머니(30)로 공기가 유입되어 중간공기주머니(30)가 만충되어야 하지만, 상기 중간공기주머니(30)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가 이형재(41)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충진부(40)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필름(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 공기주입구(8)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항상 벌어져 있는 밸브필름(2)(2a)으로 인해 중간공기주머니(30)는 만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주입구(8) 와 가장 멀리에 떨어져 있는 중간공기주머니(30)까지 만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충진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공기주입구(8)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중간공기주머니(30)에 공기의 충진이 이루어지면 ,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에 의해 중간공기주머니(30)로 유입되는 공기는 이형재로 이루어진 공기충진부(40)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필름(2)(2a)을 포장필름(1a) 방향으로 밀면서 공기주입구(8)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중간공기주머니(30)부터 공기가 만충된다.
그런 후 순차적으로 공기충진부(40)를 차단하면서, 공기주머니(3)와 중간공기주머니(30)가 만충되어 최종적으로 제품이 완성되어 진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공기주입구(8)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충진부(40)가 밀폐가 되면서 공기가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내부압력이 증가하여 압력이 커지게 되면 각진 모서리부분에서 압력이 증대하여 집중적으로 압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구획라인(6)과 내부라인(12)의 교차부분에 형성된 반원형의 모서리에 의해 공기주머니(3) 내부의 공기압력에 따른 모서리부분이 터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팩은 한번의 공기주입으로 양쪽의 공기주머니와 중아의 공기주머니를 한번에 형성함으로써, 포장팩 중앙공간을 활용하여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한번에 3개의 공기주머니를 형성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양방향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에 따라 양방향 공기주머니와 중간공기주머니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포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가 잘 새는 공기충진부가 중간공기주머니에 의해 막힘으로써, 공기유출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외곽라인을 갖는 중첩된 포장필름의 내측면으로 밸브필름(2)(2a)이 게재되어 있고, 포장필름(1)(1a)의 외곽을 접착하여 형성된 접착라인(7)의 내측으로는 다수열의 구획라인(6)으로 각각의 양방향 공기주머니(3)를 형성하고, 밸브필름(2)(2a)의 외측면과 포장필름(1)(1a)의 내측면이 서로 접착되어지게 하되 밸브필름(2)(2a)의 타측면에는 이형면(5)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하며, 양방향 공기주머니(3)의 중간부분에 공기 주입구(8)와 연결된 공기충진부(11)가 형성된 주입식 완충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밸브필름(2)(2a)에 형성되어 있으며 양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주머니(3)의 공기유입구(4)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체형의 이형재로 형성된 공기유입용 이형재(10);
    상기 공기유입용 이형재(10)가 형성되는 밸브필름(2)의 타측으로 공기유입용 이형재(10)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용 이형재(10)가 형성된 길이보다 짧은 공기충진부 이형재(20);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가 형성되는 밸브필름(2)과 맞닿는 포장필름(1)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공기충진부 이형재(20)에 의해 공기를 공급받아 충진되는 중간공기주머니(30);
    상기 밸브필름(2)(2a) 사이에 형성되되, 양방향 공기주머니의 중앙으로 공기유입용 이형재(10)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이형재로 구성된 공기충진부(40)에 특징이 있는 포장팩.
KR1020060054522A 2006-06-16 2006-06-16 포장팩 KR100763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22A KR100763641B1 (ko) 2006-06-16 2006-06-16 포장팩
PCT/KR2006/003099 WO2007145394A1 (en) 2006-06-16 2006-08-07 Packing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522A KR100763641B1 (ko) 2006-06-16 2006-06-16 포장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641B1 true KR100763641B1 (ko) 2007-10-05

Family

ID=3883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522A KR100763641B1 (ko) 2006-06-16 2006-06-16 포장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63641B1 (ko)
WO (1) WO20071453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88B1 (ko) 2006-09-07 2009-07-16 야오 신 리아오 연속 공기 충진을 위한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그의 공기밸브 장치
KR101074728B1 (ko) * 2009-01-29 2011-10-19 (주)신우아이엠에스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KR101247382B1 (ko) 2010-03-22 2013-03-28 주민수 충진로 일체형 밸브를 구비한 유체충진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236A (ja) 1983-08-10 1985-02-27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エアスポイラ
JPH01267161A (ja) * 1988-04-12 1989-10-25 Kiyoshi Takaura 逆止性弁腔を設けた気密袋
JPH0834478A (ja) * 1994-05-18 1996-02-0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アバブル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86659A (en) * 1982-07-07 1985-05-07 Walter G. Soroka Inflatable packaging structure
JPH07187242A (ja) * 1993-06-01 1995-07-25 K Jasai Z 緩衝保護装置
US5857571A (en) * 1997-12-01 1999-01-12 Tschantz; Mitchell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236A (ja) 1983-08-10 1985-02-27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エアスポイラ
JPH01267161A (ja) * 1988-04-12 1989-10-25 Kiyoshi Takaura 逆止性弁腔を設けた気密袋
JPH0834478A (ja) * 1994-05-18 1996-02-06 Idemitsu Petrochem Co Ltd エアバブル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88B1 (ko) 2006-09-07 2009-07-16 야오 신 리아오 연속 공기 충진을 위한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그의 공기밸브 장치
US7934522B2 (en) 2006-09-07 2011-05-03 Yao Sin Liao Multi-sectional airtight seal for continuous air-filling and air valve device thereof
KR101074728B1 (ko) * 2009-01-29 2011-10-19 (주)신우아이엠에스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KR101247382B1 (ko) 2010-03-22 2013-03-28 주민수 충진로 일체형 밸브를 구비한 유체충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5394A1 (en)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594B1 (ko) 다단식 공기밀봉체 및 체크밸브 장치
US11123945B2 (en)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US7938264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CN101432205B (zh) 空气包装装置
US741005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7533772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744511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US7165677B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100869021B1 (ko) 독립된 복층 공기실을 구비한 공기밀봉체
JP5535371B2 (ja) 気体進入口を自動的に開く吹き込み式気体密封シート
CN105109826A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CN203865276U (zh) 一种具有分装层的空气包装袋
KR100491204B1 (ko) 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제조방법
KR100763641B1 (ko) 포장팩
JP2013180812A (ja) 緩衝材
WO2008039178A2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CN213263728U (zh) 一种气柱式缓冲袋
CN204846823U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
CN208470559U (zh) 充气缓冲垫
KR200429489Y1 (ko) 보조가스포켓을 가진 팽창가능한 가스백
KR200489549Y1 (ko) 포장팩
EP1976772A1 (en) Structure of air-packing device
KR20110058106A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27633A (ko) 공기충전형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