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398B1 -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398B1
KR100760398B1 KR1020050074601A KR20050074601A KR100760398B1 KR 100760398 B1 KR100760398 B1 KR 100760398B1 KR 1020050074601 A KR1020050074601 A KR 1020050074601A KR 20050074601 A KR20050074601 A KR 20050074601A KR 100760398 B1 KR100760398 B1 KR 10076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powder
weight
parts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962A (ko
Inventor
오주희
오성배
Original Assignee
오주희
오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희, 오성배 filed Critical 오주희
Priority to KR102005007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3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와 시멘트, 모래, 첨가물로 동물성 유지, 소량의 염분, 무해 염색체와 소량의 섬유나 오리털을 혼합물로 배합하여 제공되는 황토를 이용한 황토 방수제에 관한 것이다.
황토를 이용하여 황토 방수분말로 방수 처리하여 환경의 개선에 따른 인체의 유해성을 예방하고 황토의 특성으로 주거생활을 개척해 나감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 하고 세계 환경 개선과 질병예방에 의학적이고 과학적인 근거 아래서 새로운 황토 방수제를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영국의 LPL 방수전문 회사는 세계 125국에 방수액을 전문으로 수출하고 있으나, 종래의 방법에 의해 지금까지 제공되어 온 방수재료는 거의 다 화공 약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생산 시 또는 시공 후에 잔여물 폐기물로 처리해야하는 난제 들이 있다.
인류는 오래전부터 황토라는 흙 주거문화의 터전 속에 살아왔으나 150년 남짓한 시멘트 문화에 밀려 황토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환경오염의 심각성으로 인해 각종 인체 피부질환이 시멘트 주거생활에서 근거하고 있다는 의학적 주장에 따라 최근에 다시 자연 흙과 인체의 자연관계를 회복시키고자 하는 접근에 의해 황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황토의 유익함에 대한 의학적 또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황토에 각별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고, 근래에는 시멘트의 독성문제가 새롭게 부각됨으로 시멘트의 강도를 갖는 대체품이 없는 상황에서 시멘트의 독성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로 다시 흙으로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 시점에 있지만 황토는 쉽게 부스러지거나 사용 후 건조된 제조물이 풍화작용에 의하여 금이 가고 물에 약하여 오래 견딜 수 없어 값비싼 시공비와 노동력을 가져오게 문제점으로 쉽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수 가공공정을 거친 황토 원료분말 20~35 중량부에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를 배합하고 첨가물로 오리털 분쇄물과 무해 염색체(물감)와 무기염을 각각 1중량부 미만으로 배합하고 원료혼합물을 분쇄하여 황토 방수 분말로 제공된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A marble manufacture method by a loess}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방수분말로서 상세하게는 지금까지 화공약품으로 대부분 이루어진 방수액을 황토를 이용한 황토 방수 분말로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한 것이다.
황토는 물에 약하여 쉽게 부스러지고 쉽게 크랙이가거나 점성력이 약한 자체특성으로 인하여 지금까지 황토가공물의 강도나 점성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황토와 화공약품의 경화제를 사용해 강도를 높여주도록 제공되어 온 관계로 황토제품의 사용 후에도 화공약품이 남아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황토는 순수 자연물만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황토 본래의 특성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이 원적외선은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몸속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건강을 증진 시키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황토는 음이온을 방출하는데 이음이온은 각종 오염으로부터 생활주변에 방출된 양이온을 흡착 중화시켜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만들고 생명을 불어 넣는 기능을 갖는다.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산업적 발전은 쉽고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사용한 건축자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화학물질을 함유한 건축자재나 접착제 등은 인간의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을 배출하기 때문에 각종 질환을 유발하고 이들 질환에 따른 국가적 손실은 천문학적 숫자로 헤아릴 수 없는 정도에 이르고 있다.
본원은 황토를 이용한 방수분말을 제공하여 시대요구에 부응하여 새로운 친환경적소재로 생산 시 공해를 유발하지 않은 새로운 황토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 가운데 이루어진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아 숨 쉬는 흙 황토를 이용한 방수분말을 제공함으로 인체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고 쾌적한 주거 생활환경을 제공하는 친환경 구조물을 이루는데 황토를 이용하여 시멘트를 중화시키는 황토 방수분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토 원료분말 20~35 중량부에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를 동식물 유지 3~5 중량부에 밀가루 찹쌀가루와 소량의 염, 펄프, 섬유 등을 적당량 혼합 첨가하여 100 ℃에 가열한 후 1차 건조시킨다.
1차적으로 건조된 황토를 배합기에 넣고 식물성 분말과 배합 한 후 2차적으로 건조 조건으로 40~50℃ 건조조건에서 약 10일간 건조 및 숙성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건조된 황토성분에 정제된 동식물유지를 황토에 배합하여 고압의 배합기틀에서 가공시켜 배출하여 2차 건조단계로 45~50℃온도에 10일간 건조하여 얻은 황토 가공물을 가는 모래 이하의 크기 정도로 분쇄하여 원료분말로 이용한다.
시멘트와 모래를 비슷한 중량으로 배합하여 혼합하면서 유사 비율의 황토를 배합하여 방수분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된 황토 원료분말 20~35 중량부에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 범위에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벽 방수제와 바닥 방수제, 지하 방수제, 옥상 방수제 별도 세분화하여 황토 중량부와 시멘트 중량부 모래 중량부의 혼합비율의 편차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벽 미장용 방수제를 기준으로 하여 배합 중량부를 혼합하는데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량의 펄프와 섬유를 1mm크기로 절단하여 동식물 유지와 식물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펄프나 섬유를 혼합하여 40~50℃의 온도조건에서 7-8일간 건조기 이루어진 황토 건조물을 시멘트, 모래 중량부와 배합하는데 특히 이때의 배합물의 일정 비율이 정밀 계량기에 의한 배합물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황토 방수 분말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황토 방수 분말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 원료분말 20~35 중량부에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에 동식물 유지 3~5 중량부, 소량의 옥수수 분말이나 찹쌀분말 중에서 선택되는 식물성 분말을 첨가물로 사용하게 된다.
황토 배합성분을 건조시키는데 황토는 살아 숨 쉬는 흙이라고 해서 수분을 조절하기 때문에 건조 시에는 수분을 내뱉고 습할 때는 수분을 흡수하는 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는 자연물로서 건조 시에는 수분을 일정량 자체에서 저장하기 때문에 생 황토 건조 시간을 40-5O℃의 건조실에서 오랜 시간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건조 상태는 일정온도에 수분이 잘 차단 되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하고 1차 건조될 황토에 식물성 분말을 소량 혼합하여 숙성시키게 되면 황토성분이 시멘트와 모래성분과 배합되기 수월하게 되며, 1차 건조된 황토분말을 100℃에서 30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건조된 황토분말을 배합기에 옮기는데 열이 있는 상태에서 동식물 유지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배합기에 넣고 10~15분 간 회전 혼합한 후, 다시 2차 건조실에서 40-50℃ 건조 열을 통해 2차 건조 시간을 10일간 건조를 시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방수분말을 제공하기 위한 황토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생 황토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식물성 분말로 옥수수가루 10~20중량부를 혼합하여 40~5O℃의 건조실에서 10~12일 범위로 숙성시키는 1차 숙성단계;
1차 건조된 황토 혼합물에 동식물 유지 3~5 중량부와 식물성 분말을 1~3 중량부를 혼합하여 배합기에 넣고 10~15분간 회전 혼합한 후, 다시 2차 건조실로 옮겨 40-50℃ 건조 열을 통해 10~12일 범위로 2차 숙성단계를 거쳐 황토원료분말을 얻고,
상기 숙성공정을 거친 황토 원료분말 20~35 중량부에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를 배합하고 첨가물로 오리털 분쇄물과 무해 염색체(물감)와 무기염을 각각 0.1~1중량부 범위로 배합하고 원료혼합물을 분쇄하여 황토 방수 분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방수분말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를 혼합기에 넣을 때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는데 모래는 자연 건조대를 지면에서 1미터 이상을 띄워 지면 수분이 모래에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차단케 하고 모래를 배합기에 정밀계량기에 의하여 혼합하는데 이때 소량의 염으로 소금을 첨가 하게 되는데 시멘트와 모래는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영하5℃ 이상 지속되면 성해가 껴 부식이 되는 원인이 되므로 소금을 혼합하면 성해형성을 사전 예방시키며 따라서 방수기능을 오래 지속시키는데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배합물에 여러 색상의 무해 염색체를 첨가하는 것은 시대적 미적요구 감각을 충족시키기 위함이며, 이제는 방수에까지 다목적 사용을 하게 함으로서 일반 방수를 하고 다시 도장이나 기타 마감을 하는 이중 시공에 의한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데 새로운 경제성의 방수제를 개발한 의의가 있도록 했으며, 혼합물 완성 후 미장할 수 있는 양의 물을 혼합물에 넣고 충분히 믹서 하게 되면 추후 황토의 건조물이 시멘트와 화학작용 시 열이 발산되면서 미세 황토와 동물성 유지와 식물성 녹말이 미세 공기층을 모래와 시멘트의 결속 시 공기층을 막아 주게 되며 시멘트와 건조 황토의 혼합 시 황토가 수분을 급속도로 흡수하게 되므로 시멘트와 모래의 건조속도보다 2배 빠른 24시간이 경과 되면 1차 건조가 되어 굳어지게 된다.
건조 황토의 수분이 서서히 시멘트가 굳어지면 수분을 배출하게 되며 일반 시멘트와 같이 사용 후 수분을 수차례 걸쳐 분사할 필요가 없게 되는데 황토의 습도 조절로 인하여 30일이 경과 하게 되면 황토의 습도조절기능을 잃게 되고 미세공기층이 완전히 차단되게 함으로서 새로운 황토 방수 분말이 제조되는데 응고된 제조물은 강도를 부여받게 된다.
특히 소량의 오리털을 동식물 유지로 혼합하는 것은 오리털은 물과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동식물 유지로 오리털을 저장하여야 하는데 이때 압력식 저장을 하여야 오리털을 절단 분쇄할 수 있다. 미세분말의 오리털은 방수의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되는데 미세 모래와 황토 시멘트 ,섬유, 점성 시에 발생되는 미세 공기층을 미세 오리털이 공기층막을 결속시키면서 완전방수 분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를 이용한 새로운 황토 시멘트문화를 여러 측면에서 시멘트를 중화시키고 이를 다시 황토의 원적외선 효과를 살리고 시멘트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멘트 문화를 열게 되는데 시멘트로 인한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엄청난 환경피해와 인체유해 중금속으로 인한 질병이 시간이 갈수록 확산 되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황토문화와 새로운 시멘트 문화를 접목하여 우리 주거 문화의 가장 근접한 유해 물질들을 차단 예방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시멘트의 항 곰팡이를 없애고 자연물 첨가제로서 화공약품이 일체 없는 새로운 황토 방수분말을 개발하는데 우리 생활의 새로운 건축 문화에 가장 심각한 화학 물질을 줄이고 건강을 위주로 한 흙의 문화에 걸 맞는 황토방수에 발명의 개념이 있다.

Claims (2)

  1.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황토 방수분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생 황토에 식물성분말을 혼합하여 40~5O℃의 건조실에서 10~12일 범위로 숙성시키는 1차 건조단계;
    1차 건조된 황토 혼합물에 동식물 유지와 식물성 분말을 혼합하여 배합기에 넣고 10~15분간 회전 혼합한 후, 다시 2차 건조실로 옮겨 40~50℃ 건조열을 통해 10~12일 범위로 2차 숙성단계를 거쳐 황토원료분말을 얻는 단계;
    2차 숙성공정을 거친 황토 원료분말 20~35 중량부에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를 배합하고 첨가물로 오리털 분쇄물과 무해 염색체(물감)와 무기염 각각을 0.1 ~ 1중량부 범위로 배합하고 원료혼합물을 분쇄하여 황토 방수 분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방수분말 제조방법.
  2.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황토 방수분말에 있어서,
    생 황토에 식물성 분말을 혼합하여 40~5O℃의 건조실에서 10~12일 범위로 숙성시키며 1차 건조시키고,
    1차 건조된 황토 혼합물에 동식물 유지와 식물성 분말을 혼합한 후 2차 건조실로 옮겨 40-50℃ 건조 열을 통해 10~12일 범위로 2차 숙성단계를 거쳐 황토원료분말을 얻으며,
    2차 숙성공정을 거친 황토 원료분말 20~35 중량부에 시멘트 25~30 중량부, 모래 25~35 중량부를 배합하고 첨가물로 오리털 분쇄물과 무해 염색체(물감)와 무기염 각각을 0.1~1중량부 범위로 배합하여 원료혼합물을 얻고 이를 분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방수분말.
KR1020050074601A 2005-08-16 2005-08-16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KR10076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601A KR100760398B1 (ko) 2005-08-16 2005-08-16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601A KR100760398B1 (ko) 2005-08-16 2005-08-16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962A KR20050088962A (ko) 2005-09-07
KR100760398B1 true KR100760398B1 (ko) 2007-09-19

Family

ID=3727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601A KR100760398B1 (ko) 2005-08-16 2005-08-16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94B1 (ko) * 2008-03-17 2009-10-01 (주)선일로에스 염수를 이용한 점토벽돌 제조방법
KR101697350B1 (ko) 2016-05-16 2017-01-18 대성볼트 (주) 아연 도금 강판 코팅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아연 도금 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364B1 (ko) * 2020-02-21 2020-12-04 케이플랜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KR102100085B1 (ko) * 2020-03-06 2020-04-10 박정열 유기용 광택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47063B1 (ko) * 2020-09-15 2021-04-30 조한경 방수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07A (ko) * 2001-04-07 2001-07-25 오주희 황토 조성물
KR20030059017A (ko) * 2003-06-07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피씨 제조방법
KR20030058994A (ko) * 2003-05-23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보드블록 제조 방법
KR20030061710A (ko) * 2003-05-06 2003-07-22 오주희 황토와 시멘트를 이용한 먹이함 어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07A (ko) * 2001-04-07 2001-07-25 오주희 황토 조성물
KR20030061710A (ko) * 2003-05-06 2003-07-22 오주희 황토와 시멘트를 이용한 먹이함 어초
KR20030058994A (ko) * 2003-05-23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보드블록 제조 방법
KR20030059017A (ko) * 2003-06-07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피씨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94B1 (ko) * 2008-03-17 2009-10-01 (주)선일로에스 염수를 이용한 점토벽돌 제조방법
KR101697350B1 (ko) 2016-05-16 2017-01-18 대성볼트 (주) 아연 도금 강판 코팅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코팅된 아연 도금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962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398B1 (ko)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KR101529857B1 (ko) 건축 자재용 소금 모르타르 조성물
KR100760399B1 (ko) 황토를 이용한 방수 레미콘 제조 방법
KR100884087B1 (ko) 천연토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94587B1 (ko) 친환경적인 인공어초용 흙 블록 제조방법
KR101138638B1 (ko) 친환경 방수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7151B1 (ko) 황토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101177085B1 (ko) 짚을 이용한 불연 건축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건축패널
KR20050088964A (ko) 황토를 이용한 황토 레미탈 제조방법
KR20070000827A (ko) 황토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과 그 황토레디믹스트콘크리트
KR20130107480A (ko)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
KR100819913B1 (ko) 황토를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KR101706344B1 (ko) 천일염을 함유하는 건축용 미장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08753305A (zh) 一种固沙植物粉剂及其制备方法
KR101326362B1 (ko) 피톤치드 성분을 함유한 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24268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건축재의 제조방법과 건축재
KR100975302B1 (ko) 황토 분말이 포함된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819911B1 (ko) 황토를 이용한 미장용 레미탈
KR20030058982A (ko) 황토와 시멘트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KR101257245B1 (ko) 천연광물을 함유한 친환경 미장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810522B1 (ko) 다기능 황토몰탈 제조방법
RU2232733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100805932B1 (ko) 황토를 이용한 레미콘제조방법
KR100685713B1 (ko) 황토 미장방법
KR101568868B1 (ko) 건축 미장용 황토 모르타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