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858B1 - 톱밥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톱밥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858B1
KR100760858B1 KR1020060034257A KR20060034257A KR100760858B1 KR 100760858 B1 KR100760858 B1 KR 100760858B1 KR 1020060034257 A KR1020060034257 A KR 1020060034257A KR 20060034257 A KR20060034257 A KR 20060034257A KR 100760858 B1 KR100760858 B1 KR 10076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unit
sawdust
fram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이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석 filed Critical 이호석
Priority to KR102006003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2Transporting devices for wood 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톱밥 제조시 목재의 이동 및 파지를 기계적으로 행함으로써 인건비의 절감과 더불어 목재의 이동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칼날에 전달되는 압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목재를 파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날의 손상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톱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상부에 목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되어 온 나무를 파쇄시켜 톱밥으로 만드는 파쇄롤러와, 상기 파쇄롤러의 일측에 톱밥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는 톱밥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2)는 목재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도록 일정 각도록 굴곡된 안내판(13)과, 상기 안내판(13)의 저부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목재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이송롤러(14)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기 파쇄롤러(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판(16)의 회전축에 체인 또는 벨트 연결되어 상기 이송롤러(14)를 구동시키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이송롤러(14)에 감속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된 감속기어부(40)와; 상기 이송부(12)의 상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이송부(12)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판(52) 및 상기 가압판(52)을 하향 이동시키는 가압스프링(54)이 구비된 가압부(50)를 포함하여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내판, 이송롤러, 파쇄롤러, 감속기어부, 가압판, 유압구동부

Description

톱밥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A SAWDUST}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톱밥 제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톱밥 제조장치의 커버 및 배출부를 제거한 상태의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톱밥 제조장치의 가압부 및 안내판을 제거한 상태의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판에 연결되는 파쇄롤러를 보인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롤러의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감속기어부를 보인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구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2: 이송부
13: 안내판 14: 이송롤러
15: 이송돌기 16: 회전판
18: 커버 20: 파쇄롤러
22: 칼날부 24: 고리부
26: 결합판 30: 배출부
40: 감속기어부 42: 제1기어
43: 제1감속기어 44: 제2기어
45: 제2감속기어 50: 가압부
52: 가압판 54: 가압스프링
56: 손잡이 60: 제1유압모터
62: 제2유압모터 64: 유압구동 제어부
66: 유압펌프
본 발명은 톱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톱밥 제조시 목재의 이동 및 파지를 기계적으로 행함으로써 인건비의 절감과 더불어 목재의 이동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칼날에 전달되는 압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목재를 파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날의 손상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톱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톱밥은 사료용, 퇴비용, 돈사 등의 깔개용, 축사의 폐수 방지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더욱이 상기 톱밥은 하나의 상자단위로 포장된 다수의 게(crab), 사과 등과 같은 물품들이 이송과정에서 서로 충돌하거나 상기 상자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자의 내부에 다량의 톱밥을 채우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상기 톱밥은 농가에서 매우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톱밥을 손쉽게 제조하기 위한 톱밥 제조장치도 급격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톱밥 제조장치는 투입되는 원목, 잡목 등(이하, ‘목재’라 한다)을 커터로 절삭하면서 자동적으로 톱밥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톱밥으로 가공될 나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이송되어 온 나무를 파쇄시켜 톱밥으로 만드는 파쇄부 및 톱밥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작업자가 목재를 이송부에 올려놓고 파지한 상태로 목재를 소정 속도로 이송시켜 동력전달수단의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파쇄부 즉, 파쇄롤러의 칼날에 의하여 일정량씩 절삭되면서 톱밥이 발생되고, 톱밥은 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톱밥 제조장치는 작업자가 항상 톱밥으로 만들어질 목재를 파지하여야 하므로, 비싼 인건비로 인한 톱밥의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칼날의 마모시 파쇄롤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유지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톱밥 제조장치는 파쇄롤러가 상,하측에 한쌍의 구비됨에 따라 톱밥 제조장치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하측에 구비된 파쇄롤러의 칼날에 톱밥이 묻어나옴에 따라 일정 시간 이상 파쇄한 후에는 칼날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목재의 파쇄율을 저하시키게 되어 큰 입자의 톱밥을 배출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톱밥 제조시 자동으로 목재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유동되지 않도록 파지함으로써 인건비의 절감과 더불어 목재의 이동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쇄롤러의 칼날의 손상시 손상된 칼날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톱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쇄롤러의 칼날을 회전축에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파쇄롤러만으로도 톱밥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톱밥 제조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이동된 목재의 파쇄시 칼날에 전달되는 압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보다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파쇄시킬 수 있는 톱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 상부에 목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되어 온 나무를 파쇄시켜 톱밥으로 만드는 파쇄롤러와, 상기 파쇄롤러의 일측에 톱밥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는 톱밥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목재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도록 일정 각도록 굴곡된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저부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목재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이송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파쇄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판의 회전축에 체인 또는 벨트 연결되어 상기 이송롤러를 구동시키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이송롤러에 감속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감속기어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을 하향 이동시키는 가압스프링이 구비된 가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쇄롤러는 방사상으로 칼날이 구비된 복수개의 칼날부와; 상기 칼날부와 칼날부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부와; 상기 칼날부 및 고리부를 밀착 결합시키되 상기 칼날부 및 고리부가 이송되는 목재에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결합되도록 일측면이 경사진 결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에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에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유압모터와, 상기 제1유압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감속기어부에 연결된 제2유압모터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유압모터와 제2유압모터 사이에 구비되는 유압구동 제어부와, 상기 유압구동 제어부에 연결되는 유압펌프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내판의 상부에는 이송되는 목재의 이탈 및 톱밥제조시 발생되는 분진의 흩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톱밥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톱밥 제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톱밥 제조장치의 커버 및 배출부를 제거한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톱밥 제조장치의 가압부 및 안내판을 제거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판에 연결되는 파쇄롤러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롤러의 정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감속기어부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압구동부를 보인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상기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톱밥 제조장치는 일측 상부에 목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2)가 구비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되어 온 목재를 파쇄시켜 톱밥으로 만드는 파쇄롤러(20)와, 상기 파쇄롤러(20)의 일측에 톱밥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기 파쇄롤러(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판(16)의 회전축에 체인 또는 벨트 연결되어 상기 이송롤러(14)를 구동시키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이송롤러(14)에 감속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된 감속기어부(40)와, 상기 이송부(12)의 상측에 목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2)는 목재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도록 일정 각도록 굴곡된 안내판(13)과, 상기 안내판(13)의 저부에 안내판(13)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어 목재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이송롤 러(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4)는 일측이 각각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회전되고, 이송롤러(14) 상에는 다수개의 이송돌기(1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목재의 이송시 상기 이송돌기(15)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이송되게 한다.
상기 파쇄롤러(20)는 방사상으로 칼날이 구비된 원판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칼날부(22)와, 상기 칼날부(22)와 칼날부(22)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칼날부(22)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부(24)와, 상기 파쇄롤러(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칼날부(22) 및 고리부(24)를 밀착 결합시키는 결합판(26)으로 구성되고, 상기 칼날부(22)와 고리부(24) 및 결합판(26)을 관통하는 축(미부호)에 상기 회전판(16)이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26)은 상기 칼날부(22) 및 고리부(24)가 이송되는 목재에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결합되도록 일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목재의 파쇄시 보다 용이하게 파쇄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파쇄롤러(20)는 목재의 파쇄시 상기 칼날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칼날이 구비된 칼날부(22) 만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16)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미도시) 또는 농업용 트랙터 등에 구비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에 체인 또는 벨트 연결되도록 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농업용 트랙터 등의 모 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스플라인축으로 형성되어 농업용 트랙터 등의 모터에 결합되는 구동축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회전판(16)의 회전축에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유압모터(60)와, 상기 제1유압모터(60)의 구동력을 상기 감속기어부(40)에 연결된 제2유압모터(62)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유압모터(60)와 제2유압모터(62) 사이에 구비되는 유압구동 제어부(64)와, 상기 유압구동 제어부(64)에 연결되는 유압펌프(66)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상기 제1유압모터(60)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고, 상기 제1유압모터(60)의 동작으로 제2유압모터(62)가 동작되면서 상기 감속기어부(40)에 구동력을 전달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1유압모터(60)로 전달된 구동력은 상기 유압구동 제어부(64)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감속기어부(40)는 상기 제2유압모터(62)에 전달된 구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이송롤러(14)에 전달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유압모터(62)의 기어에 상대적으로 큰 기어비를 갖는 제1기어(42)가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42)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감속기어(43)에 상대적으로 큰 기어비를 갖는 제2기어가(44)가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기어(44)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2감속기어(45)에 상기 이송롤러(14)의 기어가 체인으로 연결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감속기어부(40)의 감속은 상기 이송롤러(14)의 이송과 파쇄롤러(20)의 파쇄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파쇄롤러(20)의 회전에 따른 목재의 파쇄시 소요되는 시간에 적당하게 이송롤러(14)를 구동시키도록 감속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50)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에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56)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부(12)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판(52)이 상기 손잡이(56)를 연결하는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56) 상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판(52)을 하향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스프링(54)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가압스프링(54)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가압판(52)이 목재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작업자가 손수 잡고 있지 않아도 되며, 목재의 파쇄시 전달되는 유동을 보다 최소화하여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판(13)의 상부에는 이송되는 목재의 이탈 및 톱밥 제조시 발생되는 분진의 흩날림을 방지하도록 커버(18)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목재의 이동시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파쇄롤러(20)에 의해 파쇄되면서 타측이 들어 올려지는 경우 상기 가압판(52)이 들어 올려지더라도 상기 안내판(13)의 상부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분진의 흩날림을 최소화하여 작업장 내의 대기를 보다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된 회전판(16)의 회전축(미부호)에 구동모터를 연결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에 축 결합된 상기 회전판(16)이 회전되면서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된 파쇄롤러(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파쇄롤러(20)의 회전과 더불어 이송부(12)의 이송롤러(14)가 회전되므로 유압구동 제어부(64)를 조작하여 상기 이송롤러(14)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목재의 일측을 이송부(12)의 안내판(13) 위에 올려 놓은 후 가압부(50)의 손잡이(56)를 이용하여 가압판(52)을 상방향으로 회동시켜 올린 다음 상기 안내판(13) 위에 올려 놓은 목재를 밀어 넣어 이송롤러(14)의 상측에 올려지게 한 후, 상기 가압판(52)을 내려 목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목재의 상측을 가압시킨다.
상기와 같이 목재를 이송롤러(14)에 올린 후에는 상기 유압구동 제어부(64)를 조작으로 유압이 흐르도록 하여 상기 이송롤러(14)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이송롤러(14)에 의해 목재가 이송되면서 상기 파쇄롤러(20)에 의해 조금씩 파쇄되어 톱밥이 만들어지게 되며, 상기 톱밥은 파쇄롤러(20)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부(30)에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14)의 회전력은 상기 파쇄롤러(20)의 회전력에 비해 감속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목재의 이송과 파쇄롤러(20)의 파쇄시간이 일치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톱밥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판(13)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18)가 상기 파쇄롤러(20)의 파쇄시 목재의 타측이 들뜨지 않도록 잡아줌과 아울러 분진 등이 외부로 분출되지 않도록 차단시켜 보다 깨끗한 대기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톱밥 제조시 목재의 이동 및 파지를 기계적으로 행함으로써 인건비의 절감과 더불어 목재의 이동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쇄롤러의 칼날의 손상시 손상된 칼날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파쇄롤러만으로도 톱밥을 제조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이동된 목재의 파쇄시 칼날에 전달되는 압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보다 단시간 내에 균일하게 파쇄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일측 상부에 목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되어 온 목재를 파쇄시켜 톱밥으로 만드는 파쇄롤러와, 상기 파쇄롤러의 일측에 톱밥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는 톱밥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2)는 목재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도록 일정 각도록 굴곡된 안내판(13)과, 상기 안내판(13)의 저부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목재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이송롤러(14)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기 파쇄롤러(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판(16)의 회전축에 체인 또는 벨트 연결되어 상기 이송롤러(14)를 구동시키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이송롤러(14)에 감속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된 감속기어부(40)와;
    상기 이송부(12)의 상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이송부(12)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판(52) 및 상기 가압판(52)을 하향 이동시키는 가압스프링(54)이 구비된 가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쇄롤러(20)는 방사상으로 칼날이 구비된 복수개의 칼날부(22)와; 상기 칼날부(22)와 칼날부(22) 사이에 구비되는 고리부(24)와; 상기 칼날부(22) 및 고리부(24)를 밀착결합시키되 상기 칼날부(22) 및 고리부(24)가 이송되는 목재에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결합되도록 일측면이 경사진 결합판(26)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16)에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제조장치.
  3. 일측 상부에 목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가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되어 온 목재를 파쇄시켜 톱밥으로 만드는 파쇄롤러와, 상기 파쇄롤러의 일측에 톱밥의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는 톱밥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2)는 목재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활한 이송을 안내하도록 일정 각도록 굴곡된 안내판(13)과, 상기 안내판(13)의 저부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목재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이송롤러(14)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상기 파쇄롤러(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판(16)의 회전축에 체인 또는 벨트 연결되어 상기 이송롤러(14)를 구동시키는 유압구동부와;
    상기 유압구동부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이송롤러(14)에 감속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된 감속기어부(40)와;
    상기 이송부(12)의 상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 상기 이송부(12)를 통해 이송되는 목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가압판(52) 및 상기 가압판(52)을 하향 이동시키는 가압스프링(54)이 구비된 가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구동부는 상기 회전판(16)의 회전축에 벨트 또는 체인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유압모터(60)와, 상기 제1유압모터(60)의 구동력을 상기 감속기어부(40)에 연결된 제2유압모터(62)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유압모터(60)와 제2유압모터(62) 사이에 구비되는 유압구동 제어부(64)와, 상기 유압구동 제어부(64)에 연결되는 유압펌프(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밥 제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3)의 상부에는 이송되는 목재의 이탈 및 톱밥제조시 발생되는 분진의 흩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톱밥 제조장치.
KR1020060034257A 2006-04-14 2006-04-14 톱밥 제조장치 KR10076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57A KR100760858B1 (ko) 2006-04-14 2006-04-14 톱밥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257A KR100760858B1 (ko) 2006-04-14 2006-04-14 톱밥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858B1 true KR100760858B1 (ko) 2007-10-04

Family

ID=3941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257A KR100760858B1 (ko) 2006-04-14 2006-04-14 톱밥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8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401U (ko) * 1993-09-24 1995-04-17 정병근 톱밥 제조기
KR950011095U (ko) * 1993-10-21 1995-05-15 타일의 성형장치
KR950011094U (ko) * 1993-10-15 1995-05-15 정병곤 톱밥 제조기
KR950011093U (ko) * 1993-10-13 1995-05-15 김종박 톱밥가공기
KR20000066074A (ko) * 1999-04-13 2000-11-15 유근종 톱밥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401U (ko) * 1993-09-24 1995-04-17 정병근 톱밥 제조기
KR950011093U (ko) * 1993-10-13 1995-05-15 김종박 톱밥가공기
KR950011094U (ko) * 1993-10-15 1995-05-15 정병곤 톱밥 제조기
KR950011095U (ko) * 1993-10-21 1995-05-15 타일의 성형장치
KR20000066074A (ko) * 1999-04-13 2000-11-15 유근종 톱밥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6771A (zh) 圆木加工流水线
CN210525592U (zh) 粉碎机半自动上料装置
US20200324298A1 (en) Mill box for a horizontal grinder
US5042730A (en) Multi-purpose rotating disc shredding device
KR100760858B1 (ko) 톱밥 제조장치
CN105879981B (zh) 固废物及生活垃圾管道运输剪切破碎装置
CN202506466U (zh) 多材质垃圾混合破碎装置
CN114434578B (zh) 一种木材高效去皮装置
CN206868362U (zh) 一种能够便捷进料的林业用木材破碎机
CN210389356U (zh) 一种旋转式切药机
CN215091022U (zh) 一种剪板机送料装置
CN214765963U (zh) 一种新型用于生物质颗粒生产的颗粒机
CN201098639Y (zh) 大件垃圾混合破碎机
CN210824498U (zh) 一种基于垃圾处理用进料装置
CN114274268A (zh) 一种连续木板加工用台锯
CN101745453A (zh) 垃圾破碎机
EP25094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ipping tree branches and the like and baling wood chips formed from such chipping activites
CN207655251U (zh) 果蔬粉碎机
CN220068316U (zh) 一种果树枝条预切装置
JP2007098359A (ja) 剪定枝破砕作業機
CN111168796A (zh) 一种废旧木材回收处理设备
CN108858359A (zh) 一种木塑地板生产加工用切割装置
KR102163666B1 (ko) 동력 파쇄기
TWI741494B (zh) 碎木機
JP4528578B2 (ja) 木材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