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607B1 -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607B1
KR100762607B1 KR1020050099637A KR20050099637A KR100762607B1 KR 100762607 B1 KR100762607 B1 KR 100762607B1 KR 1020050099637 A KR1020050099637 A KR 1020050099637A KR 20050099637 A KR20050099637 A KR 20050099637A KR 100762607 B1 KR100762607 B1 KR 10076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packet
broadcast data
data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396A (ko
Inventor
최종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6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B-H 휴대단말기에서 방송을 외부 장치를 통해서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 등에서 DVB-H 휴대단말기를 방송 수신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DVB-H 휴대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외부 장치를 통해서 재생하는 방법은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 데이터가 추출되면 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변환된 IP 패킷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VB-H, 외부 장치, 휴대단말기, 방송

Description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DVB-H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BROADCASTING THROUGH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DVB-H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B-H 휴대단말기와 외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B-H 휴대단말기에서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B-H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동 방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DVB-H 휴대단말기만 가지고 있으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DVB-H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DVB-H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DVB-H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00)와 스피커(110)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고, 메모리부(120)는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무선수신부(130)는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모듈레이터(140)는 상기 무선수신부(130)를 통해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방송되는 채널들을 상기 표시부(100)를 통해서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00)를 통해서 표시된 채널들 중에서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디모듈레이터(140)는 상기 무선수신부(130)를 통해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채널의 TS(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추출한다. IP-디캡슐레이터(150)는 상기 디모듈레이터(140)를 통해서 추출된 TS 데이터를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한다. 미디어 재생부(160)는 상기 IP-디캡슐레이터(15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표시부(100)와 스피커(110)를 통해서 출력한다. 또한, DVB-H의 특성상 방송 서비스 제공업자는 방송 데이터를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휴대단말기는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DVB-H 휴대단말기는 상기 표시부(100)의 크기, 즉 액정화면의 크기, 상기 스피커(110)의 사운드 출력 크기,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할 수 있는 방송 데이터의 크기가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일반적인 미디어 장치보다 작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DVB-H 방송을 시청하려면, DVB-H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휴대폰이 필요했고, 자동차에서 DVB-H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용 DVB-H 방송 수신장치가 필요했었다. 또한,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DVB-H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DVB-H 방송 수신용 칩 또는 확장카드를 따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각의 장치마다 DVB-H 방송 시청을 위해서 필요한 방송 수신장치가 다르므로 사용자는 이들 장치들로 DVB-H 방송을 시청하려면 그에 따른 수신장치 역시 각각 구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 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휴대단말기는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추출하는 디모듈레이터, 상기 디모듈레이터를 통해서 추출된 TS 데이터를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하는 IP-디캡슐레이터,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IP-디캡슐레이터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VB-H 휴대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외부 장치를 통해서 재생하는 방법은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 데이터가 추출되면 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변환된 IP 패킷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B-H 휴대단말기와 외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DVB-H 휴대단말기(이하 휴대단말기라 함)(200)의 표시부(210)와 스피커(220)는 방송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하고, 메모리부(230)는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무선수신부(240)는 정해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모듈레이터(250)는 상기 무선수신부(240)를 통해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ESG 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방송되는 채널들을 상기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210)를 통해서 표시된 채널들 중에서 시청을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상기 디모듈레이터(250)는 상기 무선수신부(240)를 통해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채널의 TS 데이터를 추출한다. IP-디캡슐레이터(260)는 상기 디모듈레이터(250)를 통해서 추출된 TS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한다. 미디어 재생부(270)는 상기 IP-디캡슐레이터(26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210)와 스피커(220)를 통해서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280)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들을 처리한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는 외부 장치(400)와 인터페이스를 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400)가 연결되면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및 상기 IP-디캡슐레이터(26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상기 외부 장치(400)를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 (400)가 연결되면 방송을 상기 휴대단말기(200)를 통해서 제공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외부 장치(400)를 통해서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400)가 연결되면 상기 표시부(210)를 통해서 방송을 상기 휴대단말기(200)로 시청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외부 장치(400)로 시청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문구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방송을 상기 휴대단말기(200)로 시청할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IP-디캡슐레이터(26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270)를 통해서 재생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방송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시청할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본 실시예에 따라 방송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제공할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체크 과정 없이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로부터 외부 장치 연결신호를 입력받으면 방송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제공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방송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제공할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IP-디캡슐레이터(26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을 상기 미디어 재생부(270)로 출력하지 않고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40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IP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외부 장치(400)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하는 데 필요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한다.
초기화 정보는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 정보, 상기 IP 패킷이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의 패킷인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패킷인지에 대한 정보, 상기 IP 패킷을 보낸 원본 IP 주소(Source Address), 상기 IP 패킷의 최종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 정보, 및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한 정보들은 일반적으로 외부 장치(400) 즉,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에 구비된 미디어 재생기에서 IP 패킷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 필요한 정보이다. 즉, 상기 외부 장치(400)에서 상기한 정보들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미디어 재생기의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은 공지된 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외부 장치(400)가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IP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400)는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그러면,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는 상기 외부 장치(4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400)의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와 인터페이스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초기화 정보와 상기 IP 패킷을 전송받는다. 미디어 재생부(420)는 상기 외부 장치(400)에서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전송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 역시 재생한다. 상기 표시부(430)와 스피커(440)는 상기 미디어 재생부(420)를 통해서 재생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 출력한다. 메모리부(450)는 상기 외부 장치(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전송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 역시 저장한다. 데이터 처리부(460)는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전송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닐 경우에 이를 처리한다.
외부 데이터 제어부(470)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전송된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재생부(420)의 데이터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데이터 제어부(470)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상기 초기화 정보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포함한 IP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420)를 통해서 재생한다. 또한, 상기 외부 데이터 제어부(470)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전송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460)를 통해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외부 데이터 제어부(470)는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저장을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450)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외부 장치(400)에 구비된 상기 미디어 재생부(420)가 상기 초기화 정보를 통해서 확인된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400)가 PC라고 가정하면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와 같은 기존의 PC용 플레이어로 재생(상기 방송 데이터의 재생)이 안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할 수 있는 방송 데이터 전용 미디어 재생기(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외부 장치(400)에 구비하게 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부(460) 역시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 데이터 전용 데이터 처리기(도시하지 않음)를 상기 외부 장치(400)에 구비하게 하여 상기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DVB-H 휴대단말기(200)에서 상기 외부 장치(400)를 통해서 방송을 출력하는 과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DVB-H 휴대단말기에서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방송을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 등과 같은 외부 장치(400)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보다 큰 화면과 사운드로 시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와 상기 외부 장치(400)의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두 장치를 연결해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400)가 연결됐는지 체크한다(S100). 체크 결과, 상기 외부 장치(400)가 연결됐으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IP-디캡슐레이터(26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전송한다(S200).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초기화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외부 장치(400)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서 상기 초기화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데이터 제어부(470)는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재생부(420)의 데이터 재생 환경을 설정한다(S300).
상기 S300 단계에서 상기 외부 장치(400)가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IP-디캡슐레이터(26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300)는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상기 IP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400)로 전송한다(S400).
상기 휴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IP 패킷이 전송되면, 상기 외부 장치(400)의 외부 데이터 제어부(470)는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420)를 통해서 재생한다(S50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외부 장치(400)의 표시부(430)와 스피커(440)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200)보다 큰 화면과 사운드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0 단계에서 상기 외부 장치(400)가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90)를 통해서 연결이 안 됐으면,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제어부(300)는 상기 IP-디캡슐레이터(260)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270)를 통해서 재생한다(S60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DVB-H 휴대단말기에서 방송을 외부 장치를 통해서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 등에서 DVB-H 휴대단말기를 방송 수신 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특성상 가지게 되는 작은 액정화면, 사운드 출력 크기, 메모리 크기의 한계를 외부 장치를 통해서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PDA 등에서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이들 각각의 방송 수신 장치를 추가 구입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Transport Stream) 데이터를 추출하는 디모듈레이터;
    상기 디모듈레이터를 통해서 추출된 TS 데이터를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변환하는 IP-디캡슐레이터;
    외부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IP-디캡슐레이터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정보는,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 정보;
    상기 IP 패킷이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의 패킷인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패킷인지에 대한 정보;
    상기 IP 패킷을 보낸 원본 IP 주소(Source Address), 상기 IP 패킷의 최종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 정보; 및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방송을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외부 장치 중에 어느 것으로 시청할 것인지 체크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방송 시청이 결정되면 상기 초기화 정보와 IP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인터페이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휴대단말기와 인터페이스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미디어 재생부; 및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전송된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재생부의 데이터 재생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초기화 정보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포함한 IP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를 통해서 재생하는 외부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는 방송 데이터 전용 미디어 재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재생부가 상기 초기화 정보를 통해서 확인된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지 못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전용 미디어 재생기를 통해서 상기 방송 데이터가 재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외한 방식의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전송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방송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 데이터 전용 데이터 처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전송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전용 데이터 처리기를 통해서 상기 방송 데이터가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IP-디캡슐레이터를 통해서 변환된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의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DVB-H 휴대단말기.
  11. DVB-H 휴대단말기에서 방송을 외부 장치를 통해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 데이터가 추출되면 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변환된 IP 패킷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정보는,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 정보;
    상기 IP 패킷이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의 패킷인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패킷인지에 대한 정보;
    상기 IP 패킷을 보낸 원본 IP 주소(Source Address), 상기 IP 패킷의 최종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 정보; 및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사용자에게 방송을 상기 휴대단말기 및 상기 외부 장치 중에 어느 것으로 시청할 것인지 체크하는 과정; 및
    상기 외부 장치로 방송 시청이 결정되면 상기 초기화 정보와 IP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USB 통신을 통해서 연결하여 상기 초기화 정보와 IP 패킷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초기화 정보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미디어 재생부의 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초기화 정보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포함한 IP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미디어 재생부를 통해서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DVB-H 휴대단말기가 미디어 재생기 및 방송 데이터 전용 미디어 재생기를 구비하는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 데이터가 추출되면 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변환된 IP 패킷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재생부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면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 상기 IP 패킷이 전달되며, 상기 미디어 재생부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지 못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전용 미디어 재생기로 상기 IP 패킷이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DVB-H 휴대단말기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외한 방식의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미디어 재생부를 구비한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 데이터가 추출되면 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변환된 IP 패킷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재생부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면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 상기 IP 패킷이 전달되고,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상기 IP 패킷이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DVB-H 휴대단말기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외한 방식의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방송 데이터 전용 데이터 처리부, 미디어 재생부를 구비한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으로 수신된 방송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선국된 채널의 TS 데이터가 추출되면 이를 IP 패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변환된 IP 패킷에 저장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방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IP 패킷을 전송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재생부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면 상기 미디어 재생기로 상기 IP 패킷이 전달되고,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아니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면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 상기 IP 패킷이 전달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하면 상기 방송 데이터 전용 데이터 처리부로 상기 IP 패킷이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컴퓨터 및 PDA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정보는,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 정보;
    상기 IP 패킷이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의 패킷인지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패킷인지에 대한 정보;
    상기 IP 패킷을 보낸 원본 IP 주소(Source Address), 상기 IP 패킷의 최종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Address), 포트 번호(Port Number) 정보; 및
    상기 IP 패킷에 포함된 방송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의 미디어 재생부 혹은 방송 데이터 전용 미디어 재생부의 환경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부가 상기 방송 데이터의 미디어 형식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상기 초기화 정보를 통해서 확인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99637A 2005-10-21 2005-10-21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KR10076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37A KR100762607B1 (ko) 2005-10-21 2005-10-21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637A KR100762607B1 (ko) 2005-10-21 2005-10-21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96A KR20070043396A (ko) 2007-04-25
KR100762607B1 true KR100762607B1 (ko) 2007-10-01

Family

ID=3817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637A KR100762607B1 (ko) 2005-10-21 2005-10-21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8297A2 (en) * 2007-10-12 200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plural data in portable broadcasting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30B1 (ko) 2007-05-02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26A (ko) * 1999-09-16 2001-04-06 윤종용 멀티미디어콘텐츠의 구매 및 휴대용기기에서의 재생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방송수신장치
JP2002044193A (ja) 2000-07-25 2002-02-08 Sony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の画面情報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ダウンロード方法
JP2002198839A (ja) 2000-11-07 2002-07-12 Robert Bosch Gmbh ディジタル無線放送信号用の無線放送受信機及び携帯用電気機器
KR20060039503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팬택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위성 dmb 방송을디스플레이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위성 dmb 방송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26A (ko) * 1999-09-16 2001-04-06 윤종용 멀티미디어콘텐츠의 구매 및 휴대용기기에서의 재생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방송수신장치
JP2002044193A (ja) 2000-07-25 2002-02-08 Sony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の画面情報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ダウンロード方法
JP2002198839A (ja) 2000-11-07 2002-07-12 Robert Bosch Gmbh ディジタル無線放送信号用の無線放送受信機及び携帯用電気機器
KR20060039503A (ko) * 2004-11-03 2006-05-09 주식회사 팬택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위성 dmb 방송을디스플레이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위성 dmb 방송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8297A2 (en) * 2007-10-12 2009-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plural data in portable broadcasting service
WO2009048297A3 (en) * 2007-10-12 200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plural data in portable broadcast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96A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6983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データを受信及び再生するための移動端末アクセサリー装置及び方法
US8811375B2 (en) Multimedia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US9232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WO2005069618A1 (en) Portable audio/video system for mobile devices
US8670569B2 (en) Method for checking audio interface in AV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545906A (ja) マルチメディア信号を表示するため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転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10037680A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JP4728188B2 (ja) Dmbデータを受信するためのdmbパッケージと移動端末機及びdmbデータ受信方法
US20050063418A1 (en) Tuner module utilizing device-specific controller
JP2007104679A (ja) Dmbサービス中におけるdmbデータの再生のためのdmb端末機及び方法
US20210240639A1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62607B1 (ko) 외부 장치를 통해서 방송을 제공하는 dvb-h휴대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KR20070107917A (ko) 접속장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339492B1 (en) Multi-media wireless system
KR10064037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8003741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tasking
KR20070008051A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텔레비전 시스템
US20080192658A1 (en) Media distribution system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module
US20090031378A1 (en) Media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JP2013090060A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KR20050055616A (ko) 통신 카드
KR20090015650A (ko) 휴대용 유에스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재생 방법
US201000502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93667A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291431A (zh) 可携式多媒体播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