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667A -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667A
KR20070093667A KR1020060023793A KR20060023793A KR20070093667A KR 20070093667 A KR20070093667 A KR 20070093667A KR 1020060023793 A KR1020060023793 A KR 1020060023793A KR 20060023793 A KR20060023793 A KR 20060023793A KR 20070093667 A KR20070093667 A KR 2007009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tream
storage device
data storage
portable data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3667A/ko
Publication of KR2007009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저장이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 상기 선국된 방송 신호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복조부; 상기 변환된 전송 스트림을 커넥터를 통해 대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전송 스트림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제어부를 포함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과 함께 방송 녹화가 가능토록 함에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 방송, 저장, 휴대 장치

Description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portable storage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처리를 위한 컴퓨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에서의 데이터 저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101...튜너
102...복조부                     103,127...제어부
104,121...커넥터                 105...저장제어부
106...메모리              120...컴퓨터
122...디멀티플렉서              123...디코더부
124...재생장치                  125...저장부
126...키입력부                       
본 발명은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및 그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라디오 방송은 아날로그 형태로서 원래 고정 수신용으로 개발되었으므로 보행 중 또는 차량 운행 중에 수신할 경우에는 음질이 상당히 저하되고 높은 출력과 넓은 주파수 대역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의 표준화 및 상용화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오디오 방송 표준으로 Eureka-147을 채택한 유럽에서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미국의 경우 DAR(Digital Audio Radio), 캐나다의 경우 DRB(Digital Radio Broadcasting),국제전기통신연합(ITU-R)의 경우 DSB(Digital Sound Broadcasting)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정보통신부에 의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듣는 방송의 개념을 보고 듣는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의 개념을 확장시켰으며, 음악방송 외에도 뉴스, 교통정보, 기상정보, 지리위치정보, 동영상 정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문자와 그래픽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국내 정보통신부에 의해 명명된 DMB 즉,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음성방송의 디지털화가 됨에 따라 종전의 AM과 FM 라디오 형태를 넘어 고품질 CD 수준의 음질, 문자나 그래픽, 동화상까지 1.5Mbit/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양방향성, 우수한 이동수신 품질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이다.
따라서 DMB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MB 수신기 역시, 상용화 단계에 이르러 있으며, PDA 등 휴대기기에 내장형으로 적용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현재의 DMB 수신기는 특정 기기에 내장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DMB 수신기가 내장된 특정 제품을 구입해야만 DMB 방송의 수신이 가능하고,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노트북,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의 기기에는 이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을 대상 기기로 전송해 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을 수신하면서 녹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USB 메모리로 구현하여 컴퓨터 등의 단말기에 USB 포트로 전송해 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 상기 선국된 방송 신호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복조부; 상기 변환된 전송 스트림을 커넥터를 통 해 대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전송 스트림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방법은, 채널 선택 요청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전송 스트림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방송 수신 장치(10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선국을 위한 튜너(101)와, 상기 튜너로부터 선국된 신호를 전송 스트림으로 복조하는 복조부(102)와, 상기 튜너(101) 및 복조부(102)의 제어 및 상기 복조된 전송 스트림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03)와, 상기 전송 스트림을 컴퓨터(120)로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104)와, 상기 전송 스트림을 저장을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105)와, 상기 저장 제어부(105)에 의해 전송 스트림이 저장되는 메모리(memory)(106)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컴퓨터(120)에는 휴대용 방송 저장장치(100)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121)와, 상기 커넥터(121)로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122)와, 상기 디멀티플렉싱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부(Decoder)(123)와, 상기 디코더부(123)로부 터 디코딩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124)와, 저장부(125), 키 입력부(126), 상기 키 입력부(12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27)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는 채널 선택 신호에 의해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커넥터(104)를 통해 대상 단말기에 전송해 주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는 바람직하게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저장장치이며, 대상 단말기는 휴대 컴퓨터 또는 데스크 탑 컴퓨터이거나 USB 인터페이스를 갖고 재생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는 튜너(101), 복조부(102), 제어부(103), 커넥터(104), 저장제어부(105), 메모리(106)를 포함하며, 상기 튜너(101)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 신호를 동조하여 선국하게 되며, 선국된 방송신호는 튜너 내부의 믹서(MIXER)를 통과하면서 중간주파수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복조부(102)는 상기 중간 주파수로 변환된 방송 신호를 디지털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전송 스트림은 제어부(103)를 통해 커넥터(104)에 접속된 대상 단말기에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3)는 컴퓨터(120)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선택 신호에 의해 상기 튜너(101)의 채널 선국을 제어하며, 전송 스트림 등과 같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게 된다. 커넥터(104)는 직렬이나 병렬 또는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녹화모드시 제어부(103)는 상기 전송 스트림을 저장 제어부(105)로 전달하여 메모리(106)에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06)는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컴퓨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송 스트림을 재생시켜 주게 된다. 이를 위해, 컴퓨터(120)에는 커넥터(121), 디멀티플렉서(122), 디코더부(123), 재생장치(124), 저장부(125), 키 입력부(126), 제어부(127)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120)의 커넥터(121)는 도 1의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의 커넥터(104)와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직렬, 병렬 또는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게 된다.
상기 디멀티플렉서(122)는 상기 전송 스트림을 오디오, 비디오, 부가정보 데이터로 디멀티플렉싱하게 되는데, 이는 방송 센터에서의 멀티플렉싱하는 방식의 역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디코더부(123)는 미도시된 오디오, 비디오, 부가정보 디코더를 포함하며, 각 디코더에서 오디오, 비디오, 부가정보 데이터를 디코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멀티플렉서 및 디코더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방송 수신을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재생장치(124)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스피커로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된다.
저장부(125)는 방송 수신에 따른 각 종 정보, 드라이버, 그리고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필요시 사용자 데이터 즉, 전송 스트림도 저장된다.
키 입력부(126)는 키보드, 마우스와 함께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부(126)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시청하기 위해 채널을 선택하면, 그 채널 선택 신호는 제어부(127)에서 전달받아 커넥터(121)를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채널 선택 신호에 해당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터(120)의 사용자가 키 입력부(126)를 통해 채널 선택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127)는 커넥터(121)를 통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에 채널 선택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는 상기 채널 선택 신호를 커넥터(104)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채널 선택 신호를 제어부(103)에서 전달받게 된다. 이때, 제어부(103)는 상기 튜너(101)를 제어하여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 신호를 동조하여 선국하게 된다. 상기 선국된 방송 신호는 복조부(102)에서 디지털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되고, 제어부(103)를 통해 커넥터(104)로 전송된다.
이때, 컴퓨터(120)의 커넥터(121)에서 상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 후 디멀티플렉서(122)로 디멀티플렉싱시키고, 디코더부(123)에서 디코딩하여 재생장치(124) 로 출력시켜 줌으로써,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키 입력부(126)를 통해 현재 시청 중인 방송을 녹화하려고 할 경우 녹화 명령을 전달하면, 컴퓨터(120)의 제어부(127)에서 커넥터(121)를 통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로 녹화 명령을 전달한다.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의 제어부(103)는 입력되는 전송 스트림을 커넥터(104) 및 저장제어부(105)로 전달함으로써, 저장 제어부(105)에서 메모리(106)에 상기 전송 스트림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전송 스트림을 저장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 녹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104,121)는 하나 이상의 포트로 접속된다.
그리고,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에 저장된 전송 스트림을 다른 위치에서 다른 컴퓨터로 다운로드받아 재생시켜 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는 채널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S101) 튜너의 채널 선국을 제어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S102),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부를 통해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게 된다(S103). 상기 변환된 전송 스트림을 커넥터를 통해 컴퓨털 전송해 줌으로써(S104), 컴퓨터에서 상기 전송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재생하게 된다(S105).
도 4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데이터 저장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시청 모드로 동작 상태(S111)에서 시청중인 사용자로부터 녹화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S112), 녹화 모드 요청이 있 으면 전송 스트림을 컴퓨터로 전송하여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내의 메모리에 상기 전송 스트림을 저장하게 된다(S113). 여기서, 녹화 모드일 때 메모리를 사용자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장형 메모리를 선택할 수도 있어,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녹화 종료 모드인지를 확인하여(S114), 녹화 모드 종료이면 전송 스트림을 컴퓨터에만 전송함으로써(S115), 방송을 계속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컴퓨터에서 방송 프로그램이 녹화된 경우,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함으로써, 다른 위치에서 사용자가 보고자 할 때 언제든지 컴퓨터를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컴퓨터로 재생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컴퓨터 등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어, 다른 위치에서 다시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선국하기 위한 튜너;
    상기 선국된 방송 신호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복조부;
    상기 변환된 전송 스트림을 커넥터를 통해 대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전송 스트림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4. 채널 선택 요청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전송 스트림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상기 전송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 및 디코딩을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전송 스트림에 대해 녹화 요청시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방법.
KR1020060023793A 2006-03-15 2006-03-15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93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93A KR20070093667A (ko) 2006-03-15 2006-03-15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793A KR20070093667A (ko) 2006-03-15 2006-03-15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67A true KR20070093667A (ko) 2007-09-19

Family

ID=3868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793A KR20070093667A (ko) 2006-03-15 2006-03-15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36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814A (ko) 2014-09-15 2016-03-23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임프린트용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박막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814A (ko) 2014-09-15 2016-03-23 한국화학연구원 나노임프린트용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박막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191B1 (ko) 지상파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1658029A (zh) 用于从手持设备向计算机系统传送多媒体信号以进行显示的方法和装置
KR20120090409A (ko)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00790B1 (ko)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20050033304A (ko) Dmb 수신기
KR1008462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KR100751859B1 (ko)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장치 및 방법
KR20050052859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070093667A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US20070010194A1 (en)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nd Processing Digital Video Broadcasting Signals and Digital Audio Broadcasting Signals
KR100762215B1 (ko) 무선 근거리 개인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디스플레이 시스템및 장치
KR10073288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KR20020014875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KR100603507B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200402071Y1 (ko) 디엠비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KR100892465B1 (ko) 방송 신호의 재생/녹화 장치 및 방법,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20070006366A (ko) Dmb 단말기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시작 알림 방법 및예약 저장 방법
KR100867177B1 (ko) 멀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기 및 그 방법
KR20090000864A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92466B1 (ko) 방송 신호의 재생/녹화 장치, 이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20070054900A (ko) 외장형 유에스비-디엠비 수신장치
KR20060105186A (ko) 방송프로그램 시작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334049Y1 (ko) 부가 데이터 출력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기
KR2004010017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KR10068162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