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197B1 - 통합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197B1
KR100762197B1 KR1020070056039A KR20070056039A KR100762197B1 KR 100762197 B1 KR100762197 B1 KR 100762197B1 KR 1020070056039 A KR1020070056039 A KR 1020070056039A KR 20070056039 A KR20070056039 A KR 20070056039A KR 100762197 B1 KR100762197 B1 KR 10076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rol signal
situation room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주)한동재생공사
한국신기술산업(주)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에스씨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재생공사, 한국신기술산업(주),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에스씨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주)한동재생공사
Priority to KR1020070056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 감시대상 지역을 중앙상황실에서 감시할 수 있는 통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대상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감시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시분할로 수신하여 지역상황실에서 비교·분석하며 선택적으로 중앙상황실에 전송하는 통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의 프레임을 조절하며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신호의 전송을 요청을 받으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감시대상 소지역(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감시장치(100)와; 프레임 수를 설정하는 제어신호와 영상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대조영상과 비교·분석하며, 비교·분석한 결과 차영상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되는 영상을 중앙상황실(400)에 전송하는 지역상황실(300)과; 상기 지역상황실(30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지역상황실(300)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의 설정값을 송신하는 중앙상황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원거리에 위치하는 다수의 소지역을 중앙상황실에서 무인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도 최소화하면서 이상 현상이 발생되는 지역을 신속하게 감시할 수 있다.
통합감시시스템, 산불, 상수원, 취수장, 정수장, 환경오염, 도로붕괴, 수해 가능 지역, 산림, 벌목, 동식물, 순환골재, 골목길, 위생매립장

Description

통합감시시스템{INTEGRATED SUPERVISORY MONITO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감시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감시시스템에서 있어서, 감시대상 소지역에 설치되는 보조감시장치, 주감시장치 및 지역상황실의 블록 구성도.
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감시시스템에서 있어서, 중앙상황실의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감시대상 소지역
100 : 보조감시장치 110 : 보조감시 제어부
120 : 보조 카메라부 121 : 프레임조절부
130 : 메모리 140 : 송신부
150 : 전원부 160 : 제어신호 수신부
200 : 주감시장치 210 : 주감시 제어부
220 : 주 카메라부 230 : 전원부
240 : 송신부 250 : 제어신호 수신부
300 : 지역상황실 310 : 지역상황실 제어부
320 : 수신부 330 : 영상처리부
340 : 대조영상 저장부 350 : 제어신호 송신부
351 : 제어신호 생성부 360 : 설정신호 수신부
370 : 원격 송신부 380 : 전원부
400 : 중앙상황실 410 : 중앙상황실 제어부
420 : 중앙집중 수신부 430 : 중앙 영상처리부
440 : 디스플레이부 450 : 제어입력부
460 : 설정신호 송신부 461 : 지역상황실 설정부
470 : 저장부 480 : 전원부
본 발명은 원거리 감시대상 지역을 중앙상황실에서 감시할 수 있는 통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대상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감시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시분할로 수신하여 지역상황실에서 비교·분석하며 선택적으로 중앙상황실에 전송하는 통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정구역별 중앙 관공서에는 관할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다수의 소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상황실이 설치되며, 대표적인 것으로 산불 감시, 상수 원 감시, 취수장 감시, 정수장 감시, 환경 오염 감시, 특정지역 도로 붕괴 감시, 수해 가능 지역 감시, 산림·벌목·동식물 감시, 순환골재 감시, 골목길 감시 또는 위생매립장 감시 등을 위한 감시카메라를 소지역별로 설치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상황실에서 전송받아 실시간 감시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감시시스템은 감시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상황실에 전송하기 위해서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또는 유·무선 혼합형 통신망을 구축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감시대상 지역이 일반적으로 관할 지역에 산재되어 있고 원거리이므로 무선 통신망을 주축으로 통신망이 구축되는 형편이다.
그러나, 종래의 감시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감시지역을 다수의 감시카메라로 촬영하므로 상황실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가 과도하게 많아지며, 설치된 감시카메라 개수만큼 상황실에 모니터를 설치해야 하고, 감시 인원을 충분히 상주시키거나 대용량 저장장치를 확충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감시시스템은, 관할 상황실로 전송되는 다수의 감시대상 소지역 및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카메라로 인하여, 서로 다른 다수의 주파수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망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 주파수 할당에도 많은 어려움과 제약이 따랐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감시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일부 지역만 상황실에서 감시하고 나머지 다수의 지역은 각 지역에 시설된 관리실 등에서 감시하는 형편이다. 이러한 방법은, 중앙 상황실에서 무인 원격 감시할 수 있는 통합 감시 시스템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므로 비상 사태 또는 불의의 상황에 대처하는 하는 데에 있어 시간 지연등으로 신속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산불 감시 또는 상수원 감시를 위해 설치되는 감시카메라는, 태양열발전 또는 풍력발전과 같은 수단으로 전원을 공급받음으므로 영상 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축전지를 필요로 하게되며, 외딴 지역에 그러한 시설물을 설치하기도 어렵고 유지 관리에도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감시대상 소지역 또는 다수의 감시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서도 무인 원격 감시함에 있어 효과적으로 현장을 감시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도 최소화하는 통합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감시카메라를 설치하더라도 주파수대역을 적게 사용할 수 있는 통합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감시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상 사태 또는 불의의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는 통합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시대상 소지역(10)을 촬영한 영상을 비교·분석하여 원격지의 중앙상황실(400)에서 감시하는 통합감시시스템에 있어 서, 카메라의 프레임을 조절하며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신호의 전송을 요청을 받으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감시대상 소지역(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감시장치(100)와; 프레임 수를 설정하는 제어신호와 영상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대조영상과 비교·분석하며, 비교·분석한 결과 차영상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되는 영상을 중앙상황실(400)에 전송하는 지역상황실(300)과; 상기 지역상황실(30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지역상황실(300)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의 설정값을 송신하는 중앙상황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역상황실(300)에 있어,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촬영 영상을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제어신호는, 각각의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시간을 할당하여 순번으로 요청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상황실(400)은, 다수의 감시대상 소지역(10)에 각각 설치된 지역상황실(300)과 통신하며, 상기 각각의 지역상황실(300)과 통신하는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촬상된 감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지역상황실(300)에 제어신호 설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역상황실(300)은, 시분할로 할당되어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보 조감시장치(100)와는 별도로, 상시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는 주감시장치(200)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감시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통합감시시스템은, 원격으로 감시하고자 하는 소지역(10)에 설치된 다수개의 보조감시장치(100) 및 주감시장치(200)로부터 촬상된 영상을 상기 소지역(10)에 인접한 지역상황실(300)에서 수신하여 대조영상을 바탕으로 비교·분석한 후, 기준치를 초과하는 차영상이 발생되는 감시장치(100, 200)의 영상을 중앙상황실(4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통합감시시스템에서 있어서, 감시대상 소지역(10)에 설치되는 보조감시장치(100), 주감시장치(200) 및 지역상황 실(300)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보조감시장치(100)는, 촬상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요청하는 제어신호와 촬영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지역상황실(30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160)와; 감시대상 소지역(10)을 촬영하는 보조 카메라부(120)와; 수신된 제어신호 중에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보조 카메라부(120)의 촬영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프레임조절부(121)와; 상기 보조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0)와; 촬영된 영상을 상기 지역상황실(300)에 전송하는 송신부(140)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수 정보에 따라 상기 보조 카메라부(120)로 영상을 촬영하게 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160)를 통해 송신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140)를 통해 전송하게 하는 보조 감시 제어부(110)와; 상기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의 메모리(130)는, 일반적으로 제한된 저장 용량을 갖으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수신되는 송신 요청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앞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의해 저장용량이 차게 되면 가장 먼저 촬영된 영상 데이터부터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감시장치(200)는, 감시대 소지역을 촬영하는 주 카메라부(220)와;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보조감시장치(200)의 송신부(14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상황실(300)에 전송하는 송신부(240)와; 상기 주 카메라부(220) 및 송신부(240)를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250)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주 감시 제어부(210)와; 상기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역상황실(300)은, 상기 다수의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촬영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다수의 보조감시장치(100)에 구비된 보조 카메라부(120)의 프레임 수를 결정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영상 신호의 전송 요청은 각각의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시간을 할당하여 순번으로 요청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351)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350)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 패턴을 설정하는 신호를 상기 중앙상황실(400)로부터 수신하는 설정신호 수신부(360)와;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20)와; 상기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과 비교하기 위한 대조영상을 각각의 상기 보조감시장치(100)별로 저장하는 대조영상 저장부(340)와; 수신된 영상과 상기 대조영상을 비교하는 영상처리부(330)와; 수신된 영상 중에 지정된 영상을 상기 중앙상황실(400)에 전송하는 원격 송신부(370)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설정신호 수신부(360)에서 수신 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영상처리부(330)에서 영상을 비교한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원격 송신부(370)를 통해 전송하게 하는 지역상황실 제어부(310)와; 상기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역상황실(300)의 제어부(310)는, 상기 영상처리부(330)에서 영상을 비교한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대응하는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 할당되는 시간 및 프레임을 늘리도록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 지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 및 도 2의 통합감시시스템에서 중앙상황실(400)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중앙상황실(400)은, 상기 지역상황실(300)의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패턴을 설정하는 지역상황실 설정부(461)와; 제어신호 생성 패턴의 설정값을 상기 지역상황실(300)에 전송하는 설정신호 송신부(460)와; 상기 지역상황실(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집중 수신부(420)와;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중앙 영상처리부(430)와; 상기 중앙 영상처리부(43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40)와; 수신되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70)와;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지역상황실 설정부(461)에서 패턴을 설정하도록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입력부(450)와; 상기 각 구성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중앙상황실 제어부(410)와; 상기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80)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역상황실 설정부(461)는, 상기 지역상황실(300)의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를 원격에서 조절하도록 제어신호 패턴 정보를 제어입력부(45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에 따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합감시시스템를 이용하여 감시대상 소지역(10)을 감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중앙상황실(400)은 제어입력부(4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값을 입력받아 지역상황실 설정부(461)로 제어신호 패턴의 설정값을 생성하여 지역상황실(300)에 전송한다.
상기 지역상황실(300)은 수신된 제어신호 패턴의 설정값에 따라 감시대상 소지역(10)에 설치된 보조감시장치(100)들의 프레임 수의 조절값 또는 할당되는 영상 송신 시간값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생성부(351)로 생성하여 대응되는 보조감시장치(100)에 전송한다.
각 보조감시장치(100)는, 상기 지역상황실(3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보조 카메라부(120)의 프레임값을 조절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임시 저장하며 제어신호에 포함된 영상 신호 요청 신호에 따라 송신 부(140)를 가동하여 상기 지역상황실(300)에 전송한다. 상기 영상 신호 요청 시간은 상기 각 보조감시장치(100) 마다 다르도록 상기 지역상황실(30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므로, 상기 각 보조감시장치(100)에서 송신하는 영상 신호는 동일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지역상황실(300)은, 상기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대조영상 저장부(34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영상을 생성하며, 차영상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그에 대응하는 보조감시장치(100)의 프레임값을 높이며 할당되는 요청 시간을 늘리도록 제어신호를 변경하여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차영상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역의 영상 정보를 세밀하게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의 촬상 영상을 상기 중앙상황실(400)에 전송하므로써, 차영상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지역을 원격지의 중앙상황실에서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통합감시방법은, 감시대상 소지역(10)이 다수개이며 상기 소지역별로 카메라가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촬영된 영상을 소지역별로 선별하므로써 중앙상황실(400)에서는 선별된 영상만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중앙상황실(400)은, 선별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440)에 맞게 출력되도록 중앙 영상처리부(430)에서 처리한다. 또한, 수신된 영상은 저장부(47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에 발생된 영상 데이터도 차후에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대조영상 저장부(340)에 저장되는 대조영상 데이터는, 각 보조감시장 치(100)에서 촬영되는 지역에 있어서 건물의 신축 또는 계절적 자연환경의 변환 등에 따른 기준 영상이 변동됨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중앙상황실(400)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시대상 소지역(10) 중에서 중요 지역은 영상 전송 시간을 할당하지 않고 상시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도록 주감시장치(200)를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가 설치되는 감시대상 소지역이 다수 분포되어 있어도 이상 지역만을 효과적으로 중앙상황실에서 무인 원격 감시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도 최소화하여 유지관리에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되는 감시카메라가 많더라도 감시카메라별로 수신 시간을 할당하여 동일주파수로 수신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주파수 할당 문제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감시지역에서 발생되는 비상 사태 또는 불의의 상황을 차영상으로 감지하여 중앙상황실에 알림으로써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Claims (4)

  1. 감시대상 소지역(10)을 촬영한 영상을 비교·분석하여 원격지의 중앙상황실(400)에서 감시하는 통합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의 프레임을 조절하며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신호의 전송을 요청을 받으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감시대상 소지역(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감시장치(100)와;
    프레임 수를 설정하는 제어신호와 영상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대조영상과 비교·분석하며, 상기 비교·분석한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되는 영상을 중앙상황실(400)에 전송하는 지역상황실(300)과;
    상기 지역상황실(300)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지역상황실(300)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의 설정값을 송신하는 중앙상황실(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감시장치(100)는,
    촬상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요청하는 제어신호와 촬영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160)와;
    감시대상 소지역(10)을 촬영하는 보조 카메라부(120)와;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조 카메라부(120)의 촬영 프레임 수를 조절하는 프레임조절부(121)와;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0)와;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송신부(140)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수 정보에 따라 상기 보조 카메라부(120)로 영상을 촬영하게 하여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신호 수신부(160)를 통해 송신 요청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송신부(140)를 통해 전송하게 하는 보조 감시 제어부(110)와;
    상기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역상황실(300)은,
    상기 다수의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촬영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다수의 보조감시장치(100)에 구비된 보조 카메라부(120)의 프레임 수를 결정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영상 신호의 전송 요청은 각각의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시간을 할당하여 순번으로 요청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351)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게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350)와;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 패턴을 설정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설정신호 수신부(360)와;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20)와;
    상기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과 비교하기 위한 대조영상을 각각의 상기 보조감시장치(100)별로 저장하는 대조영상 저장부(340)와;
    수신된 영상과 상기 대조영상을 비교하는 영상처리부(330)와;
    수신된 영상 중에 지정된 영상을 전송하는 원격 송신부(370)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설정신호 수신부(360)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영상처리부(330)에서 영상을 비교한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원격 송신부(370)를 통해 전송하게 하는 지역상황실 제어부(310)와;
    상기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감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상황실(400)은,
    상기 지역상황실(300)의 제어신호 생성부(351)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패턴을 설정하는 지역상황실 설정부(461)와;
    제어신호 생성 패턴의 설정값을 상기 지역상황실(300)에 전송하는 설정신호 송신부(460)와;
    상기 지역상황실(3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중앙집중 수신부(420)와;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중앙 영상처리부(430)와;
    상기 중앙 영상처리부(43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40)와;
    수신되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70)와;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지역상황실 설정부(461)에서 패턴을 설정하도록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입력부(450)와;
    상기 각 구성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중앙상황실 제어부(410)와;
    상기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8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감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상황실(300)의 지역상황실 제어부(310)는,
    상기 영상처리부(330)에서 영상을 비교한 결과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대응하는 상기 보조감시장치(100)에 할당되는 시간 및 프레임 수를 늘리도록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351)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감시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상황실(400)은, 다수의 감시대상 소지역(10)에 각각 설치된 지역상황실(300)과 통신하며, 상기 각각의 지역상황실(300)과 통신하는 보조감시장치(100)로부터 촬상된 감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각각의 지역상황실(300)에 제어신호 설정값을 전송하며,
    상기 각각의 지역상황실(300)은, 시분할로 할당되어 촬상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감시장치(100)와는 별도로, 상시 촬영되는 영상을 전송하는 주감시장치(200)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감시시스템.
KR1020070056039A 2007-06-08 2007-06-08 통합감시시스템 KR100762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39A KR100762197B1 (ko) 2007-06-08 2007-06-08 통합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39A KR100762197B1 (ko) 2007-06-08 2007-06-08 통합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197B1 true KR100762197B1 (ko) 2007-10-01

Family

ID=3941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039A KR100762197B1 (ko) 2007-06-08 2007-06-08 통합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1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05B1 (ko) 2008-11-24 2010-11-10 주식회사 유디코 재난발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02428B1 (ko) 2010-08-12 2010-12-21 미래전기 주식회사 영상을 이용한 원방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61736B1 (ko) 2011-03-10 2011-09-02 (주)한동알앤씨 사진 측량을 이용한 재난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534A (ja) 1996-12-14 1998-06-23 Sogo Keibi Hosho Co Ltd 倉庫用自動消火システム
KR200203248Y1 (ko) 2000-06-23 2000-11-15 주식회사위트정보통신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KR20030030360A (ko) * 2001-10-10 2003-04-18 이진구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JP2005115796A (ja) 2003-10-10 2005-04-28 Nohmi Bosai Ltd 防災総合システム
KR200433431Y1 (ko) 2006-09-29 2006-12-08 디지 플라워(주) 독립형 감시 시스템
KR20070028813A (ko) * 2005-09-08 2007-03-13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산불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34385A (ko) * 2005-09-24 2007-03-28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무인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6306B1 (ko) 2006-11-14 2007-05-08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산불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534A (ja) 1996-12-14 1998-06-23 Sogo Keibi Hosho Co Ltd 倉庫用自動消火システム
KR200203248Y1 (ko) 2000-06-23 2000-11-15 주식회사위트정보통신 인터넷을 이용한 안전 경비 시스템
KR20030030360A (ko) * 2001-10-10 2003-04-18 이진구 통합 환경감시 시스템
JP2005115796A (ja) 2003-10-10 2005-04-28 Nohmi Bosai Ltd 防災総合システム
KR20070028813A (ko) * 2005-09-08 2007-03-13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산불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34385A (ko) * 2005-09-24 2007-03-28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무인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3431Y1 (ko) 2006-09-29 2006-12-08 디지 플라워(주) 독립형 감시 시스템
KR100716306B1 (ko) 2006-11-14 2007-05-08 주식회사 지.피 코리아 산불감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05B1 (ko) 2008-11-24 2010-11-10 주식회사 유디코 재난발생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002428B1 (ko) 2010-08-12 2010-12-21 미래전기 주식회사 영상을 이용한 원방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61736B1 (ko) 2011-03-10 2011-09-02 (주)한동알앤씨 사진 측량을 이용한 재난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060B1 (ko) 보안기능을 갖춘 영상전송장치
KR100762197B1 (ko) 통합감시시스템
KR20110095510A (ko) 보안 기능을 갖는 실내 조명 장치
KR101611956B1 (ko) 다채널용 카메라 장치
KR102124594B1 (ko) Cctv 비상벨 네트워크를 이용한 폭염 한파 경보 시스템
CN111191828A (zh) 基于动态、静态维修站的配电系统及其配置方法
CN110691141A (zh) 基于智慧灯杆的智慧城市系统
KR20200031433A (ko) 스마트 실내공기 정화 시스템
KR20210062935A (ko) Io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KR101073605B1 (ko) 영상 전송장치의 구동 방법
KR101483949B1 (ko) 통합 관제 시스템
JP200616598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050823B1 (ko) 도어폰 연동 감시 장치,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KR20190047246A (ko) 소리 또는 영상에 기반하여 외부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센서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20033A (ko)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54920B1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96342A (ko) 지역방범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20100127476A (ko)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101871734B1 (ko) Cctv비상벨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수도 자동 검침 시스템
KR102671093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52462B1 (ko) 원격 영상 제어와 로컬 영상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영상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수행 방법
KR102148749B1 (ko) 영상 감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영상 감시 방법
AR004745A1 (es) Aparato, disposicion y metodo de vigilancia por video.
KR200474732Y1 (ko) 태양광 led 가로등에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20085698A (ko) 도시 관제 가로등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