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598B1 -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598B1
KR100761598B1 KR1020060015770A KR20060015770A KR100761598B1 KR 100761598 B1 KR100761598 B1 KR 100761598B1 KR 1020060015770 A KR1020060015770 A KR 1020060015770A KR 20060015770 A KR20060015770 A KR 20060015770A KR 100761598 B1 KR100761598 B1 KR 10076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outer conductor
conductor
manufacturing
leaky co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749A (ko
Inventor
이동은
이형국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5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08Construction of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3Leaky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0Non-resonant leaky-waveguide or transmission-lin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22Longitudinal slot in boundary wall of waveguide or transmis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내부도체와,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에 순서대로 구비되는 내부 유전체, 반복적으로 슬릿이 형성된 외부도체, 및 외피를 포함하는 누설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1)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도체의 슬롯을 연속적으로 덮는 방수 부재가 부착된 외부도체를 준비하는 단계; (2)중심도체의 둘레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3)상기 유전체층의 외부에 방수 부재가 부착된 상기 외부도체를 감싸고 용접하는 단계; 및 (4)상기 외부도체의 외부면에 외피를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에 강한 누설 동축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고, 기존의 동축케이블 제조에 사용하는 설비를 통해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가 가능하다.
누설, 동축케이블, 유전체, 외부도체, 방수, 내수성, 내습성

Description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eaky coaxial cable of high water-proofing}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누설 동축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누설 동축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공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11...중심도체 2, 12...내부 유전체
3, 13...외부도체 4, 14...슬롯
5, 15...외피 20...방수 부재
21...방수제
본 발명은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누설동축케이블은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슬롯(홈)을 만들어 슬롯을 통해 전파를 발생시키게 한 케이블이다. 일반적으로, 누설 동축케이블은 안테나를 설치할 수 없는 지역, 예컨대 터널, 지하철 이동로 등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용 안테나로 이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누설 동축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누설동축케이블은 긴 원통 모양의 외부도체(3)와 그 중심에 놓인 내부도체(1), 내부도체(1)와 외부도체(3) 사이에 개재된 내부 유전체(2) 및 외부도체(3)에 피복된 외피(5)로 이루어지고, 외부도체(3)에는 전파가 누설될 수 있도록 슬롯(4)이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누설 동축케이블이 지하 터널에 장시간 동안 장착될 경우, 외기의 수분에 노출되어 내부 유전체(2)에 수분이 침투하게 된다. 내부 유전체에 침투된 수분은 전송 신호에 물리적인 간섭을 일으키고, 결국 누설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왜곡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한편, 이러한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중심도체(1)의 외부에 유전체를 성형한다. 다음으로, 유전체(2)의 외부 둘레를 따라 슬롯(4)이 형 성된 시트 상의 외부도체(3)를 감싸고 용접한다. 그런데, 외부도체(30)를 감싸고 용접하는 과정에서, 슬롯(4)의 모서리 부분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한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슬롯(4)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슬롯(4)의 주변에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도체(30)를 감싸고 용접하기 위하여 슬롯(4)을 고정하고, 슬롯(4) 주위에 인가되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구성해야 한다. 그런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슬롯(4)의 크기, 모양, 배열형태 등이 다양하므로, 이(슬롯(4)의 크기, 모양, 배열형태 등)에 대응하여 슬롯(4)을 고정하고, 슬롯 주위에 인가되는 힘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제조장치의 설정을 변경해야하는 등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누설 동축케이블이 수분에 노출된 환경에서도 케이블 내부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누설 동축케이블에 구비되는 슬롯의 크기, 모양, 배열형태 등에 상관없이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은 케이블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내부도체와,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에 순서대로 구비되는 내부 유전체, 반복적으로 슬릿이 형성된 외부도체, 및 외피를 포함하는 누설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1)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도체의 슬롯을 연속적으로 덮는 방수 부재가 부착된 외부도체를 준비하는 단계; (2)중심도체의 둘레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3)상기 유전체층의 외부에 방수 부재가 부착된 상기 외부도체를 감싸고 용접하는 단계; 및 (4)상기 외부도체의 외부면에 외피를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 (3)단계에서는 상기 방수 부재가 내부 유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위치하거나, 외부도체와 외피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단계는 방수 부재가 부착된 상기 외부도체에 방수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누설 동축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동축케이블은 케이블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내부도체(11), 상기 내부도체(11)를 감싸는 내부 유전체(12), 상기 내부 유전체(12)를 감싸는 외부도체(13), 및 외부도체(13)에 피복된 외피(15)를 구비한다.
내부도체(11), 내부 유전체(12), 및 외피(15)는 누설 동축케이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내부도체(11)는 연동선, 동복 알루미늄선, 동관 등을 포함하는 도전체로 구성되고, 내부 유전체(12)와 외피(15)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내부 유전체로 구성된다.
외부도체(13)에는 케이블에 공급된 신호에너지의 일부를 외부로 방사시켜 케이블 주위에 전자계를 형성시킴으로써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슬롯(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도체(13)의 일면, 즉, 외부도체(13)가 외피 (15)와 접하는 면 또는 외부도체(13)가 내부 유전체(12)와 접하는 면에서, 적어도 상기 외부도체(13)에 형성된 슬롯(14)이 위치하는 부위에는 방수 부재(20)가 부착된다.
나아가, 외부도체(13)와 방수부재(20)의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도체(13)에 방수부재(20)가 부착된 부분에는 방수제(21)가 더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공정을 살펴본다.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에 앞서, 외부도체(13)의 일면에 슬롯(14)이 형성된 부분에 방수부재(20)를 부착하여 외부도체(13)를 준비한다(S10). 이때, 상기 방수부재(20)가 부착된 부분의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부재(20)가 부착된 상기 외부도체(13)의 일면에 방수제(21)를 한번 더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동축케이블에 구비되는 외부도체(13)의 슬롯(14)이 형성된 부분에 연속적으로 방수부재(20)가 부착되므로, 외부도체(13)의 일면은 슬롯(14)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적인 동축케이블과 같이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누설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슬롯(14)의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상기 방수부재(20)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방법은 슬롯(14)을 고정하거나, 슬롯(14)에 집중되는 스트레스를 분산하는 별도의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결국, 외부도체(13)에 슬롯(14)이 형성되지 않은 동축케이블의 제조 공정 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도체(11)의 외부에 내부 유전체(12)를 형성(S20)시키고, 유전체(12)의 외부에 방수부재(20)가 부착된 외부도체(13)를 감싸고 용접한다(S30). 다음으로, 외부도체(13)의 표면을 따라 외피(15)를 피복한다(S40).
덧붙여, 본 발명은 외부도체(13)를 준비하는 단계(S10) 및 상기 외부도체(13)를 이용하여 유전체(12)에 외부도체(13)를 형성하는 단계(S30)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단계 S20 및 S40은 당업자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동축케이블에 구비되는 외부도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수분에 강한 누설 동축케이블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개선된 외부도체를 이용하여 누설 동축케이블을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동축케이블 제조에 사용하는 설비를 통해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가 가능하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케이블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내부도체와, 상기 내부도체의 외부에 순서대로 구비되는 내부 유전체, 반복적으로 슬릿이 형성된 외부도체, 및 외피를 포함하는 누설 동축케이블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1)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도체의 슬롯을 연속적으로 덮는 방수 부재가 부착된 외부도체를 준비하는 단계;
    (2)내부도체의 둘레에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3)상기 유전체층의 외부에 방수 부재가 부착된 상기 외부도체를 감싸고 용접하는 단계; 및
    (4)상기 외부도체의 외부면에 외피를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제 (3)단계에서
    상기 방수 부재가 내부 유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제 (3)단계에서
    상기 방수 부재가 외부도체와 외피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방수 부재가 부착된 상기 외부도체에 방수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
KR1020060015770A 2006-02-17 2006-02-17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 KR10076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770A KR100761598B1 (ko) 2006-02-17 2006-02-17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770A KR100761598B1 (ko) 2006-02-17 2006-02-17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749A KR20070082749A (ko) 2007-08-22
KR100761598B1 true KR100761598B1 (ko) 2007-09-27

Family

ID=3861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770A KR100761598B1 (ko) 2006-02-17 2006-02-17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06B1 (ko) * 2007-02-26 2008-06-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대역 누설 동축 케이블
KR102020067B1 (ko) * 2013-02-21 2019-09-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누설 동축 케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767A (en) 1987-02-27 1988-05-24 Neptco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able construction
JPH01100807A (ja) * 1987-09-10 1989-04-19 Andrew Corp 難燃性放射同軸ケーブル
JPH03181209A (ja) * 1989-11-16 1991-08-07 Andrew Corp 放射型の同軸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767A (en) 1987-02-27 1988-05-24 Neptco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able construction
JPH01100807A (ja) * 1987-09-10 1989-04-19 Andrew Corp 難燃性放射同軸ケーブル
JPH03181209A (ja) * 1989-11-16 1991-08-07 Andrew Corp 放射型の同軸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749A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2611B2 (en) Leaky coaxial antenna
RU25181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ста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ей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JPS588253U (ja) 限定空間用無線通信装置
KR100766182B1 (ko) 방사형 누설 동축 케이블
KR100761598B1 (ko) 고 내수성 누설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
US6911943B2 (en) Antenna for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EP33244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electric-filled metal waveguide
JP2005158415A (ja) 同軸ケーブル
KR100817981B1 (ko) 광대역 누설 동축 케이블
CN203386897U (zh) 一种抗干扰天线装置及带有该抗干扰天线装置的装置
KR100296317B1 (ko) 고기능 누설동축케이블
JP5473157B2 (ja) 無線通信装置
JP2007250387A (ja) 漏洩同軸ケーブル
KR100766180B1 (ko) 전송거리를 향상시킨 누설 동축 케이블
JP2007280843A (ja) 複合漏洩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布設方法
KR100907579B1 (ko) 신호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누설 동축 케이블
JP2018085641A (ja) 漏洩同軸ケーブル、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20088312A (ko) 전기적 특성 조절이 가능한 누설 동축 케이블
CN216361536U (zh) 一种用于无人机防御系统的等电平导波管
KR20070082228A (ko) 광대역 누설 동축 케이블
KR100761599B1 (ko) 단일 빔 방사형 누설 동축 케이블
JPH10276037A (ja) 漏洩同軸ケーブル
JP6476262B1 (ja) 漏洩同軸ケーブル
EP3748768A1 (en) Communication cable
FI60621B (fi) Hoegfrekvenskabel samt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dess framstaell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