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397B1 - 모기 기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기 기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397B1
KR100756397B1 KR1020060036535A KR20060036535A KR100756397B1 KR 100756397 B1 KR100756397 B1 KR 100756397B1 KR 1020060036535 A KR1020060036535 A KR 1020060036535A KR 20060036535 A KR20060036535 A KR 20060036535A KR 100756397 B1 KR100756397 B1 KR 10075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osquito repellent
mosquito
composition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하
강신호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3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1/16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with two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 기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은,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중 선택된 1 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모기 기피용 조성물은,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 중 1 종을 선택한 후, 선택된 오일에 오일 부피대비 10 ~ 70 부피 %의 기피보조제를 첨가한 다음, 에탄올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해, 유기화합물인 DEET를 대체할 수 있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 제공되며, 모기방제 효과가 뛰어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모기, 기피용, 클로브 버드오일, 클로브 리프오일

Description

모기 기피용 조성물 {THE COMPOSITION FOR MOSQUITO REPELLENT}
도 1은 34 종 천연오일을 0.01 mg/㎠ 및 0.05 mg/㎠씩 처리 시, 모기성충에 대한 기피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도 1에서 선별된 4 종 천연오일을 0.001 mg/㎠씩 처리 시, 모기성충에 대한 기피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모기 기피력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한 ASTM 상형장치 사진.
본 발명은 모기 기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모기는 뇌염(encephalitis), 뎅그열(dengue fever), 말라리아(malaria) 등과 같은 질병의 주요 매개원이다.
모기는 매년 7 억 이상의 사람들에게 병을 옮기며, 특히 말라리아 모기에 의한 질병으로 인해 매년 3 백만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한다고 보고되어있다(Mark et al., 2002. N. Engl. J. Med. 347 : 13 ~ 18).
이러한, 모기의 공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해결방안이 연구되어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모기 기피제로는 DEET(N,N-diethyl-m-toluamide 또는 N,N-diethyl-3-methylbenzamide)이라는 유기화합물이 주로 사용되며, 이 DEET 성분은 1946년 미군에 의해 처음 사용되어졌고, 1957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DEET를 이용한 기피제 제형으로는 에어로졸, 펌프 스프레이, 로션, 크림, 액제 그리고 손목밴드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기피제의 모기 기피효과는 DEET의 농도에 직접적으로 비례한다고 보고되어져 있다.
또한, 제품 내 사용 농도는 다양하며, 피부, 경구 독성 등 여러 측면에서 인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나, 높은 피부 침투성(skin permeability) 때문에 임산부나 어린아이 등에게는 아직 그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고, 플라스틱이나 합성섬유 등에 변색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Rueda et al. 1998. Journal of the Am. Mosq. Control Association. 14 : 178 ~ 182).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기화합물에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방제방법 및 대체약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해가 적음과 동시에 환경에 무해한 천연 식물오일을 이용한 모기 방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1056호(천연 모기 기피제)에는, 유칼리나무잎 추출오일, 라벤더잎 추출오일, 로즈마리잎 추출오일, 또는 백리향 추출오일을 포함하 거나 상기 백리향 추출오일로부터 분리된 ρ-시벤, α-테르피넨, 리나롤, 카바크롤 및 티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모기 기피제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07604호(모기 기피제)에는, 회향열매로부터 추출한 회향유, 펜촌, 및 옥타데세노익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생해충 기피제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분사 후 공기 중에 남아있는 모기 기피제의 지속시간이 짧아 모기 방제효과가 떨어지며, 여러번 처리해 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화합물인 DEET를 대체할 수 있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모기방제 효과가 뛰어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기 기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은,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중 선택된 1 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모기 기피용 조성물은,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 중 1 종을 선택한 후, 선택된 오일에 오일 부피대비 10 ~ 70 부피 %의 기피보조제를 첨가한 다음, 에탄올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새로운 물질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방제효과가 뛰어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34 종의 천연오일을 이용하여 모기에 대해 나타내는 기피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바질오일(Basil oil), 버가모토오일(Bergamot oil), 블랙페퍼오일(Black pepper oil), 카다몬오일(Cardamone oil), 카라웨이오일(Caraway oil), 카모마일오일(Chamonile oil), 시나몬오일(Cinnamon oil), 시트로넬라오일(Citronella oil), 클라리세이지오일(Clary sage oil), 클로브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리이프오일(Clove leaf oil), 코리안더오일(Coriander oil), 유칼립투스오일(Eucalyptus oil), 페넬오일(Fennel oil), 징거오일(Ginger oil), 그레이프후르츠오일(Grapefruits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라벤더오일(Lavender oil), 레몬그라스오일(Lomongrass oil), 라임오일(Lime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 니임오일(Neem oil), 페촐리오일(Petcholi oil), 페니로얄오일(Pennyroyal oil), 페퍼민트오일(Peppermint oil), 페티그레인오일(Pettigrain oil), 로즈마리오일(Rosemary oil), 세이지오일(Sage oil), 샌달우드오일(Sandalwood oil), 스피아민오일(Spearmint oil), 티트리오일(Tea tree oil), 타임 레드오일(Thyme red oil), 타임 화이트오일(Thyme white oil), 일랑일랑오 일(Ylangylang oil) 중 기피력이 우수한 천연오일로 클로브 버드오일, 클로브 리프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마조람오일 총 4 종이 선별되었다.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은 유레곤(eugenol), 카요필렌(caryophyllene), 유제닐 아세테이트(eugenyl acetate)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정서적으로 자극효과가 있어 피로, 무기력, 기억력 감퇴 등에 효과가 있으며, 소화기질환에 작용해 구토, 설사, 소화불량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호흡기에 작용해 감기, 천식, 기관지염을 호전시키고 자궁에 강장효과를 가지며 출산시 분만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에 작용할 시 감염된 궤양이나 상처를 아물게 하며 피부의 옴이나 무좀 치유에 사용되기도 한다.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은 유레곤(eugenol), 카요필렌(caryophyllene), 유제닐 아세테이트(eugenyl acetate)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마취, 살충, 소독, 식욕촉진, 통증완화, 최음, 자극 등의 특성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살균 및 항진균 작용으로 옴이나 무좀 치료, 감기, 독감, 기관지 충혈완화, 치통, 근육통, 신경통, 관절염의 장내 기생충 제거, 강비장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은 사비넨(sabinene)성분이 28%, 알파-페닌(α-pinene)성분이 34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비뇨생식기의 살균작용과 이뇨특성으로 비뇨기계 감염, 방광염, 신장결석을 포함해 생리 장애나 생리통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독작용이 강해 관절염, 통풍, 류머티즘의 치유에 사용되며 독소가 쌓여 생긴 피부질환에도 탁월하게 작용하고 진물이 나는 습진, 건선, 염증, 궤양, 발진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마조람오일(marjoram oil)은 테르피넨(terpine)성분과 같은 알콜성분이 50 % 함유되어 있고, 그 외에 모노테르펜 하이드로카본(monoterpene hydrocabon)성분이 15 % 정도 함유되어 있다.
마조람오일은 안정, 진정효과가 뛰어나 제음효과 역할 외에도 안정제, 진통제, 혈압강하제, 동맥혈관 확장제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 4 가지 천연오일 중 선택된 1 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할 시, 모기에 대해 기피력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 방제효과가 뛰어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연구를 해오던 끝에,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 중 1 종을 선택한 후, 선택된 오일에 오일 부피대비 10 ~ 70 부피 %의 기피보조제를 첨가한 다음, 에탄올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 높은 기피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기피용 조성물을 분사시 장시간 지속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 중 2 종 내지 4 종을 선택한 후, 선택된 각 오일을 같은 부피비로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한 다음, 혼합오일 부피대비 10 ~ 70 부피 %의 기피보조제를 첨가한 다음, 에탄올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이용할 시 적은 양을 처리하여도 뛰어난 모기 기피력을 나타내었다.
기피보조제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 분사시, 천연오일의 휘산력을 조절하여 공기 중에 장시간 지속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기피보조제는 바닐린(vanillin),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polyoxyethylene glycol), 폴리비닐 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카보머(Carbopol),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젤라틴, 알긴산 중 선택된 1 종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은 뛰어난 기피효과를 보임과 동시에 공기 중에 장시간 지속가능하며, 이들은 천적, 꿀벌, 인축에 대한 무독성으로 환경보전 및 정화작용이 있는 환경배려형 기피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단계 : 오일 선별 및 혼합오일 제조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 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중 선택된 1 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또한, 클로브 버드오일(clove bud oil), 클로브 리프오일(clove leaf oil),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 마조람오일(majoram oil)중 선택된 2 종 내지 4 종을 선택한 후, 선택된 각 오일을 같은 부피비로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한다.
2. 제2단계 :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
선택된 오일 및 제조된 혼합오일 부피대비 10 ~ 70 부피 %의 기피보조제를 선택된 오일 및 제조된 혼합오일에 첨가한 후, 에탄올을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선택된 오일 및 제조된 혼합오일 부피대비 20 ~ 50 부피 %의 기피보조제를 선택된 오일 및 제조된 혼합오일에 첨가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피보조제는 바닐린(vanillin),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polyoxyethylene glycol), 폴리비닐 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카보머(Carbopol),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젤라틴, 알긴산 중 선택된 1 종을 사용한다.
에탄올은 선택된 오일, 또는 혼합오일 부피대비 200 ~ 500 배를 넣고 혼합하 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1
클로브 버드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클로브 버드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2
클로브 리프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클로브 리프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3
주니퍼베리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주니퍼베리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4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마조람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5
클로브 버드오일과 클로브 리프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1 ㎖과 클로브 리프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6
클로브 버드오일과 주니퍼베리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1 ㎖과 주니퍼베리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7
주니퍼베리오일과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주니퍼베리오일 1 ㎖과 마조람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8
클로브 버드오일과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1 ㎖과 마조람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9
클로브 버드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1 ㎖와 주니퍼베리오일 1 ㎖, 마조람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10
클로브 버드오일, 클로브 리프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1 ㎖와 클로브 리프오일 1 ㎖, 주니퍼베리오일 1 ㎖, 마조람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오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11
클로브 버드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2 ㎖에 기피보조제로 바닐린 0.2 ㎖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12
클로브 버드오일, 주니퍼베리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1 ㎖, 주니퍼베리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 였다.
상기 혼합오일에 기피보조제로 바닐린 0.2 ㎖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모기 기피용 조성물 제조13
클로브 버드오일,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클로브 버드오일 1 ㎖, 마조람오일 1 ㎖를 혼합하여 혼합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오일에 기피보조제로 바닐린 0.2 ㎖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물 2 ㎖에 95 % 에탄올 700 ㎖를 넣고 혼합하여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천연오일를 이용하여 모기성충에 대한 기피력 조사1
1. 실험재료
1) 천연오일 및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 준비
34 종의 천연오일인 카다몬오일, 로즈마리오일, 샌달우드오일, 코리안더오일, 바질오일, 버가모토오일, 블랙페퍼오일, 카라웨이오일, 카모마일오일, 시나몬오일, 시트로넬라오일, 클라리세이지오일, 클로브버드오일, 클로브리이프오일, 유 칼립투스오일, 페넬오일, 징거오일, 그레이프후르츠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라벤더오일, 레몬그라스오일, 라임오일, 마조람오일, 니임오일, 페촐리오일, 페니로얄오일, 페퍼민트오일, 페티그레인오일, 세이지오일, 스피아민트오일, 티트리오일, 타임 레드오일, 타임 화이트오일, 일랑일랑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대조구로써 유기화합물인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를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2) 모기성충 준비
우리나라의 주거공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으로 뇌염과 같은 주요 질병을 매개하는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유충을 채집하여 사육실(40 × 27 × 30 cm)에서 누대 사육하였다.
사육실 조건으로는 온도 28 ± 3 ℃, 상대습도 80 ± 10 %, 광 조건은 16 : 8(L :D)로 유지하였다.
또한, 혈액원으로 쥐(mouse)를 넣어 주었으며, 설탕물(10 %)을 함께 공급해 주었다.
상기 사육조건에서 생성된 난괴를 수거하여 유충사육 플라스틱용기(23 × 30×7 cm)옮겨 담았다.
이때, 유충사육은 호수물로 하였고, 먹이(fish diet)를 갈아서 령기가 증가함에 따라 양을 증가시켜 공급해주면서 사육하였다.
유충이 성장하여 번데기가 된 후, 번데기에서 우화하여 암컷 성충이 되었을 때 실험에 적용하였다.
2. 실험방법
도 3과 같이, 인체에 상형장치를 얹어 놓은 다음, 상형장치의 다섯 개 구멍에 각 오일을 0.01 mg/㎠, 0.05 mg/㎠ 씩 처리하였으며, 5 분 동안 건조시킨 후 10 분동안 모기의 흡혈횟수를 파악하였다.
이때, 암컷 성충의 흡혈활동이 왕성한 22 시 이후에 ASTM에서 제시(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Vol. 11.05)하는 실험방법으로 매 실험마다 5 ~ 10 일된 모기의 암컷 성충 30 마리를 방사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기피력 실험은 오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의 공격력이 5 분동안 20 회를 넘는 경우에만 진행되었으며, 서로 다른 세명의 지원자를 통하여 3 반복으로 이루어졌다.
3. 실험결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빨간집모기성충에 대한 기피력을 실험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34 종의 오일을 0.01 mg/㎠씩 각각 처리할 시 바질오일, 카다몬오일, 카모마일오일, 시나몬오일, 클로브 버드오일, 클로브 리프오일, 징거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라임오일, 마조람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처리구와 대조구인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에서 80 % 이상의 기피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34 종의 오일을 0.05 mg/㎠씩 각각 처리할 시 클로브 버드오일, 클로브 리프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마조람오일, 시트로넬라오일,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에서 60 % 이상의 기피율을 나타내었다.
즉, 유기화합물인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와 본 발명에서 이용한 4 종의 천연오일이 유사한 기피율을 나타냄으로써,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오일을 이용하여 인체에는 무해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천연오일을 이용하여 모기성충에 대한 조사2
1. 실험재료
실험예 1의 결과를 토대로 모기성충에 대한 기피력이 우수했던 4 종의 오일인 클로브 버드오일, 클로브 리프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대조구로써 유기 화합물인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와 통상적으로 쓰이는 시트로넬라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2. 실험방법 및 결과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되, 상기 준비한 오일과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를 0.001 mg/㎠씩 각각 처리하여 모기 성충에 대해 기피력을 조사하였 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클로브 버드오일 및 마조람 오일이 가장 기피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로 사용된 시트로넬라 오일 및 DEET의 성분이 함유된 기피제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된 4 종의 오일이 나타내는 모기 기피력이 월등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모기성충에 대해 살충효과가 뛰어난 천연오일의 화학적 분석
1. 실험재료
천연오일로 클로브 버드오일, 클로브 리프오일, 주니퍼베리오일, 마조람오일을 (주)서울향료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2. 실험방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Agilent Technologies 6890N)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매스 스펙트로메터 (GC-MS, Hewlett Packard 5890)를 이용하여 상기 4 가지 오일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컬럼(column)은 DB-WAX (0.25 mm × 30 mm)를 이용하였고, carrier gas는 N2 gas를 이용하였으며, oven 온도는 50 ~ 180 ℃ (2℃/min)로 하였다.
주입구의 온도는 200℃, 검출기의 온도는 210℃ 조건하에서 불꽃 이온화 검 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로 검출하였으며, 이온화는 70 eV에서 수행하였다.
오일의 구성성분은 GC-MS로부터 시료의 전체 이온 크로마토그램(total ion chromatogram)을 얻은 후, WILEY138 library의 자료(Hewlett Packard)와 비교하였다.
또한, 상기 자료를 토대로, 4 가지 천연오일의 구성성분요소인 테르펜류를 이용하여 모기성충 살충력을 평가하였다.
이때, 펌프타입의 테르펜 샘플을 제조하여 본 실험에 사용되었으며,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빨간 집모기에 대한 기피력평가를 실시하였다.
3. 실험결과
아래의 상기 모기 기피력이 높은 4 가지 오일에 대한 주요 구성성분을 측정한 결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주요 구성성분
주성분
클로브 버드오일 유계놀(eugenol, 80.65 %) iso-유게놀(11.77%), t-카리오필렌(caryophyllene, 7.01 %)
클로브 리프오일 유계놀(eugenol, 80.65 %) t-카리오필렌(caryophyllene, 9.86 %)
주니퍼베리오일 사비넨(sabinene, 50.80 %) β-미르센(myrcene, 13.19 %) 리모넨(limonene, 12.15 %)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6.90 %)
마조람오일 사비넨(sabinene, 50.80 %) γ-터피넨(terpinene, 6.77 %) c-사비넨 하이드레이트(sabinene hydrate, 16.11 %) 3-사이클로헥센-1-올(c-cyclohexen-1-ol, 23.16%)
또한, 상기 결과를 토대로 상기 천연오일이 함유하고 있는 테르펜류의 모기 기피력을 조사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테르펜류의 모기성충 살충력
테르펜류 (terpene) 처리양 (mg/㎠) 기피력 (%)
유게놀 0.005 100
β-미르센 0.005 65.6
리모넨 0.005 41.7
사비넨 0.005 60.8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전반적으로 높은 기피력을 보이며, 특히 클로브 버드 오일 및 클로브 리프오일의 주성분인 유게놀이 100 %의 기피력을 보였으며, β-미르센 및 사비넨이 60 % 이상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각 천연오일 성분내에서 주요 기피작용과 연계된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이용한 모기성충 기피력 조사
상기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의 기피력을 조사하였다.
1. 실험재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모기 기피용 조성물들을 각각 에어로졸 형태로 제조하여 기피력을 조사하였다.
이때, 에어로졸 캔은 200 ㎖ 부피의 캔을 사용하였으며, 밸브(valve, 331M)로는 직경이 0.045 인치인 스템 오리피스(stem orifice), 직경이 0.4 인치인 베이퍼텝 오리피스(vaper tap orifice), 직경이 0.8 인치인 바디 오리피스, 직경이 0.45 인치인 구경의 오리피스 버튼(button, F-47)으로 구성된 에어로졸 밸브를 사용하였다.
상기 에어로졸 캔에 추진제(LPG) 70 ㎖(38.92 g)와 본 발명의 모기 기피용 조성물들을 각각 70 ㎖(57.19 g)씩 넣어 총 70 % Vol.인 140 ㎖씩을 넣어 각각 에어로졸 형태로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2. 실험방법
상기 제조된 에어로졸을 3 평의 방 안에 일주일 이상 흡혈(feeding)을 시키지 않은 100 마리의 암컷 성충 모기를 직접 방사한 후, 지원자(3 명)의 양쪽 다리에 각각 7 g씩 분사하여 3 반복으로 기피력을 평가하였다.
이때, 다리의 처리부위는 무릅 아래에서 발까지이며, 손과 팔 등의 다른 노출부위는 최대한 가린 채 실시하였다.
3. 실험결과
빨간집모기와 흰줄숲모기에 대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피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표 3,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3> 빨간집모기에 모기 기피력 조사
기피력
0 시간 1 시간 2 시간 4 시간
실시예 1 5 3 2 1
실시예 2 5 3 2 1
실시예 3 5 3 2 1
실시예 4 5 3 2 1
실시예 5 5 4 2 1
실시예 6 5 4 3 2
실시예 7 5 4 2 1
실시예 8 5 4 3 2
실시예 9 5 4 3 2
실시예 10 5 4 3 2
실시예 11 5 4 4 3
실시예 12 5 5 5 4
실시예 13 5 5 5 5
무처리 1 1 1 1
5 : 흡혈없음, 4 : 1 회 흡혈
3 : 2 ~ 4 회 흡혈, 2 : 5 ~ 9 회 흡혈
1 : 10 회이상 흡혈
<표 4> 흰줄숲모기에 대한 모기 기피력 조사
기피력
0 시간 1 시간 2 시간 4 시간
실시예 1 5 3 2 1
실시예 2 5 3 2 1
실시예 3 5 3 2 1
실시예 4 5 3 2 1
실시예 5 5 4 2 1
실시예 6 5 4 3 1
실시예 7 5 4 2 1
실시예 8 5 4 3 1
실시예 9 5 4 3 1
실시예 10 5 4 3 1
실시예 11 5 4 3 2
실시예 12 5 5 5 4
실시예 13 5 5 5 4
무처리 1 1 1 1
5 : 흡혈없음, 4 : 1 회 흡혈
3 : 2 ~ 4 회 흡혈, 2 : 5 ~ 9 회 흡혈
1 : 10 회이상 흡혈
상기 표 3과 표 4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을 처리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기피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기피보조제를 첨가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에서는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그 기피력은 높게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피보조제가 모기 기피력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유기화합물인 DEET를 대체할 수 있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모기방제 효과가 뛰어난 모기 기피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4)

  1. 삭제
  2. 기피용 조성물에 있어서,
    주니퍼베리오일(juniferberry oil)과 마조람오일(majoram oil) 중 1 종을 선택한 후,
    선택된 오일에 기피보조제로 바닐린(vanillin),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polyoxyethylene glycol), 폴리비닐 에테르-말레인산 공중합체(PVM/MA copolymer),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PVP), 카보머(Carbopol),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젤라틴, 알긴산 중 선택된 1 종을 오일 부피대비 10 ~ 70 부피 %로 첨가한 다음,
    에탄올을 넣고 혼합하여 제조된,
    모기성충 기피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060036535A 2006-04-24 2006-04-24 모기 기피용 조성물 KR10075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535A KR100756397B1 (ko) 2006-04-24 2006-04-24 모기 기피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535A KR100756397B1 (ko) 2006-04-24 2006-04-24 모기 기피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397B1 true KR100756397B1 (ko) 2007-09-10

Family

ID=3873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535A KR100756397B1 (ko) 2006-04-24 2006-04-24 모기 기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3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44B1 (ko) * 2009-05-22 2010-04-2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잔톡실럼속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WO2018151419A1 (ko) * 2017-02-15 2018-08-23 (주)우정비에스씨 흡혈성 절지동물 기피제 조성물
CN109248100A (zh) * 2018-10-25 2019-01-22 湖南雪天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驱蚊液及其制备方法
KR101942801B1 (ko) * 2018-03-02 2019-01-29 (주)토필드 모기 기피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56B1 (ko) * 1999-08-20 2002-06-20 최원식 천연 모기 기피제
JP2003033722A (ja) * 2001-07-26 2003-02-04 Dainippon Toryo Co Ltd 耐候性鋼の防食法
KR20030033722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KR100407604B1 (ko) * 2003-09-05 2003-12-03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모기 기피제
US20050069568A1 (en) * 2002-03-20 2005-03-31 Hallahan David L. Insect repellent compounds
KR20050069568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우터 시스템에서 고속 이더넷의 다중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56B1 (ko) * 1999-08-20 2002-06-20 최원식 천연 모기 기피제
JP2003033722A (ja) * 2001-07-26 2003-02-04 Dainippon Toryo Co Ltd 耐候性鋼の防食法
KR20030033722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살충성을 가지는 식물정유 및 화합물
US20050069568A1 (en) * 2002-03-20 2005-03-31 Hallahan David L. Insect repellent compounds
KR100407604B1 (ko) * 2003-09-05 2003-12-03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모기 기피제
KR20050069568A (ko) *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우터 시스템에서 고속 이더넷의 다중화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3-33722호
미국특허공개 2005/0069568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44B1 (ko) * 2009-05-22 2010-04-2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잔톡실럼속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WO2018151419A1 (ko) * 2017-02-15 2018-08-23 (주)우정비에스씨 흡혈성 절지동물 기피제 조성물
CN110402083A (zh) * 2017-02-15 2019-11-01 株式会社 宇正 Bio 吸血节肢动物忌避剂组合物
US10959428B2 (en) 2017-02-15 2021-03-30 Woojung Bio Inc. Hematophagous arthropod repellent composition
CN110402083B (zh) * 2017-02-15 2021-08-27 株式会社 宇正 Bio 吸血节肢动物忌避剂组合物
KR101942801B1 (ko) * 2018-03-02 2019-01-29 (주)토필드 모기 기피 조성물
CN109248100A (zh) * 2018-10-25 2019-01-22 湖南雪天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驱蚊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hakad et al. Biological, medicinal and toxicological significance of Eucalyptus leaf essential oil: a review
Mercier et al. The essential oil of turpentine and its major volatile fraction (α-and β-pinenes): A review
Adorjan et al. Biological properties of essential oils: an updated review
Farag et al. Chemical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essential oils of different Melaleuca species
Pavela Insecticidal properties of several essential oils on the house fly (Musca domestica L.)
Zoral et al. Anthelmintic activity of Rosmarinus officinalis against Dactylogyrus minutus (Monogenea) infections in Cyprinus carpio
AU2005307112B2 (en) Insec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326524B1 (e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s
KR20180069278A (ko) 방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56397B1 (ko) 모기 기피용 조성물
Moore et al. Plant-based insect repellents
Malabadi et al. An age old botanical weapon for herbal therapy: Camphor tree, Cinnamomum camphora
Kuttan et al. Safety evaluation of essential oils
Mishra et al. Linalool based herbal mosquito repellant.
US20060147562A1 (en) Insect repellent based on a mixture of essential oils
McLain Chronic Health Effects Assessment of Spike Lavender Oil
CN104758322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和舒缓神经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CN107467083A (zh) 一种八桂生物除虫剂
F Abou El-Nour Evaluation of molluscicidal, miracicidal and cercaricidal activities of crude aqueous extracts of Origanum majorana, Ziziphus spina-christi and Salvia fruticosa on Schistosoma mansoni and Schistosoma haematobium
Habbachi et al. Toxicity of aqueous extracts from Mediterranean plants on Culex pipiens (Mosquitoes), Case of Daphne gnidium (Thymelaeaceae) and Peganum harmala (Zygophyllaceae)
CN113749129A (zh) 空气清新剂兼驱虫液及其制备方法
Inouye Laboratory evaluation of gaseous essential oils (Part 2)
Arora et al. Neem leaves: Indian herbal medicine
KR100955344B1 (ko) 잔톡실럼속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기피제
Xin et al. Screening of essential oils with acaricidal activity against Haemaphysalis longicornis (Acari: Ixodidae) and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