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182B1 - 고압 방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182B1
KR100762182B1 KR1020060046626A KR20060046626A KR100762182B1 KR 100762182 B1 KR100762182 B1 KR 100762182B1 KR 1020060046626 A KR1020060046626 A KR 1020060046626A KR 20060046626 A KR20060046626 A KR 20060046626A KR 100762182 B1 KR100762182 B1 KR 10076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ube
discharge
internal electrode
electrode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사이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사이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사이버닉스
Priority to KR102006004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3/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emergence of electrons or ions from the vessel; Lenard tubes
    • H01J33/0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방전관 지지구와, 상기 방전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전극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에 피복되거나 감싸져서 형성되는 외부전극으로 이루어진 고압 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나선형상으로 꼬아서 인장력을 갖도록 형성하고, 양측단부에는 걸고리를 형성하되, 상기 걸고리는 항상 탄성이 유지된 상태로 방전관 지지구의 걸림턱에 형성된 걸이구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압 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전관 내부 중심에 인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나선으로 꼬아서 만든 내부전극을 형성하고, 그 내부전극 양 끝단을 방전관 지지구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이구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탄성을 가진 상태로 방전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이로 인해 내부전극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전 면적을 넓게 하여 오존발생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고압, 방전, 오존, 발생

Description

고압 방전장치{Appratus for electric discharge of a high voltage}
도 1 -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 - 도 2의 A-A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압 방전장치
110: 내부전극 111: 걸고리
115: 걸이구 120: 방전관
130: 외부전극 140: 방전관 지지구
141: 흡입노즐 142: 걸림턱
150: 방전관 지지구 151: 배출노즐
152: 걸림턱 140a,150a: 패킹부재
160: 지지대
A: 전선 B: 호오스(hose)
본 발명은 고압 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간의 방전 면적을 보다 넓게 하여 오존발생효율을 높이고, 또한 내부전극의 처짐에 의한 외부전극의 열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압 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압 방전장치는 유리 또는 세라믹(석영)으로 이루어진 방전관을 사이에 두고 방전관의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내부 전극과, 방전관의 외부에 금속박막을 씌우거나 금속선을 코일형상으로 감아 형성한 외부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고압 방전장치는 방전관이라는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그 방전관 안과 밖에 고압을 가함으로써 +극 와 -극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게 하고, 이로 인해 수많은 전기적 에너지의 충돌을 유도함으로써 그 사이를 지나는 공기 중의 산소가 전기적 에너지와의 충돌에 의해 O2에서 O + O로 깨지도록 하고, 그 깨진 산소 O가 깨지지 않은 O2와 재결합함으로써 O3가 발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오존 발생을 위해서는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여야 하고, 대량의 오존 발생을 위해서는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의 표면적을 최대한으로 넓혀야 하나, 종래의 고압 방전장치는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 의 표면적이 그다지 넓지 못하고, 또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간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하기 힘든 구조여서 장시간 사용시에는 방전으로 인한 고열에 의해 필연적으로 내부전극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고압 방전장치는 이를 방지할 마땅한 수단이 없어 처진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사이가 좁아지게 되고, 이처럼 좁아진 전극사이는 더욱더 고열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은 간격이 좁아진 부분의 외부전극이 탄화됨으로써 결국 고압 방전장치는 파손되어 폐기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방전관 내부 중심에 내부전극을 형성하되 나선으로 꼬아 인장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내부전극의 양 끝단에는 걸고리를 형성함으로써 방전관 지지구의 걸림턱에 걸이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전극은 항상 양쪽으로 당겨지는 구조여서 아무리 고열이 발생한다고 해도 결코 쳐지지 않고 항상 내부전극은 방전관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고, 또한 나선으로 꼬아진 형상이어서 역시 나선형상으로 꼬아진 외부전극과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여서 방전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방전관과 내, 외부전극 간에 열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열은 적게 발생되면서 오존발생효율(방전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방전장치(100)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방전관 지지구와, 상기 방전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전극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에 피복되거나 감싸져서 형성되는 외부전극으로 이루어진 고압 방전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110)은 방전관(12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나선형상으로 꼬아서 인장력을 갖도록 형성하고 양측단부에는 걸고리(111)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내부전극(110)의 걸고리(111)가 방전관 지지구(140,150)의 각 걸림턱(142,152)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이구(115)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걸이구(115)는 원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부전극(110)의 걸고리(111)를 걸었을 때 항상 내부전극(110)이 방전관(1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처럼 걸이구(115)에 의해 지지되며 나선으로 꼬아서 만든 내부전극(110)은 인장력(탄성)을 갖는 것이어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온에 의해 가열되더라도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전극(110)을 나선형상으로 꼬아서 형성하는 이유는 외부전극(130)과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으로, 이로인해 본 발명은 방전효율이 높아지게 되고, 열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내부전극(110)의 형성은 먼저 내부전극(110)의 일측 걸고리를 방전관 일측에 위치한 방전관 지지구에 끼워 넣은 다음 걸이구(115)에 의해 걸리도록 하고, 다음 타측에 위치한 방전관 지지구에 타측 걸고리를 끼워 넣고 약간 당기면서 걸이구(115)에 상기 걸고리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약간의 탄성이 작용한 상태로 방전관 내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외부전극(110,130)은 방전관(120)을 중심으로 안쪽에 형성된 스프링 코일의 내부전극(110)은 플러스 전위를 가지며, 방전관(120)의 바깥쪽에 감싸도록 형성된 스프링 코일의 외부전극(130)은 마이너스 전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전극에 고압의 전기를 가함으로써 방전관에서 방전이 일어나 수없이 많은 전기적 에너지의 충돌을 유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방전관(120)의 내부를 지나는 공기 속의 산소가 오존화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전관(120)은 원통의 형상을 갖는 석영관 또는 유리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외부전극(110,130)이 형성된 방전관(120)의 양 끝단은 공기흡입구(170)와 오존배출구(18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170)의 바깥쪽에는 불순(不純)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노즐(141)이 형성되며, 상기 오존배출구(180)의 바깥쪽에는 오존에 의해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노즐(151)이 형성된다.
또 상기 공기흡입구(170) 및 오존배출구(180)와 방전관(120) 사이에는 각 패킹부재(140a,150a)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공기흡입구(170)에 고압의 전기를 가할 시에 방전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전극(130)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전기적 충격에 의해 방전관(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40a,150a)는 플라스틱 재질의 절연체로 이루어져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전관(120)과 공기흡입구(170) 및 오존배출구(180)의 사이에는 공기의 유출을 막기 위한 고무링(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170)와 흡입노즐(141)의 연결부위, 상기 오존배출구(180)와 배출노즐(151)의 연결부위에는 지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각각의 지지대(16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지지대(16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방전관 내부 중심에 인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나선으로 꼬아서 만든 내부전극을 형성하고, 그 내부전극 양 끝단을 방전관 지지구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구성된 걸이구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탄성을 가진 상태로 방전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지며, 이로 인해 내부전극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방전 면적을 넓게 하여 오존발생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방전관과 상기 방전관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방전관 지지구와, 상기 방전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전극과, 상기 방전관의 외부에 피복되거나 감싸져서 형성되는 외부전극으로 이루어진 고압 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나선형상으로 꼬아서 인장력을 갖도록 형성하고, 양측단부에는 걸고리를 형성하되, 상기 걸고리는 항상 탄성이 유지된 상태로 방전관 지지구의 걸림턱에 형성된 걸이구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장치.
KR1020060046626A 2006-05-24 2006-05-24 고압 방전장치 KR10076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26A KR100762182B1 (ko) 2006-05-24 2006-05-24 고압 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626A KR100762182B1 (ko) 2006-05-24 2006-05-24 고압 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182B1 true KR100762182B1 (ko) 2007-10-01

Family

ID=3941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626A KR100762182B1 (ko) 2006-05-24 2006-05-24 고압 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25B1 (ko) * 2013-07-26 2014-07-17 문영근 고전압 방전 발생 장치
WO2020000287A1 (zh) * 2018-06-28 2020-01-02 北京境智圆融科技有限公司 一种浓度可控输出稳定的臭氧水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0506A (ja) * 1987-03-20 1988-09-27 Ito Isao オゾン発生器
US4834948A (en) * 1986-07-10 1989-05-30 E. M. Heinkel K.G. Device for enriching a fluid with ozone
JPH1111908A (ja) * 1997-06-23 1999-01-19 Yuushin Eng Kk オゾン発生器
KR20000058453A (ko) * 2000-05-26 2000-10-05 윤찬헌 코일전극을 내장한 관형 오존발생기
JP2002274814A (ja) * 2001-03-19 2002-09-25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オゾン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4948A (en) * 1986-07-10 1989-05-30 E. M. Heinkel K.G. Device for enriching a fluid with ozone
JPS63230506A (ja) * 1987-03-20 1988-09-27 Ito Isao オゾン発生器
JPH1111908A (ja) * 1997-06-23 1999-01-19 Yuushin Eng Kk オゾン発生器
KR20000058453A (ko) * 2000-05-26 2000-10-05 윤찬헌 코일전극을 내장한 관형 오존발생기
JP2002274814A (ja) * 2001-03-19 2002-09-25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オゾン発生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25B1 (ko) * 2013-07-26 2014-07-17 문영근 고전압 방전 발생 장치
WO2015012660A1 (ko) * 2013-07-26 2015-01-29 Moon Young Keon 고전압 방전 발생 장치
WO2020000287A1 (zh) * 2018-06-28 2020-01-02 北京境智圆融科技有限公司 一种浓度可控输出稳定的臭氧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1015B (zh) Tubular ozone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30336838A1 (en) Ion generation device
KR100762182B1 (ko) 고압 방전장치
WO2021032080A1 (zh) 静电除尘装置及其电极单元
TW201010516A (en) Ionizer
CN106537702A (zh) 在离子风机中的改善的丝状电极清洁
TWI283949B (en) Discharge unit for AC ionizer
CN111777044A (zh) 管型臭氧产生装置
TWI689462B (zh) 管型臭氧產生裝置
WO2015124021A1 (zh) 一种新型蜂巢电场结构
KR101683052B1 (ko) 유전체 장벽 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장치용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오존발생장치
JP2005216763A (ja) イオン化気流発生装置
US1252183A (en) Apparatus for electrical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from gases.
RU127245U1 (ru) Изолятор-разрядник
JP2005074330A (ja) 放電極支持用碍子の設置構造
WO2022028167A1 (zh) 静电除尘装置和具有其的空气净化器
US2504430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9170198A (ja) バー型イオン発生器及び除電器
CN110114303A (zh) 臭氧发生器
CN215929997U (zh) 空气净化结构及空气净化设备
RU138246U1 (ru) Генератор озона
JP4669379B2 (ja) 小容量オゾン発生装置
CN104056722B (zh) 发生极、净化装置及吊顶净化机
KR200422426Y1 (ko) 오존발생기용 전극
CN113847675A (zh) 空气净化结构及空气净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