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344B1 -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 Google Patents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344B1
KR100756344B1 KR1020060121129A KR20060121129A KR100756344B1 KR 100756344 B1 KR100756344 B1 KR 100756344B1 KR 1020060121129 A KR1020060121129 A KR 1020060121129A KR 20060121129 A KR20060121129 A KR 20060121129A KR 100756344 B1 KR100756344 B1 KR 10075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robot
unit
signal
messag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석
최두아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시뮬레이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뮬레이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시뮬레이션연구소
Priority to KR102006012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344B1/ko
Priority to PCT/KR2007/000577 priority patent/WO20080693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Robo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이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또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되,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신호를 토이 로봇의 제어용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토이 로봇의 제어용 신호로 확인된 경우 상기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토이 로봇으로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와; 상기 토이 로봇의 인증 및 조회를 수행하는 토이로봇 인증조회부와; 상기 토이 로봇과 통신할 상대방 토이 로봇을 설정하는 토이로봇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응한 감정표현을 시각, 청각 및 3차원 동적으로 표출하여 현실감 있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1인미디어, 토이 로봇, 인스턴트 메신저, 통신 프로그램부

Description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Toy Robot Using 'Personal Media' Websit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웹 접속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시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토이 로봇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부터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 9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예시를 보인 것이며,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를 토이 로봇 제어신호(bits signal)로 변환하는 일례를 보인 변환테이블의 도표이며,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를 토이 로봇 제어신호(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주파수신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250: 사용자 단말기
120, 220, 1220, 1260 : 토이 로봇
130, 230 :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
140, 240 :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검색 DB
320 : 웹 접속 프로그램부 330 : 웹 보조 프로그램부
340 :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350 : 통신 프로그램부
510 : 메시지 송수신 모듈 520 : 메시지 명령 해석 모듈
610 : 인스턴트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
710 : 제어부 730 : 구동부
본 발명은 토이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이용이 급속하게 확산됨에 따라, 컴퓨터 사용자들이 메일, 웹서핑, 채팅 등 인터넷상에서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최근에는 '1인미디어'로 불리는 블로그 또는 미니홈피 등의 웹사이트 활용이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 및 '1인미디어' 웹사이트의 활용의 범위는 날로 발전을 거듭하는 양상을 보이며, 텍스트 뿐만 아니라 감정을 표현하는 이모티콘 등을 이용하기도 하고, 나아가 멀티 콘텐츠(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등)을 이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이모티콘을 활용한 감정표현 또는 멀티콘텐츠의 활용은 서비스 서버와 인터넷으로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다운받아 사용되는 부가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져 상대방의 감정이나 음악 등을 보다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이용하여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에 따른 감정표현을 동작 및/또는 소리로 표출하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 등의 정보를 감정표현으로 출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그 정보를 기설정된 명령어(비트신호) 및/또는 오디오신호(주파수 대역)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감정표현을 시각, 청각 및 3차원 동작으로 표출할 수 있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은,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및/또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통신부와; '1인미디어' 웹사이트에 접속 및 구동하기 위한 웹 접속 프로그램부와;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에 게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받아 토이(Toy) 로봇의 제어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메시지 편집을 담당하는 웹 보조 프로그램부; 및 상기 토이 로봇의 제어를 위해 상기 웹 보조 프로그램부에서 편집된 메시지를 상기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토이 로봇으로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은, 사용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 및/또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통신부와; '1인미디어' 웹사이트에 접속 및 구동하기 위한 웹 접속 프로그램부와;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상기 '1인미 디어' 웹사이트에 상기 상대방 사용자 단말기가 게시한 메시지에 대응되는 변환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받는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 및 토이(Toy) 로봇의 제어를 위해 수신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상기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토이 로봇으로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웹 접속 프로그램부는,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웹 문서 송수신을 위한 웹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웹 보조 프로그램의 구동 또는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와 통신을 위한 웹 보조 프로그램 구동모듈과;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웹 접속 프로그램부는, 웹 문서의 입출력을 수행하는 웹 문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웹 접속 프로그램부의 사용자 조작을 처리하는 웹 접속 프로그램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및 명령어를 해석하는 메시지/명령어 해석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는, 이기종 메신저간 인스턴트 메시지 호환을 위한 메시지 변환 모듈과; 상대방의 단말기 상태를 감지하며, 자신의 단말기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감지 및 상태설정 모듈과; 인스턴트 메신저의 계정정보, 감정표현정보, 상태제어정보 등을 설정하는 설정관리 모듈과;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상대를 관리하는 대화상대관리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환된 인스턴트 메시지는, 상기 '1인미디어' 웹 사이트의 서버 내에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에 의해 게시된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에 포함된 인스턴트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에 의해 게시된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토이 로봇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각각 네트워크 통신 및 물리적 연결을 수행하는 단말기 연결부와;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토이 로봇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작동을 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출력신호를 소리신호로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부와, 외부 소리 및 터치 인식 입력을 위한 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및/또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되;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신호를 토이 로봇의 제어용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토이 로봇의 제어용 신호로 확인된 경우 상기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토이 로봇으로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와; 상기 토이 로봇의 인증 및 조회를 수행하는 토이로봇 인증조회부와; 상기 토이 로봇과 통신할 상대방 토이 로봇을 설정하는 토이로봇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토이 로봇은, 외부 소리 입력을 위한 소리입력부 또는 센서 인식 입력을 위한 센서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이 로봇의 소리입력부 또는 센서입력부를 통해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은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의 통신 프로그램부을 통해 상대방 토이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전달되도록 구현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A1(110), 토이 로봇(120),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30)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검색 DB(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A1(110)는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30)와 통신을 하며, 통신중에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30)에 게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메시지에 포함된 감정표현 메시지 및 오디어 신호를 토이 로봇(120)의 제어용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120)의 동작을 실행하거나 비디오 또는 오디오(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토이 로봇(120)는 사용자 단말기A1(110)와 각각 근거리 또는 원거리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의 경우는 USB, 블루투스 또는 Zigbee 통신을 이용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의 경우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간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A1(210), 토이 로봇A2(220),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230),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검색 DB(240) 및 사용자 단말기B1(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B1(250)에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토이 로봇B2(26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A1(210) 및 사용자 단말기B1(250)는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230)와 통신을 한다. 통신중에 사용자 단말기B1(250)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30)의 방명록 등에 게시한 메시지를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23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A1(210)로 전송하거나(전송'A') 사용자 단말기B1(250)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30)의 방명록 등에 게시한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A1(210)로 전송하게 된다(전송'B').
여기서, 전송'A'와 전송'B'에 대한 전송방식은 도 6a 및 도 6b를 통해 다시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기A1(210)는 전송받거나 변환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토이 로봇A2(22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A2(220)의 동작을 실행하거나 비디오 또는 오디오(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토이 로봇A2(220)는 사용자 단말기A1(110)와 각각 근거리 또는 원거리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근거리 통신의 경우는 USB, 블루투스 또는 Zigbee 통신을 이용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의 경우는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토이 로봇B2(260)의 내부에 구성된 소리입력부 또는 센서입력부를 통해 외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B1(250)를 통해 상술한 프로세스와 마찬가지로 토이 로봇A2(220)에게 전달되어 토이 로봇A2(220)의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A1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A1(110, 210)는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단말기 기본 구성(310) 외에 웹 접속 프로그램부(320), 웹 보조 프로그램부(330),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340), 통신 프로그램부(350), 네트워크 통신부(360), 연결부(370)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검색 모듈(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웹 보조 프로그램부(3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필수구성이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필수구성은 아니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3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필수구성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필수구성은 아니나,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A1(110, 210)에는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된다.
웹 접속 프로그램부(320)는 웹 접속 프로그램(웹 브라우저)에 접속 및 구동을 위한 구성이며, 이에 대한 세부내용은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웹 보조 프로그램부(330)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A1(110)가 '1인미디어' 웹사이트에 게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받아 토이 로봇(120)의 제어신호에 맞도록 동작신호와 멀티미디어 신호를 구분하여 편집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340)는 네트워크 통신부(360)를 통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인스턴트 메시지/명령어를 해석하여 통신 프로그램부(350)로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B1(250)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230, 사용자 단말기A1(210)의 1인미디어 웹사이트가 제공되는 웹 서버를 의미한다)의 방명록 등에 남긴 메시지를 받아(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은 도 6a 및 도 6b 참조) 인스턴트 메시지/명령어를 해석하여 통신 프로그램부(3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340)의 세부 구성은 도 5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통신 프로그램부(350)는 웹 보조 프로그램부(330) 또는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34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토이 로봇A2(120, 220)의 제어를 위해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120, 220)의 제어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비트(Bits)신호 또는 오디오 주파수 신호로 변환될 수 있는 데, 이 제어신호의 변환예는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네트워크 통신부(360)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모듈이며, 연결부(370)는 토이 로봇A2(120, 220)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포트를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검색 모듈(38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검색 DB로부터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모듈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웹 접속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접속 프로그램부(320)는 웹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10), 웹 보조 프로그램 구동 모듈(420), 웹 문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430), 웹 접속 프로그램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440) 및 내장형 웹 문서(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웹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410)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30, 230)에 접속하거나 웹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웹 보조 프로그램 구동 모듈(420)은 웹 보조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구성이며, 웹 문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430)은 웹 문서의 기본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며, 웹 접속 프로그램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440)은 웹 접속 프로그램부(320)의 사용자 조작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내장형 웹 문서(450)는 토이 로봇(120, 220)이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30, 230)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상술한 웹 접속 프로그램부(320)를 내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340)는 메시지 송수신 모듈(510), 메시지/명령 해석 모듈(520), 단말기 상태감지/설정 모듈(53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40), 설정관리 모듈(550), 대화상대관리 모듈(560) 및 이기종 메신저간 메시지 변환 모듈(5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시지 송수신 모듈(510)은 사용자 단말기간의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 및 통신 프로그램부(530)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230)의 방명록 등에 게시된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부(610)를 통해 변환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명령 해석 모듈(520)은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명령어(슬래쉬 '/') 등을 해석하여 메시지 송수신 모듈(510)을 통해 통신 프로그램부(530)로 전달한다.
단말기 상태감지/설정 모듈(530)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 상태를 감지하고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40)은 사용자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의 사용자 조작 및 화면 등의 기본 입출력을 수행한다.
설정관리 모듈(550)은 사용자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의 계정정보, 감정표현 정보, 상태제어 정보 등의 인스턴트 메신저 기능 정보 및 토이 로봇에 전달할 정보를 설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대화상대관리 모듈(560)은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상대를 관리하여, 이기종 메신저간 메시지 변환 모듈(570)은 이기종 메신저간 메시지 호환을 위한 모듈로서 작용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시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통신시스템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B1(250)가 인터넷망을 통해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230)에 접속하여 방명록 등에 메시지(이하 '1인미디어 메시지'라 함)를 남기면, 그 메시지는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변환되어 사용자 단말기A1(210) 내에 포함된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A1(210)의 표시창에 표시됨과 함께 그 인스턴트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기A1(210) 내에 포함된 통신 프로그램부에 의해 제어신호로 변환되어 토이 로봇(220)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1인미디어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도 6a 및 6b를 통해 설명한다.
도 6a의 경우는 사용자 단말기A1(210) 내에서 '1인미디어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인 경우이며, 도 6b의 경우는 '1인미디어' 웹 사이트 서버(230)에서 '1인미디어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기A1(210)로 전송하는 과정을 보인 경우이다. 여기서, '1인미디어' 웹 사이트 서버(230)는 사용자 단말기A1(210)의 1인미디어 웹사이트가 제공되는 웹 서버를 의미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B1(250)는 '1인미디어' 웹 사이트의 방명록 등에 '1인미디어 메시지'를 남기고(여기서, 토이 로봇(220)에게 발송 체크 유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음), 그 '1인미디어 메시지'를 '1인미디어' 웹 사이트 서버(230)가 사용자 단말기A1(210)의 인스턴트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610)에게 전송(전송'A')한다.
전송된 '1인미디어 메시지'는 인스턴트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610)에 의해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된다. 이때 변환된 '인스턴트 메시지'는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630)로 전달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B1(250)는 '1인미디어' 웹 사이트의 방명록 등에 '1인미디어 메시지'를 남기고(여기서, 토이 로봇(220)에게 발송 체크 유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음),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230)의 인스턴트 메시지 변환 프로그램(610)에 의해 '1인미디어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부(620)에 의해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640)로 전송되어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630)로 전달되거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64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부(620)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부(630)로 전달된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토이 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이 로봇(120, 220) 각각은 제어부(710), 단말기 연결부(720), 구동부(730), 터치센서부(740), 소리입력부(750), 멀티미디어 출력부(760) 및 메모리부(770)를 포함한다.
제어부(710)는 토이 로봇(120, 2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단말기 연결부(720)는 사용자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매개체이며, 메모리부(770)는 프로그램 저장 및 실행을 위한 모듈이다.
센서 입력부(740)와 소리입력부(750)는 입력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경우의 입력부로서, 이들 구성은 본 발명에서 부가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구동부(730)는 토이 로봇의 구동을 위한 것이며, 멀티미디어 출력부(760)는 소리 또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표시장치이다.
구동부(730)는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통신 프로그램부(35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토이 로봇의 구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구동되는 객체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토이 로봇의 팔, 다리, 눈, 머리, 몸, 허리 등 다양한 부분을 구동부(73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통신 프로그램부(35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부위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멀티미디어 출력부(760)도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에 포함된 통신 프로그램부(35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감정표현 소리 또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비트신호와 주파수(오디오)신호로 구분되어 전달되게 된다.
이 때, 비트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비트신호에 토이 로봇의 동작을 위한 신호와 소리 출력을 위한 신호로 구분되어 전달되고, 나아가 동작신호인 경우에도 토이 로봇의 각 부위를 구동할 수 있는 신호로 더욱 세분화된다.
주파수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는 스테레오 사운드 채널을 사용하게 되는데, 하나의 채널은 사운드 채널로 사용되어 멀티미디어 출력부(76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고, 다른 하나의 채널은 제어용 주파수 신호를 할당하여 토이 로봇의 동작 제 어를 위해 구동부(730)로 연결된다.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가 비트 신호 또는 주파수 신호의 여부에 따라 토이 로봇의 구성이 변경되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제어신호의 변환예는 도 10a 및 도 10b를 통해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제어신호 변환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컨텐츠(81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보 검색 DB(140, 240)로부터 그에 맞는 정보(820)가 검색된다. 검색된 정보(820)는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830)로 변환되며, 변환된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830)에서 감정표현 명령어와 오디오 신호 만을 추출하여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840)로 변환된다. 제어신호 변환예는 도 10a 및 도 10b를 통해 설명된다.
도 9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다양한 예시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형식이며, (b)는 문자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인스턴트 메시지 형식이고, (c)는 사운드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인스턴트 메시지 형식이고, (d)는 혼합형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인스턴트 메시지 형식이다.
'1인미디어' 웹사이트에 게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메시지 포함)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로 변환되어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로 변 환되어 토이 로봇을 작동시키게 된다.
도 10a는 토이 로봇 제어신호(bits signal)로 변환하는 일례를 보인 변환테이블의 도표이며, 도 10b는 토이 로봇 제어신호(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주파수신호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프로그램부(350)는 메시지에 해당하는 신호를 토이 로봇 명령어로 변환하여 토이 로봇 명령어에 따라 로봇 제어신호를 토이 로봇에게 전달한다.
인스턴트 메시지/명령어가 ‘/하하’는 토이 로봇 명령어 ‘S1’으로 변환되고, ‘S1’에 따라 토이 로봇 제어신호 ‘00 1101000’으로 전달되어 토이 로봇 제어신호 ‘00 1101000’에 따라 토이 로봇이 구동되거나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로봇 제어신호에서 앞의 2자리 비트는 토이 로봇의 구동 구동신호 인지, 소리 출력신호인지를 구분하며, 뒤의 비트수는 토이 로봇 각각의 부위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로서 구분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주파수 신호(오디오 신호)의 전송방식의 경우인데, 여깃서는 스트레오 채널을 이용한다.
하나의 채널은 사운드 채널로 이용되어 오디오신호는 그대로 멀티미디어 출력부(76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며, 다른 채널은 구동 제어 신호(구동부 주파수1 신호 내지 구동부 주파수3 신호)로 사용된다.
구동 제어신호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 메시지는 사용자의 입력 및 UI 조작에 따른 명령어는 토이 로봇 명령어로 변환되고(여기까지는 비트신호 전송방식과 동일함) 토이 로봇 명령어에 따라 도시된 구동부 주파수1 신호 내지 구동부 주파수3 신호로 변환되어 토이 로봇에게 전달되어 토이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비트신호 전송방식 또는 주파수신호 전송방식에 따라 토이 로봇의 세부적인 구성은 달리 구성됨은 당연하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은 동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제어신호 방식의 변환신호들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화하여 설명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의 통신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 단말기를 구성하지 않고, 토이 로봇이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에 직접연결되어 토이 로봇간 통신을 하는 경우이다.
토이 로봇A2(1220)와 토이 로봇B2(1260)는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다.
토이 로봇A2(1220)와 토이 로봇B2(1260)은 그 내부 구성이 동일하다.
토이 로봇A2(1220)는 토이 로봇A2(12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221)와,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230)와 통신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 통신부(1222)와, 센서 또는 소리 입력을 받는 센서 입력부(1224)와 소리입력부(1225)와, 토이 로봇A2(12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1220)와, 토이 로봇A2(1220)의 오디오 및 영상 출력을 위한 멀티미디어 출력부(12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토이 로봇(A2)의 구동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개념을 갖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230)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토이로봇 인증조회부(1231)와, 토이로봇 설정부(1232)와, 통신프로그램부(12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이 로봇A2, B(1220, 1260)는 전원이 공급되면서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인증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토이 로봇A2, B(1220, 1260)의 IP 주소 및 인증번호를 인증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1230)는 인증서버에서 토이 로봇A2, B(1220, 1260)의 IP주소를 조회하여 토이 로봇A2, B(1220, 1260)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 토이로봇 인증조회부(1231)이다.
토이로봇 설정부(1232)는 토이 로봇A2(1220)의 신호를 전달할 상대측 토이 로봇B2(1260)를 설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토이 로봇A2(1220)의 센서 입력부(1224)와 소리입력부(1225)에 의해 입력된 외부신호를 통신프로그램부(1233)에 의해 변환될 메시지(토이 로봇B2(1260)에게 전달될 메시지)도 설정한다.
통신프로그램부(1233)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통신프로그램부와 동일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통신프로그램부(1233)에 의해 변환된 토이 로봇A2,B(1220, 1260)의 제어신호는 네트워크 통신부(1222)를 통해 전달되어 제어부(1221)에 의해 토이 로봇A2,B(1220, 1260)의 동작 및 멀티미디어 출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어신호 변환예는 상술한 도 10a 및 도 10b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1인미디어' 웹사이트 이용하여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에 따른 감정표현을 동작 및/또는 소리로 표출하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달된 메시지 또는 이모티콘 등의 정보를 감정표현으로 출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그 정보를 기설정된 명령어(비트신호) 및/또는 오디오신호(주파수 대역)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감정표현을 시각, 청각 및 3차원 동작으로 표출할 수 있는 토이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또는 멀티미디어를 출력하되,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는, 수신된 신호를 토이 로봇의 제어용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토이 로봇의 제어용 신호로 확인된 경우 상기 토이 로봇의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토이 로봇으로 출력하는 통신 프로그램부와; 상기 토이 로봇의 인증 및 조회를 수행하는 토이로봇 인증조회부와; 상기 토이 로봇과 통신할 상대방 토이 로봇을 설정하는 토이로봇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이 로봇은,
    외부 소리 입력을 위한 소리입력부 또는 센서 인식 입력을 위한 센서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토이 로봇의 소리입력부 또는 센서입력부를 통해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은 상기 '1인미디어' 웹사이트 서버의 통신 프로그램부을 통해 상대방 토이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전달되는,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KR1020060121129A 2006-12-04 2006-12-04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KR10075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29A KR100756344B1 (ko) 2006-12-04 2006-12-04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PCT/KR2007/000577 WO2008069365A1 (en) 2006-12-04 2007-02-02 Toy robot using 'personal media' web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29A KR100756344B1 (ko) 2006-12-04 2006-12-04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344B1 true KR100756344B1 (ko) 2007-09-07

Family

ID=3873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29A KR100756344B1 (ko) 2006-12-04 2006-12-04 '1인미디어'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56344B1 (ko)
WO (1) WO20080693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4005A (zh) * 2012-12-31 2014-07-09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机器人控制方法及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83567B (zh) * 2008-09-25 2011-12-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做动作自动讲故事的类生物装置及其方法
CN106453479A (zh) * 2016-08-02 2017-02-22 深圳因材施教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产品与数据处理的交互方法
KR102573021B1 (ko) * 2016-08-30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로봇,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그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53A (ko) * 2000-09-25 2000-12-05 오재덕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내장한 지능형 장난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751B1 (ko) * 2000-08-17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서버를 이용한 완구의 학습/성장 시스템 및 방법
KR100396755B1 (ko) * 2000-08-18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팅을 이용한 완구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360722B1 (ko) * 2000-12-18 2002-11-13 주식회사 이플래닛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KR20060102601A (ko) * 2005-03-24 2006-09-28 이지로보틱스 주식회사 로봇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753A (ko) * 2000-09-25 2000-12-05 오재덕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내장한 지능형 장난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4005A (zh) * 2012-12-31 2014-07-09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机器人控制方法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9365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823B1 (ko) 메신저를 활용한 토이(Toy) 로봇간 통신시스템 및 이와연동되는 토이 로봇
KR101942308B1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404875B1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dialog contents, server and method thereof
CN107967104A (zh) 对信息实体进行语音评论的方法和电子设备
CN108520014A (zh) 信息分享方法、装置、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介质
US10637806B2 (en) User interface for a chatting application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voice message with feature information indicating a mood
KR101587115B1 (ko) 아바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KR101771071B1 (ko) 통신 방법, 클라이언트, 및 단말
CN102215233A (zh) 信息系统客户端及信息发布与获取方法
CN102420778A (zh) 将即时通信已读消息标记为未读状态的方法及系统
KR20090065212A (ko) 로봇 채팅 시스템 및 방법
KR100756344B1 (ko) &#39;1인미디어&#39; 웹사이트를 활용한 토이 로봇
CN104144108A (zh) 一种消息响应方法、装置及系统
KR101351264B1 (ko) 음성인식 기반의 메시징 통역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08477A (ko) 감성 전달 기능을 가진 동작 포함 로봇 채팅 시스템
KR20090075397A (ko) 이모티콘을 포함한 통신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
CN102841792A (zh) Sns应用中的信息编辑方法及终端
CN103856552A (zh) 用于互动直播的方法和设备
KR2008007620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어방법
JP2000076167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及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装置
CN104375772A (zh) 用于通过屏幕传感器进行配对的方法和设备
US200200593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oys through computer communication
KR100396755B1 (ko) 채팅을 이용한 완구 구동 장치 및 방법
WO2014006709A1 (ja) 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およ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KR102509106B1 (ko) 발화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