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013B1 -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013B1
KR100760013B1 KR1020060045538A KR20060045538A KR100760013B1 KR 100760013 B1 KR100760013 B1 KR 100760013B1 KR 1020060045538 A KR1020060045538 A KR 1020060045538A KR 20060045538 A KR20060045538 A KR 20060045538A KR 100760013 B1 KR100760013 B1 KR 10076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river
vibration
unit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석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Priority to KR102006004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가 운전중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응급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를 차량 내부 장치와 호환되면서 운전자의 눈과 몸을 통해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음향센서부, 마이컴, 표시부, 진동부로 구성됨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의 차량내부 장치와 호환이 잘 되고, 빠른 반응속도로 인해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청각장애, 난청, 마이크로폰, 표시부, 진동부

Description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THE APPARATUS RECOGNITION TO OPERATE A EVERY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의 구성요소 중 차량형 핸즈프리로 이루어진 표시부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의 구성요소 중 각형상 판넬로 이루어진 표시부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의 구성요소 중 방석용 운전시트로 이루어진 진동부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음향센서부 20 : 마이컴
30 : 표시부 40 : 진동부
310 : 차량형 핸즈프리 320 : 각형상 판넬
410 : 방석용 운전시트
본 발명은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가 운전중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응급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를 차량 내부 장치와 호환되면서 운전자의 눈과 몸을 통해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청각장애인과 난청이 있는 사람(노인 포함)은 전체인구 중 10~20%정도(대략 750만명)가 있다. 이 중에서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는 100 ~ 250만명 정도가 된다.
이러한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는 일반주행 및 고속도로 주행시 차량의 후면에 청각장애인 마크 및 난청인이라는 스티커를 붙이면서 운행한다.
일반적으로, 후미차량은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 차량의 속도가 너무 늦어 추월을 할 경우에 클락션 대신에 비상등을 깜빡이면서 신호를 보내고, 이때 청각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는 백미러를 통해 이를 인식하고 자리를 양보하게 된다.
하지만, 청각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가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응급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 등을 운전자 본인의 눈만으로 인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등록공보 제558854호에서 운전자의 좌, 우측에 각각 좌측마이크와 우측마이크를 설치하여 양방향으로 음원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음원 신호성분을 경음기의 중심주파수를 포함하는 영역대로 추출하는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를 사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입력받은 음원 신호 중에서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레벨을 갖는 경음기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입력받은 음원 신호에 경음기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좌측음원신호/우측음원신호의 전력비를 산출하여 이로부터 그 경음기 신호가 운전자를 중심으로 어느 방향에서 입력된 것인식를 판별하는 단계; 청각장애가 있는 운전자의 등 부위 촉각을 자극하기 위하여 운전석 시트 등받이에 좌측, 우측, 중앙으로 나뉘어 진동기가 설치되고, 산출된 상기 좌측음원신호/우측음원신호의 전력비가 1보다 크면 좌측 진동기를 작동시키고, 그 값이 1보다 작으면 우측 진동기를 작동시키며, 그 값이 1이면 중앙 진동기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각장애가 있는 운전자를 위한 경음기 인식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운전석 시트 등받이에 진동장치의 좌측, 우측, 중앙을 통해 차량의 음신호를 청각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출근 및 퇴근시의 러쉬아워일 경우에 실시간으로 차량의 전, 후, 좌우측면에서 울리는 클락션으로 인해 운전자 등뒤로 진동이 계속해서 울리게 되어 운전자가 등뒤에서 느끼는 운동신경이 더디게 되어 차량의 어느 방향에서 클락션 소리가 울리는지 혼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청각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가 운전중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응급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를 운전자의 눈과 몸을 통해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의 차량 내부 장치와 호환이 잘 되며, 빠른 반응속도로 인해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는,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가 운전중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후, 좌우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음향 센서부(10)와,
그 음향 센서부(10)로 전달되는 음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위치별로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에게 표시신호 및 진동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도록 표시부 (30)및 진동부(40)를 제어하는 마이컴(20)과,
운전자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차량형 핸즈프리(310) 및 각형상 판넬(320)의 전, 후, 좌우측면에 표시용 LED가 설치되어 마이컴(20)의 제어를 통해 0.5~3초 주 기로 표시되는 표시부(30)와,
방석용 운전시트(410) 내부의 전, 후, 좌우측면에 진동소자(411)가 설치되어 마이컴의 제어를 통해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부(4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음향센서부(10), 마이컴(20), 표시부(30), 진동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음향센서부(10)는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가 운전중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 후, 좌우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소리를 감지하는 곳으로, 본 발명에서 음향센서부(10)는 가동코일형 마이크로폰(11) 및 콘덴서 마이크로폰(12)으로 구성된다.
가동코일형(전자기유도형) 마이크로폰(11)은 지름이 20~30mm인 가벼운 진동판에 코일을 장치하고, 이것을 자기장 속에서 진동시켜 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형으로, 무지향성(無指向性)이며, 10Hz 이상의 높은 음역까지 충분한 감도를 가지고 있고, 견고한 특성을 갖는다.
콘덴서 마이크로폰(12)은 평판전극을 마주보게 한 콘덴서의 원리를 응용한 마이크로폰으로, 극판(極板)의 한쪽을 진동판으로 하고, 소리에 의해서 이 판이 진 동하면 콘덴서의 용량이 변하게 되어 축적전하(蓄積電荷)가 변하고, 그 결과 소리의 변화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이러한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주파수 특성이 우수하고, 안정된 것을 만들기 쉬운 특성을 가지며, 콘덴서의 양극에는 직류전압을 가하는 방식과 1 MHz 정도의 고주파를 가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마이컴(20)은 음향 센서부(10)로 전달되는 음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위치별로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에게 표시신호 및 진동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도록 표시부 및 진동부를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PIC 원칩 마이컴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20)은 일측에 데이터 리코더부(21), 레벨 리코더부(22), 주파수 분석부(2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데이터 리코더부(21)는 음향 센서부(10)로부터 전달되는 음신호를 기록하는 곳으로, 이는 EEPROM으로 이루어져, 주파수 특성이 20~2000Hz 범위에서 ±7dB이내, 다이나믹 범위 60dB 이상, 오차율 0.6% 이하가 표준이 된다.
레벨 리코더부(22)는 그 데이터 리코더부(21)와 접속하여 음 크기를 레벨화하여 표시부에 전달하는 곳으로, 이는 데이터 리코더부(21)의 기록으로부터 샘플링(Sampling)에 따라 등가음레벨을 구할 경우에 시간 평균 효과가 큰 슬로우(SLOW)을 이용해서 측정전에 차량소리(클락션)의 교정신호가 소정의 레벨이 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레벨 리코더부를 통해 표시부의 복수개 LED에 음 레벨에 따라, 레벨 1-빨간색, 레벨 2-노란색, 레벨 3-파란색으로 표시되도록 구성 할 수가 있다.
주파수 분석부(23)는 상기 데이터 리코더부에 기록된 음신호의 주파수를 기준설정치와 비교·분석하는 곳으로, 이러한 기준설정치를 정하기 위해 음신호의 주파수를 시간적변화의 상태에 따라 일반음과 변동음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여기서, 일반음인 경우 기준설정치는 레벨변동이 적은 정상적인 음의 경우는 레벨 리코더부의 기록치의 평균치를 구하고, 변동음인 경우 기준설정치는 등가음레벨을 통해 구한다.
이러한 변동음의 등가음레벨은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35332095-pat00001
여기서, t2-t1는 실측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등가음레벨의 물리적 의미는 실측시간(T)=t2-t1의 범위 내에서 변동하고 있는 레벨과 같은 에너지를 갖는 정상소음의 음레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등가음레벨을 통한 변동음의 기준설정치는 1~50dB를 3레벨로 하고, 51~100dB를 2레벨로 하며, 101dB이상을 1레벨로 설정한다.
상기 표시부(30)는 운전자의 상단부 일측공간에 전, 후, 좌우측면에 표시용 LED가 설치되어 마이컴의 제어를 통해 0.5~3초 주기로 표시하는 곳으로, 이는 차량용 핸즈프리 및 각형상의 판넬 내부에 구성되어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차량의 음향 센서부 위치와 동일하게 차량형 핸즈프리 및 각형상 판넬의 전, 후, 좌우 측면위치에 LED가 설치된다.
상기 차량형 핸즈프리(3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 후, 좌우측면에 부착된 음향센서부의 위치와 대응되게 전, 후, 좌우측면에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고, 일측의 전선 라인을 통해 마이컴과 연결된다.
그리고, 각형상 판넬(32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아크릴판 재질로 이루어져 장식용으로 설치되고, 차량의 전, 후, 좌우측면에 부착된 음향센서부의 위치와 대응되게 전, 후, 좌우측면에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며, 일측의 전선 라인을 통해 마이컴과 연결된다.
상기 LED는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통해 전압수치에 따라 음향센서부에서 측정된 음신호를 레벨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레벨1-빨간색, 레벨 2-노란색, 레벨 3-파란색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30) 일측에 디스플레이부(35)를 구성하여 문자 및 상황별 동영상(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응급차량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와 관련된 영상화면)이 LED 불빛과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여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가 빨리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0)는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의 눈으로 먼저 인식할 수 있는 1차 인식부로서, LED 및 디스플레이부(35)를 통해 보다 정확한 상황인식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진동부(40)는 방석용 운전시트(410) 내부의 전, 후, 좌우측면에 진동소자(411)가 설치되어 마이컴(20)의 제어를 통해 진동이 발생되는 곳으로, 이러한 진동소자(411)의 동작은 진동이 계속해서 울리게 될 경우 운전자가 느끼는 운동신경이 더디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0.2~0.8초 주기로 진동이 울리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톡톡 쏘는 느낌이 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진동부(40)는 일예로,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차량의 전면에서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가 났을 경우에 방석용 운전시트(410) 내부의 전면에 위치한 진동소자(411)가 0.2~0.8초 주기로 톡톡 쏘면서 울리게 되고, 이때 운전자는 허벅지 상단부로 가해지는 진동을 느끼면서 차량 전면에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가 났음을 인식하게 된다.
또 다른 일예로,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차량의 후면에서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가 났을 경우에 방석용 운전시트(410) 내부의 후면에 위치한 진동소자(411)가 0.2~0.8초 주기로 톡톡 쏘면서 울리게 되고, 이때 운전자는 엉덩이 부분에 가해지는 진동을 느끼면서 차량 전면에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가 났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40)는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의 몸이 느끼는 2차인식부로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1차인식부의 인식을 못할 경우 상황인식을 보조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동작에 의하여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응급차량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를 청각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그 운전자의 눈과 몸 부위를 전, 후, 좌우측으로 나누어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응급차량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의 입력방향에 맞게 진동을 가하여 줌으로써 청각장애가 있는 운전자도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청각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의 눈과 몸을 통해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의 차량 내부 장치와 호환이 잘 되며, 빠른 반응속도로 인해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가 운전중 철도건널목 차단기의 경보음이나, 차량(일예 : 응급차, 소방차, 경찰차, 렉카)의 사이렌 소리, 충돌 및 급브레이크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후, 좌우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음향 센서부(10)와,
    그 음향 센서부(10)로 전달되는 음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위치별로 청각장애 및 난청이 있는 운전자에게 표시신호 및 진동신호가 동시에 전달되도록 표시부 (30)및 진동부(40)를 제어하는 마이컴(20)과,
    운전자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차량형 핸즈프리(310) 및 각형상 판넬(320)의 전, 후, 좌우측면에 표시용 LED가 설치되어 마이컴(20)의 제어를 통해 0.5~3초 주기로 표시되는 표시부(30)와,
    방석용 운전시트(410) 내부의 전, 후, 좌우측면에 진동소자(411)가 설치되어 마이컴의 제어를 통해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부(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LED는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통해 전압수치에 따라 음향센서부에서 측정된 음신호를 레벨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레벨 1-빨간색, 레벨 2-노란색, 레벨 3-파란색으로 표시되어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의 눈으로 먼저 인식할 수 있는 1차 인식부가 되고,
    상기 진동부는 방석용 운전시트(410) 내부의 전, 후, 좌우측면에 설치된 진동소자(411)가 마이컴(20)의 제어를 통해 0.2~0.8초 주기로 진동이 울리도록 하여 청각 장애 및 난청인 운전자로 하여금 톡톡 쏘는 느낌이 들도록 하는 2차 인식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60045538A 2006-05-22 2006-05-22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KR10076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38A KR100760013B1 (ko) 2006-05-22 2006-05-22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538A KR100760013B1 (ko) 2006-05-22 2006-05-22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013B1 true KR100760013B1 (ko) 2007-09-18

Family

ID=3873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538A KR100760013B1 (ko) 2006-05-22 2006-05-22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0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0968A (zh) * 2011-07-28 2012-02-1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的声音辅助装置
KR200459007Y1 (ko) 2009-01-23 2012-03-21 김수길 청각장애인용 자동차 주변경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296A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청각 장애인을 위한 난청 보상장치
KR20040093283A (ko) * 2003-04-29 2004-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청각장애가 있는 운전자를 위한 경음기 인지방법
KR20050054902A (ko) * 2005-05-20 2005-06-10 김용순 청각장애인 및 헤드폰청취형음향기기로 음악감상을 하는일반인들을 위한 특정주파수 경고신호 출력경음기 및수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296A (ko) * 1996-08-30 1998-06-05 박병재 청각 장애인을 위한 난청 보상장치
KR20040093283A (ko) * 2003-04-29 2004-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청각장애가 있는 운전자를 위한 경음기 인지방법
KR20050054902A (ko) * 2005-05-20 2005-06-10 김용순 청각장애인 및 헤드폰청취형음향기기로 음악감상을 하는일반인들을 위한 특정주파수 경고신호 출력경음기 및수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07Y1 (ko) 2009-01-23 2012-03-21 김수길 청각장애인용 자동차 주변경보장치
CN102350968A (zh) * 2011-07-28 2012-02-1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的声音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6706B (zh) 睡眠告警装置
JP5228970B2 (ja) 居眠り防止装置
WO2011138855A1 (ja) 覚醒状態維持装置および覚醒状態維持方法
JP2008149917A (ja) 車両用周囲音報知装置
KR100806639B1 (ko)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JP4912057B2 (ja) 車両警報装置
KR100760013B1 (ko) 청각장애 및 난청인용 상황별 인식장치
CN107097717B (zh) 喇叭装置、其控制方法及应用其的汽车
US11856367B2 (en) Hearing system,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lert for a user
JP2015001776A (ja) 運転支援装置
CA2139343A1 (en) Multi-sound vehicle horn system
JP5853442B2 (ja) 警報音生成装置
GB2514267A (en) Smart Honking
JP4089651B2 (ja) 信号生成装置及び機械装置
JP2763685B2 (ja) 緊急車両位置表示装置
KR102327677B1 (ko) 자동차 내부 소리 분석 기반의 자동차 내부 위험 상황 주변 알림 장치
KR102194205B1 (ko) 운전자 위험상황 예방 시스템
KR20130044067A (ko) 다른 차량의 경적에 반응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0443B1 (ko) 운전 보조 장치 및 운전 보조 방법
US20210358300A1 (en) Method for identifying sirens of priority vehicles and warning a hearing-impaired driver of the presence of a priority vehicle
JP4441614B2 (ja) 外部音知覚装置
KR100558854B1 (ko) 청각장애가 있는 운전자를 위한 경음기 인지방법
JP2008191742A (ja) 聴覚情報報知装置および方法
Houix et al. Perceptual influence of the vibratory component on the audio component of alarms produced by rumble strips, by measuring reaction times
CN105857345A (zh) 列车广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