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218B1 -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 - Google Patents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218B1
KR100761218B1 KR1020050042450A KR20050042450A KR100761218B1 KR 100761218 B1 KR100761218 B1 KR 100761218B1 KR 1020050042450 A KR1020050042450 A KR 1020050042450A KR 20050042450 A KR20050042450 A KR 20050042450A KR 100761218 B1 KR100761218 B1 KR 10076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ombustion gas
combustion cylinder
burner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424A (ko
Inventor
조길원
박흥수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4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21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2Radiant burner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공급관(5)과, 상기 연료공급관(5)이 연결되며 외부공기가 유입가능한 복사관(2)과, 상기 복사관(2)내에 형성되어 상기 연료공급관과 연통되어 있되 일측에 연료노즐(10) 및 1차공기공급노즐 가지는 연소통을 포함하는 복사관 버너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의 외측벽면에 다수의 보조연소가스 분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노즐을 통하여 분출된 연료가 연소통 내에서 연소된 후 배출되는 주연소가스 분출구의 입구를 축소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은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통의 반경방향으로 보조연소가스 분출구를 갖는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함으로써 1차연소가스의 일부가 2차공기에 혼입되어 2차공기의 산소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복사관의 급속연소를 방지하여 복사관의 첨두온도를 낮추고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극저감할 수 있는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버너에 관한 것이다.
버너, 복사관

Description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A radiant tube burner equipped with a combustion tube having radial openings to vitiate air with combustion product}
   도 1은 일반적인 복사관 버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제 1도 일반적인 복사관 버너를 우측에서 보는 노즐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이 설치된 복사관 버너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복사관버너 2: 복사관 3: 연소통
4: 파일럿 버너 5: 연료공급관 10: 연료노즐
11: 1차공기 공급노즐      12: 1차공기공급구 
20: 보조 연소가스 분출구    21: 주 연소가스 분출구
본 발명은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통의 반경방향으로 보조연소가스 분출구를 갖는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함으로써 1차연소가스의 일부가 2차공기에 혼입되어 2차공기의 산소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복사관의 급속연소를 방지하여 복사관의 첨두온도를 낮추고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극저감할 수 있는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관 버너는 내열형 관내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열로관을 가열하여 관의 외부 복사현상을 이용하여 소재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소둔로 등의 열처리 설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복사관버너는 버너당 용량은 작지만 복사관의 내부 용적이 작기 때문에 가열로 등의 직화식 설비보다 10배 정도의 고부하 연소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사관 버너의 경우는 직화식 버너와 비교하여 볼 때 고부하 연소로 인하여 다량의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하기 때문에 공기 2단연소, 농담연소 등의 저질소산화물 원리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사관 버너에서는 고부하 연소 때문에 150 ppm 이하의 저NOx 연소는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도 1은 일반적인 2단연소식 복사관 버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연료노즐과 1차 공기공급노즐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복사관 버너(1)로 공급된 공기는 1차공기공급구(12)를 구비한 1차공기공급노즐(11)을 통과하는 1차공기와 연소통(3)과 복사관(2) 사이의 환상공간을 통과하는 2차공기로 나뉘어진다. 즉 연료노즐(10)에서 분사된 연료는 연소통(3)내에서 1차공기와 만나서 공기부족상태의 연소가 일어난다. 1차연소생성물은 복사관(2)내로 유입되어 2차공기에 의 해 완전연소가 이루어진다. 1차연소가 공기부족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이 억제되는 것이다.
1차공기는 1차공기공급노즐(11)을 통하여 공급되는데 1차공기공급노즐(11)에는 다수개의 1차공기공급구(12)가 구성되어 연소통(3)내로 1차공기를 공급한다. 연료노즐(10)은 연료공급관(5)의 단부에 설치되는데 다수개의 연료분사구가 구비되어 편심분사됨으로서 질소산화물을 경감하는 것이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90010호(1995. 8. 31. 참조).
그러나 공기 2단연소와 편심분사 연료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부하 연소조건에서는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이 150~200ppm을 초과하는 것이 복사관 버너의 일반적인 성능으로서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위한 버너의 개발이 요구되어져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부하 연소 복사관 버너의 질소산화물 발생량 저감을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연소통 대신에 연소통의 반경방향으로 다수개의 개구(opening)를 구성하여 1차연소가스의 일부가 2차공기에 혼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소통의 반경방향에 보조 연소가스 분출구를 마련함으로서 연소가스의 일부가 연소통과 복사관 사이의 환상공간을 통과하는 2차공기에 혼입되어 연소통 표면에서 연소가스와 2차공기간의 연소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주연소가스분출구를 통한 주연료와 반응하는 2차공기의 산소농도가 희석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급속연소를 방지하여 첨두온도를 억제함으로서 복사관의 온도분포 균일화와 질소산화물 발생 경감이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차연소가스의 일부를 2차공기에 혼입되도록 연소통의 반경방향에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서 2차공기의 산소농도 저하로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저감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090010호, 라디안트 튜브 버너용 연료분사노즐의 개량에 관련된 것으로서, 버너 축심을 기준으로 상부보다 하부에 많은 연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담연소형 연료노즐과 공기 2단연소 원리를 적용하는 복사관 버너의 질소산화물 발생량을 극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이 설치된 복사관 버너를 나타내며, 도 4와 5는 반경방향의 개구부 형태가 다른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이 설치되는 기본 버너구성은 도 1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본 발명의 핵심은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3)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소통의 외측벽면에 다수의 보조연소가스 분출구(20)를 형성하고 상기 연소통의 후단에 연소통의 몸통 직경보다 축소된 직경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주연소가스 분출구(21)를 구성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사관버너는 연료공급관(5)과,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측에 형성되되 공기유입구(13)가 형성된 하우징(13a)과, 상기 하우징(13a)의 공기유입구(13)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개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 차폐벽(14)에 의하여 구분되어지고 상기 연료공급관(5)이 연결되어 있는 복사관(2)과, 상기 복사관(2)내에 형성되되 상기 연료공급관(5)의 단부에 장착되는 연료노즐(10) 및 1차공기공급노즐(11)을 일측에 가지며 외측벽면에는 보조연소가스 분출구(20)가 형성 되고 다른 일측에는 후단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주연소가스 분출구(21)가 형성되는, 원통형 튜브 형태의 연소통(3)이 구비된다 .
연소통(3)의 좌측 단부에는 도 2의 경우와 동일한 1차공기공급노즐(11)이 설치되며 좌측 단부의 중앙에는 연료노즐(10)이 부착되는 연료공급관(5)이 삽입된다. 연소통(3)은 원통형 관에 주연소가스 분출구(21)의 면적이 축소된 형태로서 주연소가스분출구(21) 부분의 직경이 1차공기 공급노즐(11)의 직경보다 적게 구성한다. 연소통(3)의 외측벽면에는 다수개의 원형 개구부 또는 사각형 개구부로 구성되는 보조연소가스 분출구(20)가 마련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버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공기 공급노즐(11)을 통하여 연소통(3) 내부로 공급된 1차공기는 연료와 반응하여 1차연소가 일어난다. 1차연소는 공기부족 연소이기 때문에 불완전연소가 일어나며 미연 연소가스는 주연소가스분출구(21)와 보조연소가스분출구(20)을 통하여 분출된다. 보조연소가스분출구(20)을 통하여 분출된 미연소 가스는 2차공기와 반응하게 되고 결과로서 2차공기중의 산소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산소농도가 낮아진 2차공기는 주연소가스분출구(21)을 통하여 복사관(2)내로 분사되는 미연소 연료와 반응하여 연소가 이루어진다. 통상 연소과정에서는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연소반응이 촉진되어 연소온도가 높아진다. 한편 질소산화물은 연소온도가 높고 산소농도 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산소농도가 낮아진 2차공기와 미연연료가 반응하면 순수한 대기중 공기(산소농도 21%)와 반응하는 경우에 비하여 연소속도가 늦어져서 완만연소가 일어난다. 또한 산소농도가 낮기 때문에 연소온도가 낮아지고, 연소온도의 저하와 산소농도의 저하는 질소산화물 생성속도를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기존의 연소방식에 비하여 질소산화물 발생량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질소산화물 생성의 주요 인자인 연소온도와 산소농도를 낮춤으로서 질소산화물의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버너에 도 2의 연료노즐이 부착된 버너와 도 3의 버너에 도 4 내지는 도 5의 연소통이 부착된 경우에 대하여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결과만 설명키로 한다.
W형 7인치 복사관이 내장된 복사관 버너 시험로를 이용하여 연소용량 8만 kcal/h와 12만 kcal/h의 버너를 설계하여 시험하였다. 연료노즐은 종래형과 개발형 공히 도 2의 편심분사형으로 동일한 노즐을 사용하고 연소통의 형태만 변경하였다. 1차공기 면적비는 20%, 주연소가스분출구와 보조연소가스분출구의 면적비는 최적치인 6:4로 하여 개구부의 개수와 면적을 결정하였다. 연료로는 제철소의 부생연료인 코크스로가스를 사용하였다. 버너 시험로의 노온 조절은 냉풍을 이용하여 850℃와 950℃로 조절하였고 복사관 출구의 산소농도는 3~4%로 유지하였다. 비교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종래버너와 본 발명버너의 질소산화물 발생량 비교 (단위: ppm)
버너용량 종래버너 본 발명버너
노온 850℃ 노온 950℃ 노온 850℃ 노온 950℃
8만kcal/h 142 189 89 101
12만kcal/h 179 237 105 133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너는 종래버너 대비 약 40% 이상의 질소산화물 저감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결과는 연소통을 제외한 다른 구성품은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2회 실험한 결과의 평균치이다. 노온 950℃에서 150 ppm 이하의 질소산화물 발생량은 종래버너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낮은 수치로서, 본 발명 버너의 효과를 입증해 주는 결과라 하겠다. 특히 농담연소노즐과 본 발명 연소통의 조합에 의해 질소산화물의 저감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저감 성능은 실제 소둔로에서의 비교실험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이 설치되는 복사관 버너는 연소통의 반경방향으로 일부의 1차 연소가스가 분출되어 2차공기와 혼합 연소됨으로서 2차공기의 산소농도를 저하시켜 2차공기와 주연소가스와의 반응을 완만화함으로서 온도상승과 질소산화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실험결과 구조가 최적화된 연소통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2단연소식 버너에 비하여 40% 이상의 질소산화물 발생 저감이 가능함을 확인한 바 있으며 상기의 실시예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연료공급관(5)과, 상기 연료공급관(5)이 연결되며 외부공기가 유입가능한 복사관(2)과, 상기 복사관(2)내에 형성되어 상기 연료공급관과 연통되어 있되 일측에 연료노즐(10) 및 1차공기공급노즐 가지는 연소통을 포함하는 복사관 버너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의 외측벽면에 다수의 보조연소가스 분출구(20)를 형성하고 상기 연소통의 후단에 연소통의 몸통 직경보다 축소된 직경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주연소가스 분출구(2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소가스 분출구는 몸통으로부터 그 후단 개구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형 튜브 형태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버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소가스 분출구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버너.
KR1020050042450A 2005-05-20 2005-05-20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 KR10076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450A KR100761218B1 (ko) 2005-05-20 2005-05-20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450A KR100761218B1 (ko) 2005-05-20 2005-05-20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424A KR20060119424A (ko) 2006-11-24
KR100761218B1 true KR100761218B1 (ko) 2007-09-27

Family

ID=3770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450A KR100761218B1 (ko) 2005-05-20 2005-05-20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71B1 (ko) 2009-10-27 2010-01-27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화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077B1 (ko) * 2016-11-28 2018-12-17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 이용 연료 분무 연소기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가열 장치
CN108180476A (zh) * 2018-02-08 2018-06-19 北京清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hho燃料的燃烧系统
CN108131220A (zh) * 2018-02-08 2018-06-08 北京清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燃料燃烧效率的燃料燃烧助燃系统
CN111578294B (zh) * 2020-04-03 2022-12-23 乐清市亿得利燃烧器有限公司 一种侧喷燃烧器
CN117128511B (zh) * 2023-10-27 2024-02-06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燃烧装置与全预混燃烧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7A (ja) 1982-06-28 1984-01-07 Kazuo Ueshima 加熱用燃焼装置
JPS61184317A (ja) 1985-02-12 1986-08-18 Ueshima Kazuo 加熱用燃焼装置
JPH09296913A (ja) * 1996-05-02 1997-11-18 Osaka Gas Co Ltd 低圧浸管バーナ
KR0185016B1 (ko) * 1996-03-16 1999-03-20 조영훈 컵보염 선회식 가스버너
KR20010065375A (ko) * 1999-12-29 2001-07-11 이구택 산소희박 연소형 3단 연소식 버너
KR100300907B1 (ko) 1998-09-15 2001-10-27 박흥원 고효율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7A (ja) 1982-06-28 1984-01-07 Kazuo Ueshima 加熱用燃焼装置
JPS61184317A (ja) 1985-02-12 1986-08-18 Ueshima Kazuo 加熱用燃焼装置
KR0185016B1 (ko) * 1996-03-16 1999-03-20 조영훈 컵보염 선회식 가스버너
JPH09296913A (ja) * 1996-05-02 1997-11-18 Osaka Gas Co Ltd 低圧浸管バーナ
KR100300907B1 (ko) 1998-09-15 2001-10-27 박흥원 고효율 가스버너
KR20010065375A (ko) * 1999-12-29 2001-07-11 이구택 산소희박 연소형 3단 연소식 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71B1 (ko) 2009-10-27 2010-01-27 합자회사 세화산업사 화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424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959B1 (ko) 공업용 로, 축열 연소용 버너 및, 공업용 로의 연소방법
KR100761218B1 (ko) 연소가스 순환형 연소통을 구비한 복사관 버너
US4496306A (en) Multi-stage combustion method for inhibiting formation of nitrogen oxides
EP1217299B1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fuel
EP2212619B1 (en) Furnace with low nox emission industrial burner and combustion process thereof
KR101235638B1 (ko) 저녹스 버너
US66633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ed staged combustion utilizing forced internal recirculation
US10240779B2 (en) Low NOx burner for ethylene cracking furnaces and other heating applications
JPH01300103A (ja) 炉内燃焼方法
CN1715745A (zh) 具有辅助点火燃料喷管的分段燃烧系统
CN211290049U (zh) 一种自预热式烟气自循环型低氮无氧化烧嘴
EP2177827A1 (en) Reaction furnace using a hot air burning technology
CN105485897A (zh) 烟气内循环水管锅炉及低氮燃烧控制方法
CN107580669B (zh) 用于移动炉排式球团设备的低氮氧化物燃烧系统
CN201425305Y (zh) 节能环保型扁平火焰燃烧器
EP1714074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burner, and a burner for liquid and/or gaseous fuels
US6793486B2 (en) Burner for non-symmetrical combustion and method
KR20070121591A (ko) 산소에 의한 연소 방법 및 버너
CN104296142A (zh) 燃气无焰纯氧燃烧器
KR100870980B1 (ko) 고효율 단조 가열로
CN202125949U (zh) 高效燃烧器
KR100893266B1 (ko) 냉각용 산소를 분할공급하는 산소예열 버너
CN104132343A (zh) 一种辐射管燃烧器
US5645412A (en) Burner for low Nox multistage combustion of fuel with preheated combustion air
KR100870981B1 (ko) 다단 공기 투입용 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