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739B1 -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739B1
KR100762739B1 KR1020060071199A KR20060071199A KR100762739B1 KR 100762739 B1 KR100762739 B1 KR 100762739B1 KR 1020060071199 A KR1020060071199 A KR 1020060071199A KR 20060071199 A KR20060071199 A KR 20060071199A KR 100762739 B1 KR100762739 B1 KR 10076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treatment
water
sewage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호
김진태
Original Assignee
하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영호 filed Critical 하영호
Priority to KR102006007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혐기, 무산소조에서 유입되는 유입수가 유출수 및 폭기장치에 의해 간헐식 생물처리조(Intermittent Biological Treatment Tank)의 상부로 슬러지(부유물질)가 부유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격벽 및 엘보장치와, 간헐식 생물처리조(I.B.T TANK)에서 정화된 오·폐수 및 하수를 부유(浮游)상태에서 용이하게 외부에 구비되는 여과조 또는 방류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추출(傾瀉)장치를 구비한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는 전단계의 처리조에서 처리된 오·폐수 및 하수가 유입되어 폭기과정, 침전과정, 및 추출과정을 통해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방류하는 생물처리조가 구비된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물처리조는 추출장치부, 및 부유장치부로 구성되는 부유추출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생물처리조의 상부 일면에 전단계에서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조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처리수내에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리조유입구에 연결되어 생물처리조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처리장치, 부유추출장치

Description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A Sewage Dispos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의해 오·폐수 및 하수가 처리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물처리조내의 처리수유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물처리조내의 부유추출장치의 사시도; 및
도 3b는 도 3a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크린조 200: 1차유량조정조
300: 혐기/무산소조 400: 간헐식생물처리조
410: 처리수배출관 420: 슬러지부유방지막
430: 부유추출장치부 440: 가요성연결부재
500: 방류조 600: 농축조
본 발명은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혐기, 무산소조에서 유입되는 유입수가 유출수 및 폭기장치에 의해 간헐식 생물처리조(I.B.T TANK)의 상부로 슬러지(부유물질)가 부유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격벽 및 엘보장치와, 간헐식 생물처리조(I.B.T TANK)에서 정화된 오·폐수및 하수를 부유(浮游)상태에서 용이하게 외부에 구비되는 여과조 또는 방류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추출(抽出)장치를 구비한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자원이 부족한 나라의 경우, 각종 댐을 구축하여 조성되는 인공 호수가 중요한 용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급속한 개발정책 및 산업화에 기인하여 생활 오하수와 공장폐수가 그대로 하천으로 흘러들어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호수로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초래함과 동시에 수질을 급속히 악화시켜 식수원을 위협하고, 그 오염된 물이 바다로 흘러들어 적조현상을 유발하여 연안양식산업 등에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오·폐수 및 하수유입에 따른 수질의 오염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오·폐수 및 하수처리장을 설치하여 생활 오하수나 공장폐수를 인공적으로 정화 처리한 후, 다시 하천으로 방류하여 하천 및 호수의 오염을 막고 있다.
이러한 오·폐수 및 하수처리장에서 행해지는 오·폐수 및 하수처리공정에 있어서, 오·폐수 및 하수의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는 반응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정화 처리된 처리수의 배출과 더불어 처리수의 상층 위에 얼음이 얼어 처리수가 적절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거나, 처리수의 상층 위에 존재하는 슬러지가 정화된 처리수와 함께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종 처리수가 만들어지는 반응기 내부에 부유추출장치를 구비하여 처리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위치 이동이 용이할 뿐 아니라, 혼합된 슬러지를 처리수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해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부유추출장치로서 미국특허 제4,711,716호에서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장치를 이루게 되는 부유기구와 추출기구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제작이 어려울 뿐 아니라, 특히 추출기구와 부유기구를 포함하는 전체 조립구성이 지상에 구비되는 맨웨이(MANWAY)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워 수리나 유지, 보수시 대단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한 부유추출장치로서, 미국특허 제5,234,580호에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부유기구와 추출기구를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시엔 부유기구와 추출기구를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유지, 보수시엔 부유기구와 추출기구를 분리한 상태에서 보수/유지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의 부유추출장치는 체크밸브 형태의 수용기와 처리수펌프가 일체형으로 결합/구성되어 추출기구의 자중이 무거워지며, 이에 따라 추출기구를 유체 위에 부유시키는 부유기구도 자중이 무거운 추출기구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결국 부유추출장치 전체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며, 오·폐수 및 하수 고도 처리장치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욱이, 처리수를 유입하여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처리수펌프의 경우, 전원공급 케이블이나 각종 제어 목적의 전기적 배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처리수펌프는 처리조 내부에 위치하므로 수분에 노출됨에 따른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별도의 대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는 결국 하수처리장치 전체의 가격상승 요인과 함께 바람직하지 못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오동작이 발생할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수유입구가 처리조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전단계 공정에 처리된 하수가 후단계 처리조로 유입되는 동안 후단계 처리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오염물질)가 부유하여 정화 처리된 상층수와 혼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부유기구와 추출기구를 별도로 형성하되, 처리수펌프는 부유추출장치와 분리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부유추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원활한 동작과 함께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수펌프가 처리조의 수면이나 수중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처리조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전원 공급케이블이나 제어계통 라인이 처리조 내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아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작동정지 또는 오작동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도록 하고자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수배출관을 생물처리조의 하부에까지 연장 구비하고, 슬러지부유방지막을 구비함으로써, 전단계의 처리공정에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동안 후단계의 처리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는 전단계의 처리조에서 처리된 하수가 유입되어 폭기과정, 침전과정, 및 추출과정을 통해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방류하는 생물처리조가 구비된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물처리조는 정화 처리된 처리수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상층수를 배출수단에 의해 흡입/배출하는 추출장치부, 및 상기 추출장치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정화 처리된 처리수의 수면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유장치부로 구성되는 부유추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장치부는 내부에 처리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처리수유동공간과, 상기 처리수유동공간의 하단으로 관통 연결되되 처리수의 유출입 과정에서 추출장치부가 수면에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수유입관과, 상기 처리수유입관에 유입되는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수유동공간의 하단으로 관통 연결되는 처리수유출관, 및 추출장치부의 외측 상단에 로프를 매듭지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수유입관은 유입구 내부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하되, 상기 유입구 내부에는 유입되는 처리수가 일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체크볼이 구비되며, 상기 처리수유출관은 처리수의 수면 높낮이 변화 및 수면 환경상태에 따라 부유추출장치가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은 부유추출장치에 연결되어 처리수의 흡입/배출을 제어하되, 상기 생물처리조의 외부에 구비되어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는 전단계의 처리조에서 처리된 오·폐수 및 하수가 유입되어 폭기과정, 침전과정, 및 추출과정을 통해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방류하는 생물처리조가 구비된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물처리조는 생물처리조의 상부 일면에 전단계에서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조유입구가 관통 형성되되, 상기 처리수내에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리조유입구에 연결되어 생물처리조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수배출관의 하단부에 유출구 양단이 관통된 중공의 'T'자형의 플랜지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부재는 관통 형성된 유출구 양단에 'ㄱ'자형의 유출관을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물처리조의 외관을 형성하는 가로/세로처리조벽으로부터 각 일정거리 이격됨과 동시에 생물처리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되어 설치되되, 유입되는 처리수의 낙하에 의한 정화 처리된 상층수로의 슬러지 혼입 및 부유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처리수배출관의 주변에 설치되는 슬러지부유방지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유장치부는 처리수 수면상에서 부유추출장치가 평형을 이루면서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추출장치부의 양 외측에 대칭적으로 결합되되, 부유장치부의 내부에는 부유유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의해 오·폐수 및 하수가 처리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는 스크린조(100)와, 1차유량조정조(200)와, 혐기/무산소조(300)와, 간헐식생물처리조(400)와, 방류조(500), 및 농축조(600)로 구성되는 처리조에 의해 유입되는 하수가 순차적인 공정을 통하여 정화 처리된다.
상기 스크린조(100) 내부에는 유입되는 오·폐수 및 하수의 슬러지(오염물질)를 1차적으로 걸러주기 위해 격자형 그물망이 형성되는 스크린이 적어도 하나 이상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조(100)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오·폐수및 하수는 1차유량조정조(200)에 유입되며, 상기 1차유량조정조(200)는 후공정에서 처리될 유량을 조정하며 처리조 내부에 구비되는 에어공급기(210)에 의해 1차 폭기처리공정이 이 루어진다. 상기 폭기처리공정은 호기성 미생물을 주체로 하는 활성오니를 육성하거나, 그 활성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충분한 용존산소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공정을 말한다.
상기 혐기/무산소조(300)에서는 상기 1차유량조정조(200)에서 유입되는 오·폐수 및 하수내의 질소를 처리하기 위한 탈질 반응과, 미생물로부터 인의 방출을 유도하는 처리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탈질 반응과 인 방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탈질 반응에 대해서 설명하면, 유입되는 오·폐수 및 하수내의 질소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질소 형태인 암모니아성 질소(NH3 - N)는 폭기처리공정에서의 에어공곱기(210)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와 반응하고 유기물속에 다량 포함된 미생물인 니트로사모나스(Nitrosomonas)에 의해 산화되어 아질산성질소(NO2 - N)로 전환되고, 아질산성 질소는 다시 미생물인 니트로백터(Nitrobactor)의 분해 작용에 의해 질산성 질소(NO3 - N)로 바뀌게 되는데, 이러한 질산성 질소(NO3 - N)의 형태로 질소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오·폐수및 하수는 혐기/무산소조(300)에서 탈질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탈질 반응은 자연수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종속영양 미생물인 임의성 미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의 전자 전달 체계는 환원된 전자공여체로서 유기물을 사용하고 산화된 최종 전자 수용체로서 산소, 혹은 질산성 질소, 황산이온 등을 사용하는 데 각각의 전자수용체가 하수속의 유기물과 반응시 산소>질산성질소>황산이 온 등의 순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즉 무산소 상태가 되면 미생물들은 전자수용체로서 질산성 질소기에서 화화적으로 결합된 산소를 활용하여 호흡하기 때문에 질산성 질소(NO3 - N)는 산소를 미생물 호흡에 빼앗겨 최종적으로 유리된 질소만 존재하게 되며, 이때 가스상의 질소는 대기중으로 날아가 버리게 되며 오·폐수 및 하수속의 질소가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혐기/무산소조(300)에서는 임의성 미생물들이 세포 성장을 위하여 건조무게비 약 4~12% 인을 섭취하게 되는데, 이는 미생물의 세포내에 축적하게 되어 오·폐수및 하수내의 인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생물처리조(400)에서는 혐기/무산소조(3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2차 폭기처리(약 2시간), 침전처리(약 1시간), 추출처리(약 1시간) 등의 과정을 거쳐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방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생물처리조(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유추출장치부(430)와, 처리수배출관(410)에 그 기술적 사상의 요지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생물처리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물처리조내의 처리수유입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의 생물처리조는 내부에 처리수배출관(410), 및 부유추출장치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생물처리조(400)의 상부 일면에는 전 공정인 상기 혐기/무산소에서 정화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처리조유입구(40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처리조유입구(401)에 처리수배출관(410)이 연결되어 생물처리조(400)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이 처리수배출관(410)은 처리수내에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처리수배출관(410)의 끝단부는 생물처리조의 바닥면(40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약 500㎜)되게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배출관(410)의 하단부에는 유출구 양단이 관통된 중공의 'T'자형의 플랜지부재(411)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플랜지부재(411)는 오·폐수및 하수내에서 부식이 잘되지 않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부재(411)의 관통 형성된 유출구 양단에 'ㄱ'자형의 유출관(412)이 더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관(412)의 형상은 일자형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생물처리조(400) 내부 모서부에는 슬러지부유방지막(420)이 구비되는데, 이는 생물처리조(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가로/세로처리조벽(403a, 403b)으로부터 각 일정거리 이격됨과 동시에 생물처리조의 바닥면(402)으로부터 일정거리(약 500㎜)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슬러지부유방지막(420)은 혐기/무산소조(30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의 낙하에 의한 정화 처리된 상층수 내부로 슬러지가 혼입되거나 부유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수배출관(410)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처리수배출관(410)을 통해 처리수가 낙하할지라 도 슬러지부유방지막(420)에 의해 처리수가 요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상기 처리수배출관(410)의 주변은 항상 고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 도면 중,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물처리조내의 부유추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부유추출장치부(430)는 추출장치부(431)와 부유장치부(432)로 구성되며, 상기 추출장치부(431)는 정화 처리된 처리수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상층수를 생물처리조(400)의 외부에 구비되는 처리수펌프(450)에 의해 흡입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며, 상기 부유장치부(432)는 정화 처리된 처리수의 수면상에서 부유추출장치부(430)의 부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추출장치부(431)의 외측 상단에는 부유추출장치(430)의 세척 및 수리를 위해 연결수단을 제공하는 로프(미도시)를 매듭지을 수 있도록 연결고리(431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유장치부(432)는 처리수 수면상에서 부유추출장치(430)가 평형을 이루면서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추출장치부(431)의 외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부유장치부(432)의 내부에는 공기 또는 비중이 낮은 발포제인 부유유체가 충진되는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추출장치부(431)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처리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처리수유동공간(431a)이 형성되며, 이 처리수유동공간(431a)은 추출장치부(431)가 수면에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좌우 균형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처리수유동공간(431a)의 하부로 처리수유입관(431b)이 관통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유입관(431b)은 처리수가 유입되는 동안 추출장치부(431)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처리수유입관(43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처리수유입관(431b)의 유입구(431b') 내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하며, 내부로 유입되는 처리수가 일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체크볼(431d)이 유입구(431b')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크볼(431d)은 유입구(431b')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지만, 유입구(431b')의 단부의 지름이 체크볼(431d)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유입구(431b')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처리수유출관(431c)은 상기 처리수유동공간(431a)의 하단으로 관통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유입관(431b)에 유입되는 처리수를 처리수펌프(450)에 의해 외부 방류조(500)로 방류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처리수유출관(431c)은 가요성연결부재(440)에 연결되는데, 이 가요성연결부재(440)는 처리수의 수면 높낮이의 변화나 슬러지의 존재 등의 수면 환경상태에 따라 부유추출장치(430)가 용이하게 수면위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처리수펌프(450)는 상기 부유추출장치(430)를 통해 처리수를 흡입하고 배출하며, 이는 상기 생물처리조(4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처리수펌프(450)는 생물처리조(400) 내부의 수면이나 수중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생물처리조(400)의 외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처리수펌프(450)를 가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케이블이나 제어계통 라인(451)이 생물처리조(400)의 외부 에 설치됨으로써, 생물처리조(400) 내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물, 슬러지, 미생물 등)에 의한 영향을 받아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작동정지 또는 오작동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부유추출장치(430)를 통해서 처리수를 흡입한 후, 다음 처리 공정인 방류조(500) 및 농축조(600)를 거쳐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정화된 오·폐수 및 하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부유추출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원활한 동작과 함께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처리수펌프가 처리조의 수면이나 수중에 설치하지 아니하고 처리조의 외부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케이블이나 제어계통 라인이 처리조 내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아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작동정지 또는 오작동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의하면, 처리수배출관을 생물처리조의 하부에까지 연장 구비하고, 처리수배출관의 주변으로 슬러지부유방지막을 구비함으로써, 전단계의 처리공정에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동안 후단계의 생물처리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의 부유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0)

  1. 전단계의 처리조에서 처리된 오·폐수및 하수가 유입되어 폭기과정, 침전과정, 및 추출과정을 통해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방류하는 생물처리조가 구비된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물처리조는 정화 처리된 처리수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상층수를 배출수단에 의해 흡입/배출하는 추출장치부; 및 상기 추출장치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정화 처리된 처리수의 수면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유유체가 내부에 충진된 부유장치부;로 구성되는 부유추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추출장치부는 내부에 처리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처리수유동공간과; 상기 처리수유동공간의 하단으로 관통 연결되되 처리수의 유출입 과정에서 추출장치부가 수면에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유입구 내부에 체크볼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수유입관과; 상기 처리수유입관에 유입되는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수유동공간의 하단으로 관통 연결되고, 처리수의 수면 높낮이 변화 및 수면 환경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처리수유출관; 및 외측 상단에 로프를 매듭지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단계의 처리조에서 처리된 하수가 유입되어 폭기과정, 침전과정, 및 추출과정을 통해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방류하는 생물처리조가 구비된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물처리조는 하단부에 유출구 양단이 관통된 중공의 'T'자형의 플랜지부재, 및 상기 관통 형성된 유출구 양단에 결합하는 'ㄱ'자형의 유출관으로 구성되는 처리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생물처리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됨과 동시에 외관을 형성하는 가로/세로처리조벽으로부터 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슬러지부유방지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0071199A 2006-07-28 2006-07-28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KR10076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99A KR100762739B1 (ko) 2006-07-28 2006-07-28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99A KR100762739B1 (ko) 2006-07-28 2006-07-28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739B1 true KR100762739B1 (ko) 2007-10-04

Family

ID=3941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199A KR100762739B1 (ko) 2006-07-28 2006-07-28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23B1 (ko) 2007-12-14 2010-02-02 이경섭 부유접촉형 하수처리시설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65Y1 (ko) 2002-09-11 2002-12-26 주식회사 케이스리하이테크 오폐수 및 하수의 처리된 처리수 방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665Y1 (ko) 2002-09-11 2002-12-26 주식회사 케이스리하이테크 오폐수 및 하수의 처리된 처리수 방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123B1 (ko) 2007-12-14 2010-02-02 이경섭 부유접촉형 하수처리시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397B2 (en) Superoxygenation of raw wastewater for odor/corrosion control
CN110759490A (zh) 一种微纳米曝气生物接触氧化水体净化方法及装置
CN105836970B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20190009467A (ko) 태양광발전을 이용한 녹조방지장치 및 그 방법
CN105439286B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US20160289109A1 (en) Enhanced treatment shaft
CN106007267A (zh) 大型一体化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工艺
WO2021074307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0762739B1 (ko) 오·폐수 및 하수 고도처리장치
CN114906986B (zh) 一种可调工艺的一体化污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0790455A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及污水处理方法
CN214400158U (zh) 絮凝沉淀池强化氨氮处理mbbr系统
CN211226811U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13860653A (zh) 一种利用丝状菌并控制污泥膨胀的污水处理系统和工艺
CN208617484U (zh) 一种集散式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113716803A (zh) 一种一体化强化脱氮污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11333177A (zh) 泥膜生化污水处理系统
CN206886803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100461348B1 (ko) 호수, 저수지 또는 댐의 수질 개선 방법 및 그 장치
KR101554342B1 (ko)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RU195505U1 (ru) Локальное 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8435361U (zh) 一种一体化农村污水处理系统
CN214571030U (zh) Mbbr工艺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16890545U (zh) 一种河道排污口污水处理装置
CN215250277U (zh) 一种厨余污水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